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484B1 -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484B1
KR102142484B1 KR1020190153211A KR20190153211A KR102142484B1 KR 102142484 B1 KR102142484 B1 KR 102142484B1 KR 1020190153211 A KR1020190153211 A KR 1020190153211A KR 20190153211 A KR20190153211 A KR 20190153211A KR 102142484 B1 KR102142484 B1 KR 102142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hive
electrode
electrodes
detai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송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섭 filed Critical 송유섭
Priority to KR102019015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H05C1/02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providing continuous feeding of dc or ac volt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응애 방제 장치 및 그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로서 유전체를 구비한 전극간에 유전체 장벽 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을 유도하여 소프트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플라즈마를 꿀벌통내에 공급하여 꿀벌통내에서 기생하는 응애를 방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Removing device of harmful insects in honey comb using plasma}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및 그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로서 유전체를 구비한 전극꿀간에 유전체 장벽 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을 유도하여 소프트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플라즈마를 꿀벌통내에 공급하여 꿀벌통내에서 기생하는 꿀벌응애를 등의 해충을 방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산업은 꿀벌의 생태와 습성을 활용하여 사양 관리, 번식과 생산, 생산물의 유통, 질병과 해충의 구제 대책, 양봉기구의 개량, 밀원식물의 조성과 활용 등 합리적인 양봉경영으로 영양가 높은 고급 건강식품을 생산하여 소득을 얻는 사업 분야이다.
양봉으로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건강식품은 벌꿀이며, 벌꿀은 포도당과 과당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당류로서, 체내 장벽에 직접 흡수되어 신체 각 부분의 근육세포에서 연소되며 생명체의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글리코겐 상태로 간에 저장된다. 또한, 인체에 필요한 무기물이 함유되어 있어 체내에서 생리작용을 원활하게 하고 골조직의 발육을 완전하게 하는 천연 종합 식품이다.
상기한 양봉산업은 생산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수요가 급증하여 소득을 크게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농작물의 화분매개로 결실을 좋게 하여 세계 각국에서 주요 농업정책으로 다루어지고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양봉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꿀벌의 질병인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해충 등으로부터 꿀벌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꿀벌응애로 부터 꿀벌을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꿀벌응애는 원래 동남아 지역에서 동양종 꿀벌의 외부 해충 이었으나, 인간의 활동에 의한 봉군의 이동으로 인해 서양종 꿀벌 지역으로 옮겨졌고, 전 세계로 분포, 확산되었다. 꿀벌응애가 어떤 지역에 침입하고 몇 년에 걸쳐 정착을 한다면 이것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 경험적으로 밝혀져 있다. 그러므로 꿀벌응애의 감염 경로 및 생활사를 이해하고 그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꿀벌응애의 암컷은 꿀벌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벌에 기생하여 림프혈을 흡입하여 소위 진드기병을 유발한다. 종래기술(한국 공개번호 10-2019-0042835)에 따르면 감염된 꿀벌 성충의 무게는 정상적인 것보다 7.1~ 30.4%까지 감소하며, 기생이 심한 경우에는 불구벌이 되거나 발육이 정지되기도 한다. 꿀벌 번데기의 경우에도 꿀벌응애의 기생(또는 감염)이 심한 경우 10%의 체중감소를 보인다. 심한 경우에는 다리의 불구 또는 번데기가 죽게 되기도 한다. 더 큰 피해는 봉세 약화로 말미암아 채밀 성적이 크게 떨어져 채밀량이 30~46% 가량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진드기 피해를 입는 양봉농가는 한 해 평균 2만여 곳에 이르고 추산되는 피해액은 해마다 증가해 6 백억원 이상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2013년 기준).
국내에는 이미 전국적으로 만연한 상태여서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설문조사결과 절반이상의 농가가 이 꿀벌응애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가 30% 이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벌의 생육 및 양봉농가에 큰 피해를 끼치는 꿀벌 응애에 대한 방제를 위해 주로 유기합성 살충제들을 이용하여 필요 이상의 방제를 하여 왔고, 이 때문에 국내 서식 꿀벌응애들이 기존의 약제에 대한 강한 내성을 보이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존 약제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꿀벌과 대비하여 꿀벌응애가 플라즈마에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하다는 점을 발견하고 플라즈마를 일정시간 동안 꿀벌통내에 투사하여 꿀벌에 붙어 기생하는 꿀벌응애를 꿀벌통내에서 분리시켜 방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질의 상태는 고체, 액체, 기체로 나눌 수 있는데 기체 상태의 물질에 에너지를 가해주면 원자나 분자에서 전자가 분리되어 전자와 이온 그리고 중성입자(분자와 원자)들이 혼합된 상태로 존재하는 플라즈마 상태가 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상태에서는, 전자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쉽게 가속될 수 있으며 중성입자는 피처리물의 분자와 충돌하여 화학적 활성종을 생성하고, 이온은 처리하고자 하는 피처리물의 표면에 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조성함으로, 활성종이 표면에서 활발한 화학 작용을 일으키게 한다.
즉 이러한 플라즈마에는 예컨대 옥시-, 하이드록실-, 및 질소 라디칼, 전자적으로 여기된 원자나 분자, 및 자외선(UV) 광자, 이온, 라디칼 등의 화학적 활성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전기장을 따라 운동하면서 환부를 샤워하듯이 피처리물의 표면을 자극하고 살균하게 된다.
플라즈마는 대기압에서 보다는 1 mTorr ~ 100 Torr 정도의 저압의 진공상태에서 발생시키는 것이 더 쉽지만, 이렇게 낮은 압력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려면 진공 용기를 제작하고 진공을 유지하기 위해 진공 펌프를 장착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제약 조건이 따른다. 이러한 이유로 진공이 아닌 대기압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최근에는 대기압 또는 그 이상의 압력에서도 플라즈마 발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플라즈마의 특성과 생성방법의 발전에 의해 플라즈마는 산업의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이 기술을 이용한 상처의 지혈, 치아 미백, 암세포 사멸유도 등 의학 분야에 실용적 시도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한편, 플라즈마는 발생시키는 방법에 따라 열적 플라즈마 방전과 비열적 플라즈마 방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열적 플라즈마 방전은 가스를 열을 이용하여 이온화를 하는 방법이고, 비열적 플라즈마 방법은 가스의 가열은 최소화하고 주로 전자를 가열하여 이온화 시키는 방법이다. 이 중 비열적 플라즈마 방법은 전자만 높은 온도를 지니고 있고 나머지 이온과 중성입자는 낮은 온도를 유지하여 열적 비평형이기 때문에 비평형 플라즈마(non-equilibrium plasma)라고도 한다.
비열적 플라즈마의 생성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발생한다. 평면으로 된 두 개의 도체를 일정거리 d 만큼 떨어트려 놓은 뒤 도체에 전압 V를 가해주면 전기장 E는 E = V/d인 조건으로 생성된다. 이 때 전압의 세기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하전입자(전자)는 전기장 E에 의해 가속되어 하전입자(전자)가 에너지를 전달받은 후 중성 기체원자 또는 분자와 충돌을 한다. 그리하여 원자 및 분자들은 이온화되며 전자와 이온 그리고 중성입자(분자와 원자)들이 혼합된 플라즈마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국 공개번호 10-2019-0042835 한국 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22507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꿀벌응애가 플라즈마에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하다는 점을 발견하고 플라즈마를 일정시간 동안 꿀벌통내에 투사하여 꿀벌응애를 꿀벌통내에서 꿀벌로부터 꿀벌응애를 분리시켜 방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면이 개방된 꿀벌통커버; 상기 꿀벌통커버 내측 어느 일측에 부착되는 전극부; 상기 꿀벌통커버 내측 어느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전극부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를 꿀벌통몸체로 불어내는 선풍부; 상기 전극부에 연결되어 플라즈마발생 전원을 공급하는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 상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여 발생된 플라즈마를 꿀벌통몸체에 분사하여 꿀벌통내 꿀벌응애를 방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꿀벌통커버 내측 어느 일측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의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복수의 세부전극으로 구성되고,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부전극은 유전체에 의해 분리되고 유전체장벽효과에 의해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부전극은 유전체의 의해 밀봉상태로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전체는 유리 혹은 세라믹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를 일정량 꿀벌통몸체에 분사하여 플라즈마에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한 꿀벌응애를 꿀벌로부터 분리시켜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장치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꿀벌통몸체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부 및 선풍부가 부착된 꿀벌통커버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부의 세부구성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100),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200), 제어부(300), 전극부(400), 선풍부(500) 꿀벌통몸체(600), 꿀벌통커버(7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부(100)는 외부 전원일 수 있고, 소형화된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200)는 고전압, 고주파수의 파워를 발생시킨다.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200)는 전원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고주파, 고전압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전압 5KV ~ 15KV, 주파1KHz ~ 30KHz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플라즈마 발생시간, 주기, 강도와 선풍부(500) 등을 제어하여 꿀벌통몸체(600) 내부의 플라즈마 활성종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며, 바람직하게는 꿀벌통몸체(600) 내부의 농도가 10ppm~100ppm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플라즈마 발생시간, 주기, 강도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도 4는 전극부(400)에 관한 것으로 전극부(400)는 제1전극(410)과 제2전극(420)을 구비하여 제1전극(410)과 제2전극(420) 사이에 플라즈마가 발생토록 한다.
상기 제1전극(410)은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1세부전극(411)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전극(420) 역시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2세부전극(4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세부전극(41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아울러 복수의 제2세부전극(41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제1세부전극(411) 및 복수의 제2세부전극(411)으로 구성됨에 따라 플라즈마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플라즈마가 각각에서 균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410)의 제1세부전극(411)과 상기 제2전극(420)의 제2세부전극(421)은 교차하여 배열된다.
상기 제1세부전극(411)과 상기 제2세부전극(421)은 봉형상 혹은 판재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세부전극(411)과 상기 제2세부전극(421)은 유전체에 의해 분리되고 유전체장벽효과에 의해 플라즈마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세부전극(411)과 상기 제2세부전극(421)은 유전체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는 유리 또는 세라믹일 수 있다.
상기 선풍부(500)는 전극부(400) 근처에 배치되어 발생된 플라즈마를 꿀벌통몸체(600) 내부로 불어 넣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선풍부(500)는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본 발명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를 위치시키고, 작동 시작 버튼을 누르면 전원부(100)는 직류 전원을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200)에 공급하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200)는 내부의 변환기, 증폭기, 트랜스포머 등에 의해 직류전원을 고전압, 고주파수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극부(400)에 공급한다.
전극부(400)가 꿀벌통커버(700) 내측에 부착되는 경우 전극부(400)는 별도의 절연부재를 이용하여 꿀벌통커버(700)로부터 절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부(400) 및 선풍부(500)눈 꿀벌통커버 내측에 부착시키고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200) 및 제어부(300)는 꿀벌통커버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꿀벌통몸체에 투입되는 구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전극부(400)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는 꿀벌통몸체(600) 내의 꿀벌과 꿀벌응애에 쐬어지고 이때 꿀벌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작고, 플라즈마에 취약한 꿀벌응애는 호흡작용에 방해를 받아 꿀벌의 몸에 붙어 있지 못하고 꿀벌통몸체(600)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선풍부(500)에 의한 바람의 효과로 꿀벌응애는 꿀벌통몸체(600) 바닥면으로 용이하게 분리된다.
사용자는 꿀벌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꿀벌응애를 방제하기 위해 플라즈마의 농도와 작동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플라즈마 동작시간을 10~30분,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된 오존의 농도를 10~100ppm으로 조절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전원부 200 ;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
300 : 제어부 400 : 전극부
410, 420 : 제1전극 및 제2전극 411, 421 : 세부전극
412, 422 : 유전체 500 : 선풍부
600 : 꿀벌통몸체 700 : 꿀벌통커버
800 : 이송호스

Claims (10)

  1.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면이 개방된 꿀벌통커버(700);
    상기 꿀벌통커버(700) 내측 어느 일측에 부착되는 전극부(400);
    상기 꿀벌통커버(700) 내측 어느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전극부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를 꿀벌통몸체(600)로 불어내는 선풍부(500);
    상기 전극부(400)에 연결되어 고전압 5KV ~ 15KV 및 주파수 1KHz ~ 30KHz의 플라즈마발생 전원을 공급하는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200);
    상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상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400)는,
    제1전극(410) 및 제2전극(420)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극(410) 및 상기 제2전극(420)은 각각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1세부전극(411) 및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2세부전극(421)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세부전극(41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제2세부전극(42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세부전극(411) 및 상기 복수의 제2세부전극(421)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세부전극(411) 및 상기 복수의 제2세부전극(421)의 각각의 세부전극들은 유전체에 의해 밀봉되어, 상기 제1전극(410) 및 상기 제2전극(420) 간에 유전체(412, 422) 장벽 방전을 유도함으로써,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200) 또는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꿀벌통커버(700) 내측 어느 일측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412, 422)는 유리 혹은 세라믹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00)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53211A 2019-11-26 2019-11-26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KR102142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211A KR102142484B1 (ko) 2019-11-26 2019-11-26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211A KR102142484B1 (ko) 2019-11-26 2019-11-26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484B1 true KR102142484B1 (ko) 2020-09-14

Family

ID=7247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211A KR102142484B1 (ko) 2019-11-26 2019-11-26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4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787A (ko) 2020-10-08 2022-04-15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해조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꿀벌진드기/응애 억제제 제조방법
KR20230013420A (ko) 2021-07-19 2023-01-26 (주)이오니아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방법
KR20230135829A (ko) 2022-03-17 2023-09-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꿀벌의 병충해 방제 장치 및 이의 이용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9569A1 (en) * 2001-04-26 2002-11-14 N.V. Kema Method and apparatus for killing entomology
JP2003023908A (ja) * 2001-07-10 2003-01-28 Akihiko Otsuki 養蜂巣箱のスズメバチ撃退用電気ゲート
JP2008237047A (ja) * 2007-03-26 2008-10-09 Masaru Hori 殺虫殺菌方法及び殺虫殺菌装置
JP2011097960A (ja) * 2011-02-21 2011-05-19 Sharp Corp 殺虫装置
JP2018068209A (ja) * 2016-10-28 2018-05-10 シャープ株式会社 養蜂装置、これに用いられるイオン発生機、および養蜂方法
KR101922507B1 (ko) 2017-11-29 2018-11-28 주식회사 서린메디케어 프락셔널 플라즈마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KR20190042835A (ko) 2017-10-17 2019-04-25 농업회사법인 비센 바이오 주식회사 쿼세틴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제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9569A1 (en) * 2001-04-26 2002-11-14 N.V. Kema Method and apparatus for killing entomology
JP2003023908A (ja) * 2001-07-10 2003-01-28 Akihiko Otsuki 養蜂巣箱のスズメバチ撃退用電気ゲート
JP2008237047A (ja) * 2007-03-26 2008-10-09 Masaru Hori 殺虫殺菌方法及び殺虫殺菌装置
JP2011097960A (ja) * 2011-02-21 2011-05-19 Sharp Corp 殺虫装置
JP2018068209A (ja) * 2016-10-28 2018-05-10 シャープ株式会社 養蜂装置、これに用いられるイオン発生機、および養蜂方法
KR20190042835A (ko) 2017-10-17 2019-04-25 농업회사법인 비센 바이오 주식회사 쿼세틴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제제
KR101922507B1 (ko) 2017-11-29 2018-11-28 주식회사 서린메디케어 프락셔널 플라즈마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787A (ko) 2020-10-08 2022-04-15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해조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꿀벌진드기/응애 억제제 제조방법
KR20230013420A (ko) 2021-07-19 2023-01-26 (주)이오니아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방법
KR20230135829A (ko) 2022-03-17 2023-09-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꿀벌의 병충해 방제 장치 및 이의 이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484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장치
JP2017519010A (ja) 動物の医学的状態と疾患を治療するようにプラズマ状態の一酸化窒素を利用する獣医学的方法
Ramanan et al. Influence of cold plasma on mortality rate of different life stages of Tribolium castaneum on refined wheat flour
ES2556231T3 (es) Sistema de esterilización por plasma mediante microondas y aplicadores para el mismo
JP2019142862A (ja) 医学的状態と疾患を治療するようにプラズマ状態の一酸化窒素を利用する装置
KR102045122B1 (ko) 플라즈마 방출 다이오드 소자
CN206548856U (zh) 一种等离子体活化水用于活体生物组织表面杀菌的装置
CN105532613A (zh) 一种环保型家用灭蚊器
CN105724445B (zh) 迷迭香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Day et al. Physical injuries
KR20230013420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꿀벌통내 꿀벌응애 방제 방법
Rüster et al. Short-time cold atmospheric pressure plasma exposure can kill all life stages of the poultry red mite, Dermanyssus gallina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JP2023528038A (ja) 低温布製誘電体バリア放電デバイス
KR101028300B1 (ko) 음이온발생장치가 구비된 구두
KR20230135829A (ko) 꿀벌의 병충해 방제 장치 및 이의 이용
Nasr et al. Efficacy of cold plasma against three of stored grain insects
KR200396452Y1 (ko) 한방용 스퍼터링 귀금속 침
CN108463046A (zh) 手持式空气电火花冷等离子体激波射流装置
CN217960025U (zh) 一种鞋用电热中药杀菌器
BG113126A (bg)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 биологично обеззаразяване на въздуха от вируси и бактерии
Singh et al. Effects of gamma rays on the acute lethality and reproductive potential of lesser grain borer adults
US116786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phyxiating arthropods
CN208624331U (zh) 一种具有防护兽医手臂的医疗笼
CN105724444B (zh) 薰衣草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EP3490668B1 (en) Apparatus for therapeutic treatment of tissue inju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