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568B1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568B1
KR102141568B1 KR1020200029754A KR20200029754A KR102141568B1 KR 102141568 B1 KR102141568 B1 KR 102141568B1 KR 1020200029754 A KR1020200029754 A KR 1020200029754A KR 20200029754 A KR20200029754 A KR 20200029754A KR 102141568 B1 KR102141568 B1 KR 102141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discoloration
user
sheet
mas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김현섭
Original Assignee
(주)아이작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작솔루션 filed Critical (주)아이작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2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8Devices for indicating filter sat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81Indicating humid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여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면, 상기 변색부재(C)가 사용자의 코 또는 입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수분이 변색부재(C)에 접촉되면, 변색부재(C)가 투명한 색에서 짙은 유색으로 변색됨으로, 사용자가 상기 변색부재(C)의 색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해당 마스크가 사용한 것인지 아니면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것인 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변색부재(C)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색이 점차 짙어지게 됨으로, 사용자가 마스크의 작용시간을 대략적으로 확인하고, 이에 따라, 마스크를 교체할 타이밍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사용여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나 호흡기를 통한 감염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마스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구성된 마스크본체(A)와, 상기 마스크본체(A)의 양측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A)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부재(B)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본체(A)는 부직포재질의 외피(11) 및 내피(12)와, 상기 외피(11)와 내피(12)의 사이에 구비된 필터시트(13)로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마스크본체(A)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세균 또는 바이러스가 필터링되어, 깨끗한 공기만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B)는 섬유재질의 스트립을 U자로 벤딩하여 양단을 상기 마스크본체(A)의 양단에 고정한 고리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B)를 귀에 걸면, 상기 마스크본체(A)가 입과 코를 덮도록 얼굴에 밀착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필터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게 호흡을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마스크는 일회용임으로, 사용자가 한번 사용한 후,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는 사용을 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사용자가 실수로 한번 사용한 마스크를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206476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여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마스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구성된 마스크본체(A)와, 상기 마스크본체(A)의 양측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A)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부재(B)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A)에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색되는 변색부재(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색부재(C)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에 습기와 반응하면 색상이 변화되는 변색물질을 혼합한 후 시트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색부재(C)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시트의 표면에 습기와 반응하면 색상이 변화되는 변색물질을 코팅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스크본체(A)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사용자의 코 또는 입부분에 대응되도록 부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색부재(C)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에 습기와 반응하여 색상이 혼합되는 물질을 혼합하여 구성된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21)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본체(A)의 외측면에 부착고정된 변색시트(20)와, 상기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변색시트(20)의 전면에 부착고정된 전면패널(30)과, 상기 전면패널(30)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기공(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밸브체(40)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공(21)은 후측의 소경부(21a)와, 상기 소경부(21a)의 전방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된 확경부(21b)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30)의 후측면 둘레부에는 상기 변색시트(20)의 전면에 부착되는 테두리부(31)가 후방으로 돌출되며, 전면패널(30)의 후측면에는 상기 변색시트(20)의 전면에 밀착되어 전면패널(30)과 변색시트(20)의 사이에 공간부(33)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변색시트(20)에는 다수개의 배기공(34)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밸브체(40)는 상기 전면패널(30)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는 상기 통기공(21)의 소경부(21a)까지 연장된 지지핀(41)과, 상기 지지핀(41)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둘레면이 상기 확경부(21b)에 밀착되는 다이아프램(42)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는 상기 다이아프램(42)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통기공(21)을 개방하고, 사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는 상기 다이아프램(42)이 통기공(21)을 밀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면, 상기 변색부재(C)가 사용자의 코 또는 입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수분이 변색부재(C)에 접촉되면, 변색부재(C)가 투명한 색에서 짙은 유색으로 변색됨으로, 사용자가 상기 변색부재(C)의 색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해당 마스크가 사용한 것인지 아니면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것인 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변색부재(C)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색이 점차 짙어지게 됨으로, 사용자가 마스크의 작용시간을 대략적으로 확인하고, 이에 따라, 마스크를 교체할 타이밍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마스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색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구성된 마스크본체(A)와, 상기 마스크본체(A)의 양측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A)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부재(B)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마스크본체(A)는 부직포재질의 외피(11) 및 내피(12)와, 상기 외피(11)와 내피(12)의 사이에 구비된 필터시트(13)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마스크본체(A)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세균 또는 바이러스가 필터링되어, 깨끗한 공기만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스크본체(A)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색되는 변색부재(C)가 구비된다.
상기 변색부재(C)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에 습기와 반응하면 색상이 변화되는 변색물질을 혼합한 후 시트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변색물질은 테트라알킬 암모늄 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알킬 암모듐 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알킬 암모늄 할로겐화물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변색물질은 등록특허 10-1586180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변색물질은 습기가 접촉되면, 투명한 색에서 짙은 유색으로 불가역적으로 변색된다.
특히, 상기 변색물질은 높은 농도의 습기와 접촉될수록, 그리고, 접촉시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짙은 색으로 변색된다.
그리고, 상기 변색부재(C)는 상기 마스크본체(A)의 외측면에 사용자의 코 또는 입부분에 대응되도록 부착고정된다.
상기 마스크본체(A)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사용자의 코 또는 입부분에 대응되도록 부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스크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면, 상기 변색부재(C)가 사용자의 코 또는 입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수분이 변색부재(C)에 접촉되면, 변색부재(C)가 투명한 색에서 짙은 유색으로 변색됨으로, 사용자가 상기 변색부재(C)의 색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해당 마스크가 사용한 것인지 아니면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것인 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변색부재(C)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색이 점차 짙어지게 됨으로, 사용자가 마스크의 작용시간을 대략적으로 확인하고, 이에 따라, 마스크를 교체할 타이밍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마스크본체(A)가 부직포재질의 외피(11) 및 내피(12)와, 상기 외피(11)와 내피(12)의 사이에 구비된 필터시트(13)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마스크본체(A)는 한 겹의 부직포 또는 천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색물질은 테트라알킬 암모늄 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알킬 암모듐 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알킬 암모늄 할로겐화물의 혼합물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변색물질은 습기 또는 수분이 접촉되면 색상이 변화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색부재(C)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에 습기와 반응하면 색상이 변화되는 변색물질을 혼합한 후 시트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변색부재(C)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시트의 표면에 습기와 반응하면 색상이 변화되는 변색물질을 코팅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색부재(C)는 상기 마스크본체(A)의 외측면에 사용자의 코 또는 입부분에 대응되도록 부착고정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변색부재(C)는 마스크본체(A)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의 경우, 상기 밸브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변색부재(C)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에 습기와 반응하여 색상이 혼합되는 물질을 혼합하여 구성된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21)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본체(A)의 외측면에 부착고정된 변색시트(20)와, 상기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변색시트(20)의 전면에 부착고정된 전면패널(30)과, 상기 전면패널(30)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기공(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밸브체(40)로 구성된다.
상기 변색시트(20)의 통기공(21)은 후측의 소경부(21a)와, 상기 소경부(21a)의 전방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된 확경부(21b)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패널(30)은 투명하면서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후측면 둘레부에는 상기 변색시트(20)의 전면에 부착되는 테두리부(31)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전면패널(30)의 후측면에는 상기 변색시트(20)의 전면에 밀착되어 전면패널(30)과 변색시트(20)의 사이에 공간부(33)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돌출부(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30)의 테두리부(31)를 변색시트(20)의 전면 둘레부에 부착고정하면, 전면패널(30)과 변색시트(20)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부(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변색시트(20)에는 다수개의 배기공(34)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통기공(21)을 통해 공간부(33)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34)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밸브체(40)는 상기 전면패널(30)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는 상기 통기공(21)의 소경부(21a)까지 연장된 지지핀(41)과, 상기 지지핀(41)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둘레면이 상기 확경부(21b)에 밀착되는 다이아프램(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핀(41)과 다이아프램(42)은 탄성이 있는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42)은 평상시에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부가 상기 확경부(21b)에 밀착되어 전방의 공기가 후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고, 상기 통기공(2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둘레부가 확경부(21b)로부터 이격되어 공기가 전방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스크는 사용자가 착용한 후 숨을 내쉬면, 내쉰 숨 즉 날숨이 상기 마스크본체(A)를 통과한 후, 도 6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아프램(42)을 밀어내고 상기 통기공(21)을 통해 변색시트(20)와 전면패널(30) 사이의 공간부(33)로 유입된 후, 상기 배기공(34)을 통해 변색부재(C)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날숨이 상기 공간부(33)를 통과하면서 날숨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변색시트(20)의 전면에 응축되어 부착되어, 상기 변색시트(20)의 전면의 색상이 변화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숨을 들이마실 때는 상기 다이아프램(42)이 상기 통기공(21)의 확경부(21b)에 밀착되어, 상기 공간부(33) 내부의 공기가 후방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막음으로써, 상기 공간부(33) 내부의 습기가 변색부재(C)의 후방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후 숨을 쉴 때, 상기 변색시트(20) 전체의 색이 효과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변색부재(C)는 얇은 시트형상으로 구성된 마스크본체(A)의 전면에 부착됨으로, 마스크본체(A)를 통과한 날숨에 포함된 습기가 변색부재(C)의 전면에 부착되어 변색부재(C) 전면의 색상이 변화되기 어렵고, 변색부재(C) 전면의 색상이 변화될 때, 변색부재(C)의 둘레부 부터 색상이 변화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바람이 많이 부는 환경에서는 변색부재(C)의 색상이 변화될 때 까지 걸리는 시간이 불규칙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날숨에 포함된 습기가 변색시트(20)와 전면패널(30) 사이의 공간부(33)로 유입되어 응축됨으로, 변색시트(20)의 전체가 균일하게 변색될 뿐 아니라, 외부환경에 구애를 받지 않고, 변색부재(C)의 색상이 변화되는 시간이 일정해지는 장점이 있다.
A. 마스크본체 B. 고정부재
C. 변색부재

Claims (5)

  1.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구성된 마스크본체(A)와,
    상기 마스크본체(A)의 양측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A)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부재(B)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A)에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색되는 변색부재(C)가 구비되되,
    상기 변색부재(C)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에 습기와 반응하여 색상이 혼합되는 물질을 혼합하여 구성된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21)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본체(A)의 외측면에 부착고정된 변색시트(20)와,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변색시트(20)의 전면에 부착고정된 전면패널(30)과,
    상기 전면패널(30)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기공(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밸브체(40)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공(21)은
    후측의 소경부(21a)와,
    상기 소경부(21a)의 전방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된 확경부(21b)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30)의 후측면 둘레부에는 상기 변색시트(20)의 전면에 부착되는 테두리부(31)가 후방으로 돌출되며,
    전면패널(30)의 후측면에는 상기 변색시트(20)의 전면에 밀착되어 전면패널(30)과 변색시트(20)의 사이에 공간부(33)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변색시트(20)에는 다수개의 배기공(34)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밸브체(40)는
    상기 전면패널(30)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는 상기 통기공(21)의 소경부(21a)까지 연장된 지지핀(41)과,
    상기 지지핀(41)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둘레면이 상기 확경부(21b)에 밀착되는 다이아프램(42)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는 상기 다이아프램(42)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통기공(21)을 개방하고, 사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는 상기 다이아프램(42)이 통기공(21)을 밀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부재(C)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에 습기와 반응하면 색상이 변화되는 변색물질을 혼합한 후 시트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부재(C)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시트의 표면에 습기와 반응하면 색상이 변화되는 변색물질을 코팅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A)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사용자의 코 또는 입부분에 대응되도록 부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삭제
KR1020200029754A 2020-03-10 2020-03-10 마스크 KR102141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54A KR102141568B1 (ko) 2020-03-10 2020-03-10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54A KR102141568B1 (ko) 2020-03-10 2020-03-10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568B1 true KR102141568B1 (ko) 2020-08-05

Family

ID=7204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754A KR102141568B1 (ko) 2020-03-10 2020-03-10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5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15A (ko) * 2020-10-13 2022-04-20 현채이 오염도에 따라 변색되는 일회용 마스크
KR20220053357A (ko) 2020-10-22 2022-04-29 유해현 효과 유효성 판단 가능한 항균성 마스크
KR20220131435A (ko) * 2021-03-18 2022-09-28 주식회사 번창디앤피 필터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마스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640U (ko) * 2007-10-15 2009-04-20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자외선 변색부를 구비하는 마스크
KR20110025490A (ko) * 2009-09-04 2011-03-10 김종원 기능성 마스크
JP2011212162A (ja) * 2010-03-31 2011-10-27 Toppan Printing Co Ltd 積層体、酸素ガスバリア性包装体、ラベルおよび衛生マスク
KR101650033B1 (ko) * 2015-07-28 2016-08-22 주식회사 장정 배기밸브가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일회용 마스크
KR20170105606A (ko) * 2015-01-22 2017-09-19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현저한 색상 변화를 갖는 시간 제어형 사용 수명 종료 표시기
KR101913045B1 (ko) * 2017-09-12 2018-10-29 김회철 다양한 패턴의 인쇄수단이 구비되는 황사마스크.
KR102064763B1 (ko) 2018-08-17 2020-01-10 (주)휴레브 미세먼지 마스크용 내기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640U (ko) * 2007-10-15 2009-04-20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자외선 변색부를 구비하는 마스크
KR20110025490A (ko) * 2009-09-04 2011-03-10 김종원 기능성 마스크
JP2011212162A (ja) * 2010-03-31 2011-10-27 Toppan Printing Co Ltd 積層体、酸素ガスバリア性包装体、ラベルおよび衛生マスク
KR20170105606A (ko) * 2015-01-22 2017-09-19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현저한 색상 변화를 갖는 시간 제어형 사용 수명 종료 표시기
KR101650033B1 (ko) * 2015-07-28 2016-08-22 주식회사 장정 배기밸브가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일회용 마스크
KR101913045B1 (ko) * 2017-09-12 2018-10-29 김회철 다양한 패턴의 인쇄수단이 구비되는 황사마스크.
KR102064763B1 (ko) 2018-08-17 2020-01-10 (주)휴레브 미세먼지 마스크용 내기배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15A (ko) * 2020-10-13 2022-04-20 현채이 오염도에 따라 변색되는 일회용 마스크
KR102423821B1 (ko) 2020-10-13 2022-07-21 현채이 오염도에 따라 변색되는 일회용 마스크
KR20220053357A (ko) 2020-10-22 2022-04-29 유해현 효과 유효성 판단 가능한 항균성 마스크
KR20220131435A (ko) * 2021-03-18 2022-09-28 주식회사 번창디앤피 필터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마스크
KR102616668B1 (ko) * 2021-03-18 2023-12-22 주식회사 번창디앤피 필터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568B1 (ko) 마스크
KR101826466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101959664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JP6290930B2 (ja) 清浄空気吸入室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KR20200144518A (ko) 투명창을 갖춘 위생 마스크
CA2068360A1 (en) Aerosol inhalation device
CA2508524A1 (en) Filtration device with disposable cartridge
US20090107515A1 (en) Protective mask
KR20190119804A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23552584A (ja) 顔マスクに関する改良
KR20200131782A (ko) 비말유입을 차단하며 필터 교체가 가능한 위생마스크
CN111657605A (zh) 一种防护口罩
KR20200023348A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N214074625U (zh) 一种鼻呼吸器
KR200257107Y1 (ko) 방독마스크
CN214340293U (zh) 口鼻呼吸分离过滤口罩
CN212697796U (zh) 一种防护口罩
KR20220014257A (ko) 투명마스크
KR20210120226A (ko) 필터교체식 마스크
KR20200117929A (ko) 비말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
CN211912485U (zh) 防护面罩
KR102278379B1 (ko) 호흡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스템
WO2023166601A1 (ja) マスク補助具
KR200497995Y1 (ko) 유해가스 배출기가 구비된 마스크
KR102284403B1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