KR102142493B1 -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493B1
KR102142493B1 KR1020200041766A KR20200041766A KR102142493B1 KR 102142493 B1 KR102142493 B1 KR 102142493B1 KR 1020200041766 A KR1020200041766 A KR 1020200041766A KR 20200041766 A KR20200041766 A KR 20200041766A KR 102142493 B1 KR102142493 B1 KR 10214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oadcast
signal
vod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일
김영상
임한재
Original Assignee
(주)휴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톤 filed Critical (주)휴톤
Priority to KR102020004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04H20/84Wired systems combined with power distribu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04N21/2389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involving multiplex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셋톱박스를 댁내마다 설치하지 않고도 댁내의 고객이 직접적으로 선택한 VOD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HDTV 단방향 방송에 DTV가 결합된 방송 송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은 공동 배전반등에 DTV RF컨버팅 장치를 설치하여 RF 신호에 대한 일반 방송이 그대로 채널 번호만 지정하여 댁내로 전송하되, VOD 방송 서비스를 신청한 댁내의 고객이 고객단말을 이용하여 스트림서버로 VOD 방송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DTV RF컨버팅 장치에서 댁내의 TV에 연결되는 동글 락키부측으로 특정 채널로 변형된 보안 신호를 전송하여 동글 락키부측에서 변형된 보안 신호를 해제함으로써, 댁내에서 셋톱박스를 이용하지 않고 VOD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HDTV ONE WAY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COMBINED WITH DTV}
본 발명은 HDTV 전송망을 이용하는 댁내에서 단방향으로 RF채널에 대한 방송을 TV로 시청하도록 하되, VOD 방송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들 각각이 VOD 방송을 스트리밍 요청시에 HDTV 전송망을 통해 고객들 각각이 자신들이 선택한 VOD 방송을 DTV를 통해 직접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HDTV 관련 방송은 전송방식에 따라 크게 지상파 방송(VSB 전송 방식), CATV 방송(광동축망을 통한 네트워크 전송), IPTV 방송(광통신및 랜통신을 통한 네트워크 방송), 위성방송(QPSK 전송)을 이용하여 디지털방송을 전송하고 있다.
이 경우, 지상파 방송을 제외한 CATV 방송, IPTV 방송 및, 위성방송은 각각의 종합유선 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각각의 망을 통해 유료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서비스에 가입한 시청자는 각각의 종합유선 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채널의 수에 따라 요금제를 달리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 경우, CATV 방송이나 위성방송은 상당수가 단방향으로 수신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IPTV 방송은 셋톱박스를 통해 양방향으로 방송서비스를 제공받게 되고, IPTV 방송은 고객이 특정 컨텐츠를 보고자 할 때, 결제등을 통해 영화와 같은 특정 컨텐츠를 스트림 받아 시청하는 VOD 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VOD 방송은 댁내의 모니터등과 연결되는 셋톱박스를 통해 댁내의 사용자가 선택한 암호화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암호화 해제 및 복원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VOD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셋톱박스를 장착하여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댁내에서 TV를 시청과 함께 VOD 방송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셋톱박스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셋톱박스의 설치비와 이용료가 소요되고 있다.
한편, 공중파를 제외하고 셋톱박스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댁내에서 방송을 시청하는 방식은, 종합유선 방송사업자가 설치한 동축망을 통해 댁내의 TV 튜너가 수신할 수 있는 RF 변조 후 각 채널별로 방송을 송출하는 동축망 연결방식이 있으며, 이러한 동축망 연결방식은 셋톱박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다수의 채널을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셋톱박스을 이용하는 방식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방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셋톱박스를 이용하지 않고 댁내에 TV 튜너를 통해 직접적으로 방송을 제공하는 방식은 종합방송 유선사업자가 댁내까지 단방향으로 방송정보를 송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셋톱박스를 이용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댁내의 고객이 단방향의 RF채널과는 별개로 VOD 방송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1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0522호에서는 댁내 CATV 선로망을 이용하여 고화질의 다중채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IPTV 셋톱박스 및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문헌1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모컨 송신기와, 리모컨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와, 인터넷을 통해 방송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부와, 리모컨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주채널 선택신호와 부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채널들의 스트림을 인터넷 접속부로부터 수신하여 각각 출력하는 메인 프로세서와, 메인 프로세서가 출력하는 주채널의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주채널 디코더와, 주채널 디코더가 출력하는 비디오/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주채널 시청용 텔레비전 수상기로 출력하는 주채널 비디오/오디오 처리부와, 메인 프로세서가 출력하는 부채널의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채널 디코더와, 부채널 디코더가 출력하는 비디오 데이터/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주파수의 방송신호로 변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조기와, 변조기가 2개 이상일 경우 각 변조기가 출력하는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동축선으로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수단과, 메인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되는 다중채널 IPTV 셋톱박스 및 다중채널 서비스를 위한 IPTV 방송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헌1은 댁내에 1대의 셋톱박스를 설치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1대의 셋톱박스에 의해 변환된 RF신호를 통해, 댁내의 방마다 설치된 TV각각이 각기 다른 채널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셋톱박스와 연결된 동축망을 TV 튜너와 직접적으로 연결하게 되면 댁내의 특정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채널을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문헌1은 댁내의 각 방마다 각기 채널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셋톱박스가 각 방에서 송신하는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을 가변시키기 때문에, 리모콘이 동작되지 않으면 채널을 변경시키기 힘든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셋톱박스를 설치한 댁내에서만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댁내에서는 별도의 셋톱박스를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결국에는 댁내마다 셋톱박스의 설치 비용 및 이용 요금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는 셋톱박스를 댁내마다 설치하지 않고도 댁내의 고객이 직접적으로 선택한 VOD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한다.
한편, 문헌1은 주로 셋톱박스를 거실에 설치하여 이용하게 되는데, 각 방마다 문이 설치되어 있는 주택의 구조 특성상 문을 열어놓아야만 적외선 리모콘의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주택에서 사용시 리모컨에 수신 제한에 의해 채널이 변경되지 않는 문제점을 필수적으로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는 TV 튜너의 채널을 변경하는 리모컨 이외에 셋톱박스의 채널을 변경하는 리모콘을 이용하지 않고도, 댁내의 고객이 VOD 방송을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다른 한편, 문헌1은 댁내에 셋톱박스만 설치하게 되면, 셋톱박스의 채널 변경이나 VOD 방송을 선택하도록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셋톱박스에서 제공하는 RF신호를 통해 댁내의 방마다 VOD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된다. 즉, 이와 같은 방식은 셋톱박스와 동축망으로 연결되기만 하면 댁내의 각 방에서 시청 권한을 별도로 획득하기 때문에, 댁내의 방에서 VOD 방송을 선택하여 시청하는 경우 그에 대한 권한을 제한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문헌1은 댁내의 셋톱박스를 통해 성인채널등을 제공하는 경우, 미성년자가 별도의 허락을 거치지 않고도 시청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은 셋톱박스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유료 채널을 시청시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방식이 있으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는 어떤 고객이 유료 채널에 접근하였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어 채널권한을 제한하는 수단으로써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는 셋톱박스와 연동하는 리모콘의 비밀번호 설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도 고객의 신원을 고객마다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채널을 통해 VOD 방송 시청시에 시청 권한과 시청정보 및 결제정보등이 시청하는 사람마다 개별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또 다른 한편, 셋톱박스를 이용하지 않고 동축망을 통해 댁내의 TV측으로 RF 신호를 공급하는 서비스는 보통 TV 1대당 월단위로 일정 수신료를 받아 공급하고 있으며, 이 경우, 댁내에 다수의 TV가 구비되는 경우, 다수의 TV 각각에 대한 수신료를 받게 된다. 이때, 종합유선 방송사업자는 가입자수와 더불어 채널의 수에 따른 서비스 종류에 따라 요금제를 달리하여 방송을 송출하게 되고, 채널수는 동축망에 필터를 장착하여 필터의 주파수 필터링 성능에 따라 채널수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댁내에서는 필터를 제거하게 되는 경우, 적은 채널의 수에 대한 서비스 이용료를 월단위로 지급한 상태에서, 전체 채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측에서는 사용자가 임의 필터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특정 공구를 이용하였을 경우에만 필터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필터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필터는 시중에서 쉽게 구매하여 장착할 수도 있으므로, 댁내에서 임의대로 채널의 제한수를 해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댁내에서는 1대의 TV 시청에 대한 수신료만 지불한 상태에서 시중에서 구입한 분배기나 필터를 설치하게 되면, 1대의 TV 시청료로 여러 대의 TV를 시청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종합유선 방송사업측에서 RF신호 형태로 방송을 제공시, 댁내에서 필터를 장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불법적으로 확대하거나 분배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TV로 신호를 분배하여도 방송 서비스의 채널이 가변되거나 방송 서비스의 가입자수를 임의대로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00522호(2010.09.15 공개) (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3448호(2001.10.20 등록) (문헌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67809호(2001.07.13 공개) (문헌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6-0010489호(1996.08.01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셋톱박스를 댁내마다 설치하지 않고도 댁내의 고객이 직접적으로 선택한 VOD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송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TV 튜너의 채널을 변경하는 리모컨 이외에 셋톱박스의 채널을 변경하는 리모콘을 이용하지 않고도, 댁내의 고객이 VOD 방송을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셋톱박스와 연동하는 리모콘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고객의 신원을 고객마다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채널이나 VOD 방송 시청시에 시청 권한과 시청정보 및 결제정보등이 시청하는 사람마다 개별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HDTV 단방향 방송에 VOD DTV 직접수신이 가능한 방송 송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합유선 방송사업측에서 RF신호 형태로 방송을 제공시, 댁내에서 필터를 장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불법적으로 확대하거나 분배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TV로 신호를 분배하여도 방송 서비스의 채널이 가변되거나 방송 서비스의 가입자수를 임의대로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는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은 종합유선 방송사업자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방송정보를 RF신호정보로 입력받아 분배하는 RF 신호분배부(11), 상기 RF 신호분배부(11)와 연동하여 상기 RF 신호분배부(11)로부터 채널별 RF신호정보를 입력받아 방송 서비스 상품별로 구분을 위해 주파수로 분할하는 티어 서비스그룹부(12), 종합 유선방송 사업자 측과 IP 스트리밍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IP 주소와 통신 프로코콜 및 IP 스트림 제어정보를 송수신하여 관리하는 IP 방송제어부(13), 상기 RF 신호분배부(11)와 연동하여 상기 RF 신호분배부(11)에서 분배되는 상기 RF신호 복조하여 TS 스트림으로 복원 및 IP 방송수신부로부터 IP 스트리밍 컨텐츠를 TS 스트림으로 복원하는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14), 상기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14)와 연동하여 복원된 상기 암호화된 TS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스트림 복호화부(15), 상기 스트림 복호화부(15)와 연동하여 상기 스트림 복호화부(15)에서 복호화된 방송 스트림을 DTV가 디코딩 가능한 미디어 코덱으로 변경하는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 상기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와 연동하여 상기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에 의해 코덱 변경된 스트림을 TV채널로 전송하기 위해 VSB 변조 후 RF신호 레벨에서 암호화 처리 하는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 상기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 및 상기 티어 서비스그룹부(12)와 연동하며 상기 티어 서비스그룹부(12)의 방송 서비스 상품에 맞게 구분된 RF신호와 상기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의 VOD 서비스를 위한 RF암호화된 신호와 중첩되도록하는 RF 매칭관리부(18), 상기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 및 상기 RF 매칭관리부(18)와 연동하며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에서 출력되는 VOD 제공 서비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고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포함하는 RF 통신모뎀부(19) 및, 상기 RF 매칭 관리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RF 매칭 관리부와 연결되는 댁내의 동축망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를 포함하는 DTV RF컨버팅 장치(10); 상기 RF 매칭관리부(18)와 연동하여 상기 RF 매칭관리부(18)에서 출력되는 상기 RF신호 및 VOD 중첩신호를 입력받아 분배하는 TV측 RF수신분배부(21), 상기 TV측 RF수신분배부(21)와 연동하여 상기 TV측 RF수신분배부(21)에서 출력되는 RF 레벨에서 암호화되어 있는 방송신호를 복호화하는 TV측 RF복호화부(22),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관리 하는 보안키 처리부(23), 상기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상기 보안키 처리부(23)와 연동하여 상기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TV측 RF수신분배부(21)를 통해 상기 RF 통신모뎀부(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RF 통신모뎀부(19)로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동글 라이선스 정보의 인증을 수행시에 상기 RF 통신모뎀부(19)의 명령을 받아 TV측 RF복호화부(22)에서 암호화된 VOD RF신호를 복호화 하도록 제어하는 TV측 RF모뎀부(24), 상기 TV측 RF수신분배부(21)와 연동하여 상기 TV측 RF수신분배부(21)로부터 상기 RF신호정보를 입력받아 특정 대역을 필터링하는 TV측 RF필터부(25), 상기 TV측 RF복호화부(22) 및 상기 TV RF필터부(25)로부터 출력되는 VOD RF신호 및 일반방송 서비스 RF신호를 TV수신 단말기로 전송하기위한 TV측 RF매칭부(26)를 포함하는 동글 락키부(20);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측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VOD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VOD 콘텐츠DB를 포함하고, 상기 VOD 방송정보의 재생요청시 요청한 단말의 가입자정보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수행된 경우 상기 VOD 방송정보를 상기 DTV RF컨버팅 장치(10)의 IP 방송수신부로 스트림하는 스트림서버(30); 및, 댁내의 고객이 운용하고, 상기 스트림서버(30)와 연동하며, 상기 스트림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스트림서버(30) 또는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측의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통과된 경우 상기 VOD 방송정보가 상기 DTV RF컨버팅 장치(10) 및 상기 동글 락키부(20)를 통해 댁내의 TV로 스트림되도록 요청하는 고객단말(40); 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동글 락키부(20)는 상기 TV측 RF모뎀부(24)와 연동하여 모뎀 턴온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만 상기 TV측 RF모뎀부(24)의 전력을 턴온시키는 콘 연결모니터부(27); 상기 콘 연결모니터부(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댁내의 TV측 RF결합단자에 밀착시 접점이 턴온되어 상기 콘 연결모니터부(27)에 모뎀 턴온신호를 전송하는 스위치부(28); 및, 상기 콘 연결모니터부(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콘 연결모니터가 댁내의 TV측 RF결합단자에 밀착시 상기 콘 연결모니터부(27)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상기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값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콘 연결모니터부(27)에 모뎀 턴온신호를 전송하는 임피던스검출부(29);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28)와 상기 임피던스검출부(29)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DTV RF컨버팅 장치와 동글 락키부의 연동에 의해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셋톱박스를 댁내마다 설치하지 않고도 댁내의 고객이 직접적으로 선택한 VOD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VOD 방송서비스 외에 가입자 시청 권한에 맞는 Tier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원격 가입자 별 방송서비스 상품 자동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TV 튜너의 채널을 변경하는 리모컨 이외에 셋톱박스의 채널을 변경하는 리모콘을 이용하지 않고, 댁내의 고객이 고객단말을 이용하여 VOD 방송을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채널 선택에 대한 채널 송수신의 제한이 있는 리모콘과는 달리 채널 선택에 대한 송수신 범위의 제한이 없는 상태로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셋톱박스와 연동하는 리모콘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고객단말을 이용하여 고객의 신원을 고객마다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채널이나 VOD 방송 시청시에 시청 권한과 시청정보 및 결제정보등을 시청하는 사람마다 개별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합유선 방송사업측에서 RF신호 형태로 방송을 제공시, DTV RF컨버팅 장치에서 동글 락키부를 직접적으로 인증하는 경우에만 VOD 방송이 시청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댁내에서 필터를 장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채널을 불법적으로 확대하거나 분배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TV로 신호를 분배하여도 방송 채널의 수가 변하거나 방송 서비스의 가입자수를 임의대로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TV RF컨버팅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글 락키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객단말에 설치되는 VOD 이용 어플의 세부 구성들의 예에 대한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전자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기계장치에 대한 설명시 하나의 부품, 기능, 용도, 지점 또는 구동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TV RF컨버팅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글 락키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객단말에 설치되는 VOD 이용 어플의 세부 구성들의 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은 DTV RF컨버팅 장치(10), 동글 락키부(20), 스트림서버(30) 및, 고객단말(40)을 포함한다.
DTV RF컨버팅 장치(10)는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공동주택의 통신단자함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DTV RF컨버팅 장치(10)는 RF 신호분배부(11), 티어 서비스그룹부(12), IP 방송제어부(13),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14), 스트림 복호화부(15),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 RF 매칭관리부(18), RF 통신모뎀부(19) 및,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OTT 스트리밍부(19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 신호분배부(11)는 종합유선 방송사업자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방송정보를 RF신호정보로 입력받아 분배하게 된다. 이와 같은 RF 신호분배부(11)는 RF신호정보를 분배함으로써, 다수의 댁내에서 DTV RF컨버팅 장치(10)를 통해 연결시에 일반 RF 채널을 시청하는 방송과 VOD 방송을 제공하는 경우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티어 서비스그룹부(12)는 RF 신호분배부(11)와 연동하여 RF 신호분배부(11)로부터 채널별 RF신호를 입력받아 TV튜너측으로 공급되는 주파수로 분할하게 된다.
IP 방송제어부(13)는 이더넷 모듈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모듈로써, 종합 유선방송 사업자 측과 연동하여 IP 스트리밍 컨텐츠를 받기위한 IP 주소와 통신 프로코콜 및 IP 스트림 제어정보를 송수신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 경우, IP 방송제어부(13)는 IP를 통한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하여 랜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14)는 RF 신호분배부(11)와 연동하여 RF 신호분배부(11)에서 분배되는 RF신호를 입력받아 TS 스트림을 복원하고, IP 방송수신부로부터 IP 스트리밍 컨텐츠를 스트림받아 TS 스트림을 복원하게 된다.
스트림 복호화부(15)는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14)와 연동하여 복원된 암호화된 TS 스트림을 복호화하게 된다.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는 스트림 복호화부(15)와 연동하여 스트림 복호화부(15)에서 복호화된 방송 스트림을 변경하고자 하는 미디어 코덱으로 변경하게 된다.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는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와 연동하며,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에 의해 변경된 스트림을 TV채널의 VSB로 변조 후 다시 RF신호 레벨에서 암호화 처리를 하게 된다.
RF 매칭관리부(18)는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 및 티어 서비스그룹부(12)와 연동하여 일반 서비스 RF 신호와 VOD RF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을 한다. 먼저, 일반 서비스 RF 출력은 티어 서비스그룹부(12)에서 연결된 가입자 댁내에서 신청한 방송 서비스 상품 그룹에 맞게 대역 분리하여 RF 매칭관리부(18)로 넘겨 주고, VOD 서비스 RF 출력은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에서 해당 가입자의 VOD 서비스 신청 여부에 관계없이 VOD 채널로 전송하기위한 스트림을 VSB 변조 후 RF 암호화 하여 매칭관리부(18)로 넘겨주고 VOD 시청은 시청권한이 있는 가입자 경우 댁내의 동글 락키부(20) 장치 제어를 통해 RF 복호화 하여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댁내에서는 단방향 TV 시청 서비스만을 신청한 경우, RF신호만을 입력받도록 하며, VOD 시청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단방향 TV의 채널을 시청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단방향 TV의 특정 채널을 통해 VOD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RF 통신모뎀부(19)는 TV측 RF모뎀부(24)와 연동하여 가입자 VOD 시청권한에 따라 TV측 RF모뎀부(24)를 통해 VOD RF신호의 복호화 여부를 제어하여 가입자의 VOD 방송 시청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RF 통신모뎀부(19)는 후술하는 TV측 RF모뎀부(24)와 통신을 수행하여 TV측 RF모뎀부(24)에 저장된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이 경우, RF 통신모뎀부(19)는 TV측 RF모뎀부(24)와 통신 수행시에 RF 신호를 전송하는 방송 채널이외에 미사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는 RF 매칭 관리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RF 매칭 관리부와 연결되는 댁내의 동축망을 통해 후술하는 동글 락키부(2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는 극저파수대의 DC 전력을 동글 락키부(20)로 전송하게 되며, 동글 락키부(20)는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게 된다.
OTT 스트리밍부(19b)는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14)와 연동하며, 후술하는 고객단말(40)의 요청시에 고객단말(40)이 요청한 VOD 방송을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14)를 통해 고객단말(40)로 IP 스트리밍하게 된다. 이 경우, 고객단말(40)에서는 요청한 스트리밍되고 있는 VOD 방송을 수신하여 댁내의 고객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동글 락키부(20)는 댁내의 TV에 형성된 RF 신호를 입력받는 연결단자와 동축망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동글 락키부(20)는 TV측 RF수신분배부(21), TV측 RF복호화부(22), 보안키 처리부(23), TV측 RF모뎀부(24), TV측 RF필터부(25) 및, TV측 RF매칭부(26)를 포함한다. 또한, 동글 락키부(20)는 콘 연결모니터부(27), 스위치부(28) 및, 임피던스검출부(2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V측 RF수신분배부(21)는 RF 매칭관리부(18)와 연동하여 RF 매칭관리부(18)에서 출력되는 RF신호 및 VOD 중첩신호를 입력받아 분배하게 된다.
TV측 RF복호화부(22)는 TV측 RF수신분배부(21)와 연동하여 RF신호레벨에서 암호화되어 있는 방송신호를 복호화 하게 된다.
보안키 처리부(23)는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보안키 처리부(23)는 후술하는 TV측 RF모뎀부(24)와 연동하며, TV측 RF모뎀부(24)와 인증구동을 수행하는 경우,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TV측 RF모뎀부(24)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TV측 RF모뎀부(24)는 동축망을 통해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로부터 DC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이 경우, TV측 RF모뎀부(24)는 극저파수를 통해 DC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초단파와 극초단파 대역 가운데 특정 주파수를 통해 각종 제어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TV측 RF모뎀부(24)는 보안키 처리부(23)와 연동하여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입력받고 TV측 RF수신분배부(21)를 통해 RF 통신모뎀부(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여 RF 통신모뎀부(19)로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TV측 RF모뎀부(24)는 RF 통신모뎀부(19)로부터 명령을 받아 VOD 시청이 되도록 TV측 RF복호화부(22)를 제어하여 VOD RF 암호화된 신호가 복호화 되도록 한다.
TV측 RF필터부(25)는 TV측 RF수신분배부(21)와 연동하여 TV측 RF수신분배부(21)로부터 RF신호정보를 입력받아 특정 대역을 필터링하게 된다. 여기서, TV측 RF필터부(25)는 댁내의 TV측에서 일반 방송서비스 수신이 가능하도록 해당 채널을 필터링하게 된다.
TV측 RF매칭부(26)는 TV측 RF복호화부(22) 및 TV측 RF필터부(25)와 연동하며 TV측 RF필터부(25)를 통해 출력되는 일반 방송 RF 신호와 TV측 RF복호화부(22)에서 출력되는 VOD RF 신호와 중첩되도록 출력하게 된다.
콘 연결모니터부(27)는 TV측 RF모뎀부(24)와 연동하여 모뎀 턴온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TV측 RF모뎀부(24)의 전력을 턴온시키고, 모뎀 턴오프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TV측 RF모뎀부(24)의 전력을 턴 오프시키게 된다.
스위치부(28)는 콘 연결모니터부(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평상시에는 접점이 턴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댁내의 TV측 RF결합단자에 밀착시 접점이 턴온되어 콘 연결모니터부(27)에 모뎀 턴온신호를 전송함으로써, TV측 RF모뎀부(24)가 턴 온되도록 한다.
임피던스검출부(29)는 콘 연결모니터부(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임피던스의 미검출시에 모뎀 턴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콘 연결모니터가 댁내의 TV측 RF결합단자에 밀착시 콘 연결모니터부(27)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값 범위내에 있는 경우 콘 연결모니터부(27)에 모뎀 턴온신호를 전송함으로써, TV측 RF모뎀부(24)가 턴 온되도록 한다.
이 경우, 스위치부(28)와 임피던스검출부(29)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모뎀 턴온신호와 모뎀 턴오프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스트림서버(30)는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측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VOD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VOD 콘텐츠D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스트림서버(30)는 VOD 방송정보의 재생요청시 요청한 단말의 가입자정보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수행된 경우 VOD 방송정보를 DTV RF컨버팅 장치(10)의 IP 방송수신부로 스트림하게 된다. 여기서, 스트림서버(30)는 후술하는 고객단말(40)과 연동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되며, 고객단말(40)과의 인증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별도의 인증서버(미도시)를 설치하여 운용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인증서버는 인증뿐만 아니라, 회원가입과 회원정보 저장 및, 사용내역등과 같은 관리용 응용프로그램(미도시)이 별도로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고객단말(40)은 스마트폰 또는 피씨와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 가능한 단말장치로써, 댁내의 고객이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고객단말(40)은 VOD 이용 어플이 설치되어 운용되며, 이 경우, VOD 이용 어플은 고객 인증, IP 통신 설정, 플레이어 설정, VOD 디코딩 및, 콘텐츠 요청과 종료 및 채널정보등과 같은 제어기능과 열람기능을 포함한 정보제어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객단말(40)은 VOD 이용 어플을 통해 스트림서버(30)와 연동하게 되며, 스트림서버(30) 또는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측의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통과된 경우 VOD 방송정보의 스트림을 DTV RF컨버팅 장치(10) 및 동글 락키부(20)를 통해 댁내의 TV로 요청하게 된다. 또한, 고객단말(40)은 VOD 이용 어플을 통해 VOD 방송을 요청시, OTT 스트리밍부(19b)를 통해 고객단말(40)로 직접 VOD방송이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DTV RF컨버팅 장치(10)는 공동주택 내의 주배선반이나 중간단자함에 설치된 상태에서 댁내의 동축망을 통해 TV 튜너에 연결된 동글 락키부(20)와 연결된다.
여기서, 종합유선 방송사업자는 댁내의 고객이 신청한 서비스에 종류에 의해 각기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DTV RF컨버팅 장치(10)는 단방향 HDTV의 RF 신호를 제공하는 일반 서비스 출력과 HDTV의 RF 신호에 고객이 선택한 VOD 방송이 출력되도록 하는 VOD 방송 서비스 출력을 제공하게 된다.
먼저, 단방향 HDTV의 RF 신호만을 제공하는 일반 서비스 출력에서는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측에서 기약정된 서비스의 채널수만큼 단방향 HDTV 방송을 DTV RF컨버팅 장치(10)로 송신하게 되는데, 이때, 댁내로 송출하는 HDTV 방송은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측에서 전송하는 RF신호를 입력받아 RF 신호분배부(11)에서 티어 서비스그룹부(12)로 전송하여 주파수가 분할되도록 하고, 티어 서비스그룹부(12)에서는 주파수가 분할된 신호를 RF 매칭관리부(18)로 전송하며, RF 매칭관리부(18)에서는 분할된 신호를 일반 서비스 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RF 매칭관리부(18)에 출력되는 RF 신호는 댁내의 동축망을 통해 TV 튜너 측으로 전송되며, 댁내의 고객은 각각의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을 선택적으로 시청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HDTV 단방향 일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댁내이외에 VOD 방송 서비스를 신청한 댁내에서는 TV 튜너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글 락키부(20)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면, 동글 락키부(20)는 댁내의 동축망을 통해 DTV RF컨버팅 장치(10)와 연결되고, DTV RF컨버팅 장치(10)의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에서는 동축망을 통해 동글 락키부(20)로 극저파수대의 DC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TV측 RF복호화부(22), 보안키 처리부(23), TV측 RF모뎀부(24) 및, TV측 RF매칭부(26)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 경우, 동글 락키부(20)의 콘 연결모니터부(27)에서는 스위치부(28) 또는 임피던스검출부(29)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기계적 접점 구동 또는 임피던스 검출 구동에 의해 모뎀 턴온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TV측 RF모뎀부(24)의 전력을 턴온시키게 된다.
또한, TV측 RF모뎀부(24)는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경우, DTV RF컨버팅 장치(10)의 RF 통신모뎀부(19)와 통신을 수행하게 되고, TV측 RF모뎀부(24)에서는 보안키 처리부(23)에 저장된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RF 통신모뎀부(19)로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되며, 인증이 수행된 경우에만 TV측 RF모뎀부(24)에서 VOD 방송을 전송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동글 락키부(20)가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게 되면, VOD 방송 서비스를 신청한 댁내에서는 단방향으로 HDTV 방송을 시청하면서, 필요시에 VOD 방송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VOD 방송 서비스를 신청한 댁내에서는 댁내의 동축망을 통해 방송을 단방향으로 송신하여 각각의 채널에 대해 시청을 수행하는 중, VOD 방송 서비스를 신청한 고객이 VOD 방송의 시청을 희망하고자 하는 경우, 댁내의 고객은 고객단말(40)을 이용하여 고객단말(40)의 VOD 이용 어플에서 제공되는 VOD 방송을 검색하거나 VOD 방송 목록을 보고, 해당 VOD 방송을 댁내의 TV측으로 스트리밍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이 고객단말(40)의 VOD 이용 어플을 이용하여 VOD 방송의 스트리밍을 요청한 경우, 스트림서버(30) 또는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측의 관리서버에서는 고객단말(40)의 VOD 이용 어플로 가입자의 인증을 요구하게 되고, 댁내의 고객은 VOD 이용 어플을 통해 가입자의 회원ID 및 비밀번호나, 휴대폰정보등을 통해 인증정보를 스트림서버(30) 또는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측의 인증서버(미도시)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스트림서버(30)에서는 고객단말(40)이 요청한 VOD 방송을 DTV RF컨버팅 장치(10)의 IP 방송제어부(13)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고객이 요청한 VOD 방송을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14)로 전송하게 되고,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14)에서는 RF복조 또는 IP Decapsulation을 통해 TS 스트림을 복원하게 된다.
다음, 복원된 암호화 되어 있는 TS 스트림은 스트림 복호화부(15)를 통해 복호화된 이후,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에 의해 DTV가 받을수 있는 미디어 코덱으로 변경이 된다.
다음,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에 의해 변경된 방송스트림은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에 의해 TV채널의 RF신호인 VSB 변조신호로 변환 및 RF신호 암호화 처리가 된다.
다음,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에 의해 RF신호로 변환된 VOD 방송 신호는 RF 매칭관리부(18)에 의해 티어 서비스그룹부(12)에서 출력되는 RF신호와 중첩되어 동글 락키부(20)의 TV측 RF수신분배부(21)로 출력되어 진다.
다음, 동글 락키부(20)의 TV측 RF수신분배부(21)에서는 TV측 RF복호화부(22)를 통해 복호화된 상태에서 VOD 방송을 포함하는 RF신호정보를 TV측 RF매칭부(26)를 통해 댁내의 TV로 전송함으로써, 댁내의 TV를 시청하는 고객은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VOD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댁내의 고객은 DTV RF컨버팅 장치(10)와 동글 락키부(20)의 연동에 의해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셋톱박스를 댁내마다 설치하지 않고도 댁내의 고객이 직접적으로 선택한 VOD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댁내의 고객은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TV 튜너의 채널을 변경하는 리모컨 이외에 셋톱박스의 채널을 변경하는 리모콘을 이용하지 않고, 댁내의 고객이 고객단말(40)을 이용하여 VOD 방송을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채널 선택에 대한 채널 송수신의 제한이 있는 리모콘과는 달리 채널 선택에 대한 송수신 범위의 제한이 없는 상태로 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댁내의 고객은 동축망을 이용하여 HD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셋톱박스와 연동하는 리모콘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고객단말(40)을 이용하여 고객의 신원을 고객마다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채널이나 VOD 방송 시청시에 시청 권한과 시청정보 및 결제정보등을 시청하는 사람마다 개별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또한, 댁내의 고객은 종합유선 방송사업측에서 RF신호 형태로 방송을 수신시, DTV RF컨버팅 장치(10)에서 동글 락키부(20)를 직접적으로 인증하는 경우에만 VOD 방송이 시청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댁내에서 필터를 장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채널을 불법적으로 확대하거나 분배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TV로 신호를 분배하여도 방송 채널의 수가 변하거나 방송 서비스의 가입자수를 임의대로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댁내의 고객은 필요에 따라 고객단말(40)을 이용하여 자신이 선택한 VOD 방송을 OTT 스트리밍부(19b)를 통해 고객단말(40)로 스트리밍되도록 함으로써, 고객단만을 통해 직접적으로 VOD 방송을 시청할 수 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DTV RF컨버팅 장치 11 : RF 신호분배부
12 : 티어 서비스그룹부 13 : IP 방송제어부
14 :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 15 : 스트림 복호화부
16 : 미디어 트랜스코더부 17 : 방송스트림 RF 변환부
18 : RF 매칭관리부 19 : RF 통신모뎀부
19a : RF 주파수 전원공급부 19b : OTT 스트리밍부
20 : 동글 락키부 21 : RF수신분배부
22 : TV측 RF복호화부 23 : 보안키 처리부
24 : TV측 RF모뎀부 25 : TV측 RF필터부
26 : TV측 RF매칭부 27 : 콘 연결모니터부
28 : 스위치부 29 : 임피던스검출부
30 : 스트림서버 40 : 고객단말

Claims (2)

  1. 종합유선 방송사업자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방송정보를 RF신호정보로 입력받아 분배하는 RF 신호분배부(11), 상기 RF 신호분배부(11)와 연동하여 상기 RF 신호분배부(11)로부터 채널별 RF신호정보를 입력받아 TV튜너측으로 공급되는 주파수로 분할하는 티어 서비스그룹부(12), 종합 유선방송 사업자 측과 IP 스트리밍 컨텐츠를 받기 위해 IP 주소와 통신 프로토콜 및 IP 스트림 제어정보를 송수신하여 관리하는 IP 방송제어부(13), 상기 RF 신호분배부(11)와 연동하여 상기 RF 신호분배부(11)에서 분배되는 상기 RF신호정보를 입력받아 TS 스트림을 복원하고 IP 방송수신부로부터 IP 스트리밍 컨텐츠를 스트림받아 TS 스트림을 복원하는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14), 상기 RF 및 IP 스트림 수신부(14)와 연동하여 암호화되어 있는 TS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스트림 복호화부(15), 상기 스트림 복호화부(15)와 연동하여 상기 스트림 복호화부(15)에서 복호화된 방송 스트림을 DTV가 수신할 수 있는 미디어 코덱으로 변경하는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 상기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와 연동하여 상기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6)에 의해 변경된 압축포맷을 TV채널의 VSB 변조신호로 변환 후 RF신호레벨에서 암호화처리하는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 상기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 및 상기 티어 서비스그룹부(12)와 연동하며 상기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의 VOD 컨텐츠 전송을 위한 RF 암호된 신호와 상기 티어 서비스그룹부(12)의 방송 상품 구분이 된 RF신호와 중첩되도록 수행하는 RF 매칭관리부(18), 상기 RF 매칭관리부(18) 및 상기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와 연동하며 상기 방송스트림 RF 변환부(17)에서 암호화되어 출력되는 VOD 제공 서비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고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포함하는 RF 통신모뎀부(19) 및, 상기 RF 매칭 관리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RF 매칭 관리부와 연결되는 댁내의 동축망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를 포함하는 DTV RF컨버팅 장치(10);
    상기 RF 매칭관리부(18)와 연동하여 상기 RF 매칭관리부(18)에서 출력되는 상기 RF신호 및 VOD RF중첩신호를 입력받아 분배하는 TV측 RF수신분배부(21), 상기 TV측 RF수신분배부(21)와 연동하여 상기 TV측 RF수신분배부(21)에서 출력되는 RF 레벨에서 암호화되어 있는 방송신호를 복호화하는 TV측 RF복호화부(22),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키 처리부(23), 상기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RF 주파수 전원공급부(19a)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상기 보안키 처리부(23)와 연동하여 상기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TV측 RF수신분배부(21)를 통해 상기 RF 통신모뎀부(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RF 통신모뎀부(19)로 동글 라이선스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동글 라이선스 정보의 인증을 수행시에 상기 RF 통신모뎀부(19)를 통해 명령을 받아 VOD RF 중첩신호 복호화 및 Tier 서비스 제어를 하는 TV측 RF모뎀부(24), 상기 TV측 RF수신분배부(21)와 연동하여 상기 TV측 RF수신분배부(21)로부터 상기 RF신호를 입력받아 방송 Tier 서비스를 위해 특정 대역을 필터링하는 TV측 RF필터부(25) 및, 상기 TV측 RF모뎀부(24) 및 상기 TV측 RF필터부와 연동하며 상기 TV측 RF필터부(25)를 통해 출력되는 RF신호를 TV수신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TV측 RF복호화부(22)에서 출력되는 VOD RF신호가 상기 RF신호와 중첩되도록 출력하는 TV측 RF매칭부(26)를 포함하는 동글 락키부(20);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측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VOD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VOD 콘텐츠DB를 포함하고, 상기 VOD 방송정보의 재생요청시 요청한 단말의 가입자정보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수행된 경우 상기 VOD 방송정보를 상기 DTV RF컨버팅 장치(10)의 IP 방송수신부로 스트림하는 스트림서버(30); 및,
    댁내의 고객이 운용하고, 상기 스트림서버(30)와 연동하며, 상기 스트림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스트림서버(30) 또는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측의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통과된 경우 상기 VOD 방송정보가 상기 DTV RF컨버팅 장치(10) 및 상기 동글 락키부(20)를 통해 댁내의 TV로 스트림되도록 요청하는 고객단말(40); 을 포함하는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글 락키부(20)는
    상기 TV측 RF모뎀부(24)와 연동하여 모뎀 턴온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만 상기 TV측 RF모뎀부(24)의 전력을 턴온시키는 콘 연결모니터부(27);
    상기 콘 연결모니터부(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댁내의 TV측 RF결합단자에 밀착시 접점이 턴온되어 상기 콘 연결모니터부(27)에 모뎀 턴온신호를 전송하는 스위치부(28); 및,
    상기 콘 연결모니터부(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콘 연결모니터가 댁내의 TV측 RF결합단자에 밀착시 상기 콘 연결모니터부(27)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상기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값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콘 연결모니터부(27)에 모뎀 턴온신호를 전송하는 임피던스검출부(29);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28)와 상기 임피던스검출부(29)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
KR1020200041766A 2020-04-06 2020-04-06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 KR10214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766A KR102142493B1 (ko) 2020-04-06 2020-04-06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766A KR102142493B1 (ko) 2020-04-06 2020-04-06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493B1 true KR102142493B1 (ko) 2020-08-07

Family

ID=7204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766A KR102142493B1 (ko) 2020-04-06 2020-04-06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49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89A (ko) 1994-09-03 1996-04-20 이희종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67809A (ko) 2001-03-29 2001-07-13 장정호 셋톱박스와 아이피 어드레스를 이용한 아파트 단지 내의정보 제공 방법
KR100313448B1 (ko) 1998-12-15 2001-12-28 호 민 김 씨에이티브이케이블망에서의동적채널할당방법과그동적채널할당에의한브이오디서비스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20070039341A (ko) * 2005-10-07 2007-04-11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단일 셋톱박스의 수신제한기능을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KR100781918B1 (ko) * 2007-02-02 2007-12-0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Mdu 방송 신호 분배 시스템
KR100971830B1 (ko) * 2009-01-28 2010-07-22 김기연 Iptv 사업자 또는 방송프로그램 공급자가 공동주택의 구내방송망을 통해 방송수신자 단말에 실시간 방송을 송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00522A (ko) 2009-03-06 2010-09-15 주식회사 셀런 다중채널 iptv 셋톱박스 및 다중채널 서비스를 위한 iptv 방송 시스템
KR101610814B1 (ko) * 2009-11-03 2016-04-08 에코스타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텔레비전 수상기의 콘텐츠 엑세스 승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89A (ko) 1994-09-03 1996-04-20 이희종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313448B1 (ko) 1998-12-15 2001-12-28 호 민 김 씨에이티브이케이블망에서의동적채널할당방법과그동적채널할당에의한브이오디서비스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20010067809A (ko) 2001-03-29 2001-07-13 장정호 셋톱박스와 아이피 어드레스를 이용한 아파트 단지 내의정보 제공 방법
KR20070039341A (ko) * 2005-10-07 2007-04-11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단일 셋톱박스의 수신제한기능을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KR100781918B1 (ko) * 2007-02-02 2007-12-0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Mdu 방송 신호 분배 시스템
KR100971830B1 (ko) * 2009-01-28 2010-07-22 김기연 Iptv 사업자 또는 방송프로그램 공급자가 공동주택의 구내방송망을 통해 방송수신자 단말에 실시간 방송을 송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00522A (ko) 2009-03-06 2010-09-15 주식회사 셀런 다중채널 iptv 셋톱박스 및 다중채널 서비스를 위한 iptv 방송 시스템
KR101610814B1 (ko) * 2009-11-03 2016-04-08 에코스타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텔레비전 수상기의 콘텐츠 엑세스 승인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726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nauthorized streaming of content
US8108901B2 (en) Managing access to high definition content
JP4870078B2 (ja) 低階層キ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060910B2 (en) Set top box apparatus having a radio frequency antenna and an associated method
KR100927968B1 (ko) 암호화된 전송들에 대한 하이브리드 조건부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0550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providing and storing content in a multiple dwelling unit system
US20140123169A1 (en) Simulcasting conditional access channel service offerings for video delivery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8692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subscriber content
EP2434755B1 (en) Addressing system for dvb-t or dvb-c digital multiplex television services for the headends of hotels, hospitals and the like, and an anti-intrusion system for said addressing system.
US20040107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y Pay-Per-View
US92772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demand and pay-per-view content through a hospitality system
KR102142493B1 (ko) Hdtv 단방향 방송에 양방향 dtv를 제공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
JP3708905B2 (ja) 放送受信機、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US200803136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media content distributed within a premises
EP2879390A1 (en) Method and system of transmitting conditional access authorizations between DVB-S and OTT broadcast transmission media
JP2004501579A (ja) 安全な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
CA2514775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one-way and two-way security systems to enable secure distribution of encrypted services
KR100971830B1 (ko) Iptv 사업자 또는 방송프로그램 공급자가 공동주택의 구내방송망을 통해 방송수신자 단말에 실시간 방송을 송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14662A (ko) Iptv의 콘텐트를 포터블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이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US98008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suitable for a multiple dwelling unit using an authorization list
KR100666939B1 (ko) 페이-퍼-뷰 서비스를 위한 셋탑박스와 pod의 인터페이싱장치 및 방법
KR20060008761A (ko) 디지털 tv 방송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564659B1 (ko) 셋탑박스를 위한 서버기반 동적 모드셋 시스템
US201202133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suitable for a multiple dwelling unit using an encryption
KR100689045B1 (ko) 멀티룸 방송 기능을 갖는 케이블 모뎀 셋탑 박스 장치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