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353B1 - contact-bar rotating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contact-bar rotating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2353B1 KR102142353B1 KR1020200045462A KR20200045462A KR102142353B1 KR 102142353 B1 KR102142353 B1 KR 102142353B1 KR 1020200045462 A KR1020200045462 A KR 1020200045462A KR 20200045462 A KR20200045462 A KR 20200045462A KR 102142353 B1 KR102142353 B1 KR 1021423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plate
- temperature
- contact
- plate portion
- circuit break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된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of a contact plate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ry temperature sensor circuit breaker of a contact plate portion having improved safety while heating is simplified.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가 흐르거나 회로 내에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선로의 개폐조작을 신속하게 전환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구동되며, 바람직하게는 과전류가 발생시 자동으로 전류가 단락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In general, the circuit breaker prevents damage to electrical products and lines connected to the load side by quickly switch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line when an overcurrent exceeding a set value or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circuit to cut off the current flow. Device. Such a circuit breaker is driven by manual or automatic operation, and preferably can be operated to automatically short circuit the current when an overcurrent occurs.
여기서, 종래에는 열팽창율이 다른 두 금속판을 붙여 놓고 과전류로 인한 열이 가해질 경우 열팽창율이 작은 쪽으로 휘는 특성을 이용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통상 회로에 전류가 공급되면 저항이 발생하여 상기 바이메탈이 가열되고, 일정한 기준 이상의 과다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지면서 인접하여 닿아있는 트립바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의 하부에 결합된 접촉단자가 입력터미널로부터 이격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동된다.Here, in the related art, a bimetal circuit breaker has been disclosed that uses two metal plates having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and bends to a small side when the heat due to overcurrent is applied. In a bimetal circuit breaker,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a circuit, a resistance is generated to heat the bimetal, and when an excess current of a certain level or more flows, the bimetal bends to drive a trip bar that is in close contact. In addition, the contact terminal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imetal is driven from the input terminal to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of current is blocked.
그러나, 종래의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내부의 결함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차단기의 케이스 내부에 높은 발열이 발생하더라도 차단기가 전류 흐름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imetal circuit breaker has a problem in that the circuit breaker does not block current flow even if high heat is generated in the case of the circuit breaker due to an internal defect or a fire generated from the outside.
따라서, 차단기의 주변온도에 관계없이 차단기가 단순히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내부 결함시나 외부 화재 발생시 2차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regardless of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ircuit breaker, since the circuit breaker simply provides a function to block current flow,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may cause a secondary safety accident in case of an internal fault or an external fi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된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of a contact plate portion with improved safety during heat generation while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상기 전원입력부에 선택적으로 접점 연결되는 콘텍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상기 콘텍판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콘텍판부에 연결된 크로스바; 상기 콘텍판부의 후방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흡인자력을 형성하는 자력코어의 외주를 감싸며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에 과전류 발생시 상기 자력코어의 상부에 흡인 회전되는 흡인단부와, 상기 흡인단부의 전단부측으로부터 일체로 하향 절곡 연장되어 트립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단부를 포함하는 아마츄어; 상기 구동단부의 하단 전면에 대향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된 핸들장착부에 전후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트립바; 하단에 상기 트립바가 연결되며, 중앙부가 상기 핸들장착부에 연결된 래치회전축을 기준으로 전후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 상단이 상기 래치부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되, 하단부가 상기 핸들장착부에 연결된 크래들회전축을 기준으로 전후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크래들;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된 핸들장착부에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하부에 상기 크래들과 링크 연결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링크부가 연결되는 핸들부; 및 상기 크로스바의 상부에 고정단이 결합 고정되되, 상기 고정단의 후단으로부터 예각을 갖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자유단이 상기 콘텍판부의 상부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고정단을 기준으로 상기 자유단이 후향 굴곡 변형됨에 따라 상기 콘텍판부의 후단부를 하향 가압하면 상기 콘텍판부가 회전되어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후면이 전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input unit and the load output unit is provided with a housing spaced apart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 movable switching unit provided with a contact plate portion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for selective power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input unit and the load output unit; A crossbar connected to the contact plate portion to selectively press the contact plate portion; A coil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rear portion of the contact plate portion and the load output portion and is disposed surrounding an outer periphery of a magnetic core that selectively forms a suction force; When the overcurrent occurs in the coil, the armature includes a suction end that is suction-rot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gnetic core and a driving end that is integrally downwardly bent from the front end side of the suction end and rotates integrally to perform a trip operation; A trip bar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front of the driving end portion and disposed to move back and forth in a handle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housing portion; The latch bar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 centr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latch portion that is rotated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latch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A cradle having an upper end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atch, and having a lower end rotated back and forth relative to a cradle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A handle part coupled to the handle mounting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part to be rotated back and forth, and linked to the cradle at the bottom, but a link part connected to a downwardly pressing the crossbar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And a fixed end coupled to and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rossbar, and a free end bent downwardly downward to be at an acute angle from the rear end of the fixed e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ct plate portion, and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portion is preset. When the free end is bent and deformed backwards based on the fixed end when it rises above the safety temperature, whe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ontact plate portion is pressed downward, the contact plate portion is rotated so that the rear side has a lower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han the front side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power input portion. Provided is a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in a contact plate portion including a formed temperature sensing bimetal.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solution, the contact plate rotation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하우징부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 상승시 크로스바에 고정된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고정단을 기준으로 자유단이 후향 굴곡 열변형됨에 따라 콘텍판부 후단의 경사지지부를 가압하면 콘텍판부가 회전중심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전단이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므로 화재시 전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part rises above a predetermined safety temperature, the free end of the temperature sensing bimetal fixed to the crossbar is deflected and thermally deformed backwards. Since the front end is separated from the power input by being rotated around the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safety accident by automatically blocking the current flow in the event of a fire.
둘째,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이면 콘텍판부의 후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경사지지부가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자유단에 의해 가압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어 핸들부를 임의 조작하더라도 고정접점부와 가동접점부의 분리 상태가 유지되어 전류가 차단되는 안전구조로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Second, if the ambient temperature is above a predetermined safety temperature,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bent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contact plate portion remains pressed and rotated by the free end of the temperature-sensing bimetal, so that even if the handle portion is manipulated, the fixed contact portion and the movable contact point The safety structure in which the current is cut off by maintaining the negative separation state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safety of use.
셋째,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고정단에 관통 형성된 제1고정홀을 크로스바의 상부에 관통 형성된 제2고정홀에 정렬하여 체결부재를 통해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고정단을 크로스바의 상부에 체결하는 간편한 조립구조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ird, a simple assembly structure that aligns the first fixing hole formed through the fixed end of the temperature sensing bimetal with the second fixing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crossbar and fastens the fixed end of the temperature sensing bimetal to the upper part of the crossbar through a fastening member. Assemble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커버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에서 크로스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에서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에서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of the contac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the inside is expos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ntact plate rotation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ntact plate portion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bar in the contact plate portion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temperature sensing bimetal in the contact plate portion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emperature sensing bimetal in the contact plate rotation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of the contact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커버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에서 크로스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에서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에서 온도감지 바이메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도 1 내지 도 7은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커버, 하우징부 또는 핸들장착부 등의 일부 구성이 부분적으로 제외된 상태를 예로써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와 차단기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contact plate part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FIG. 2 is a contact panel part rotary temperat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side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a contact-type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tact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bar in the rotating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temperature sensing bimetal in the contact plate rotating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temperature sensing bimetal in a contact-type rotating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FIGS. 1 to 7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n example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such as a cover, a housing portion, or a handle mounting portion, are partially excluded to illustrat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plate portion rotary temperature sensing breake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contact plate part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same sense.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100)는 하우징부(10), 가동스위칭부(20), 크로스바(30), 코일(40), 아마츄어(50), 요크(60), 트립바(75), 래치부(70), 크래들(73), 핸들부(80) 및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을 포함한다.1 to 7, the contac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temperature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10)는 상기 차단기(100)의 구성부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절연성 및 불연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부(10)의 내부에는 각 구성부품이 설치 및 조립되도록 구획격벽, 설치홈 또는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0)의 전측에는 전원측에 접속되는 전원입력부(11)가 구비되며 후측에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부하출력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1)에는 고정접점부(13)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전원입력부(11)측이 전방으로 설명되며, 상기 부하출력부(12)측이 후방으로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가동스위칭부(20)는 상기 전원입력부(11)와 상기 부하출력부(12)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연결을 위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스위칭부(20)는 전단부가 상기 전원입력부(11)에 선택적으로 접점 연결되는 콘텍판부(21a)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세히, 상기 콘텍판부(21a)는 직사각형 단면의 평판으로 구비되어 전단부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동스위칭부(20)는 상기 콘텍판부(21a)의 전단부 하측에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접점 연결되는 가동접점부(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동스위칭부(20)는 상기 콘텍판부(21a)와 상기 가동접점부(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콘텍판부(21a)는 상기 가동접점부(22)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콘텍판부(21a)에는 후단으로부터 둔각(θ1)을 갖도록 상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경사지지부(21b)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지지부(21b)의 하면부에는 후술되는 지지스프링(69)이 접촉되어 상기 콘텍판부(21a)가 탄발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콘텍판부(21a)의 전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크로스바(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30)는 상기 콘텍판부(21a)의 전단측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콘텍판부(21a)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트립구동홈(31)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30)는 상기 콘텍판부(21a)의 전단부를 선택적으로 하향 가압하도록 상기 콘텍판부(21a)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콘텍판부(21a)에는 중앙 측부로부터 기준 회전축을 제공하는 회전중심돌기(21c)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30)는 상기 콘텍판부(21a)의 전단부를 선택적으로 하향 가압하도록 상기 회전중심돌기(21c)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또한, 상기 크로스바(30)의 상부에는 상기 핸들부(80)의 하부에 링크 연결되는 가압봉부(83)가 안착 고정되도록 안착홈부(3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크로스바(30)는 상기 핸들부(80)를 통해 상측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되 상기 핸들부(80)의 탄성수단(80a)을 통해 상기 핸들부(80)와 일체로 상측으로 탄발 지지된다. 상기 핸들부(80)의 링크 구조에 관한 설명은 후술된다. 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30)는 상기 회전중심돌기(21c)를 회전중심점으로 상기 콘텍판부(21a)가 회전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콘텍판부(21a)는 상기 크로스바(30)의 구동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향 가압되거나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부하출력부(12)에 접점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콘텍판부(21a)가 상기 부하출력부(12)에 선택적으로 접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Here, the
한편, 상기 코일(40)은 상기 콘텍판부(21a)의 후방부와 상기 부하출력부(1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흡인자력을 형성하는 자력코어(41)의 외주를 감싸며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세히, 상기 코일(40)은 일단부가 연결전선을 통해 상기 콘텍판부(21a)의 후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부하출력부(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콘텍판부(21a)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상기 가동접점부(22)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입력부(11)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콘텍판부(21a), 상기 코일(40)을 거쳐서 상기 부하출력부(12)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In detail, 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자력코어(41)는 전도성을 갖는 철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력코어(41)는 상기 전원입력부(11) 및 상기 부하출력부(12) 사이에 상기 하우징부(1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요크(6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자력코어(41)의 외면에는 상기 코일(40)이 권취된다. 이때, 상기 자력코어(41)에는 외면에 권취된 상기 코일(40)에 의해 자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마츄어(50)가 상기 자력코어(41)의 자력에 의해 상기 자력코어(41)의 상단부에 형성된 흡인접촉부(41a)에 접촉되도록 흡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마츄어(50)가 상기 자력코어(41)에 흡인되면 상기 아마츄어(50)가 후술되는 트립바(75)를 전측으로 밀어냄에 따라 후술될 트립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Here, the
한편, 상기 아마츄어(50)는 상기 전원입력부(11) 및 상기 부하출력부(12)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트립바(75)의 후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아마츄어(50)는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베이스부(51), 상기 구동단부(52) 및 흡인단부(5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51)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구동단부(52) 및 상기 흡인단부(53)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51)의 하단부 폭방향 일측에는 상기 구동단부(52)가 하향 연장되며, 하단부 폭방향 타측에는 스프링정렬부(54)가 하향 연장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구동단부(52) 및 상기 스프링정렬부(54)는 상호간 폭방향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상기 구동단부(52) 및 상기 스프링정렬부(54) 사이에는 정렬홈(5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렬홈(51a) 측에는 복귀스프링(55)이 배치되며, 상기 복귀스프링(55)은 상기 요크(60)의 전측에 배치되되 상기 아마츄어(50) 및 상기 요크(60)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아마츄어(50)가 상기 자력코어(41)에 의해 흡인 회전된 후 위치가 복원될 수 있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복귀스프링(55)은 양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부(51)에 형성된 상부걸림홀(51b)에 걸림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요크(60)에 형성된 하부걸림홀(63)에 걸림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귀스프링(55)은 별도의 접착 등과 같은 과정 없이도 상기 아마츄어(50) 및 상기 요크(60)가 연결되도록 손쉽게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복귀스프링(55)의 탄성복원력은 상기 자력코어(41)에 형성되는 자력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흡인단부(53)는 상기 자력코어(41)의 자력이 작용하면 상기 흡인접촉부(41a)에 접촉되도록 흡인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한편, 상기 구동단부(52)는 상기 베이스부(51)의 하단부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단부가 상기 트립바(75)의 위치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단부(52)는 상기 자력코어(41)의 자력에 의해 상기 흡인단부(53)가 흡인되면 트립 동작이 수행되기 위해 상기 래치부(70)가 회전되도록 상기 트립바(75)에 가압 접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한편, 상기 흡인단부(53)는 상기 베이스부(51)의 상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상향 연장된다. 이때, 상기 흡인단부(53)는 상기 흡인접촉부(41a)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부가 상기 흡인접촉부(41a)의 상면부에 대면되도록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흡인단부(53)는 상기 요크(60)의 장착홈부(61)에 삽입되어 상기 요크(60)의 상단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51)의 상단부로부터 절곡된 부분에 인접한 폭방향 양측에 요크장착홈(53a)이 폭방향 내측으로 각각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장착홈(53a)의 폭은 상기 요크(60)의 두께를 초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마츄어(50)는 상기 요크(6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장착홈부(61)에 상기 흡인단부(5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아마츄어(50)는 상기 장착홈부(61)의 테두리에 지지된 부분을 회전지지점으로서 시소구동될 수 있다.Here, the
즉, 상기 흡인단부(53)는 과전류 발생시 상기 코일(40)로부터 형성된 자력에 의해 상기 장착홈부(61)의 테두리에 지지된 부분을 회전지지점으로서 회전되어 상기 흡인접촉부(41a)에 흡인될 수 있다. 이때, 그리고, 상기 구동단부(52)는 상기 흡인단부(53)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흡인단부(53)와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트립바(75)를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상기 래치부(70)가 회전되어 트립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상기 요크(6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크(60)는 상기 자력코어(41)에 평행하도록 상기 자력코어(41)의 전방에 이격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크(60)는 상기 아마츄어(50) 및 상기 자력코어(4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부(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크(60)의 상단부에는 상기 장착홈부(61)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장착홈부(61)는 상기 요크(60)의 상단부로부터 기설정된 폭으로 하향 함몰될 수 있으며 상기 요크(60)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어 정면에서 바라본 상기 요크(60)가 'Y'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때, 상기 장착홈부(61)의 폭은 상기 흡인단부(53)의 상기 요크장착홈(53a)이 형성된 부분의 폭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흡인단부(53)가 상기 장착홈부(6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요크장착홈(53a)의 내측으로 상기 흡인단부(53)의 테두리부가 슬라이드되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인단부(53)는 상기 요크장착홈(53a)이 상기 요크(60)의 두께를 초과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마츄어(50)는 상기 자력코어(41)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더라도 상기 장착홈부(61)의 테두리에 지지된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유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아마츄어(50)는 상기 흡인단부(53)가 상기 자력코어(41)의 자력에 의해 정확하게 상기 흡인접촉부(41a)에 흡인되도록 상기 요크(6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mounting
한편, 상기 요크(60)에는 상기 장착홈부(61)의 입구측 내면 테두리로부터 상기 장착홈부(6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돌기(6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홈부(61)의 입구측 내면 테두리라 함은 상기 요크(60)의 상단부에 인접한 상기 장착홈부(61)의 개구된 부분의 테두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돌기(62)는 상기 장착홈부(61)의 상호 대향되는 내면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이탈방지돌기(62)는 상기 요크(60)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요크(60)의 상단부로부터 연속적인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돌기(62)는 정상상태에서 상기 흡인단부(53)의 측부가 하단부에 걸림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상상태라 함은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인단부(53)는 상기 복귀스프링(55)의 복원력에 의해 후측으로 갈수록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돌기(62)는 상기 흡인단부(53)가 걸림되어 상기 장착홈부(61)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되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이를 통해, 상기 아마츄어(50)는 외부의 충격이나 과전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자력코어(41)에 흡인된 후 상기 복귀스프링(55)에 의해 위치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돌기(62)에 의해 상기 장착홈부(61)로부터 임의로 분리됨이 방지되므로 조립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그리고, 상기 요크(60)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스프링(69)이 장착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스프링(69)은 접촉부와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접촉부는 상기 경사지지부(21b)의 하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경사지지부(21b)의 폭 이상의 폭을 갖도록 구비되어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경사지지부(21b)의 하면부에 걸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촉부는 상기 경사지지부(21b)에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nd, the lower end of the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촉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각 탄성부는 하단부가 상기 접촉부의 양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중심축이 상기 접촉부의 폭방향에 대응되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에 가압력이 작용되면 탄발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탄성부의 중공에 상기 요크(60)의 걸림장착부(65)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스프링(69)이 상기 요크(60)의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elastic portions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tact portion, and each elastic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by bending and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ontact portion. At this time, the elastic portion is formed with a hollow in the center, the central axis may be wound in a spiral to correspond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can provide a resilient force. Then, the engaging
한편, 상기 요크(60)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스프링(69)이 장착되도록 상기 걸림장착부(65)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요크(60)의 하단부 양측에는 각각 고정커버부(6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고정커버부(64)는 상기 요크(60)의 하단부 양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고정커버부(64)는 하단부가 상기 요크(60)의 몸체 하단부보다 더 하측에 배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고정커버부(64)의 하단부에는 상기 걸림장착부(6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걸림장착부(65)의 대향면 사이간격은 각 상기 탄성부의 외측부 사이간격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걸림장착부(65)는 각 상기 고정커버부(64)의 하단부로부터 상호 대면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걸림장착부(65)의 폭은 상기 탄성부의 폭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장착부(65)가 상기 탄성부의 중공 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의 중공 내면이 상기 걸림장착부(65)에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한편, 상기 요크(60)의 하단부에는 한쌍의 스프링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각 상기 스프링지지홈은 상기 요크(60)의 하단부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스프링지지홈의 사이 간격은 각 상기 탄성부의 외측부 사이간격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a pair of spring support grooves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이때, 각 상기 스프링지지홈에는 상기 지지스프링(69)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스프링(69)의 상단부라 함은 상기 탄성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의 중공에 상기 걸림장착부(65)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지지스프링(69)의 상단부가 상기 스프링지지홈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촉부에 가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스프링지지홈에 의해 상단부측이 구속된 상태이므로 상기 접촉부에 탄발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지지스프링(69)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걸림장착부(65)에 장착될 수 있다. 먼저, 각 상기 탄성부 간의 이격간격이 좁아지도록 상호 대면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각 상기 탄성부를 각 상기 걸림장착부(65)의 대향면 사이에 삽입한 후 가압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상기 지지스프링(69)은 탄성변형된 상기 절곡된 부분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으며 각 상기 탄성부의 중공에 상기 걸림장착부(65)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스프링(69)의 상단부를 상기 스프링지지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지지스프링(69)의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 Here, the
이에 따라, 상기 지지스프링(69)은 가압력을 제공하여 간단하게 상기 요크(60)의 하단부에 손쉽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스프링(69)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접착 등의 결합을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생략되므로 제품의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스프링(69)은 탄발복원력만으로 상기 요크(60)에 장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콘텍판부(21a)를 탄발지지하는 구조로 구비되므로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스프링(69)은 각 상기 탄성부 중 일측 탄성부의 중공에 일측 걸림장착부를 먼저 삽입하고 타측 탄성부를 가압하여 타측 걸림장착부가 중공에 삽입되도록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지지스프링(69)은 상기 요크(60)의 하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접촉부가 상기 경사지지부(21b)의 하면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21b)의 후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스프링(69)은 상기 접촉부가 상기 경사지지부(21b)에 의해 상기 탄성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가압 회전되어 탄성변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탄성부의 탄발복원력이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경사지지부(21b)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콘텍판부(21a)는 상기 회전중심돌기(21c)를 기준으로 회전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텍판부(21a)는 회전력에 의해 정상상태에서 상기 가동접점부(22)가 상기 고정접점부(13)에 접촉된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콘텍판부(21a)는 상기 지지스프링(69)으로부터 지속적인 탄발복원력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가동접점부(22) 및 상기 고정접점부(13)의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상호 간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스프링(69)은 상기 요크(60)의 하단부에 장착되므로 상기 몸체부(10)에 장착을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지 않아 제품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Here, a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is transmitted to the
그리고, 상기 요크(60)의 하단부에는 후측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 코어장착부(66)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코어장착부(66)는 상기 요크(60)의 몸체로부터 수직 절곡지게 일체로 연장될 수 있으며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코어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삽입홀의 내경은 상기 자력코어(41)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자력코어(41)의 하단부가 상기 코어삽입홀를 관통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자력코어(41)는 하단부가 상기 코어삽입홀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하단부로부터 상부의 외면에 상기 코일(40)이 권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력코어(41)는 상기 코어삽입홀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요크(60)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된 상태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And, the low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자력코어(41)는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요크(60) 및 상기 흡인단부(53)에 의해 자력이 보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코일(40)에는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면 자속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자속은 상기 자력코어(41)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코어장착부(66), 상기 요크(60), 상기 흡인단부(53) 및 상기 자력코어(41)의 상단부로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자력코어(41)에는 상기 자속에 의해 자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자력코어(41)에 발생한 자력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으며 상기 흡인접촉부(41a)에 자성체를 잡아당기는 흡인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력코어(41)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상기 흡인단부(53)가 상기 자력코어(41)의 자력에 의해 흡인될 수 있다. And. Magnetic force may be generated in the
여기서, 상기 요크(60)는 상기 자력코어(41)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상기 자속이 통과할 수 있는 자속 이동경로 즉, 자로(magnetic path)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기 자력코어(41)에는 상기 요크(60)에 의해 상기 자속의 분산이 최소화되어 상기 흡인접촉부(41a)에 상기 흡인단부(53)가 안정적으로 흡인되도록 충분한 자력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Here, the
한편,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0)에는 상기 트립바(75), 상기 래치부(70), 상기 크래들(73) 및 상기 조립부(80)가 설치되는 핸들장착부(14)가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핸들장착부(14)가 상기 하우징부(10)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1 to 3b, the
여기서, 상기 핸들장착부(14)는 상호 이격된 한쌍의 측벽면을 포함하여 뒤집힌 'U' 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트립바(75), 상기 래치부(70), 상기 크래들(73) 및 상기 조립부(80)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핸들장착부(14)의 한쌍의 측벽면에는 상기 트립바(75)가 배치되는 한쌍의 제1관통공(14a), 상기 크래들(73)이 배치되는 한쌍의 제2관통공(14b), 상기 가압봉부(83)가 배치되는 한쌍의 제3관통공(14c)이 각각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장착부(14)의 한쌍의 측벽면에는 상기 래치부(70)의 래치회전축(71)이 삽입되는 제1정렬홀(14d), 상기 크래들(73)의 크래들회전축(73b)이 삽입되는 제2정렬홀(14e)이 각각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한편, 상기 트립바(75)는 상기 하우징부(1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절연 재질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1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립바(75)는 외측부가 상기 구동단부(52)의 하단 전면에 대향 배치되되, 상기 핸들장착부(14)의 제1관통공(14a)에 전후 이동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관통공(14a)은 상기 핸들장착부(14)의 측벽면 하부에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립바(75)는 폭방향 외측단이 상기 제1관통공(14a)의 폭방향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며, 폭방향 내측단이 상기 핸들장착부(14)의 내측에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래치부(70)는 상기 핸들장착부(14)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하단에 상기 트립바(75)가 연결되며, 중앙부가 상기 핸들장착부(14)의 제1정렬홀(14d)에 힌지 연결된 래치회전축(71)을 기준으로 전후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정렬홀(14d)은 상기 제1관통공(14a)의 상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70)가 회전시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래치회전축(71)에 래치복원부(70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또한, 상기 래치부(70)의 상부에는 전향 연장 돌설된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지게 돌설되는 래치걸림돌기(7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래치걸림돌기(72)는 상기 크래들(73)이 상기 제2관통공(14b)의 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크래들(73)의 상부 전측에 걸림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상기 크래들(73)은 상단 전측이 상기 래치부(7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래치걸림돌기(72)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되, 하단부가 상기 핸들장착부(14)의 제2정렬홀(14e)에 힌지 연결된 크래들회전축(73b)을 기준으로 전후 회전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정렬홀(14e)은 상기 제2관통공(14b)의 하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크래들(73)의 상부에는 상기 래치걸림돌기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안내되도록 안내돌기(73a)가 후향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크래들(73)의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걸림링크(74)의 일측이 힌지 연결되되, 상기 걸림링크(74)의 일측은 상기 제2관통공(14b)의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크래들(73)에 삽입되어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locking
여기서, 상기 걸림링크(74)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링크(74)의 타측은 후술되는 제1링크부(81)의 하단 및 상기 제2링크부(82)의 상단 사이에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ocking
그리고, 상기 핸들부(80)는 상기 핸들장착부(14)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하부에 상기 크래들(73)과 상기 걸림링크(74)를 통해 링크 연결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30)를 하향 가압하는 링크부(81,82)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링크부(81,82)는 상단이 상기 핸들부(80)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며, 하단이 상기 걸림링크(74)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2링크부(82)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는 상기 제1링크부(8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이때, 상기 핸들부(80)의 하단 및 상기 제1링크부(81)의 상단에는 토션스프링 등으로서 핸들복원수단(80a)이 구비되어 상기 핸들부(80)가 전류차단방향인 후측방향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복원수단(80a)의 중앙부 중공이 상기 핸들부(80)와 상기 핸들장착부(14)를 힌지 연결하는 축에 삽입되되 고정단이 상기 핸들장착부(14)에 고정되고 자유단이 상기 핸들부(80)의 하단 및 상기 제1링크부(81)의 상단을 힌지 연결하는 축에 걸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링크부(81,82)는 상단이 상기 제1링크부(81)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며, 하단에 상기 크로스바(30)의 안착홈부(33)에 삽입되는 상기 가압봉부(83)가 연결되는 상기 제2링크부(8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And, the
여기서, 상기 가압봉부(83)는 상기 제3관통공(14c)에 폭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봉부(83)가 상기 크로스바(30)를 가압하여 상기 전원입력부(11)로부터 상기 가동스위칭부(20)가 선택적으로 점점 연결 및 분리되기 위해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제3관통공(14c)은 상기 핸들장착부(14)의 측벽면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한편, 상기 핸들장착부(14)의 폭방향 외측면에는 스프링고정돌기(14f)가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고정돌기(14f)의 돌설 길이는 상기 걸림링크(74)의 직경을 초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상기 차단기(100)는 상단이 상기 스프링고정돌기(14f)에 걸림 연결되되 하단이 상기 가압봉부(83)에 걸림 연결되도록 코일스프링 등으로서 구비되는 복원수단(84)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원수단(84)은 상기 가압봉부(83)가 상측으로 탄발복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차단기(100)의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는 정상상태에서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Meanwhile, a use state in a normal state in which no overcurrent of the
먼저, 상기 가압봉부(83)가 상기 제3관통공(14c)의 상단에 배치된 초기상태에서,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상기 크래들(73)의 상단 전측에 걸림되도록 상기 핸들부(80)가 후방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링크(74)가 상기 제2관통공(14b)의 후단으로 연동 이동됨에 따라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상기 크래들(73)의 상단 전측에 걸림된다. 이때,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상기 크래들(73)의 상단 전측에 걸림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트립바(75)의 이동시에도 트립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First,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상기 크래들(73)의 상단 전측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80)가 전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걸림링크(74)의 후방부가 상기 제2관통공(14b)의 후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링크(74)의 전방부가 하향 회전됨에 따라 이에 연동된 상기 가압봉부(83)가 상기 제3관통공(14c)의 하단으로 가압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봉부(83)가 상기 크로스바(30)를 하향 가압하여 상기 콘텍판부(21a)의 전단이 연동 회전되어 상기 가동접점부(22)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상호 접점 연결된다. 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상기 크래들(73)의 상단 전측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8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걸림링크(74)의 후방부가 상기 제2관통공(14b)의 후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링크(74)의 전방부가 상향 회전됨에 따라 이에 연동된 상기 가압봉부(83)가 상기 복원수단(84)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관통공(14c)의 상단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봉부(83)에 의한 상기 크로스바(30)를 가압이 해제되며 상기 콘텍판부(21a)의 전단이 연동 회전되어 상기 가동접점부(22)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상호 분리된다. 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한편, 상기 차단기(100)의 과전류 발생시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ate of use when the overcurrent of the
상세히,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상기 크래들(73)의 상단 전측에 걸림되며 상기 핸들부(80)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동접점부(22)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상호 접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40)에 과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자력코어(41)의 흡인접촉부(41a)에 상기 흡인단부(53)가 흡인 회전됨에 따라 상기 흡인단부(53)와 일체로 회전되는 상기 구동단부(52)가 상기 트립바(75)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트립바(75)가 전방으로 가압되면 상기 래치부(70)의 상단 및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상기 래치회전축(71)을 중심으로 후측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크래들(73)의 상단 전측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걸림링크(74)의 후방부가 상기 제2관통공(14b)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순간적으로 탄발복원력에 의해 이동된다. 이때, 상기 래치복원부(70a)의 상단이 상기 래치부(70)의 상부 후측에 걸림되되 하단이 상기 걸림링크(74)의 후방부에 걸림되어 탄발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링크(74)의 후방부가 상기 제2관통공(14b)의 전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래치복원부(70a)의 하단이 상기 크래들회전축(73b)에 걸림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이에 따라, 상기 걸림링크(74)의 후방부가 상기 제2관통공(14b)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순간적으로 탄발복원력에 의해 이동되면, 상기 가압봉부(83)가 상기 복원수단(84)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관통공(14c)의 상단으로 이동되며, 상기 가압봉부(83)에 의한 상기 크로스바(30)를 가압이 해제되며 상기 콘텍판부(21a)의 전단이 연동 회전되어 상기 가동접점부(22)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상호 분리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핸들부(80)가 후측으로 탄발복원되며 회전된다. 이를 통해, 과전류 발생시 상기 가동접점부(22)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순간적으로 상호 분리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rear portion of the locking
한편,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은 상기 크로스바(30)의 상부에 고정단(91)이 결합 고정되되, 상기 고정단(91)의 후단으로부터 예각(θ2)을 갖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자유단(92)이 상기 콘텍판부(21a)의 상부에 대향 배치된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은 고정단(91)과 자유단(92)이 상호 일체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고정단(91)을 기준으로 상기 자유단(92)이 후향 굴곡 변형됨에 따라 상기 콘텍판부(21a)의 후단부에 둔각(θ1)을 갖도록 상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상기 경사지지부(21b)를 하향 가압하여 상기 콘텍판부(21a)가 회전되어 상기 전원입력부(11)로부터 이격되도록 후면이 전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라 함은 상기 하우징부(10) 내부의 공기온도와 상기 하우징부(10) 내부에 배치된 각 구성요소들의 온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And, the
예컨대,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은 구리 재질의 평판이 전면에 배치되고 구리 재질보다 열팽창계수가 낮은 철 재질의 평판이 후면에 배치되어 상호간 접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의 고정단(91)이 상기 크로스바(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유단(92)이 후향 굴곡 열변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mperature-
이때, 상기 기설정된 안전온도는 70~100℃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과전류에 의한 온도 상승이 아닌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 상승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이 굴곡 열변형됨에 따라 상기 콘텍판부(21a)가 상기 전원입력부(11)로부터 상호 분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safety temperature may be set to 70 ~ 100 ℃, most preferably 80 ℃. That is,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즉,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은 과전류 발생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상기 아마츄어(50)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이다. That is, the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단(91)에는 제1고정홀(91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바(30)의 상부에는 상기 제1고정홀(91a)이 정렬되도록 제2고정홀(3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a
또한, 상기 차단기(100)는 상기 제1고정홀(91a) 및 상기 제2고정홀(32)에 체결되는 체결부재(93)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의 고정단(91)이 상기 체결부재(93)를 통해 상기 크로스바(30)의 상부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92)이 상기 고정단(91)을 기준으로 후향 굴곡 변형되어 상기 경사지지부(21b)를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단(91)의 후단이 상기 경사지지부(21b)의 상측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자유단(92)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경사지지부(21b)의 상부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이때, 상기 자유단(92)이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경사지지부(21b)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의 상기 예각(θ2)과 상기 둔각(θ3)의 합이 실질적인 180°로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상기 크래들(73)의 상단 전측에 걸림되며 상기 핸들부(80)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의 자유단(92)이 상기 경사지지부(21b)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상기 가동접점부(22)가 접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6, the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래치걸림돌기(72)가 상기 크래들(73)의 상단 전측에 걸림되며 상기 핸들부(80)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의 자유단(92)이 열팽창계수에 의해 상기 고정단(91)의 후단을 기준으로 후향 굴곡 열변형된다. And, referring to Figure 7, the
이어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의 자유단(92)이 후향 굴곡 열변형됨에 따라 상기 고정단(91) 및 상기 자유단(92) 간의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인 경우의 예각(θ3)이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의 상기 예각(θ2)보다 증가된다. Subsequently, as the
이에 따라, 상기 자유단(92)이 상기 경사지지부(21b)를 후향 가압함에 따라 상기 경사지지부(21b)가 상기 회전중심돌기(21c)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콘텍판부(21a)가 상기 회전중심돌기(21c)를 중심으로 상향 회전되어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상기 가동접점부(22)가 상호 분리된다. Accordingly, as the
즉,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에 의한 상기 콘텍판부(21a)의 가압 회전을 통해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상기 가동접점부(22)가 상호 분리되어 상기 차단기(100)의 온/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전류 흐름이 신속하게 차단된다. That is,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이때,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핸들부(80)를 조작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자유단(92)이 상기 경사지지부(21b)를 가압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상기 가동접점부(22)가 상호 분리된 상태가 유지된다.At this time, even if the user arbitrarily rotates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에서부터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으로 재하강하면 후향 굴곡 변형된 상태의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의 자유단(92)이 초기상태로 전향 복원된다. 즉, 상기 고정단(91) 및 상기 자유단(92) 간의 각도가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의 상기 예각(θ2)으로 복원된다. Then,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100)에는 상기 크로스바(30)의 상부에 고정단(91)이 결합 고정되되, 상기 고정단(91)의 후단으로부터 예각(θ2)을 갖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자유단(92)이 상기 콘텍판부(21a)의 상부에 대향 배치되고, 후면이 전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이 구비된다. As described above, a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고정단(91)을 기준으로 상기 자유단(92)이 후향 굴곡 변형됨에 따라 상기 콘텍판부(21a)의 후단부를 하향 가압하면 상기 콘텍판부(21a)가 상기 회전중심돌기(21c)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전단이 상기 전원입력부(11)로부터 이격되어 전류 흐름을 차단한다. Through this,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10)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 상승시 상기 크로스바(30)에 고정된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의 고정단(91)을 기준으로 자유단(92)이 후향 굴곡 열변형됨에 따라 상기 콘텍판부(21a)를 가압하면 상기 콘텍판부(21a)가 회전되어 상기 전원입력부(11)로부터 이격되므로 화재시 전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또한,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92)이 상기 고정단(91)을 기준으로 후향 굴곡 변형되어 상기 콘텍판부(21a)의 후단으로부터 둔각(θ1)을 갖도록 상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상기 경사지지부(21b)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고정단(91)의 후단이 상기 경사지지부(21b)의 상측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자유단(92)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경사지지부(21b)의 상부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핸들부(8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경사지지부(21b)가 상기 자유단(92)에 의해 가압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상기 가동접점부(22)가 상호 분리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전류가 차단되므로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의 상기 예각(θ2)과 상기 둔각(θ1)의 합이 실질적인 180°로 설정되므로 상기 자유단(92)이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경사지지부(21b)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m of the acute angle (θ2) and the obtuse angle (θ1)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또한, 상기 고정단(91)에 관통 형성된 제1고정홀(91a)을 상기 크로스바(3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된 제2고정홀(32)에 정렬하여 상기 체결부재(93)를 통해 상기 온도감지 바이메탈(90)의 고정단(91)을 상기 크로스바(30)의 상부에 체결하는 간편한 조립구조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aligning the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erms "include", "compose", "have" or "have" as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intrinsic, unless otherwise stat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rather than exclud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하우징부 11: 전원입력부
12: 부하출력부 20: 가동스위칭부
30: 크로스바 40: 코일
41: 자력코어 50: 아마츄어
60: 요크 70: 래치부
73: 크래들 75: 트립바
80: 핸들부 90: 온도감지 바이메탈
100: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10: housing unit 11: power input unit
12: load output section 20: movable switching section
30: crossbar 40: coil
41: magnetic core 50: amateur
60: yoke 70: latch
73: cradle 75: trip bar
80: handle 90: temperature sensing bimetal
100: rotary temperature sensor circuit breaker
Claims (5)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상기 전원입력부에 선택적으로 접점 연결되는 콘텍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상기 콘텍판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콘텍판부에 연결된 크로스바;
상기 콘텍판부의 후방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흡인자력을 형성하는 자력코어의 외주를 감싸며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에 과전류 발생시 상기 자력코어의 상부에 흡인 회전되는 흡인단부와, 상기 흡인단부의 전단부측으로부터 일체로 하향 절곡 연장되어 트립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단부를 포함하는 아마츄어;
상기 구동단부의 하단 전면에 대향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된 핸들장착부에 전후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트립바;
하단에 상기 트립바가 연결되며, 중앙부가 상기 핸들장착부에 연결된 래치회전축을 기준으로 전후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
상단이 상기 래치부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되, 하단부가 상기 핸들장착부에 연결된 크래들회전축을 기준으로 전후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크래들;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된 핸들장착부에 전후 회전 조작되도록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크래들과 링크 연결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링크부가 연결되는 핸들부; 및
상기 크로스바의 상부에 고정단이 결합 고정되되, 상기 고정단의 후단으로부터 예각을 갖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자유단이 상기 콘텍판부의 상부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고정단을 기준으로 상기 자유단이 후향 굴곡 변형됨에 따라 상기 콘텍판부의 후단부를 하향 가압하면 상기 콘텍판부가 회전되어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후면이 전면보다 낮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 바이메탈을 포함하되,
상기 콘텍판부에는 후단으로부터 둔각을 갖도록 상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경사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이 상기 고정단을 기준으로 후향 굴곡 변형되어 상기 경사지지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단의 후단이 상기 경사지지부의 상측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경사지지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 A housing unit provided with a power input unit and a load output unit spaced apart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 movable switching unit provided with a contact plate portion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for selective power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input unit and the load output unit;
A crossbar connected to the contact plate portion to selectively press the contact plate portion;
A coil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rear portion of the contact plate portion and the load output portion and is disposed surrounding an outer periphery of a magnetic core that selectively forms a suction force;
When the overcurrent occurs in the coil, the armature includes a suction end that is suction-rot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gnetic core and a driving end that is integrally downwardly bent from the front end side of the suction end and rotates integrally to perform a trip operation;
A trip bar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front of the driving end portion and disposed to move back and forth in a handle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housing portion;
The latch bar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 centr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latch portion that is rotated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latch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A cradle having an upper end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atch, and having a lower end rotated back and forth relative to a cradle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A handle part coupled to the handle mounting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part to be rotated back and forth, and linked to the cradle at the bottom, but a link part for downwardly pressing the crossbar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And
A fixed end is fixed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rossbar, and a free end that is bent downwardly downwardly extending to have an acute angle from a rear end of the fixed e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ct plate portion, and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portion is preset. When the free end is bent and deformed backwards based on the fixed e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the temperature, whe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ontact plate portion is pressed downward, the contact plate portion is rotated so that the rear surface is formed with a lower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than the front side. Includes temperature sensing bimetal,
The contact plate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pport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upward to have an obtuse angle from the rear en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portion rises above a predetermined safety temperature, the free end is flexibly deforme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end to press the inclined support, so that the rear end of the fixed e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support , The free end is a contact plate portion rotary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por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afety temperature.
상기 자유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경사지지부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의 상기 예각과 상기 둔각의 합이 실질적인 180°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According to claim 1,
The sum of the acute angle and the obtuse angl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portion is less than a preset safety temperature is substantially 180° so that the free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ousing portion is less than a preset safe temperature. It is set to the contact plate rotation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상기 고정단에는 제1고정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바의 상부에는 상기 제1고정홀이 정렬되도록 제2고정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홀 및 상기 제2고정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According to claim 1,
A first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ixing end, and a second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crossbar so that the first fixing hole is aligned.
A contact plate rotation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hole and the second fixing hole.
상기 콘텍판부에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경사지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콘텍판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중앙 측부로부터 기준 회전축을 제공하는 회전중심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콘텍판부의 전단부를 선택적으로 하향 가압하도록 상기 회전중심돌기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판부 회전형 온도감지 차단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ct center portion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rotation to provide a reference axis of rotation from the central side so that the free end presses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so that the contact plate portion is spaced from the power input portion,
The crossbar is a contact plate portion rotating temperature sensing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rotation center projection to selectively pres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ontact plat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5462A KR102142353B1 (en) | 2020-04-14 | 2020-04-14 | contact-bar rotating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5462A KR102142353B1 (en) | 2020-04-14 | 2020-04-14 | contact-bar rotating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2353B1 true KR102142353B1 (en) | 2020-08-07 |
Family
ID=7204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5462A KR102142353B1 (en) | 2020-04-14 | 2020-04-14 | contact-bar rotating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235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1427Y1 (en) | 2003-11-18 | 2004-02-11 | 신동아전기(주) | earth leakage breaker |
KR20100064244A (en) * | 2008-12-04 | 2010-06-1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Home circuit breaker |
KR20170005644A (en) * | 2015-07-06 | 2017-01-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Temperature reactable electronic component |
KR101818197B1 (en) * | 2017-08-28 | 2018-01-12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2020
- 2020-04-14 KR KR1020200045462A patent/KR10214235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1427Y1 (en) | 2003-11-18 | 2004-02-11 | 신동아전기(주) | earth leakage breaker |
KR20100064244A (en) * | 2008-12-04 | 2010-06-1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Home circuit breaker |
KR20170005644A (en) * | 2015-07-06 | 2017-01-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Temperature reactable electronic component |
KR101818197B1 (en) * | 2017-08-28 | 2018-01-12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8197B1 (en)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CA2158966C (en) | Blade suspension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 |
KR101857239B1 (en) | circuit breaker | |
KR102169502B1 (en) | trip-unit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KR102155226B1 (en) | amateur pressing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KR102155219B1 (en) | amateur through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KR102124797B1 (en) | bending press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KR101850310B1 (en) | apparatus for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 |
US20110102126A1 (en) | Thermostat | |
KR102142601B1 (en) | amateur connected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KR102142353B1 (en) | contact-bar rotating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KR102142354B1 (en) | trip-bar insert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KR101895264B1 (en) | circuit breaker | |
US5444423A (en) | Latch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 |
KR102142609B1 (en) | yoke connected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EP0695459B1 (en) | Handle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 |
KR101834428B1 (en) | apparatus for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 |
KR102169495B1 (en) | button pressing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KR102155223B1 (en) | amateur hanging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CN212257320U (en) | Tripping system of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 |
KR101795767B1 (en) | apparatus for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 |
KR102175529B1 (en) | trapezoid locking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KR102169494B1 (en) | handle umbrella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KR102155230B1 (en) | amateur hanging rotate type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breaker | |
RU2461906C1 (en) | Ultra small safety swi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