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413B1 -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413B1
KR102142413B1 KR1020190028152A KR20190028152A KR102142413B1 KR 102142413 B1 KR102142413 B1 KR 102142413B1 KR 1020190028152 A KR1020190028152 A KR 1020190028152A KR 20190028152 A KR20190028152 A KR 20190028152A KR 102142413 B1 KR102142413 B1 KR 102142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coil
base
working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병문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02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4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54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nductive pieces to direct the induced 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2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8Coi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to hollow spaces of work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A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ing coil assembly of a cooking device including the working coil and a working coil base on which the working coil is mounted. The working coil base provides the working coil assembly including: a rib wall extending in a spir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base to an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the rib wall forming a coi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working coil is inserted; and a coil drawing groove penetrating through the rib wall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toward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base, and forming a plurality of drawing holes which the working coil can be drawn out from the coil insertion groove, thereby flexibly adjusting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Description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device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ing coil assembly of a cooking apparatus.

조리 장치의 일 예로서,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화구의 가열부를 구동함으로써 화구에 놓여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기기이다. 전기 레인지는 피가열체를 가열함으로써 용기에 담긴 음식을 조리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용기에 담긴 다양한 액체를 가열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As an example of a cooking apparatus, an electric range is a device that heats an object to be heated placed on a cooking apparatus by driving a heating unit of a cooking apparatus using electricity as an energy source. The electric range is also used to cook food in a container by heating an object to be heated, or to heat various liquids in a container.

전기를 이용한 가열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 및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을 포함한다. 저항 가열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할 때 워킹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자속 밀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가열체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피가열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The heating method using electricity largely includes a resistance heating method and an induction heating method. The resistance heating method is a method of heating an object by directly transferring heat generated when current is passed through a metal resistance wire or a non-metallic heating element such as silicon carbide through radiation or conduction. In addition,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is a method of generating an induction current in an object to be heated by using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around the working coil when a high frequency power is applied to the working coil to heat the object to be heated.

유도 가열 방식의 조리 장치에서, 워킹 코일은 임의의 평면 상에서 나선 형태로 감긴 상태로 지지판에 탑재되는데, 미리 설정된 제품 특성에 따라 워킹 코일의 감긴 수를 조정하고 있다.In an induction heating type cooking apparatus, a working coil is mounted on a support plate in a spiral wound state on an arbitrary plane, and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is adjus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duct characteristic.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워킹 코일의 감긴 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ing coil assembly of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flexibly adjusting the number of turns of the working coil.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워킹 코일 및 상기 워킹 코일이 장착된 워킹 코일 베이스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로서,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는,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가장자리까지 나선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벽으로서, 상기 워킹 코일이 삽입되는 코일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리브벽, 및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브벽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워킹 코일이 상기 코일 삽입홈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복수개의 인출구를 형성하는 코일 인출홈을 포함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ing coil assembly of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working coil and a working coil base on which the working coil is mounted, wherein the working coil base is from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base. As a rib wall extending in a spiral direction to an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the rib wall forming a coi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working coil is inserted, and in a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toward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base It provides a working coil assembly including a coil withdrawal groove extending through the rib wall and forming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which the working coil can be withdrawn from the coil insertion groov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워킹 코일은, 상기 코일 삽입홈의 인입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인출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인출구까지 나선 형태로 감긴 제1 부분, 및 상기 코일 인출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인출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인출구로부터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working coil is a first portion wound in a spiral shape from the inlet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to one outlet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and a first portion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the coil outlet groove.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one outlet to an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워킹 코일 및 상기 워킹 코일이 장착된 워킹 코일 베이스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로서,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가장자리까지 나선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벽으로서, 상기 워킹 코일이 삽입되는 코일 삽입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에 마련된 상기 리브벽,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코일 삽입홈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ing coil assembly of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working coil and a working coil base on which the working coil is mounted, wherein the working coil base includes a base plate, and the working coil base A rib wall extending in a spir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coil base to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passing through the rib wall provided on the base plate to form a coi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working coil is inserted, and the base plate And, it provides a working coil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il insertion groov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은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working coil bas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워킹 코일은,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중심 근방에 마련된 상기 코일 삽입홈의 인입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관통홀까지 나선 형태로 감긴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말단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working coil includes a first portion wound in a spiral shape from an inlet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base to one through hol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And a second portion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through one through hol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워킹 코일의 감김이 끝나는 지점을 조절하여 워킹 코일의 감긴 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워킹 코일의 감긴 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워킹 코일의 감긴 수에 의해 결정되는 화구 출력과 같은 제품 특성값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may be flexibly adjusted by adjusting the point at which the winding of the working coil ends. Since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can be flexibly adjusted, product characteristic values such as the output of a crater determined by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can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워킹 코일의 감긴 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품 특성값이 상이한 다양한 조리 장치에도 동일한 워킹 코일 베이스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can be flexibly adjusted, the same working coil base can be commonly used in various cooking devices having different product characteristic values.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 및 페라이트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로 표시된 영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에 장착된 워킹 코일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 및 페라이트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으로 표시된 영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에 장착된 워킹 코일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ing coil assembly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working coil bas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showing a working coil base and a ferrit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ea indicated by “IV” in FIG. 2.
5A to 5C are views each showing a working coil mounted on a working coil bas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working coil bas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showing a working coil base and a ferrit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ea indicated by “VIII” in FIG. 7.
9A to 9C are views each showing a working coil mounted on a working coil bas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120) 및 페라이트(140)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로 표시된 영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ing coil assembly 100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working coil base 12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working coil base 120 and the ferrite 14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ea indicated by “IV” in FIG. 2.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는 워킹 코일(110), 및 워킹 코일(110)이 장착된 워킹 코일 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working coil assembly 100 of the cooking apparatus may include a working coil 110 and a working coil base 120 on which the working coil 110 is mounted.

워킹 코일 베이스(120)는 리브벽(123)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벽(123)은 워킹 코일(110)이 삽입되는 코일 삽입홈(122)을 형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리브벽(123)은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상면 상에 마련되고,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중심 또는 그 근방으로부터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가장자리를 향해 나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반경 방향으로 이웃하는 리브벽(123) 사이에는 코일 삽입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코일 삽입홈(122)의 폭은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반경 방향으로 이웃하는 리브벽(123) 사이의 거리와 일치할 수 있고, 코일 삽입홈(122)의 깊이는 리브벽(123)의 높이와 일치할 수 있다.The working coil base 120 may include a rib wall 123. The rib wall 123 may form a coil insertion groove 122 into which the working coil 110 is inserted. More specifically, the rib wall 12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 and extends in a spiral direction toward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from the center of or near the working coil base 120. I can. A coil insertion groove 122 may be formed between the rib walls 123 adjacent to the working coil base 120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may match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rib walls 123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and the depth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is the rib wall ( 123) can match the height.

코일 삽입홈(122)은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중심 또는 그 근방으로부터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가장자리를 향해 나선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워킹 코일(110)이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코일 삽입홈(122)에 삽입됨에 따라, 워킹 코일(110)은 코일 삽입홈(122)을 따라 나선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킹 코일(110)은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중심 근방에 마련된 코일 삽입홈(122)의 인입구(125i)로부터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가장자리 근방에 마련된 코일 삽입홈(122)의 인출구(125o)까지 나선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in a helical direction toward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from the center of or near the working coil base 120. As the working coil 110 is inserted into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the working coil 110 may be woun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For example, the working coil 110 has a coil insertion groove 122 provided near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from the inlet 125i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provided near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It can be wound in a spiral shape to the outlet (125o) of.

또한, 워킹 코일(110)이 코일 삽입홈(122)에 삽입됨에 따라, 워킹 코일(110)은 리브벽(123)의 폭 만큼 이격되어 나선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이 때, 리브벽(123)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반경 방향에 따른 워킹 코일(11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working coil 110 is inserted into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the working coil 110 is spaced apart by the width of the rib wall 123 and may be wound in a spiral shape.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rib wall 123, the interval between the working coils 110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may be adjusted.

워킹 코일 베이스(120)는 워킹 코일(110)을 코일 삽입홈(122)으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한 코일 인출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가장자리로부터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중심을 향하는 제1 방향에 대해, 코일 인출홈(124)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리브벽(123)을 관통하여 연장할 수 있다. 코일 인출홈(124)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제1 방향으로 리브벽(123)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코일 삽입홈(122)으로부터 워킹 코일(110)이 빠져나올 수 있는 다수의 인출구(125o)를 형성할 수 있다. The working coil base 120 may include a coil drawing groove 124 for drawing the working coil 110 out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toward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the coil drawing groove 124 may extend through the rib wall 123 in the first direction. The coil withdrawal groove 124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rib wall 123 is removed in the first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and a plurality of working coils 110 can escape from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The outlet 125o may be formed.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는 고주파 전원이 워킹 코일(110)에 인가될 때 워킹 코일(110)에 의해 형성된 자화 밀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페라이트(ferrite, 140)을 포함할 수 있다. 페라이트(140)는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하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페라이트(140)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하면 상에서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반경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라이트(140)는 실리콘 접착제와 같은 접착 물질을 통해 워킹 코일 베이스(120)에 부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working coil assembly 100 is a ferrite that serves to increase the magnetization density formed by the working coil 110 when high-frequency power is applied to the working coil 110. 140) may be included. The ferrite 14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The ferrite 140 may have a rod shape, an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 For example, the ferrite 140 may be attached to the working coil base 120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a silicone adhesive.

워킹 코일 베이스(120)에는 복수개의 페라이트(140)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개의 페라이트(140)가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하면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errites 140 may be mounted on the working coil base 120. For example, eight ferrites 140 may be radially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120)에 장착된 워킹 코일(110)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는 워킹 코일(110)이 최소 감긴 수로 권취된 경우를 보여주고, 도 5c은 워킹 코일(110)이 최대 감긴 수로 권취된 경우를 보여준다.5A to 5C are views each showing a working coil 110 mounted on a working coil base 12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shows a case where the working coil 110 is wound with a minimum number of turns, and FIG. 5C shows a case where the working coil 110 is wound with a maximum number of turns.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코일 인출홈(124)은 워킹 코일(110)이 코일 삽입홈(122)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복수개의 인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 삽입홈(122)은 워킹 코일(110)의 감김이 시작되는 하나의 인입구(125i)를 가지고, 워킹 코일(110)의 감김이 종료되는 복수개의 인출구를 가질 수 있다. 즉, 워킹 코일(110)은 코일 삽입홈(122)의 상기 인입구(125i)로부터 복수개의 인출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인출구에 도달할 때까지 나선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복수개의 인출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인출구를 통해 코일 삽입홈(122)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인출구를 통해 빠져나온 워킹 코일(110)은 코일 인출홈(124)을 가로질러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5A to 5C, the coil withdrawal groove 124 may form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which the working coil 110 can be withdrawn from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In this case,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may have one inlet 125i from which winding of the working coil 110 starts, and a plurality of outlets where the winding of the working coil 110 is terminated. That is, the working coil 110 is wound in a spiral direction from the inlet 125i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until it reaches any one outlet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outlets, and any one outlet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outlets It may be withdrawn from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through. The working coil 110 exiting through the outlet may extend to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across the coil drawing groove 124.

이 때, 코일 삽입홈(122)에 삽입되어 나선 형태로 감긴 워킹 코일(110)의 일부분을 워킹 코일(110)의 제1 부분(111)으로 정의하고, 제1 부분(111)의 말단과 연결되고 코일 인출홈(124)을 가로질러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워킹 코일(110)의 다른 일부분을 워킹 코일(110)의 제2 부분(113)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워킹 코일(110)의 감긴 수는 워킹 코일(110)의 제1 부분(111)의 감긴 수와 동일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working coil 110 inserted into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and wound in a spiral shape is defined as the first part 111 of the working coil 110, a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part 111 The other part of the working coil 110 extending to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across the coil drawing groove 124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part 113 of the working coil 110. In this case,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11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first portion 111 of the working coil 110.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워킹 코일 베이스(120)에는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순서대로 제1 내지 제6 인출구(125o1, 125o2, 125o3, 125o4, 125o5, 125o6)가 마련될 수 있다. 워킹 코일(110)의 감긴 수를 최소 감긴 수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워킹 코일(110)은 코일 삽입홈(122)의 인입구(125i)로부터 제6 인출구(125o6)까지 코일 삽입홈(122)을 따라 나선 형태로 감기고, 제6 인출구(125o6)에서 빠져나온 워킹 코일(110)은 코일 인출홈(124)을 통해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A, the working coil base 120 has first to sixth outlets 125o1, 125o2, 125o3, 125o4, 125o5, and 125o6 in an order close to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Can be provided. When setting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110 to the minimum number of windings, the working coil 110 is along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from the inlet 125i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to the sixth outlet 125o6. The working coil 110 wound in a spiral shape and exiting from the sixth outlet 125o6 may extend to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through the coil drawing groove 124.

또한,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5a에서의 최소 감긴 수 보다 증가된 감긴 수로 워킹 코일(110)을 권취하고자 할 때, 제6 인출구(125o6)보다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4 인출구(125o4)에서 워킹 코일(110)의 감김을 종료하고, 제4 인출구(125o4)에서 빠져나온 워킹 코일(110)을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가장자리로 연장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B, when attempting to wind the working coil 110 with an increased number of wounds than the minimum number of wounds in FIG. 5A, it is closer to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than the sixth outlet 125o6. Winding of the working coil 110 is terminated at the fourth outlet 125o4, and the working coil 110 exiting from the fourth outlet 125o4 may be extended to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나아가,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워킹 코일(110)의 감긴 수를 최대 감긴 수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워킹 코일(110)을 워킹 코일 베이스(120)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한 제1 인출구(125o1)에 도달할 때까지 코일 삽입홈(122)을 따라 나선 형태로 감을 수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5C, when setting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110 to the maximum number of windings, the first outlet 125o1 closest to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 It can be woun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until it reache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워킹 코일(110)의 감김이 끝나는 지점을 조절하여 워킹 코일(110)의 감긴 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워킹 코일(110)의 감긴 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워킹 코일(110)의 감긴 수에 의해 결정되는 화구 출력과 같은 제품 특성값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워킹 코일(110)의 감긴 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품 특성값이 상이한 다양한 조리 장치에도 동일한 워킹 코일 베이스(12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110 may be flexibly adjusted by adjusting the point where the winding of the working coil 110 ends. Since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110 can be flexibly adjusted, a product characteristic value such as the output of a crater determined by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110 can be adjusted.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110 can be flexibly adjusted, the same working coil base 120 can be commonly used in various cooking devices having different product characteristic values.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120a)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120a) 및 페라이트(140)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으로 표시된 영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6 is a plan view of a working coil base 120a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working coil base 120a and the ferrite 14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ea indicated by “VIII” in FIG. 7.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워킹 코일 베이스(120a)는 베이스 플레이트(12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27)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27)은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상면 상의 리브벽(123)에 의해 형성된 코일 삽입홈(122)과 연통하며, 워킹 코일(110)이 코일 삽입홈(122)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하면 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6 to 8, the working coil base 120a may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127 vertically penetrating the base plate 121. The through hole 127 communicates with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formed by the rib wall 12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 and the working coil 110 from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to the base plate 121 It can be used as a passage that can escape to the underside of the sid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워킹 코일 베이스(120a)는 복수개의 관통홀(12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관통홀(127)은 워킹 코일 베이스(120a)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관통홀(127) 각각은 코일 삽입홈(122)에 연통할 수 있다. 복수개의 관통홀(127) 각각은 워킹 코일(110)이 코일 삽입홈(122)으로부터 하방으로 빠져나가는 인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워킹 코일(110)은 워킹 코일(110)의 감김이 시작되는 하나의 인입구(127i)를 가지고, 워킹 코일(110)의 감김이 종료되는 복수개의 인출구를 가질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working coil base 120a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7.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7 may be spaced apar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orking coil base 120a.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7 may communicate with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7 may form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orking coil 110 exits downwardly from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In this case, the working coil 110 may have one inlet 127i from which winding of the working coil 110 starts, and a plurality of outlets from which winding of the working coil 110 is terminated.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킹 코일 베이스(120a)에 장착된 워킹 코일(110)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a는 워킹 코일(110)이 최소 감긴 수로 권취된 경우를 보여주고, 도 9c는 워킹 코일(110)이 최대 감긴 수로 권취된 경우를 보여준다.9A to 9C are views each showing a working coil 110 mounted on a working coil base 120a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shows a case where the working coil 110 is wound with a minimum number of turns, and FIG. 9C shows a case where the working coil 110 is wound with a maximum number of turns.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워킹 코일(110)은 코일 삽입홈(122)의 인입구(127i)로부터 복수개의 관통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관통홀에 도달할 때까지 나선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코일 삽입홈(122)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을 통해 빠져나온 워킹 코일(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하면을 따라서 워킹 코일 베이스(120a)의 가장자리로 연장될 수 있다.9A to 9C, the working coil 110 is wound in a spiral direction from the inlet 127i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until it reaches any one through hol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plurality of It may escape from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through any one through hole selected from among the three through holes. The working coil 110 exi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may extend to an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a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

이 때, 코일 삽입홈(122)에 삽입되어 나선 형태로 감긴 워킹 코일(110)의 일부분을 워킹 코일(110)의 제1 부분(111)으로 정의하고, 제1 부분(111)의 말단과 연결되고 관통홀(127)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된 워킹 코일(110)의 다른 일부분을 워킹 코일(110)의 제2 부분(113)으로 정의할 수 있다. 워킹 코일(110)의 제2 부분(113)은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하면을 따라 워킹 코일 베이스(120a)의 가장자리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워킹 코일(110)의 감긴 수는 워킹 코일(110)의 제1 부분(111)의 감긴 수와 동일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working coil 110 inserted into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and wound in a spiral shape is defined as the first part 111 of the working coil 110, a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part 111 Another part of the working coil 110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127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part 113 of the working coil 110. The second part 113 of the working coil 110 may exten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 to an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a. In this case,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11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first portion 111 of the working coil 110.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워킹 코일 베이스(120a)에는 워킹 코일 베이스(120a)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순서대로 제1 내지 제6 관통홀(127_1, 127_2, 127_3, 127_4, 127_5, 127_6)이 마련될 수 있다. 워킹 코일(110)의 감긴 수를 최소 감긴 수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워킹 코일(110)은 코일 삽입홈(122)의 인입구(127i)로부터 제6 관통홀(127_6)까지 코일 삽입홈(122)을 따라 나선 형태로 감기고, 제6 관통홀(127_6)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6 관통홀(127_6)을 통해 하방으로 인출된 워킹 코일(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하면을 따라 워킹 코일 베이스(120a)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A, the working coil base 120a includes first to sixth through holes 127_1, 127_2, 127_3, 127_4, 127_5, 127_6 in the order close to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a. ) Can be provided. When setting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110 to the minimum number of windings, the working coil 110 extends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from the inlet 127i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to the sixth through hole 127_6. Accordingly, it may be wound in a spiral shape, and may extend downward through the sixth through hole 127_6. The working coil 110 drawn downward through the sixth through hole 127_6 may extend to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a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

또한,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9a에서의 최소 감긴 수 보다 증가된 감긴 수로 워킹 코일(110)을 권취하고자 할 때, 워킹 코일(110)을 제6 관통홀(127_6)보다 워킹 코일 베이스(120a)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4 관통홀(127_4)에서 워킹 코일(110)의 감김을 종료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B, when the working coil 110 is to be wound with an increased number of wounds than the minimum number of wounds in FIG. 9A, the working coil 110 is provided with a working coil base rather than the sixth through hole 127_6. Winding of the working coil 110 may be terminated in the fourth through hole 127_4 adjacent to the edge of 120a.

나아가,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워킹 코일(110)의 감긴 수를 최대 감긴 수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워킹 코일(110)을 워킹 코일 베이스(120a)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한 제1 인출구(127_1)에 도달할 때까지 코일 삽입홈(122)을 따라 나선 형태로 감을 수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9C, in the case of setting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working coil 110 to the maximum number of windings, the working coil 110 is the first outlet 127_1 closest to the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120a. It can be woun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coil insertion groove 122 until it reaches.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1000)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화구를 포함하고,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화구에 놓여진 피가열체, 예를 들어 조리 재료가 담긴 조리용 용기를 가열하는 전기 레인지일 수 있다. 상기 화구라는 용어는 다양하게 정의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화구는 용기 등의 피가열체가 놓여지는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가열 기기(11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cooking apparatus 1000 may be an electric range that includes one or more cooking tools and uses an electrical principle to heat an object to be heated, for example, a cooking container containing cooking materials. The term crater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an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ter may be defined as including a heating device 1110 disposed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an object to be heated such as a container is placed.

조리 장치(1000)가 다수의 화구들을 포함할 때, 일부의 화구는 워킹 코일 (도 1의 110 참조)을 포함하여 전자기 유도 작용을 통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인덕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다른 일부의 화구는 열선이 포함된 금속판을 가열하여 열을 발생하는 핫플레이트, 열선이 분포되어 세라믹 판을 가열하여 열을 발생하는 하이라이트 등 다른 종류의 화구일 수도 있다.When the cooking apparatus 1000 includes a plurality of cooking apparatuses, some of the cooking apparatuses include a working coil (see 110 in FIG. 1) and may correspond to induction heating an object to be heated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other parts The crater of may be other types of craters, such as a hot plate that generates heat by heating a metal plate including a hot wire, and a highlight that generates heat by heating a ceramic plate through which the hot wire is distributed.

조리 장치(1000)는 본체(1100) 및 본체(1100) 상에 결합되는 탑 플레이트(1200)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200)는 조리용 용기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세라믹 글래스와 같은 강화 유리로 구성되며,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100)는 조리 장치(1000)의 구동을 위한 각종 장치, 예를 들어 가열 기기(1110), 제어 기기,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기기(1110)는, 자계를 형성하여 조리용 용기를 유도 가열시키기 위한 워킹 코일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킹 코일 어셈블리는 앞서 도 1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설명된 워킹 코일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king apparatus 1000 may include a main body 1100 and a top plate 1200 coupled to the main body 1100. The top plate 1200 is a portion on which a cooking container is mounted, and is made of tempered glass such as ceramic glass, and may have a flat plate shape. The main body 110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for driving the cooking apparatus 1000, for example, a heating device 1110, a control device, and a power supply unit. The heating device 1110 may include a working coil assembly for induction heating a cooking container by forming a magnetic field. The working coil assembly may include a working coil assembly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C.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xemplary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s, but these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워킹 코일 어셈블리 110: 워킹 코일
120: 워킹 코일 베이스 121: 베이스 플레이트
122: 코일 삽입홈 123: 리브벽
124: 코일 인출홈 127: 관통홀
100: working coil assembly 110: working coil
120: working coil base 121: base plate
122: coil insertion groove 123: rib wall
124: coil lead groove 127: through hole

Claims (5)

워킹 코일 및 상기 워킹 코일이 장착된 워킹 코일 베이스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로서,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는,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가장자리까지 나선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벽으로서, 상기 워킹 코일이 삽입되는 코일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리브벽; 및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브벽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워킹 코일이 상기 코일 삽입홈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복수개의 인출구를 형성하는 코일 인출홈;
을 포함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
As a working coil assembly of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working coil and a working coil base on which the working coil is mounted,
The working coil base,
A rib wall extending in a spir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base to an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the rib wall forming a coi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working coil is inserted; And
A coil lead groove extending through the rib wall in a direction from an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toward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base and forming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which the working coil can be drawn out from the coil insertion groove;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 코일은,
상기 코일 삽입홈의 인입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인출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인출구까지 나선 형태로 감긴 제1 부분; 및
상기 코일 인출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인출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인출구로부터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working coil,
A first portion wound in a spiral shape from the inlet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to one outlet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one outlet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to an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through the coil outlet groove;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a.
워킹 코일 및 상기 워킹 코일이 장착된 워킹 코일 베이스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로서,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가장자리까지 나선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벽으로서, 상기 워킹 코일이 삽입되는 코일 삽입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에 마련된 상기 리브벽;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르도록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고,
상기 워킹 코일은 상기 복수의 관통홀 중 하나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 워킹 코일 어셈블리.
As a working coil assembly of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working coil and a working coil base on which the working coil is mounted,
The working coil base,
Base plate;
A rib wall extending in a spir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base to an edge of the working coil base, the rib wall provided on the base plate to form a coi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working coil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assing through the base plate;
Includ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orking coil base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working coil assembly configured to be drawn downward through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 코일은,
상기 워킹 코일 베이스의 중심 근방에 마련된 상기 코일 삽입홈의 인입구로부터 상기 복수의 관통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관통홀까지 나선 형태로 감긴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말단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된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The working coil,
A first portion spirally wound from the inlet of the coil insertion groov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base to one through hol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second portion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through one through hol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a.
KR1020190028152A 2019-03-12 2019-03-12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 KR102142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152A KR102142413B1 (en) 2019-03-12 2019-03-12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152A KR102142413B1 (en) 2019-03-12 2019-03-12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413B1 true KR102142413B1 (en) 2020-08-10

Family

ID=7204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152A KR102142413B1 (en) 2019-03-12 2019-03-12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4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07450A1 (en) * 2020-11-25 2022-06-01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WO2023224259A1 (en) * 2022-05-18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172A (en) * 2014-08-27 2016-03-08 (주)쿠첸 Working coil assembly for induction ran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172A (en) * 2014-08-27 2016-03-08 (주)쿠첸 Working coil assembly for induction ran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07450A1 (en) * 2020-11-25 2022-06-01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WO2023224259A1 (en) * 2022-05-18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5263A (en) Temperature-protected inductor-based cooking heater
US4453067A (en) Induction heating coil
US4029926A (en) Work coil for use in a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US6498325B1 (en) Modular induction heated cooking hob having reduced radiation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142413B1 (en)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
US5686006A (en) Induction cooker with coil support having spiral-shaped housing for spiral coil
JP5662344B2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induction heating cooker provided with the same
EP2048914B1 (en) A cook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element
US11131502B2 (en) Heating system with induction power supply and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 with induction power supply
TWI26423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erature control of an object
US20100270288A1 (en) Device for heating food using induction and device for transmitting energy
CN103250465A (en) Induction heating coil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EP3468301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KR102213159B1 (en) Cooking apparatus
CN111656863A (en) Induction heater for furnace roof
JPS6342398B2 (en)
EP0748577B1 (en) Induction heating element
KR20180004567A (en) Working coil base
JP6347044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KR102052702B1 (en) Coil assembly and induction h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reof
KR102142415B1 (en)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
KR102052705B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CN204681615U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instrument
KR102142414B1 (en) Working coil assembly of cooking apparatus
ES2203345B2 (en) INDUCTOR WITH A ROLLED CORD FORMING A SPIRAL INDUCTION C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