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916B1 - 신품종 배 및 이의 육종 방법 - Google Patents

신품종 배 및 이의 육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916B1
KR102141916B1 KR1020200029860A KR20200029860A KR102141916B1 KR 102141916 B1 KR102141916 B1 KR 102141916B1 KR 1020200029860 A KR1020200029860 A KR 1020200029860A KR 20200029860 A KR20200029860 A KR 20200029860A KR 102141916 B1 KR102141916 B1 KR 102141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r
varieties
cultivar
new
p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아
Original Assignee
김성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아 filed Critical 김성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8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74Rosaceae, e.g. strawberry, apple, almonds, pear, rose, blackberries or raspberries
    • A01H6/7481Pyrus, i.e. pe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품종 배 및 이의 육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계 품종인 돌배와 부계 품종인 배를 교배시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라 육종된 신품종 배는 돌배의 약효인 감기ㅇ해소ㅇ천식 예방 효과 및 소화기능 개선효과를 가지면서도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이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하여 기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품종 배는 3일 내지 6일 동안 후숙시키면 과육이 더욱 말랑말랑해져서 치아가 약학 노약자도 섭취가 가능하며, 과육 크기가 돌배보다 작아서 식이가 용이하여 학교 급식이나 병원식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신품종 배 및 이의 육종 방법 {New Pear and the Method for Bree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품종 배 및 이의 육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계 품종인 돌배와 부계 품종인 배를 교배시켜 얻어진 것으로서, 배 껍질이 황색 또는 적색을 띠고,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은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한 특성을 가지며 돌배의 약효는 그대로 유지되는 신품종 배 및 이의 육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나무(Pyrus pyrifolia var. culta)는 돌배나무(Pyrus pyrifolia)의 재배종으로, 배나무는 장미과(Rosaceae)에 배나무아과(Pomoideae), 배나무속(Pyrus)에 속하는 낙엽교목 또는 관목성 식물이다.
서양배와 중국배, 남방형 동양배로 나뉘며 생김새와 맛이 각각 다르다. 서양배는 미국ㅇ유럽ㅇ칠레ㅇ호주 등지에서 재배하고, 중국배는 중국, 남방형 동양배는 한국과 일본에서 주로 재배한다. 한국에서는 삼한시대부터 배나무를 재배한 기록이 있으며, 한말에는 황실배ㅇ청실배 등의 품종을 널리 재배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장십랑과 만삼길을 재배하였고 새로운 품종인 신고 등이 보급되었다. 열매 중 먹을 수 있는 부분이 약 80%인데, 수분이 85∼88%, 열량은 약 50kal이다.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주성분은 탄수화물이고 당분(과당 및 자당) 10∼13%, 사과, 주석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 비타민 B와 C, 섬유소, 지방 등이 들어 있다. 기관지 질환에 효과가 있어 감기ㅇ해소ㅇ천식 등에 좋으며, 배변과 이뇨작용을 돕는다. 가래와 기침을 없애고 목이 쉬었을 때나 배가 차고 아플 때 증상을 완화해 주며 종기를 치료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그밖에 해독작용이 있어 숙취를 없애준다.
한편, 돌배는 한국의 토종 야생배로 돌배나무에서 자라는 열매이다. 이러한 돌배는 일반 배에 비하여 감기, 해소, 천식 등에 대한 약효가 더 우수하며,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효과로 인한 비만 방지 효과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돌배는 야생에서 자생하므로 수확이 어려우며, 나무마다 자라는 시기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적적한 형태를 띠는 돌배를 구하기가 어렵다. 또한, 대부분 벌레도 많이 먹고 무른 것들도 많고 못생긴 것이 대부분이며, 일반 배와는 달리 크기가 작고 단단할 뿐만 아니라 일반 배보다 신맛이 몇배 더 강하여 그 효능이 일반 배보다 월등함에도 불구하고 기호도가 일반 배에 비하여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돌배의 약효는 유지하면서도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이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하여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신품종 배를 육종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모계 품종인 돌배와 부계 품종인 배를 교배시킴으로써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은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돌배의 약효는 그대로 유지되는 신품종 배를 육종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416646 B KR 10-1515542 B KR 10-1193320 B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돌배의 약효는 유지하면서도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이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하여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신품종 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신품종 배를 육종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모계 품종인 돌배와 부계 품종인 배를 교배시켜 얻어진 것으로서, 배 껍질이 황색, 적색 또는 이의 혼합색을 띠고,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은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한 특성을 가지는 신품종 배를 제공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품종 배의 육종방법을 제공한다:
(S1) 모계 품종인 돌배 품종을 파종하는 단계;
(S2) 부계 품종인 배 품종을 파종하는 단계;
(S3) 상기 부계 품종인 배 품종의 착과시기에 열매가 열린 가지를 잘라서 부계 품종인 돌배 품종에 인위적으로 교배시키는 단계;
(S4) 교배된 개체의 과실에서 종자를 채종하는 단계;
(S5) 상기 채종된 종자를 파종하여 배를 재배하는 단계; 및
(S6) 상기 재배한 배 중에서 배 껍질이 황색, 적색 또는 이의 혼합색으로 착색되고,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은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한 특성을 가지는 신품종 배를 육종하는 단계.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신품종 배는 모계 품종인 돌배와 부계 품종인 배를 교배시켜 얻어진 것으로서, 배 껍질이 황색, 적색 또는 부분적으로 황색 및 적색을 띠고,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은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하며, 구체적으로 하기 특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1) 과형이 둥근 원형으로, 모계 품종인 돌배와 크기가 비슷하거나 조금 큼.
(2) 과육 껍질은 황색, 적색 또는 부분적으로 황색 및 적색으로 착색되며, 흰색 내지 황색 점이 껍질 전면에 있음.
(3) 잎은 달걀모양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심장밑 모양이고, 잎 뒷면은 회록색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침 같은 톱니가 있음.
(4)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핌.
(5) 과육의 색은 백색임.
(6) 과육은 처음에는 모계 품종과 유사하나 상온에서 1주일정도 경과시 갈변하며 모계 품종 및 부계 품종에 비하여 말랑말랑하며, 갈변시 육안으로는 상한듯하나 과즙이 많아지고 표피가 얇아지며 당도가 더 높아져 10 내지 14˚Bx이고, 산도는 0.03 내지 0.05% 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신품종 배는 껍질이 황색, 적색 또는 부분적으로 황색 및 적색을 띠며, 껍질 전면에 흰색 내지 황색을 띠는 작은 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도 1 내지 3 참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신품종 배는 모계 품종인 돌배와 같거나 조금 크다. 구체적으로 왕대추보다 조금 크고 담배 케이스 크기와 비스한 정도로 식용이 매우 용이하다(도 4 및 도 5 참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신품종 배의 과육은 모계 품종 및 부계 품종에 비하여 말랑말랑하며, 다즙하며 당도는 10 내지 14˚Bx,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 ˚B이고, 산도는 0.03 내지 0.05%, 바람직하게는 0.04%인 것으로 일반 배에 비하여 단맛은 증가되고 신맛은 감소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신품종 배는 돌배의 약효인 감기, 해소, 천식 예방 효과 및 소화기능 개선효과를 가지면서도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이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하여 기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품종 배는 3-7일 동안 후숙시키면 과육이 더욱 말랑말랑해지고 과육 크기가 돌배와 유사하여 치아가 약학 노약자도 섭취가 가능하며, 간편하게 가지고 다니면서도 식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품종 배는 후숙하게 되면 껍질이 갈변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도 6 및 도 7), 오히려 레몬향 또는 모과향과 같은 좋은 향기를 가지며 당도가 높아지고 과즙이 풍부하며 말랑말랑해져서 기호도가 더 높아질 수 있으며, 먹기가 용이하여 학교 급식이나 노인, 유아 및 환자식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품종 배는 (S1) 모계 품종인 돌배 품종을 파종하는 단계; (S2) 부계 품종인 배 품종을 파종하는 단계; (S3) 상기 부계 품종인 배 품종의 착과시기에 열매가 열린 가지를 잘라서 부계 품종인 돌배 품종에 인위적으로 교배시키는 단계; (S4) 교배된 개체의 과실에서 종자를 채종하는 단계; (S5) 상기 채종된 종자를 파종하여 배를 재배하는 단계; 및 (S6) 상기 재배한 배 중에서 배 껍질이 황색, 적색 또는 부분적으로 황색 및 적색으로 착색되고,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은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한 특성을 가지는 신품종 배를 육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종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단계 (S1) 및 (S2)에서 모계 품종과 부계 품종의 파종은 노지에서 이루어지거나 비닐하우스 등 인위적인 시설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시설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단계 (S1) 및 (S2)에서 파종 시기는 노지 재배의 경우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에서는 2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단계 (S3)에서 부계 품종인 배 품종의 착과시기에 가지를 잘라서 부계 품종인 돌배 품종에 인위적으로 교배시킴으로써 수분시킨다. 이 때 신품종 배의 작은 과육을 수득하기 위하여, 부계 품종인 배 품종에 열린 배 중 모계 품종인 돌배의 크기보다 작은 열매가 열린 가지를 잘라서 부계 품종인 돌배 품종에 인위적으로 교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단계 (S4)에서 채종은 보다 우량 특성을 갖는 종자를 얻기 위해서 배축과 잎자루 및/또는 뿌리가 강건한 개체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품종 배의 육종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S4)에서 채종된 종자(F1)를 파종하고 재배하여 성숙한 개체로부터 채종(F2)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채종은 보다 우량 특성을 갖는 종자를 얻기 위해서 배축과 잎자루 및/또는 뿌리가 강건한 개체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채종된 종자를 파종하고 재배하여 성숙한 개체로부터 채종하는 것은 보다 우량 품종을 얻기 위하여 세대를 거듭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육종된 신품종 배는 돌배의 약효인 감기ㅇ해소ㅇ천식 예방 효과 및 소화기능 개선효과를 가지면서도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이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하여 기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육종된 신품종 배는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가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음료, 와인, 향수, 과자 등과 같은 맛과 향을 내는 가공식품으로 가공되어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육종된 신품종 배는 돌배의 약효인 감기ㅇ해소ㅇ천식 예방 효과 및 소화기능 개선효과를 가지면서도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이 증대되고 과육이 말랑말랑하여 기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품종 배는 후숙하게 되면 껍질이 갈변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오히려 레몬향 또는 모과향과 같은 좋은 향기를 가지며 당도가 높아지고 과즙이 풍부하며 말랑말랑해져서 기호도가 더 높아질 수 있으며, 먹기가 용이하여 학교 급식이나 노인, 유아 및 환자식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육종된 신품종 배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육종된 신품종 황색 배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육종된 신품종 적색 배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품종 배의 크기를 왕대추와 비교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신품종 배의 크기를 담배 케이스와 비교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신품종 배의 3일 후숙 후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신품종 배의 7일 후숙 후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신품종 배를 상온에 5 내지 7일 두거나 부딪혔을 경우 갈변된 경우의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를 기재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품종 배 육성
본 발명의 신품종 배의 육종에는, 모계 품종으로서 야생배 돌배 품종을 사용하였으며, 부계 품종은 나주배를 사용하였다.
부계 품종인 나주배를 2월 중순 경에 파종한 다음 적당한 시기에 비료를 살포하는 등 통상적인 배 재배 방법에 따라 재배하였다.
5월경 나주배 착과 시작 후 작고 튼실한 열매가 열린 가지를 잘라 교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인공적으로 야생 돌배나무에 수분시켰다. 교배하여 얻어진 개체 중 배 과육 그리고 잎자루가 강건한 개체를 선발하여 종자를 채취하였다.
채종한 종자를 시판용 혼합상토에서 발아시키고, 발아 후 생육시켜 실생 우수 개체 50주(F1VO 세대)를 예비 선발하였다. 상기 선발한 50주 중 육안 관찰, 미각 테스트, 실측치 등으로 판별하여 초세(개체의 평균 생체량 즉 식물체의 전체(줄기, 뿌리 및 잎)의 평균 질량을 말함)가 우수하면서 또 과실 품질(당산비를 말함, 당산비는 당도(brix)/산도(%)임)이 우수한 2개의 계통을 선발하여(50 실생 개체 중 초세가 우수한 순서대로 상위 10 계통 정도를 선발하고 그 10 계통 중 당산비가 우수한 순서대로 상위 2 계통을 선발함) 증식시켰으며(V1 세대), 이 계통 중 과형이 가장 좋으면서(즉, 둥근 과형으로 모계 품종인 돌배의 1/3 내지 1배 부피의 크기인 과형) 당산비가 가장 높은 1 계통을 최종 선발하여(V1 세대), 생산력 검정 본 시험을 거쳤으며(V3 세대) 재배 적응성 농가 실증 시험을 거쳐(V4 세대) 최종 1계통을 선발 확정하여 '적색 배'로 품종명을 부여하였다.
생산력 검정 예비 실험과 본 시험 그리고 실증 실험에서 3세대를 증식시키며 각 세대 및 세대 증식 후의 이형주를 관찰하였으나, 각 세대와 세대 증식 후에 있어서도 이형주가 관찰되지 않아, V1세대에서 고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기에서 F1VO는 인공교배 후 채종한 종자에 의한 교잡 후대이며, V1 내지 V4는 자묘를 의한 제1세대부터 제4세대까지의 번식 후대를 의미한다.
수확된 신품종 배를 <도 1> 내지 <도3>에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3>를 참조하여 보면, 전체적인 형태가 부계 품종인 일반 배나 모계 품종인 돌배와 뚜렷이 구별되며, 특히 배의 껍질이 황색, 적색 또는 부분적으로 황색 및 적색으로 착색되고, 흰색 반점이 껍질 전반에 걸쳐 있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2> 신품종 배의 형태적 특성 및 품질적 특성 관찰
신품종 배의 특성 조사는 대조품종을 일반 배 및 돌배로 하여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종자원의 "신품종 심사를 위한 작물별 특성 조사 요령 종자 "에 따랐으며, 확인되는 특성 중 주요 형태적 특성과 대조품종인 일반 배 및 돌배와 차이가 있는 특성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과형이 둥근 원형으로, 모계 품종인 돌배와 크기가 비슷하거나 조금 큼.
(2) 과육 껍질은 황색, 적색 또는 부분적으로 황색 및 적색으로 착색되며, 흰색 내지 황색 점이 껍질 전면에 있음.
(3) 잎은 달걀모양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심장밑 모양이고, 잎 뒷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침 같은 톱니가 있음.
(4)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핌.
(5) 과육의 색은 백색임.
(6) 과육은 처음에는 모계 품종과 유사하나 상온에서 1주일정도 경과시 갈변하며 모계 품종 및 부계 품종에 비하여 말랑말랑하며, 갈변시 육안으로는 상한듯하나 과즙이 많아지고 표피가 얇아지며 당도가 더 높아져 10 내지 14˚Bx이고, 산도는 0.03 내지 0.05% 임.
하기 표 1의 결과는 10개의 과실을 임의로 취하여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며 경도는 φ5mm tip을 장착한 경도계 SD-700(Rheo Tex,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과육 크기(지름 cm) 당도(Bx) 산도(%) 경도(g/φ5mm)
일반 배 7-10 9 0.03 108
돌배 5-8 10 0.20 217
신품종 배 5-10 13 0.04 97
<시험예 1> 거담 활성 시험
Engler 등의 방법(Engler H, Szelenyi I, J. Pharmacol. Moth., 1984, 11, 151~157, ; Jian-Hua Shang et al, J. Ethnopharmacology, 2010, 129, 293~298)을 이용하여 신품종 배의 거담 활성을 일반 배 및 돌배와 비교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동물로는 체중 30~33g의 웅성 ICR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국내)를 각 군당 10마리씩 사용하였다. 전날 절식시킨 마우스에 실험군 별로 일반 배, 돌배 및 신품종 배를 경구투여하고, 30분 후 5% 페놀레드(phenol red)를 복강 주사하였다. 30분 후, 경추탈골하여 복부 대동맥을 방혈시킨 후 기관 (trachea) 전체를 절제하였다. 분리된 기관을 1㎖의 생리 식염수에 넣어 냉장 보관하였다. 24시간 후 냉장 보관된 기관을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에 1N 가성소다(NaOH)를 첨가(상등액 1㎖당 1N NaOH 0.1㎖)한 후에 54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페놀레드의 농도로서 거담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객담 배출능(%)
일반 배 20
돌배 36
신품종 배 40
상기 표 2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품종 배는 거담활성이 돌배에 비하여도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진해 활성시험
본 발명의 신품종 배에 대한 진해 활성을 평가(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998, 158[1], 42-48)하기 위해 신품종 배를 기니피그에 투여한 후, 시트르산(citric acid)을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한 다음 기침 횟수를 측정하였다. 시트르산은 기도의 감각 신경 활성을 연구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물질로서, 흡입하게 되면 기관지수축, 코 자극, 기침, 기관지 과민반응 등이 발생하게 된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350~400g의 웅성 Hartely계 기니피그(오리엔트바이오, 국내)를 각 군당 10~12마리씩 사용하였다. 전날 절식시킨 기니피그에 실험군 별로 일반 배, 돌배 및 신품종 배를 경구투여하고, 1시간 후에 동물에게 기침유발물질인 0.3M 시트르산을 10분간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하였다. 기침유발물질에 노출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15분 동안 발생되는 기침 횟수를 Whole Body Plethysmometer (BUXC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음성대조군(1% CMC 투여 군)의 기침 횟수를 기준으로 억제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기침 억제율(%)
일반 배 30
돌배 41
신품종 배 53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품종 배는 기침 억제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관능검사
본 발명의 신품종 배의 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 배와 돌배를 비교하는 관능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요원 30명을 대상으로 향, 맛, 크기, 외관, 색상,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3회 반복하여 아래의 표 4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검사 방법으로는 5 점 비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아주 좋다는 5 점, 좋다 는 4 점, 보통이다는 3 점, 싫다는 2 점, 아주 싫다는 1의 점수를 각각 부여하고, 최종 응답 된 점수를 합하여 산술평균값을 연산하였다.
구분 신품종 배 일반 배 돌배
4.3 3.3 1.3
4.4 3.1 1.2
크기 4.5 3.1 3.8
외관 4.4 3.2 2.1
색상 4.2 3.0 2.1
조직감 4.4 3.2 1.1
전체적인 기호도 4.4 3.1 1.4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신품종 배는 향, 맛, 크기, 외관, 색상 및 조직감이 매우 높아 전체적인 기호도가 4.4인 한편, 일반 배 및 돌배는 전체적인 기호도가 신품종 배에 비하여 매우 낮았다. 이로부터 신품종 배는 단맛은 향상되면서 신맛은 감소되고 말랑말랑한 조직감으로 기호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신품종 배는 색감이 황색, 적색 또는 부분적으로 황색 또는 적색을 띠는 것으로(도 1 내지 3 참조) 기존의 배나 돌배에 비하여 외관상 매우 우수하며, 맛과 향에 있어서도 현저하게 향상되고, 크기는 돌배와 비슷하여(도 4 및 5 참조) 식용하기가 간편하고 부담스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랑말랑한 식감으로 전체적인 기호도가 매우 증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물자원센터 KCTC14147BP,KCTC14148BP 20200221

Claims (5)

  1. 기탁번호 KCTC14147BP 또는 KCTC14148BP의 신품종 배로서,
    모계 품종인 돌배와 부계 품종인 배를 교배시켜 얻어지고, 배 껍질이 황색 또는 적색을 띠며, 신맛은 감소되고 단맛은 증대되고, 당도는 10 내지 14˚Bx이고, 산도는 0.03 내지 0.05%이며, 과육이 말랑말랑한 특성을 가지는 신품종 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품종 배:
    (1) 과형이 둥근 원형으로, 모계 품종인 돌배와 크기가 비슷하거나 조금 큼.
    (2) 과육 껍질은 황색, 적색 또는 부분적으로 황색 및 적색으로 착색되며, 흰색 내지 황색 점이 껍질 전면에 있음.
    (3) 잎은 달걀모양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심장밑 모양이고, 잎 뒷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침 같은 톱니가 있음.
    (4)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핌.
    (5) 과육의 색은 백색임.
    (6) 과육은 처음에는 모계 품종과 유사하나 상온에서 1주일정도 경과시 갈변하며 모계 품종 및 부계 품종에 비하여 말랑말랑하며, 갈변시 과즙이 많아지고 표피가 얇아지며 당도가 더 높아져 10 내지 14˚Bx이고, 산도는 0.03 내지 0.05% 임.
  3. 기탁번호 KCTC14147BP 또는 KCTC14148BP의 신품종 배의 육종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품종 배의 육종방법:
    (S1) 모계 품종인 돌배 품종을 파종하는 단계;
    (S2) 부계 품종인 배 품종을 파종하는 단계;
    (S3) 상기 부계 품종인 배 품종의 착과시기에 열매가 열린 가지를 잘라서 부계 품종인 돌배 품종에 인위적으로 교배시키는 단계;
    (S4) 교배된 개체의 과실에서 종자를 채종하는 단계;
    (S5) 상기 채종된 종자를 파종하여 배를 재배하는 단계; 및
    (S6) 상기 재배한 배 중에서 배 껍질이 황색 또는 적색으로 착색되고, 당도는 10 내지 14˚Bx이고, 산도는 0.03 내지 0.05%이며, 과육이 말랑말랑한 특성을 가지는 신품종 배를 육종하는 단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3)에서 부계 품종인 배 품종에 열린 배 중 모계 품종인 돌배의 크기보다 작은 열매가 열린 가지를 잘라서 부계 품종인 돌배 품종에 인위적으로 교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품종 배의 육종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품종 배가 하기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품종 배의 육종방법.
    (1) 과형이 둥근 원형으로, 모계 품종인 돌배와 크기가 비슷하거나 조금 큼.
    (2) 과육 껍질은 황색 또는 적색으로 착색되며, 흰색 내지 황색 점이 껍질 전면에 있음.
    (3) 잎은 달걀모양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심장밑 모양이고, 잎 뒷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침 같은 톱니가 있음.
    (4)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핌.
    (5) 과육의 색은 백색임.
    (6) 과육은 처음에는 모계 품종과 유사하나 상온에서 1주일정도 경과시 갈변하며 모계 품종 및 부계 품종에 비하여 말랑말랑하며, 갈변시 과즙이 많아지고 표피가 얇아지며 당도가 더 높아짐.
KR1020200029860A 2019-09-11 2020-03-10 신품종 배 및 이의 육종 방법 KR102141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2973 2019-09-11
KR1020190112973 2019-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916B1 true KR102141916B1 (ko) 2020-08-06

Family

ID=7204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860A KR102141916B1 (ko) 2019-09-11 2020-03-10 신품종 배 및 이의 육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9838A (zh) * 2023-06-06 2023-08-11 中国农业科学院果树研究所 一种早熟抗病梨品种的选育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564A (ko) * 1998-05-28 1999-12-15 임노훈 배나무 신품종인 임금
KR101193320B1 (ko) 2009-07-21 2012-10-19 신젠타종묘 주식회사 무 신품종 보르도 및 그것의 육종 방법
KR101416646B1 (ko) 2012-09-04 2014-07-08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식물 신품종 홍경채 및 그 육종방법
KR101515542B1 (ko) 2012-06-07 2015-04-27 담양군 신품종 딸기 죽향 및 이의 육종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564A (ko) * 1998-05-28 1999-12-15 임노훈 배나무 신품종인 임금
KR101193320B1 (ko) 2009-07-21 2012-10-19 신젠타종묘 주식회사 무 신품종 보르도 및 그것의 육종 방법
KR101515542B1 (ko) 2012-06-07 2015-04-27 담양군 신품종 딸기 죽향 및 이의 육종 방법
KR101416646B1 (ko) 2012-09-04 2014-07-08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식물 신품종 홍경채 및 그 육종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윤경 외 5명, 적색 배 과피의 안토시아닌 발현,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 2011.10, 45-45(1 pages)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9838A (zh) * 2023-06-06 2023-08-11 中国农业科学院果树研究所 一种早熟抗病梨品种的选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ton The Pigeon Pea (Cajanus cajan Millsp.), A High-protein, Tropical Bush Legume1
Irvine Supplementary and emergency food plants of West Africa
Kennard et al. Some fruits and nuts for the tropics
Castetter Uncultivated native plants used as sources of food
CN106576845B (zh) 一种蛇皮果和百香果间套种植的方法
Li et al. Akebia: A potential new fruit crop in China
Greenwell Taro—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culture and uses in Hawaii
KR20140056972A (ko) 배,도라지,생강,대추를 넣어 발효시킨 천연효소발효액
KR101400021B1 (ko) 천연물을 이용한 각종 버섯의 재배방법
US20170280643A1 (en) Method of Improving the Growth and Production Output of Plants of the Family Solanaceae
KR102141916B1 (ko) 신품종 배 및 이의 육종 방법
Cook The chayote: A tropical vegetable
Burr The Field and Garden Vegetables
Steggerda Some ethnological data concerning one hundred Yucatan plants
KR101426920B1 (ko) 천연물을 이용한 친환경의 고품질 비료의 제조방법
Perry Food use of wild plants by Cherokee Indians
CN105493834A (zh) 一种预知子仿野生人工种植方法
KR101566150B1 (ko) 사과 신품종 &#39;&#39;에스씨엘&#39;&#39;
CN105557412A (zh) 一种中国沙红桃树的栽培方法
CN107889795A (zh) 一种鹅的高效营养养殖方法
Duke Alphabetical Listing of Plants
Ruzmatov COMPOSITION AND BENEFICIAL PROPERTIES OF APPLES FOR THE HUMAN BODY
Yampolsky et al. Sweet cherry (lat. Prúnus avium)
Robuck The common plants of the muskegs of southeast Alaska
Maksujanovna CORNELIAN CHERRY (CORNUS MAS L.) HISTORY OF INTRODUCTION TO 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