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436B1 -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436B1
KR102141436B1 KR1020190085882A KR20190085882A KR102141436B1 KR 102141436 B1 KR102141436 B1 KR 102141436B1 KR 1020190085882 A KR1020190085882 A KR 1020190085882A KR 20190085882 A KR20190085882 A KR 20190085882A KR 102141436 B1 KR102141436 B1 KR 10214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dant
outer casing
pair
inner plat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아
Original Assignee
홍승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아 filed Critical 홍승아
Priority to KR102019008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5Illuminated or sound-producing jewell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8Non-removable lids or covers pivoted for movement in plane of container mouth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는, 자석이 내장된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의 테두리 일부에 각각 연결된 회전 결합부,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의 회전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 바를 구비한 레이스 고리, 및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에 각각 내장되며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하면서 자석에 내부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측방으로 개방하고, 자석에 인접하면서 닫힘이 쉽게 완성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SLIDE TYPE PENDEN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가 측면으로 이동되어 개방되는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에 관한 것이다.
펜던트는 장신구의 일종으로서, 목걸이용 체인에 매다는 장식 또는 메달(medal)이 펜던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줄이 굵고 길수록 펜던트의 크기는 커지고 줄이 가늘고 짧을수록 펜던트의 크기는 작아지는 것이 착용했을 때 안정감 있어 보인다.
펜던트는 줄과 펜던트를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고리 장식도 중요하다. 디자인에 따라 고리로 연결시켜 주는 장식이 있는가 하면 특정 고리 장식 없이 펜던트 뒤에 고리를 만들어 착용했을 때 앞에서 보이지 않는 연결 방식도 있다.
연결 고리 장식을 사용할 경우 펜던트와 고리 사이에 오링으로 이어줘서 착용감을 좋게 만들어 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의 펜던트는 측면에 경첩장식을 활용하여 열거나 닫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기존의 펜던트는 사용시간이 늘어날수록 경첩 부분의 마모로 인해 닫힘이 약해졌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하면서 자석에 내부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측방으로 개방하고, 자석에 인접하면서 닫힘이 쉽게 완성되는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는,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의 테두리 일부에 각각 연결된 회전 결합부;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의 회전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 바를 구비한 레이스 고리; 및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에 각각 내장되며,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는, 상기 자석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한쪽이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마련되되, 상기 회전 결합부가 테두리 일측에 마련된 외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외부 케이싱의 개구부 내벽부에 테두리가 접촉되면서 결합되는 내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는 상기 회전 결합부에 연결된 상기 연결 바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 측방으로 엇갈려 위치됨으로써 상기 내판이 노출되며, 반대로 엇갈린 위치에서 제자리로 복귀되어 상기 자석에 의해 위치 고정됨으로써 상기 내판이 은폐되되, 상기 외부 케이싱의 테두리는 상기 내판보다 위에 돌출되어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외부 케이싱은 상기 내판이 이격되어 대면하며 그 테두리끼리 접촉됨으로써 상기 내판이 상호 접촉되는 마모로부터 보호되며, 상기 레이스 고리의 연결 바는 상기 펜던트 장식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 바의 한쪽 단부에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는 위치 고정되는 보석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내판에는 사진이나 무늬의 형상이 음각되며, 그 음각에 염료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외부 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내판은 상기 외부 케이싱에 움직임 가능하게 일부가 상기 외부 케이싱에 결합되어 수용되되, 무늬나 그림이 음각되며, 그 음각에 염료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는 상기 자석에 의해 중심부가 중첩됨으로써 중심부가 볼록한 원반 형상을 이루며, 상기 외부 케이싱은 테두리에서 중앙부 측으로 점점 두꺼워지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레이스 고리는 상기 연결 바의 연결부로부터 위쪽으로 점점 두꺼워지고 넓어지며 외부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는 단면 형상을 갖되, 상기 연결 바와 함께 레이스가 연결되기 위한 장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판은 상기 외부 케이싱을 채우도록 한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서, 중앙부에 상기 자석이 원형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판의 배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석이 중앙부에 고정되기 위한 홈부가 마련된 철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싱, 내판, 및 레이스 고리는 비자화되는 금속으로 마련되며, 외면부가 도금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싱과 내판 사이에는 환형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환형 홈부에는 환상 야광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판 상에는 표면 보호를 위한 하드 필름이 마련되며, 상기 하드 필름은 기재필름, EPU층, 아크릴층, 및 하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싱의 표면 중앙부에는 마찰과 장식을 위한 복수의 보석 알갱이 박힐 수 있다.
상기 레이스 고리의 연결 바에는 분리 가능한 나사 바가 결합되며, 상기 나사 바의 단부에 상기 수용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삼각, 사각, 오각 또는 육각 형상의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외부 케이싱 중 한쪽에는 유도전력에 의해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IC 칩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싱에는 진동자 발전부가 내장되며, 상기 진동자 발전부에 의해 반짝이는 엘이디 소자가 환형으로 박힐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하면서 자석에 내부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측방으로 개방하고, 자석에 인접하면서 닫힘이 쉽게 완성되는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외부 케이스의 상하 중심 라인을 따른 일부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가 엇갈려 내판이 노출된 상태도,
도 4는 도 3에서 펜던트 장식부의 내판이 경첩부로 마련된 다른 실시예,
도 5는 도 2에서 내판에 볼록부가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
도 6은 도 2의 한쪽이 내판이 철판으로 마련된 또 다른 실시예,
도 7은 도 2의 내판에 하드 필름이 마련된 또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1의 외부 케이스에 보석 알갱이 고정된 또 다른 실시예,
도 9는 도 2의 회전 결합부의 연결 바가 나사 바로 마련된 또 다른 실시예,
도 10은 도 9의 수용부가 사각으로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
도 11은 도 9의 외부 케이스에 IC칩이 마련된 또 다른 실시예,
도 12는 도 9의 외부 케이스에 엘이디 소자와 진동 발전부가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
도 13은 도 1의 내판에 환형 야광 부재가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도면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 또는 임의 구조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이 포함되거나 포함 가능한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이나 세부 구조로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인 내용으로 그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내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용적인 사항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실질적인 구현성이 높으며,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는,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의 테두리 일부에 각각 연결된 회전 결합부(125),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의 회전 결합부(125)를 연결하는 연결 바(132)를 구비한 레이스 고리(130), 및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에 각각 내장되며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140)을 포함한다.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는, 외부 케이싱(110)과 내판(120)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싱(110)은 자석(140)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한쪽이 개방되도록 개구부(115)가 마련되며 회전 결합부(125)가 테두리 일측에 마련된 것이다. 내판(120)은 외부 케이싱(110)의 개구부(115)를 폐쇄하면서 외부 케이싱(110)의 개구부(115) 내벽부에 테두리가 접촉되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는 각각 외부 케이싱(110)과 내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전 결합부(125)가 대면한 상태에서 레이스 고리(130)의 연결 바(132)에 연결됨으로써 상호 측방으로 상대 회전되는 구조를 만든다.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는 회전 결합부(125)에 연결된 연결 바(132)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 측방으로 엇갈려 위치됨으로써 내판(120)이 노출되며, 반대로 엇갈린 위치에서 제자리로 복귀되어 자석(140)에 의해 위치 고정됨으로써 내판(120)이 은폐된다.
외부 케이싱(110)의 테두리는 내판(120)보다 위에 돌출되어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외부 케이싱(110)은 내판(120)이 이격되어 대면하며 그 테두리끼리 접촉됨으로써 내판(120)이 상호 접촉되는 마모로부터 보호된다.
레이스 고리(130)의 연결 바(132)는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가 상호 측방으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펜던트 장식부(10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연결 바(132)의 한쪽 단부에는 수용부가 마련된다. 수용부에는 보석(133)이 위치 고정된다.
연결 바(132)의 수용부는 펜던트 장식부(100)의 외면부 측으로 노출되므로, 보석(133)이 펜던트 장식부(100)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보석(133)은 펜던트 장식부(100)의 중앙 상부에서 반짝거릴 수 있으며, 펜던트 장식부(100)에 기능적으로 상당한 미감을 더할 수 있다.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는 자석(140)에 의해 중심부가 중첩됨으로써 중심부가 볼록한 원반 형상을 이루며, 외부 케이싱(110)은 테두리에서 중앙부 측으로 점점 두꺼워지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외부 케이싱(110)의 볼록한 원반 형상은 손가락에 충분한 마찰로 접촉되기 용이한 형상을 제공한다.
외부 케이싱(110)과 자석(140) 배치는 한 쌍의 외부 케이싱(110)이 서로 미끄러지면서 중첩되어 자석(140)에 의해 쉽게 결합되며, 반대로 양측으로 엇갈리면서 쉽게 분리되면서 내판(120)을 노출시키는 구조를 만든다.
한 쌍의 외부 케이싱(110)의 중앙부에서 상호 중첩되는 한 쌍의 자석(140)은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외부 케이싱(110)이 엇갈려 벌어진 상태에서 중심부가 일치하면서 중첩되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의 내판(120)에는 사진이나 무늬의 형상이 음각(121)되며, 그 음각(121)에 염료가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내판(120)의 사진이나 무늬는 은폐된 상태에서 한 쌍의 외부 케이싱(110)의 중첩 상태에서 엇갈리는 배치에 의해 노출된다. 사진이나 무늬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드 코팅에 의해 더 보호될 수 있다.
레이스 고리(130)는 연결 바(132)의 연결부로부터 위쪽으로 점점 두꺼워지고 넓어지며 외부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연결 바(132)와 함께 레이스가 연결되기 위한 장공(13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스 고리(130)는 곡선의 두께와 면적 변화에 의해 충분한 미감을 더하고 레이스가 견고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만든다.
외부 케이싱(110), 내판(120), 및 레이스 고리(130)는 비자화되는 금속으로 마련되며, 외면부가 도금 처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외부 케이싱(110) 중 어느 하나의 내판(120)은 외부 케이싱(1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일부가 외부 케이싱(110)에 결합되어 수용되며, 상기와 같이 무늬나 그림이 음각(121)되며 그 음각(121)에 염료가 주입된 경첩판(14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는, 한쪽 내판(120)이 외부 케이싱(110)에서 수용되어 움직일 수 있으며, 다른 한쪽 내판(120)은 상기와 같이 평판으로 고정된 형상이다. 한쪽 내판(120)인 경첩판(145)이 외부 케이싱(110)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외부 케이싱(110)에서 노출되는 한쪽 내판(120)은 더 기능적인 움직임에 의해 장식성을 더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판(120)은 외부 케이싱(110)을 채우도록 한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서 볼록부(148)가 마련되며, 볼록부(148)의 중앙부에 자석(140)이 원형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내판(120)이 평판 형상이며, 그 하부에 자석(140)이 고정되는 배치를 이루나, 또 다른 실시에에서는 내판(120)이 볼록한 형상의 외부 케이싱(110)에 대응한 내측으로 볼록한 볼록부(148)를 가질 수 있다. 자석(140)은 내판(120)의 볼록한 중앙부에 미리 수용되어 결합된 후 외부 케이싱(1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는 한쪽 내판(120)의 배면부에 결합되며, 자석(140)이 중앙부에 고정되기 위한 홈부가 마련된 철판(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철판(146)은 한쪽 내판(120)의 하부에 결합되며 자석(140)에 의해 넓게 자화된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철판(146)이 있는 펜던트 장식부(100)는 자성이 제공되는 면적이 넓으므로 철판(146)이 없는 펜던트 장식부(100)와 더 유연하게 자성에 의해 중첩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내판(120) 상에는 표면 보호를 위한 하드 필름(150)이 마련되며, 하드 필름(150)은 기재필름, EPU층, 아크릴층, 및 하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 필름(150)은 EPU층에 의해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며, 아크릴층 상의 하드 코팅층에 의해 표면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케이싱(110)의 표면 중앙부에는 마찰과 장식을 위한 복수의 보석 알갱이(151)가 박힐 수 있다.
이러한 보석 알갱이(151)는 기능적으로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가 손가락에 의해 용이하게 슬립 분리될 수 있는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100)가 분리되기 전에는 보석 알갱이(151)로서 반짝이게 되므로 미감을 더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 고리(130)의 연결 바(132)에는 분리 가능한 나사 바(155)가 결합되며, 나사 바(155)의 단부에 수용부(135)가 위치할 수 있다. 수용부(135)는 삼각, 사각, 오각 또는 육각 형상의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연결 바(132)에 수용부(135)가 있는 나사 바(155)가 결합되며, 나사 바(155)는 연결 바(132)에서 분리가 가능하다. 나사 바(155)의 수용부(135)에 있는 보석(133)은 나사 바(155)와 함께 조립 및 분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나사 바(155)의 분리 및 조립 구조는 보석(133)과 나사 바(155)의 선 조립 후 연결 바(132)에 대한 결합이 가능한 것이므로 연결 바(132)에 보석(133)을 수월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연결 바(132)에서 쉽게 보석(133)을 분리하여 세정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만든다. 수용부(135)의 각진 형상은 연결 바(132)에서 나사 바(155)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외부 케이싱(110) 중 한쪽에는 유도전력에 의해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IC 칩(160)이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IC 칩(160)은 신용 정보가 탑재될 수 있는 것으로서, 펜던트에 결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외부 케이싱(110)에는 진동자 발전부(165)가 내장되며, 진동자 발전부(165)에 의해 반짝이는 엘이디 소자(166)가 환형을 이루도록 박힐 수 있다. 이러한 엘이디 소자(166)는 알갱이와 같이 작은 것으로서, 진동자 발전부(165)에 의해 전기가 공급되어 점멸될 수 있다. 엘이디 소자(166)는 점멸에 의해 반짝거리는 기능을 펜던트에 부여하여 미감과 식별성을 더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케이싱(110)과 내판(120) 사이에는 환형 홈부(171)가 마련되며, 환형 홈부(171)에는 환상 야광 부재(172)가 결합될 수 있다. 환상 야광 부재(172)는 불빛에 의해 빛이 축적되는 야간에 낮은 밝기로 식별성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펜던트 장식부 110: 외부 케이싱
115: 개구부 120: 내판
121: 음각 125: 회전 결합부
130: 레이스 고리 131: 장공
132: 연결 바 133: 보석
135: 수용부
140: 자석 145: 경첩판
146: 철판 148: 볼록부
150: 하드 필름 151: 보석 알갱이
155: 나사 바 160: IC 칩
165: 진동자 발전부 166: 엘이디 소자
171: 환형 홈부 172: 환상 야광 부재

Claims (15)

  1.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의 테두리 일부에 각각 연결된 회전 결합부;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의 회전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 바를 구비한 레이스 고리; 및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에 각각 내장되며,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는, 상기 자석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한쪽이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마련되되, 상기 회전 결합부가 테두리 일측에 마련된 외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외부 케이싱의 개구부 내벽부에 테두리가 접촉되면서 결합되는 내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는 상기 회전 결합부에 연결된 상기 연결 바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 측방으로 엇갈려 위치됨으로써 상기 내판이 노출되며, 반대로 엇갈린 위치에서 제자리로 복귀되어 상기 자석에 의해 위치 고정됨으로써 상기 내판이 은폐되되,
    상기 외부 케이싱의 테두리는 상기 내판보다 위에 돌출되어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외부 케이싱은 상기 내판이 이격되어 대면하며 그 테두리끼리 접촉됨으로써 상기 내판이 상호 접촉되는 마모로부터 보호되며,
    상기 레이스 고리의 연결 바는 상기 펜던트 장식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레이스 고리의 연결 바에는 분리 가능한 나사 바가 결합되며,
    상기 나사 바의 단부에 수용부가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는 삼각, 사각, 오각 또는 육각 형상의 각진 형상을 가지되, 상기 수용부에는 위치 고정되는 보석을 더 포함함으로써 보석이 나사바와 함께 조립 및 분리되도록 하여 별도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케이싱 중 한쪽에는 유도전력에 의해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IC 칩이 내장됨으로써 결제기능을 가지며,
    상기 외부 케이싱에는 진동자 발전부가 내장되며, 상기 진동자 발전부에 의해 반짝이는 엘이디 소자가 환형으로 박혀 있으며,
    상기 외부 케이싱의 표면 중앙부에는 마찰과 장식을 위한 복수의 보석 알갱이 박혀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외부 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내판은 상기 외부 케이싱에 움직임 가능하게 일부가 상기 외부 케이싱에 결합되어 수용되되, 사진이나 무늬나 그림이 음각되며, 그 음각에 염료가 주입되며,
    상기 내판 상에는 표면 보호를 위한 하드 필름이 마련되며, 상기 하드 필름은 기재필름, EPU층, 아크릴층, 및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펜던트 장식부는 상기 자석에 의해 중심부가 중첩됨으로써 중심부가 볼록한 원반 형상을 이루며, 상기 외부 케이싱은 테두리에서 중앙부 측으로 점점 두꺼워지는 원형 형상인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 고리는 상기 연결 바의 연결부로부터 위쪽으로 점점 두꺼워지고 넓어지며 외부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는 단면 형상을 갖되, 상기 연결 바와 함께 레이스가 연결되기 위한 장공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은 상기 외부 케이싱을 채우도록 한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서, 중앙부에 상기 자석이 원형으로 위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의 배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석이 중앙부에 고정되기 위한 홈부가 마련된 철판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 내판, 및 레이스 고리는 비자화되는 금속으로 마련되며, 외면부가 도금 처리되는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과 내판 사이에는 환형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환형 홈부에는 환상 야광 부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에는 진동자 발전부가 내장되며, 상기 진동자 발전부에 의해 반짝이는 엘이디 소자가 환형으로 박히는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KR1020190085882A 2019-07-16 2019-07-16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KR10214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82A KR102141436B1 (ko) 2019-07-16 2019-07-16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82A KR102141436B1 (ko) 2019-07-16 2019-07-16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436B1 true KR102141436B1 (ko) 2020-08-05

Family

ID=7204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882A KR102141436B1 (ko) 2019-07-16 2019-07-16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6693A1 (en) 2021-06-04 2022-12-08 Wayne Parris Expanding surface jewelr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053Y1 (ko) * 2002-06-18 2003-01-03 김경선 자외선에서 변색하는 광호변성수지를 이용한 액세서리
KR101345128B1 (ko) * 2012-10-12 2013-12-26 씨알 주식회사 펜던트
KR20150003774U (ko) * 2014-04-07 2015-10-15 김시영 목걸이 겸용 안경
WO2016090119A1 (en) * 2014-12-03 2016-06-09 Hb Concepts, Llc Interchangeable matching decorated jewelry pendant halv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053Y1 (ko) * 2002-06-18 2003-01-03 김경선 자외선에서 변색하는 광호변성수지를 이용한 액세서리
KR101345128B1 (ko) * 2012-10-12 2013-12-26 씨알 주식회사 펜던트
KR20150003774U (ko) * 2014-04-07 2015-10-15 김시영 목걸이 겸용 안경
WO2016090119A1 (en) * 2014-12-03 2016-06-09 Hb Concepts, Llc Interchangeable matching decorated jewelry pendant halv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6693A1 (en) 2021-06-04 2022-12-08 Wayne Parris Expanding surface jewelr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8495B2 (en) Apparatus comprising removable light source for decorative utility
US7654112B2 (en) Jewelry forming article and method
JP2008529726A (ja) 交換可能取付具および取付け可能チャームならびにそれらの使用法
US9826803B2 (en) Your view
CN101983021A (zh) 具有装饰效果的便携式物品
KR102141436B1 (ko) 슬라이드 방식 펜던트
US5400304A (en) Ornamental clock
ES2312100T3 (es) Joya modular.
JP3111608U (ja) 宝石箱
US20130036767A1 (en) Wear-a-mark magnetic changeable pendant - lifestyle expression
KR101345128B1 (ko) 펜던트
US20080142561A1 (en) Necklace for hanging glasses
EP1773151B1 (en) Clip for jewellery
WO2005025365A3 (en) Jewelry setting, particularly suited for displaying multiple faces or gem stones
CN101248918A (zh) 发光宝石戒指
CN201185696Y (zh) 发光宝石戒指
CA2598174A1 (en) Jewelry with interchangeable settings and attachable charms
KR200386159Y1 (ko) 자석이 구비된 펜던트
GB2276071A (en) Illuminated jewellery
KR200316388Y1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조보석 장신구
TWM248287U (en) Jewellery structure with high flexibility of use
CN2259790Y (zh) 发光首饰
KR0134998B1 (ko)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CN2909908Y (zh) 一款多用戒指
KR200235993Y1 (ko) 목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