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246B1 -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246B1
KR102142246B1 KR1020170023404A KR20170023404A KR102142246B1 KR 102142246 B1 KR102142246 B1 KR 102142246B1 KR 1020170023404 A KR1020170023404 A KR 1020170023404A KR 20170023404 A KR20170023404 A KR 20170023404A KR 102142246 B1 KR102142246 B1 KR 102142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ed
unit
original
defective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958A (ko
Inventor
권기완
조성실
Original Assignee
권기완
조성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완, 조성실 filed Critical 권기완
Priority to KR102017002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2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0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magazine to conveying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4Cards, e.g. telephone, credit and identity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지에 복수개로 인쇄된 트럼프카드 인쇄면의 불량 여부를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판별 및 구분해서 별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부분의 불량 표시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해 인쇄작업의 수정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장치본체의 일측에,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가 적층 구비되고,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를 상승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와;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로부터 낱장씩 피검사대상원단지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피검사대상원단지에 인쇄된 복수개의 트럼프카드인쇄면의 인쇄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 및, 불량표시부와;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에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로부터 최상단 피검사대상원단지를 낱장씩 분리하는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와;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를 통해 정품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를 공급받아 적층하고,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를 하강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와;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를 통해 불량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를 공급받아 적층하고,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를 하강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와;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에 의해 낱장으로 들어 올려진 피검사대상원단과,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를 통해 정품 또는 불량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를 장치본체의 옆으로 당기거나 밀어 위치를 세팅시키는 제1,2,3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와; 상기 피검대상원단지 적층부 및,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의 피검사대상원단지를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와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 및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로 이송시키는 피검사대상원단 공급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trump card}
본 발명은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지에 복수개로 인쇄된 트럼프카드 인쇄면의 불량 여부를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판별 및 구분해서 별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부분의 불량 표시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해 인쇄작업의 수정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트럼프카드는 각각 다이아몬드, 하트, 스페이드, 클로버의 4종류로 13매의 트럼프카드를 1조로 하였으며, 킹, 퀸, 젝크와 A에서 10까지의 숫자 등을 표시하여 총 52매로 이루어져 트럼프카드의 조합을 통하여 점수를 부여한 후 승자를 가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 신용카드, 현금카드, 출입증, 사원증, 주민등록증 등과 같은 카드의 표면에 인쇄된 일련번호와 RFID로 저장된 일련번호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 즉 공개특허 2012-0072866호(2012.07.04.공개.) "카드 불량 검사장치 및 방법"이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상기 카드 불량 검사장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가 수납되는 카드 적재함(10), 이 카드 적재함(10)에 적재된 카드(100)를 낱장씩 이송시키는 카드 이송유닛(20), 이 카드 이송유닛(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카드(100)의 표면에 인쇄된 일련번호를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 유닛(40)과 카드(100)에 저장된 일련번호를 검출하기 위한 리더기(50) 및 카드(100)를 정상품(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리하는 분리유닛(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카메라 유닛(40)과 리더기(5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분리유닛(60)을 제어하는 제어부(55)를 더 포함한다.
카드 적재함(10)의 상측에는 카드(100)가 투입되는 카드투입구(12)가 마련되고, 하측에는 카드(100)가 낱장씩 인출되어 카드 이송유닛(20)으로 공급되는 카드 인출구(14)가 형성된다. 카드 적재함(10)으로 투입되는 트럼프카드(100)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되고, 제일 하측에 위치하는 카드(100)는 카드 인출구(14)를 통하여 트럼프카드 이송유닛(20)에 공급된다. 카드 적재함(10)의 하측에는 카드(100)를 낱장씩 트럼프카드 인출구(14)로 인출시키는 카드 인출장치(70)가 구비된다. 이 카드 인출구(14)는 카드(100)가 한 장씩 배출되도록 카드(100)가 한 장만 인출되는 높이를 가진다.
카드 이송유닛(20)은 카드 인출구(14)와 접하여 있도록 배치된다. 카드 이송유닛(20)은 벨트 컨베이어(beltconveyor)의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카드 이송장치는 테이블(22), 이 테이블(22)의 양단 부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구동풀리(24) 및 피동풀리(26), 이 두 풀리(24)(26)에 감기며 카드(100)가 이송되는 벨트(28), 구동풀리(24)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0)를 포함한다. 테이블(22)의 일측에는 카드(100)가 검사위치에 도착하면 이를 감지, 제어부(55)에 신호를 인가하는 위치 감지센서(45)가 설치된다. 즉, 카드(100)가 검사위치에 도착하면, 위치 감지센서(45)는 제어부(55)에 신호를 인가하고 제어부(55)는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카드(100)가 검사위치에 정지된 상태로 위치되게 한다.
카메라 유닛(40)은 테이블(22)의 상측에 배치되어 벨트(28) 위에 놓여진 카드(100)를 촬영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55)로 인가한다. 즉, 카메라 유닛(40)은 카드(100)의 표면에 인쇄된 일련번호를 이미지 형태로 검출하여 숫자화 알고리즘을 통해 숫자정보화하여 제어부(55)로 인가한다. 분리유닛(60)은 카드 이송유닛(20)에 의하여 이송되는, 불량 여부 검사가 완료된 카드(100)를 불량품과 정상품으로 나누어서 회수한다. 이러한 분리유닛(60)은 카드 이송유닛(20)의 일측에 배치되어 불량트럼프카드가 저장되는 불량 카드함(62), 정상카드가 저장되는 정상 카드함(64), 제어부(55)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불량카드가 불량 카드함(62)에 수납되도록 안내하는 작동부(66)를 포함한다.
이같이 종래에는 신용카드, 현금카드, 출입증, 사원증, 주민등록증 등과 같은 카드 분야에, 카드의 표면에 인쇄된 일련번호와 RFID로 저장된 일련번호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트럼프카드의 경우에는 원단지의 표면에 인쇄된 트럼프카드의 인쇄면이 정확히 인쇄되었는지 여부를 사람이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여 불량품을 선별하도록 되어 있어 생산성 저하는 물론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고 별도의 인력 투입으로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2012-0072866호(2012.07.04.공개.) "카드 불량 검사장치 및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단지에 복수개로 인쇄된 트럼프카드 인쇄면의 불량 여부를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판별 및 구분해서 별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부분의 불량 표시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해 인쇄작업의 수정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의 한 형태는, 장치본체의 일측에,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가 적층 구비되고,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를 상승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와;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로부터 낱장씩 피검사대상원단지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피검사대상원단지에 인쇄된 복수개의 트럼프카드인쇄면의 인쇄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 및, 불량표시부와;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에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로부터 최상단 피검사대상원단지를 낱장씩 분리하는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와;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를 통해 정품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를 공급받아 적층하고,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를 하강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와;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를 통해 불량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를 공급받아 적층하고,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를 하강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와;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에 의해 낱장으로 들어 올려진 피검사대상원단과,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를 통해 정품 또는 불량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를 장치본체의 옆으로 당기거나 밀어 위치를 세팅시키는 제1,2,3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와; 상기 피검대상원단지 적층부 및,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의 피검사대상원단지를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와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 및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로 이송시키는 피검사대상원단 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 단부 중간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지지플레이트 및 제2 지지플레이트 각각의 하부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단부에 흡착구를 갖는 흡착 공압실린더A와;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및 제2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고, 리프팅 작동실린더에 의한 링크의 연결로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의 리프팅 후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3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는, 장치본체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면에 지지대에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이송가이드 및, 상기 이송가이드 상에 결합되는 이송슬라이더와; 상기 이송슬라이더 상에 고정되고, 양측 하부에 흡착구를 갖는 흡착 공압실린더B가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방측에 연결 및 구비되어 지지플레이트를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작동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검사대상원단 공급부는, 장치본체의 일측면 전장에 걸쳐 설치된 구동가이드 및,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에 고정 및 설치된 하부블록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가이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슬라이더와; 상기 구동슬라이더 상에 고정되고, 전방측에 고정블록을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에 후방 하부 양측이 힌지로 결합되고, 후방측 중간은 하부블록 상의 고정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상판;으로 구성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는,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와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 및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 각각의 내부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의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적층플레이트와; 상기 각각의 볼스크류의 이송나사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볼스크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는, 피검사대상원단지에 인쇄된 복수개의 트럼프카드인쇄면의 가로 방향 개수에 대응되게 장치본체의 상부측 횡방향의 일렬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비젼카메라로 구성되고; 상기 불량표시부는, 불량 신호에 의한 솔레노이드 작동으로 마커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여 표시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지에 복수개로 인쇄된 트럼프카드 인쇄면의 불량 여부를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판별 및 구분해서 별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부분의 불량 표시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해 인쇄작업의 수정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인력 투입이 불필요하고 제조원가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 확보로 가격 경쟁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도 1의 제1,2,3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도 1의 피검사대상원단지 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6은 도 1의 리프트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도 1의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 및, 불량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방형의 함체 형태로 장치본체(10)가 구비되고, 장치본체(10)는 4개 부분, 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30),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 및, 불량표시부(50),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70),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80)로 구획 형성된다.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30)는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가 적층 구비되고,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상승시키는 리프트(20)를 포함한다. 즉 리프트(20) 위에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가 적층되어 검사를 위해 대기하고, 후술되어질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60)에 의해 최상단 피검사대상원단지(P)가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 및, 불량표시부(50)를 불량 여부가 판별된 후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70) 또는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80)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 및, 불량표시부(50)는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30)로부터 낱장씩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공급받은 피검사대상원단지(P)에 인쇄된 복수개의 트럼프카드인쇄면(PA)의 인쇄 불량 여부를 판별하고 불량인 경우에는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60)는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30)에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로부터 최상단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낱장씩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70)는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를 통해 정품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공급받아 적층하고,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하강시키는 리프트(20)를 포함하며, 상기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80)는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를 통해 불량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공급받아 적층하고,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하강시키는 리프트(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60)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본체(10)의 일측 단부 중간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지지플레이트(61) 및 제2 지지플레이트(62) 각각의 하부측에 수직 방향으로 흡착구(63a)를 갖는 흡착 공압실린더A(63)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61) 및 제2 지지플레이트(62)의 사이에 수직의 리프팅 후크(67)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 후크(67)는 상부측 리프팅 작동실린더(64)에 의한 링크(65)의 연결로 회전중심축(66)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서, 리프팅 작동실린더(64)가 링크(65)를 밀면, 상기 링크(65)에 연결된 리프팅 후크(67)가 회전중심축(66)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최상단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낱장씩 분리하고, 링크(65)를 당기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최상단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낱장씩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60)에 의해 낱장으로 들어 올려진 피검사대상원단()은 제1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90a)에 의해 장치본체(10)의 옆으로 당겨지고, 그 당겨진 피검사대상원단지(P)는 피검사대상원단지 공급부(100)에 의해 피검대상원단지 적층부(30)에서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에 공급되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에서 정품과 불량품으로 판별된다. 그리고 불량품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P)는 불량표시부(50)에 의해 불량에 해당하는 트럼프카드인쇄면(PA)에 표시를 하게 된다.
상기 제1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90a) 및 제2,3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90b)(90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0)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91)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91)의 상단면에 지지대(91)에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대(92)가 연결되며, 상기 설치대(92) 상에 이송가이드(93)가 설치대(9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이송가이드(93) 상에 이송가이드(63)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이송슬라이더(94)가 하부에 구비된 지지플레이트(95)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95)는 후방측 슬라이드 작동실린더(96)에 의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95)의 양측 하부에 흡착구(63a)를 갖는 흡착 공압실린더B(95a)가 구비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1,2,3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90a)(90b)(90c)는, 작동실린더(96)의 로드가 전진하면, 상기 작동실린더(96)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95)도 함께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95)는 하부측 이송슬라이더(94)가 이송가이드(93)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것에 의해 전진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플레이트(95)가 전진하여 위치가 정해지면, 흡착 공압실린더B(95a)의 작동에 의해 흡착구(63a)가 하강하여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흡착한 후, 다시 작동실린더(96)의 로드가 후진함으로써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장치본체(10)의 옆으로 당겨 이동시키거나 다시 전진하여 장치본체(10)의 옆에 있는 피검대상원단지(P)를 밀어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공급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0)의 일측면 전장에 걸쳐 설치된 구동벨트(102)에 하부블록(103a)이 고정되고, 전면부에 상기 장치본체(10)의 일측면 전장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구동가이드(101)에 결합된 구동슬라이더(103)가 구비되어 구동벨트(102)의 정.역 구동에 의해 구동가이드(101)를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구동슬라이더(103)의 상부측 베이스판(104) 상에, 전방측에 고정블록(104a)을 갖는 상판(105)의 후방측이 힌지(105a) 결합되고, 상기 상판(105)의 후방측 중간은 하부블록(103a) 상의 고정실린더(106)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실린더(106)의 작동에 의해 상판(105)이 고정블록(104a)에 밀착되거나 벌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제1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90a)에 의해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30)의 옆으로 이동된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에 공급하는 것과, 제2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90b)에 의해 검사를 마치고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 옆에 위치한 정품 또는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70) 또는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80)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30)와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70) 및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80) 각각의 내부에 구비된 리프트(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된 볼스크류(21)의 스크류 슬라이더(21a)에 적층플레이트(22)를 연결하고, 각각의 볼스크류(21)의 이송나사(21b)와 구동모터(23)의 사이를 체인(23a)으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23)의 구동에 의해서 적층플레이트(22)가 승강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서,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30)의 내부에 구비된 리프트(20)는 적층플레이트(22)에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 중에 최상단 피검사대상원단지(P)가 낱장씩 분리될 때마다 체인(23a)에 의해 구동모터(2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이송나사(21b)에 의해 스크류 슬라이더(21a) 및 적층플레이트(22)가 상승하는 것에 의해 피검사대상원단지(P)의 낱장 분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70) 및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80) 각각의 내부에 구비된 리프트(20)는 적층플레이트(22)에 검사 완료된 피검사대상원단지(P)가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차례로 적층될 수 있게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대상원단지(P)에 인쇄된 복수개의 트럼프카드인쇄면(PA)의 가로 방향 개수에 맞추어 복수개의 비젼카메라(40a)를 횡방향으로 일렬로 설치하여서 된 것이고, 상기 불량표시부(50)는 불량 신호에 의한 솔레노이드(51) 작동으로 마커(52)가 스프링(53)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여 표시하고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피검사대상원단지(P)의 트럼프카드인쇄면(PA)이 복수의 비젼카메라(40a)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로 제어부에 보내지고 제어부에서 이미지 대비를 통해 정품과 불량품으로 판별하게 되고, 불량품인 경우에는 불량표시부(50)에 의해 해당 부위를 자동으로 표시하게 됨으로써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원단지에 복수개로 인쇄된 트럼프카드 인쇄면의 불량 여부를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판별 및 구분해서 별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부분의 불량 표시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해 인쇄작업의 수정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인력 투입이 불필요하고 제조원가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 확보로 가격 경쟁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장치본체 P: 피검사대상원단지
20: 리프트
21: 볼스크류 21a: 스크류 슬라이더
21b: 이송나사 22: 적층플레이트
23: 구동모터 23a: 체인
30: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
40: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 40a: 비젼카메라
50: 불량표시부
51: 솔레노이드 52: 마커
53: 스프링
60: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
61,62: 제1,2 지지플레이트 63: 흡착 공압실린더A
63a: 흡착구 64: 리프팅 작동실린더
65: 링크 66: 회전중심축
67: 리프팅 후크
70: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
80: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
90a,90b,90c: 제1,2,3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
91: 지지대 92: 설치대
93: 이송가이드 94: 이송슬라이더
95: 지지플레이트 95a: 흡착 공압실린더B
95b: 흡착구 96: 작동실린더
100: 피검사대상원단지 공급부
101: 구동가이드 102: 구동벨트
103: 구동슬라이더 103a: 하부블록
104: 베이스판 104a: 고정블록
105: 상판 105a: 힌지
106: 고정실린더

Claims (6)

  1. 삭제
  2. 장치본체(10)의 일측에,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가 적층 구비되고,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상승시키는 리프트(20)를 포함하는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30)와;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30)로부터 낱장씩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피검사대상원단지(P)에 인쇄된 복수개의 트럼프카드인쇄면(PA)의 인쇄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 및, 불량표시부(50)와;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30)에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로부터 최상단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낱장씩 분리하는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60)와;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를 통해 정품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공급받아 적층하고,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하강시키는 리프트(20)를 포함하는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70)와;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를 통해 불량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공급받아 적층하고, 적층된 다수의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하강시키는 리프트(20)를 포함하는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80)와;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60)에 의해 낱장으로 들어 올려진 피검사대상원단지(P)와,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를 통해 정품 또는 불량으로 판별된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장치본체(10)의 옆으로 당기거나 밀어 위치를 세팅시키는 제1,2,3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90a)(90b)(90c)와;
    상기 피검대상원단지 적층부(30) 및,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의 피검사대상원단지(P)를 상기 트럼프카드인쇄면 검사부(40)와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70) 및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80)로 이송시키는 피검사대상원단지 공급부(100);로 구성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분리부(60)는,
    상기 장치본체(10)의 일측 단부 중간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지지플레이트(61) 및 제2 지지플레이트(62) 각각의 하부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단부에 흡착구(63a)를 갖는 흡착 공압실린더A(63)와;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61) 및 제2 지지플레이트(62)의 사이에 구비되고, 리프팅 작동실린더(64)에 의한 링크(65)의 연결로 회전중심축(66)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의 리프팅 후크(6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피검사대상원단지 흡착이송부(90a)(90b)(90c)는,
    장치본체(10)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91) 및, 상기 지지대(91)의 상단면에 지지대(91)에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설치대(92)와;
    상기 설치대(92)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이송가이드(93) 및, 상기 이송가이드(93) 상에 결합되는 이송슬라이더(94)와;
    상기 이송슬라이더(94) 상에 고정되고, 양측 하부에 흡착구(95b)를 갖는 흡착 공압실린더B(95a)가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95)와;
    상기 지지플레이트(95)의 후방측에 연결 및 구비되어 지지플레이트(95)를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작동실린더(9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대상원단지 공급부(100)는,
    장치본체(10)의 일측면 전장에 걸쳐 설치된 구동가이드(101) 및, 구동벨트(102)와;
    상기 구동벨트(102)에 고정 및 설치된 하부블록(103a)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가이드(1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슬라이더(103)와;
    상기 구동슬라이더(103) 상에 고정되고, 전방측에 고정블록(104a)을 갖는 베이스판(104)과;
    상기 베이스판(104) 상에 후방 하부 양측이 힌지(105a)로 결합되고, 후방측 중간은 하부블록(103a) 상의 고정실린더(106)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실린더(106)의 작동에 의해 힌지(105a)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상판(105);으로 구성된 특징으로 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20)는,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30)와 정품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70) 및 불량 피검사대상원단지 적층부(80) 각각의 내부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볼스크류(21)와;
    상기 볼스크류(21)의 스크류 슬라이더(21a)에 연결되는 적층플레이트(22)와;
    상기 각각의 볼스크류(21)의 이송나사(21b)와 체인(23a)으로 연결되어 볼스크류(2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



  6. 삭제
KR1020170023404A 2017-02-22 2017-02-22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 KR102142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04A KR102142246B1 (ko) 2017-02-22 2017-02-22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04A KR102142246B1 (ko) 2017-02-22 2017-02-22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958A KR20180096958A (ko) 2018-08-30
KR102142246B1 true KR102142246B1 (ko) 2020-08-06

Family

ID=6345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404A KR102142246B1 (ko) 2017-02-22 2017-02-22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3948A1 (en) * 2021-04-30 2022-11-02 Dbest Limited Liability Compan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network management of remote modification of cards
US11850527B2 (en) 2019-10-31 2023-12-26 DBEST Limited Liability Compan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network management of remote modification of car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206A (ja) * 1998-09-11 2000-03-31 Tokin Corp シート外観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970B1 (ko) * 1993-09-17 1997-03-13 대우전자 주식회사 인쇄상태검사시스템
KR101248922B1 (ko) 2010-12-24 2013-03-2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카드 불량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479222B1 (ko) * 2013-02-05 2015-01-05 주식회사 이큐스앤자루 Fpcb 적층용 이형필름 자동 접합 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206A (ja) * 1998-09-11 2000-03-31 Tokin Corp シート外観検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0527B2 (en) 2019-10-31 2023-12-26 DBEST Limited Liability Compan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network management of remote modification of cards
EP4083948A1 (en) * 2021-04-30 2022-11-02 Dbest Limited Liability Compan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network management of remote modification of c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958A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448B2 (en) Accumulating and strapping apparatus
WO2011078177A1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RU2562791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листов бумаги
KR102142246B1 (ko) 트럼프카드 불량 여부 판별 검사장치
JP2008250955A (ja) 紙葉類処理システム、紙葉類処理装置、仕切りカード、及び紙葉類処理方法
TW201243353A (en) Test handler for memory card
RU218907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меющих форму карточки носителей информации
KR101248922B1 (ko) 카드 불량 검사장치 및 방법
CN103051825A (zh) 图像读取装置以及纸张类处理装置
KR100761992B1 (ko) 세라믹 그린시트 자동 적층 장치
KR20190041346A (ko) 검체 튜브 정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원심분리 시스템, 스택 모듈 및 원심분리 모듈
EP2873635B1 (en) Sheet insert device,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method
CN111517143B (zh) 卡堆叠器、卡堆叠器组合件及将卡基底添加到卡堆叠的底部的方法
KR102633910B1 (ko) 지폐 분리 장치
KR100684569B1 (ko) 이송물 정보 자동 검사 장치
KR101158026B1 (ko) 메일링 시스템의 안내장 투입장치
KR101423583B1 (ko) 정보통신기기용 어레이 시트 검사 시스템
US20240140721A1 (en)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media transport belt,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thereof
KR20190118079A (ko) 간지 조립기
JP6316667B2 (ja) 束紙幣処理装置および精査処理方法
US11878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lding and stocking book documents
JP2008247579A (ja) 刷版供給装置
JP4753907B2 (ja) 刷版供給装置
JPH0585675A (ja) 紙葉類処理装置
JP4149617B2 (ja) 排紙積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