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199B1 -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 Google Patents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199B1
KR102140199B1 KR1020190031440A KR20190031440A KR102140199B1 KR 102140199 B1 KR102140199 B1 KR 102140199B1 KR 1020190031440 A KR1020190031440 A KR 1020190031440A KR 20190031440 A KR20190031440 A KR 20190031440A KR 102140199 B1 KR102140199 B1 KR 102140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rtion
apron
buttons
state
us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4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선
Original Assignee
이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선 filed Critical 이원선
Priority to KR1020190031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199B1/en
Priority to CN201980029490.9A priority patent/CN112040802A/en
Priority to PCT/KR2019/004305 priority patent/WO20191990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1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Specifically, disclosed is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a carrier function when going out or moving with an infant or companion animal while providing an apron function during caring activities such as bathing an infant or companion animal. In addition, the convenience of switching functions of the apron and a carrier can be increased by using a button-type fastening means.

Description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Apron with carrier function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본 발명은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에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버튼 타입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앞치마와 캐리어의 기능 전환의 편의성을 높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ron having a carrier function,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an apron function during care activities such as bathing an infant or companion animal while providing a carrier function when going out or moving with an infant or companion animal. , It relates to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that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switching between the apron and the carrier using a button type fastening means.

반려 동물과 함께 거주 공간 외부로 외출하는 경우, 반려 동물의 청결을 유지하고 반려 동물이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자 캐리어가 사용된다. 이러한 반려 동물용 캐리어에 관해 다양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When going out with the companion animal to the outside of the living space, a carrier is used to keep the companion animal clean and prevent the companion animal from causing discomfort to the surrounding people. Various configurations have been proposed for the companion animal carrier.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8597(2003년 09월 22일 등록)은 애완동물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한쌍의 어깨끈이 구비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타면 하부로 전방을 향해 수평 고정되는 착석부과, 상기 착석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위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단부에 전방을 향에 둥글게 라운딩되어 돌출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거치대 및 상기 밀착판과 거치대의 양측부로 애완동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연결되는 그물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20-0328597 (registered on September 22, 2003) relates to a carrier for pets, a contact plate provided with a pair of shoulder straps on one side, and a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plate The cradle is composed of a seating part that is horizontally fixed toward the front, a seat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ating part, and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toward the top, and a support part that is roundly rounded and protrudes toward the front end of the seat part. And it proposed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mesh that is interconnected to prevent the pet from falling to both sides of the contact plate and the cradle.

또다른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8002(2005년 10월 04일 등록)은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저판부와 상기 측면부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입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방 내에서 애완 동물 등이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자세를 취해 자리잡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의해 가방의 구조적 안정 및 가방 착용시의 안정화를 제공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20-0398002 (registered on October 04, 2005) relates to a bag for carrying pets, a bottom plate, a s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portion to an upper side, and the bottom plate portion And an entran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ide portion, so that the pets, etc., in the bag can be stably positioned at a certain position and settled by additional components. A structure that provides structural stability and stabilization when wearing a bag is proposed.

또다른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2888(2017년 03월 07일 등록)은 애완동물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용 힙시트를 응용하여 지지체가 내장된 시트부의 양측에 허리밴드를 형성한 애완동물용 캐리어를 형성하되, 상기 시트부에 오염방지커버 및 포켓커버와 측면부재를 형성하여 시트부 상에 애완동물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20-0482888 (registered on March 07, 2017) relates to a pet carrier, and applies waist pads for infants to provide waistbands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with a built-in support. It is proposed to form a carrier for a pet, but to form a contamination preventing cover, a pocket cover, and a side member in the seat portion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the pet on the seat portion.

또다른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3297(2017년 04월 19일 등록)은 애완동물 운반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백팩 형태를 이루고 있어 애완동물의 이동시 양쪽 어깨에 메고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차량 이동시에는 안전벨트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자전거 핸들부위에 탈부착 형태로 장착이 가능한 구성을 제안하였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83297 (registered on April 19, 2017) relates to a bag for carrying pets, and is in the form of a backpack, so it can be carried on both shoulders when the pet is moved. When the vehicle is moving, it is possible to fasten by a seat belt, and if necessary, a configuration is proposed that can be mounted in a detachable form on the handlebar of the bicycl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애완동물용 캐리어들은 가방 형태로 구성되거나 하중 지지용 프레임이 있는 구성을 취하므로, 제작 측면에서는 제작 비용을 저렴하게 구현하는데 한계점이 있었고, 사용 측면에서는 미사용시에도 보관 장소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반려 동물 캐리어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se conventional pet carriers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g or have a structure for supporting a load, there are limitations in implementing manufacturing costs inexpensively in terms of production, and occupy storage space even when not in use. Nevertheless,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be used for other purposes than the companion animal carrier.

한편, 유아와 함께 거주 공간 외부로 외출하는 경우에도 보행이 어려운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캐리어가 사용된다. 유아용 캐리어에 관해서도 다양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Meanwhile, a carrier is used to protect an infant who is difficult to walk even when going out of the living space with the infant. Various configurations have been proposed for infant carriers.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캐리어들도 반려동물용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가방 형태로 구성되거나 하중 지지용 프레임이 있는 구성을 취하므로, 제작 측면에서는 제작 비용을 저렴하게 구현하는데 한계점이 있었고, 사용 측면에서는 미사용시에도 보관 장소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캐리어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arriers for infants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g or a frame for supporting a load, like the carrier for a companion animal, there are limitations in realizing the manufacturing cost at a low cost in terms of production, and even when not in use. Despite occupying the storage area,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could not be used for any purpose other than a carrier.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8597(2003년 09월 22일 등록)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328597 (Registered on September 22, 200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8002(2005년 10월 04일 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398002 (registered on October 04, 20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2888(2017년 03월 07일 등록)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20-0482888 (March 07, 2017 registra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3297(2017년 04월 19일 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83297 (registered on April 19, 2017)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211174호(2017년 06월 7일 등록)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211174 (registered on June 7, 2017)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056422호(2007년 03월 08일 공개)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056422 (published March 08, 2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에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버튼 타입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앞치마와 캐리어의 기능 전환의 편의성을 높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provides an apron function during a care activity such as bathing an infant or a companion animal while providing a carrier function when going out or moving with an infant or companion animal. The object is to provide an apron having a carrier function, which increases convenience of switching between an apron and a carrier using a button type fastening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결합 버튼;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걸림 고리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지점에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hest cover portion and the abdomen cover portion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first use state in which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is unfolded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toward the front upper side. A body part having a second use state fixed in a folded state, and configured to allow an infant or a companion animal to be positioned inside the lower cover part folded in the second use state; Left and right coupling buttons respectively provided at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points of the breast cover of the main body; It is provided so as to wrap a part of the rear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in a worn state so that the main body is supported upward by the upper body of the user, and a hook ring provided at one end is engaged and engaged in a detachable form to the left or right coupling button. Left and right support string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Each of the lower and right lower locking rings provid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lower body cover part and fastening to the left or right coupling buttons, respectively. The first use state includes the left and right lower locking rings and the left or The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ght engaging button is in a non-fastened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rings and the left or right engaging button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each other. do.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결합 버튼;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뒷목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뒷목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양단에 각각 마련된 걸림 고리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비된 목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st cover portion, the abdomen cover portion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use state in which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is unfolded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is fix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front upper side. A body part having a use state and configured to allow an infant or a companion animal to be located inside the lower cover part folded into the second use state; Left and right coupling buttons respectively provided at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points of the breast cover of the main body; The neck is provided so as to wrap the user's back neck in a worn state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is supported upward by the user's back neck, and the locking rings provided at both ends are attached to the left or right coupling buttons in a detachable form. Support string; Each of the lower and right lower locking rings provid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lower body cover part and fastening to the left or right coupling buttons, respectively. The first use state includes the left and right lower locking rings and the left or The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ght engaging button is in a non-fastened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rings and the left or right engaging button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each other. do.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결합 버튼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상단 일지점에 2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우측 결합 버튼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우측 상단 일지점에 2 이상이 구비된다. Preferably, the left coupling button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at the upper left point of the chest cov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right coupling button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at the upper right point of the breast cov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의 상기 걸림 고리 측의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보조 결합 버튼;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left and right auxiliary coupling buttons provided at one point on the side of the locking ring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의 좌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좌측 조임끈; 및 상기 본체부의 우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우측 조임끈;을 포함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좌측 조임끈 및 우측 조임끈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drawstring is fixed to one en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And a right drawstring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configured to enable the left and right drawstrings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so as to wrap the back of the user's waist in a worn stat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의 좌측, 우측 또는 상측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좌측, 우측 및 상측 개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개구부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of at least one of the left, right and upper openings so that infants or companion animals located therein do not escape through the left, right or upper openings of the lower cover portion folded in the second use state It includes; opening control means for reducing the size.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개방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봉재 공간에 내입되며,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가 조여지거나 풀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개구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임끈이다. Preferably, the opening adjust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bar space formed along the rim of the opening, and is a drawstring that allows the size of the opening to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egree to which the rim of the opening is tightened or released.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개방부의 중간부 내측에 부착되며, 암부와 수부가 상호 결합 또는 해제됨에 따라 개구부의 중간부를 차단 또는 개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냅 버튼이다. Preferably, the opening adjustment means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middle of the opening, and is a snap button that allows the middle and the opening of the opening to be blocked or adjusted as the arm and the male are mutually coupled or released.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본체부의 전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태에서 폐쇄 조작이 가능한 지퍼이다. Preferably, the opening adjusting means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a zipper capable of closing operation in the folded state in the second use stat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목 지지끈의 상기 걸림 고리 측의 일지점 및 타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보조 결합 버튼;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left and right auxiliary coupling buttons provided at one point and another point on the side of the hook ring of the neck support strap, respectively.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에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an apron function during a care activity such as bathing an infant or a companion animal while providing a carrier function when going out or moving with an infant or companion animal.

또한, 본 발명은, 버튼 타입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앞치마와 캐리어의 기능 전환의 편의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switching the function of the apron and the carrier by using a button type fastening means.

또한, 본 발명은 크고 무거운 캐리어 프레임이 포함되지 않고 직물과 같은 얇은 소재를 봉재 처리하는 작업을 통해 제작되므로, 이동 시의 무게가 가벼우며 제작 측면에서도 제작 비용을 저렴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does not include a large and heavy carrier frame and is manufactured through the operation of sewing a thin material such as a fabric, so that the weight at the time of movement is light and the production cost is also low in terms of production.

또한, 본 발명은 앞치마 형태의 기본 구성을 가지므로, 미사용시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미사용시에도 보관 장소를 크게 차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a large storage space even when not in use, since it has a basic configuration in the form of an apron and can be fold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또한, 본 발명은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을 하다가 앞치마를 벗지 않고 그대로 착용한 상태에서 간단한 결합 조작만으로 바로 캐리어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간편함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implicity that it can be transformed into a carrier and used only by a simple coupling operation in a worn state without taking off the apron while taking care of such as bathing an infant or companion anim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이다.
1 is a frontal configuration of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direction configuration of the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of a wearing state of the first use state of the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wearing state of the second use of the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xemplary wearing state of the first use state of the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other exemplary wearing state of the second use state of the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other exemplary wearing state of the second use state of the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al configuration of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al configuration of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the apron having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technical spirit or main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When an elem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es", "have", etc. are intended to express the presence of a componen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that another component or feature is present or added. It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배면 방향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1 is a front direc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direc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 example of a wearing state of a first use state of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ample of a wearing state of a second use state of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로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의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면서 유아 또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The apr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while providing an apron function during care activities such as bathing an infant or companion animal while providing a carrier function when going out or moving with an infant or companion animal.

설명 편의 상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반려 동물용 캐리어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 설명한다.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examples exemplarily describe a case of using as a companion animal carrier.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본체부(100)와 지지끈을 포함한다. The apron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100 and a support strap.

상기 지지끈은 상기 본체부(100)에 양단이 결합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한다. The support strap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100, and is provided to be in a form that wraps a part of the user's body in a worn state so that the body portion 100 is supported upward by the user's body.

본 실시예의 지지끈은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을 포함한다. The support straps of this embodiment includ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202 and 204.

상기 본체부(100)는, 가슴 커버부(102)와 복부 커버부(104)와 하체 커버부(10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갖는다. 일예로, 상기 본체부(100)와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는 직물 소재 또는 합성 수지 시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portion 100, the chest cover portion 102, the abdomen cover portion 104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106 are integrally forme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106 is the first use state and the lower body The cover portion 106 has a second use state fix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upper front side. For example, the main body 100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202 and 204 may be formed of a fabric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sheet material.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는 등의 돌봄 활동 시에 앞치마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 상태이다.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반려 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 시에 캐리어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 상태이다. The first use state is a use state that provides an apron function during care activities such as bathing a companion animal. The second use state is a use state that provides a carrier function when going out or moving with a companion animal.

특히,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 내부에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particular, the apron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allow a companion animal to be placed inside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106 folded in the second use state.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좌측 및 우측 결합 버튼(212,212')이 구비된다. Left and right coupling buttons 212 and 212' are provided at one upper left and right upper points of the breast cover portion 102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respectively.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H)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사용자(H)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걸림 고리(202h,204h)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212',212)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 일지점에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도 1에 예시된 걸림고리는 와이어가 절곡된 구조의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202 and 204 are provided to be in a form of enclosing a part of the rear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H in a worn state so that the main body 100 is supported upward by the upper body of the user H, The locking rings 202h and 204h provided at one end are engaged in a detachable form to the left or right coupling buttons 212' and 212, and the other ends ar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Each is provided. The locking ring illustrated in FIG. 1 has a structure in which a wire is b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예로, 상기 좌측 지지끈(202)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좌측 일지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면 일지점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우측 지지끈(204)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우측 일지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면 일지점에 타단이 결합된다. For example, the left support strap 202 has one end coupled to the left one point of the chest cover portion 102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one point of the right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the The right support strap 204 has one end coupled to the right one point of the chest cover portion 102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one point on the left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사용자의 착용 상태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이 사용자의 등을 "X"자 형태로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된다.(도 3의 우측 상태 참조)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apr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202 and 204 wrap the user's back in an "X" shape in the user's wearing state. (See the right state of FIG. 3)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212',212)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214a,214b)를 구비한다. The apron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106, respectively, as illustrated in FIG. 1, and the left and right lower hooks respectively engageable with the left or right engaging buttons 212' and 212. And rings 214a and 214b.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214a,214b)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212',212)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214a,214b)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212',212)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로 구현된다. 결합 버튼 및 걸림 고리는 걸림 결합 및 유지가 가능하다면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u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rings 214a and 214b and the left or right engagement buttons 212' and 212 are not yet engaged, and the second use state is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rings 214a and 214b and the left or right engaging buttons 212' and 212 are implemented in a mutually engaged state, respectively. The engaging button and the engaging ring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if it is possible to engage and maintain the engaging button.

일예로, 상기 좌측 결합 버튼(212')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좌측 상단 일지점에 2 이상(212a',212b',212c')이 구비되며, 상기 우측 결합 버튼(212)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슴 커버부(102)의 우측 상단 일지점에 2 이상(212a,212b,212c)이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ft coupling button 212'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212a',212b',212c') at one upper left point of the chest cover portion 102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right coupling The button 212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212a, 212b, 212c at one upper right point of the breast cover portion 102 of the body portion 100.

하체 커버부(106) 내부에 위치하는 반려 동물의 크기, 무게 또는 사용자의 착용감 등을 고려하여,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에 마련된 걸림 고리(202h,204h)는 2 이상의 좌측 결합 버튼(212a',212b',212c') 및 우측 결합 버튼(212a,212b,212c) 중 적절한 위치의 버튼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Considering the size, weight, or user's fit of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side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106, the hooking rings 202h and 204h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202 and 204 are two or more left engaging buttons 212a. ',212b',212c') and right combination buttons 212a, 212b, and 212c can be combined by selecting a button at an appropriate location.

또한,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214a,214b)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2 이상의 좌측 결합 버튼(212a',212b',212c') 및 우측 결합 버튼(212a,212b,212c) 중 적절한 위치의 버튼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hooks 214a and 214b of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106 also have two or more left engaging buttons 212a', 212b', 212c' and right engaging buttons 212a, in consideration of user convenience. 212b, 212c) can be combined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button.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의 상기 걸림 고리(202h,204h) 측의 일지점에 좌측 및 우측 보조 결합 버튼(202a,204a)이 각각 구비된다. Preferably,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coupling buttons 202a and 204a are provided at one point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202 and 204 on the side of the engaging rings 202h and 204h, respectively.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214a,214b)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좌측 및 우측 보조 결합 버튼(202a,204a)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하게 되면,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가 더 높은 위치에서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에 의한 지지력을 받게 되므로 더 안정된 지지 구조를 얻을 수 있다. The lower and right lower locking rings 214a and 214b of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106 may b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engaging buttons 202a and 204a in consideration of user convenience. When such a combination is made, the lower cover portion 106 folded in the second use state receives the support force by th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202 and 204 at a higher position, thereby obtaining a more stable support structure.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좌측 조임끈(244)과,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우측 조임끈(24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호 간의 용이한 체결을 위해 좌측 조임끈(244)과 우측 조임끈(242)에는 각각 수버클(245)과 암버클(243)이 결합된다. The apron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left drawstring 244 with one end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a right drawstring 242 with one end fix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00. Preferably, a male buckle 245 and a female buckle 243 are coupled to the left drawstring 244 and the right drawstring 242, respectively, for easy fastening.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H)의 허리 후면(WB)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좌측 조임끈(244) 및 우측 조임끈(242)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apr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ft drawstring 244 and the right drawstring 242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so as to wrap the waist back WB of the user H in the worn state.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착용 상태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이 사용자의 등(B)을 "X"자 형태로 감싸고, 또한 상기 좌측 조임끈(244) 및 우측 조임끈(242)이 사용자의 허리 후면(WB)을 감싸는 형태를 이루므로, 특히,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 내부에 반려 동물이 위치하였을 때 양측 어깨와 허리를 통해 반려 동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별도의 프레임이 없더라도 견고한 캐리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은 사용자의 등(B)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감싸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면 반드시 단순한 "X"자 형태를 이룰 필요는 없으며 다소의 변형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Preferably, in the apron of this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3, in the user's wearing state, th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202 and 204 wrap the user's back B in an “X” shape, and also the left drawstring 244 ) And the right drawstring 242 form a shape surrounding the back of the user's waist (WB). In particular,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located inside the lower body cover 106 folded in the second use state, both shoulders and waist Through this, the load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distributedly supported to provide a robust carrier function even without a separate frame. Th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202 and 204 do not necessarily have a simple “X” shape if they can provide a structure that substantially wraps the user's back B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nd have a somewhat modified shape. You can have it.

상기 제2 사용 상태에서 반려 동물(P)을 사용자(H)가 용이하게 바라볼 수 있는 가슴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므로, 이동 시에 반려 동물과 눈을 맞추어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반려 동물의 움직임이나 불편한 상황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In the second use state, since the companion animal P is positioned in a chest area where the user H can easily view,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sychological stability by matching the eyes with the companion animal when moving, and the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However, you can easily respond to uncomfortable situations.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좌측 및 우측 지지끈(202,204)에 끈 조절구(205,20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 등의 부착을 위해 허리 조임끈에 "D"형 링(247)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보관 주머니(103)를 전면에 구비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apron of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strap adjustments 205 and 205' on th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202 and 204, and a "D" shaped ring 247 on the waist drawstring for attachment of accessories, etc. Alternatively, the storage bag 10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한편,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좌측, 우측 또는 상측 개방부(16c,16b 또는 16a)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유아 또는 반려 동물(P)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좌측, 우측 또는 상측 개방부(16c,16a 또는 1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개구부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apron of this embodiment, the infant or companion animal located therein through the left, right or upper openings 16c, 16b or 16a of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106 folded in the second use state ( And an opening adjusting means for reducing the size of at least one of the left, right, or upper openings 16c, 16a, or 16b so that P) does not escape.

상기 개방부(16a,16b,16c)는 상기 제2 사용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테두리가 서로 만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opening portions 16a, 16b, and 16c may be understood as portions where the edges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106 meet each other in the second use state.

일예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개방부(16c,16a 또는 16b)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봉재 공간에 내입되며, 상기 개방부(16c,16a 또는 16b)의 테두리가 조여지거나 풀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개구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임끈(236,238)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opening adjusting means is introduced into the bar space formed along the rim of the openings 16c, 16a or 16b, and the degree of tightening or loosening of the rims of the openings 16c, 16a or 16b is adjusted. It may be composed of a drawstring (236,238) to allow the size of the opening to be adjusted.

바람직하게, 좌측 및 우측 조임끈(236,238)은 일단부가 앞치마 본체부(100)에 봉재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끈 조임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공지의 끈 고정/해제수단(239)이 끈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끈 고정/해제수단(239)은 스프링과 버튼을 구비하여 버튼 누름 시에는 끈 삽입 위치를 이동 가능하고, 버튼 누름 해제 시에는 끈에 고정되는 공지의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eft and right drawstrings 236 and 238 have one end fixed to the apron main body 100, and the other end provided with a known string fixing/release means 239 for adjusting the string tightening state, inserted into the strap. Can be. As an example, the string fixing/release means 239 is provided with a spring and a button, so that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string insertion position can be moved, and when the button is released, a known means fixed to the string can be used.

상기 조임끈(236,238)의 조임 조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체 커버부(106)의 좌측, 우측, 하부측 테두리에는 각각 상기 조임끈(236,238)을 테두리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입하는 봉재 공간(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봉재 공간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상기 조임끈(236,238)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개방홀(부호 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끈 고정/해제수단(239)은 상기 조임끈(236,238) 각각의 노출된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끈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provide a tightening function of the tightening straps 236 and 238, the left, right, and lower rims of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106 respectively include a sewing space (not shown) for inserting the tightening straps 236 and 238 along the length of the rim. ) Is formed. Opening holes (not shown) are formed on one or both ends of the bar space so that the ends of the drawstrings 236 and 238 are exposed, and the strap fixing/release means 239 is coupled to the exposed ends of the drawstrings 236 and 238,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adjust the string.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앞치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The state of use of the apr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1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5 is another exemplary wearing state of the first use state of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반려 동물의 목욕 등 돌봄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 상태에서 동물의 털이나 각종 이물질, 목용물 등이 사용자의 옷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5, the user can take care of a companion animal, such as a bath, and can prevent the animal's hair, various foreign matters, and wooden objects from being attached to the user's clothes in this use stat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6 is another exemplary wearing state of the second use state of the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앞치마를 반려 동물 캐리어로 이용할 수 있으며, 좌측 및 우측 조임끈(236,238)을 조이되 상측을 다소 여유있게 개방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위치한 반려 동물은 상측으로 얼굴을 내밀 수 있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In the state of FIG. 6, the user can use the apr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a companion animal carrier, and tighten the left and right drawstrings 236 and 238 to form an open space slightly above the upper side, and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user's chest area The face can be extended upwards and it is prevented from being left or right.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제2 사용 상태의 또다른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7 is another exemplary wearing state of the second use state of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좌측 조임끈(236)을 약간 느슨하게 조이므로, 반려 동물은 사용자의 좌측으로 얼굴을 내밀 수 있다. 반려 동물의 크기가 작아 상측으로 얼굴을 내밀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러한 사용 상태로 앞치마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7, the user tightens the left drawstring 236 slightly loosely,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extend the face to the left of the user. If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is small and it is difficult to reach the face upward, an apron can be used in this state of use.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이다. 8 is a front view of an apron having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본체부(100)의 전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태에서 폐쇄 조작이 가능한 지퍼(1202,1204)이다. In the embodiment of Figure 8, the opening adjustment means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the zipper 1202 capable of closing operation in the folded state in the second use state ,1204).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의 지퍼부(1204)를 이용하여 상측 및 하측 지퍼 레일(1202a,1202b)을 잠그면 측면 개방부(16c,16a)가 폐쇄되어 반려 동물은 상측으로 얼굴을 내밀 수 있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지퍼부(1204)의 잠금 위치에 따라 측면 개방부(16c,16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upper and lower zipper rails 1202a and 1202b are locked using the left and right zipper portions 1204 in the folded state in the second use state, the side openings 16c and 16a are closed,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faces upward. It can be extruded and prevented from being left or right. Sizes of the side openings 16c and 16a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ocking position of the zipper 1204.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이다. 9 is a front direc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ron having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지지끈은 목 지지끈(1210)의 형태로 구성되어, 본체부(100)를 사용자의 목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support strap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neck support strap 1210,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main body 100 with the user's neck.

본 실시예의 목 지지끈(1210)은,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H)의 뒷목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사용자(H)의 뒷목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양단에 각각 마련된 걸림 고리(202h,204h)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212',212)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 지지끈(1210)은 상기 걸림 고리 측의 일지점 및 타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보조 결합 버튼(도 9의 201a,204a)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neck support strap 121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be in a form that wraps the back neck of the user H in the worn state, so that the main body 100 is supported upward by the back neck of the user H, respectively at both ends. The provided locking rings 202h and 204h are provided to be engaged in a detachable form to the left or right engaging buttons 212' and 212. Preferably, the neck support strap 121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left and right auxiliary coupling buttons (201a, 204a of FIG. 9) provided at one and other points on the side of the hook ring.

이외의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Other configurations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의 정면 방향 구성도이다. 10 is a front view of the apron having a carrier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232)은, 개방부(16a,16c)의 중간부 내측에 부착되며, 암부와 수부가 상호 결합 또는 해제됨에따라 개구부의 중간부를 차단 또는 개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냅 버튼(232)으로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adjusting means 232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middle of the openings 16a and 16c, and the middle and the opening of the opening can be blocked or opened as the arm and the male are mutually coupled or released. It consists of a snap button 232.

반려 동물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반드시 조임끈으로 개방구를 바짝 조일 필요가 없으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반려 동물이 빠져 나가지 않을 정도로만 개구부의 중간부만 차단하면 된다. 본 실시예는 제작 측면에서 간단하고, 이러한 사용 상태에 적합하다. If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arge, it is not necessary to tighten the opening with a drawstring, and only the middle portion of the opening should be blocked to the extent that the companion animal does not escape to the left or right. This embodiment is simple in terms of manufacturing and is suitable for this use state.

스냅 버튼(232) 대신에 공지의 다양한 점(dot)형 결합 수단(예, 일반 단추, 벨크로, 옷핀)을 부착할 수도 있다. Instead of the snap button 232, various known dot-type coupling means (eg, a regular button, velcro, clothespin) may be attached.

본 실시예의 앞치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려 동물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유아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유아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아의 신체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한 유아 보호용 액세서리(예, 목 보호대, 손 보호대 등)가 더욱 부착될 수도 있다. The apron of this embodiment may be used for a companion animal as described above, and as another example, it may also be used for an infant. When used for infants, various infant protective accessories (eg, neck protectors, hand protectors, etc.) may be further attached in consideration of the infant's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set forth to cover these many variations.

16a,16b,16c: 개방부
100: 본체부
102: 가슴 커버부
104: 복부 커버부
106: 하체 커버부
202,204: 좌측 및 우측 지지끈
202h,204h: 걸림 고리
212,212': 좌측 및 우측 결합 버튼
214a,214b: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
232: 스냅 버튼
236,238: 조임끈
242: 우측 조임끈
244: 좌측 조임끈
1202,1204: 지퍼
1210: 목 지지끈
16a,16b,16c: opening
100: main body
102: chest cover
104: abdominal cover
106: lower body cover
202,204: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202h,204h: Jam ring
212,212': left and right combination buttons
214a,214b: left and right lower hooks
232: snap button
236,238: drawstring
242: right drawstring
244: left drawstring
1202,1204: zipper
1210: neck support

Claims (10)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결합 버튼;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걸림 고리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지점에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이며,
상기 좌측 결합 버튼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상단 일지점에 2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우측 결합 버튼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우측 상단 일지점에 2 이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The chest cover portion, the abdomen cover portion,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has a first use state unfolded,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has a second use state fix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use A body part configured to allow an infant or a companion animal to be located inside the lower body cover part folded in a state;
Left and right coupling buttons respectively provided at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points of the breast cover of the main body;
It is provided so as to wrap a part of the rear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in a worn state so that the main body is supported upward by the upper body of the user, and a hook ring provided at one end is engaged and engaged in a detachable form to the left or right coupling button Left and right support string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Includ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hooks can be fastened to the left or right combination buttons, respectively.
In the first use state,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rings and the left or right engaging buttons are not yet engaged, and in the second use state,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rings and the left or right engaging buttons are respectively. Mutually signed,
The left coupling button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at the upper left one point of the chest cov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right engaging button is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are provided at a point in the upper right of the chest cover portion of the main body.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결합 버튼;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뒷목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뒷목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양단에 각각 마련된 걸림 고리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비된 목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The chest cover portion, the abdomen cover portion,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has a first use state unfolded,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has a second use state fix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use A body part configured to allow an infant or a companion animal to be located inside the lower body cover part folded in a state;
Left and right coupling buttons respectively provided at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points of the breast cover of the main body;
The neck is provided so as to wrap the user's back neck in a worn state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is supported upward by the user's back neck, and the locking rings provided at both ends are attached to the left or right coupling buttons in a detachable form. Support string;
Includ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hooks can be fastened to the left or right combination buttons, respectively.
In the first use state,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rings and the left or right engaging buttons are not yet engaged, and in the second use state,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rings and the left or right engaging buttons are respectively.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a mutually fastened state.
가슴 커버부와 복부 커버부와 하체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체 커버부가 펼쳐진 제1 사용 상태와 상기 하체 커버부가 전방 상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된 제2 사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 내부에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및 우측 상단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결합 버튼;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하고, 일단에 마련된 걸림 고리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걸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지점에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지지끈;
상기 하체 커버부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에 각각 체결 가능한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이 상호 미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 상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하부 걸림 고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결합 버튼이 각각 상호 체결된 상태이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끈의 상기 걸림 고리 측의 일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보조 결합 버튼;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The chest cover portion, the abdomen cover portion,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has a first use state unfolded, and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has a second use state fix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use A body part configured to allow an infant or a companion animal to be located inside the lower body cover part folded in a state;
Left and right coupling buttons respectively provided at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points of the breast cover of the main body;
It is provided so as to wrap a part of the rear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in a worn state so that the main body is supported upward by the upper body of the user, and a hook ring provided at one end is engaged and engaged in a detachable form to the left or right coupling button Left and right support string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Includ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lower body cover portion,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hooks can be fastened to the left or right combination buttons, respectively.
In the first use state,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rings and the left or right engaging buttons are not yet engaged, and in the second use state, the left and right lower engaging rings and the left or right engaging buttons are respectively. Mutually signed,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left and right auxiliary coupling buttons provided at one point on the side of the locking ring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straps,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결합 버튼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좌측 상단 일지점에 2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우측 결합 버튼은 상기 본체부의 가슴 커버부의 우측 상단 일지점에 2 이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According to claim 2,
The left coupling button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at the upper left one point of the chest cov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right engaging button is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are provided at a point in the upper right of the chest cover portion of the main body.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좌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좌측 조임끈; 및
상기 본체부의 우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우측 조임끈;을 포함하며,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좌측 조임끈 및 우측 조임끈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left drawstring with one end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the right drawstring is fixed to one end on the right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drawstrings are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so as to wrap the back of the user's waist in a worn state.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기 하체 커버부의 좌측, 우측 또는 상측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위치한 유아 또는 반려 동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좌측, 우측 및 상측 개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부 크기를 감소시키는 개구부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djusting the opening to reduce the size of the opening of at least one of the left, right and upper openings so that infants or companion animals located therein do not escape through the left, right or upper openings of the lower cover portion folded in the second use state Means;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개방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봉재 공간에 내입되며,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가 조여지거나 풀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개구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임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The method of claim 6,
The opening adjustment means,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drawstring that fits into the bar space formed along the rim of the opening, and allows the size of the opening to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extent to which the rim of the opening is tightened or releas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개방부의 중간부 내측에 부착되며, 암부와 수부가 상호 결합 또는 해제됨에 따라 개구부의 중간부를 차단 또는 개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냅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The method of claim 6,
The opening adjustment means,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which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middle of the opening, and is a snap button that allows the middle and the opening of the opening to be blocked or adjusted as the arm and the male are mutually coupled or releas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조절수단은,
본체부의 전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제2 사용 상태로 접혀진 상태에서 폐쇄 조작이 가능한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The method of claim 6,
The opening adjustment means,
An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is a zipper capable of closing operation in the folded state in the second use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끈의 상기 걸림 고리 측의 일지점 및 타지점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보조 결합 버튼;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According to claim 2,
Apron with a carri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left and right auxiliary coupling buttons provided at one point and the other point of the locking ring side of the neck support strap, respectively.
KR1020190031440A 2018-04-10 2019-03-19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KR1021401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40A KR102140199B1 (en) 2019-03-19 2019-03-19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CN201980029490.9A CN112040802A (en) 2018-04-10 2019-04-10 Apron with loading appliance function
PCT/KR2019/004305 WO2019199065A1 (en) 2018-04-10 2019-04-10 Apron having carry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40A KR102140199B1 (en) 2019-03-19 2019-03-19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476A Division KR20200111649A (en) 2020-07-24 2020-07-24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199B1 true KR102140199B1 (en) 2020-07-31

Family

ID=7183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440A KR102140199B1 (en) 2018-04-10 2019-03-19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199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8514A (en) * 1981-12-14 1984-01-31 Elf Jennifer L Infant carrier
KR200328597Y1 (en) 2003-07-04 2003-09-29 이필호 A Carrier for A Pet
KR200398002Y1 (en) 2005-07-04 2005-10-12 이인숙 Bag for Carrying a Pet
JP2007056422A (en) 2005-08-26 2007-03-08 Chizuko Kato Foldable apron
JP2008031612A (en) * 2006-08-01 2008-02-14 Mari Yamase Apron which can be folded back
KR200482888Y1 (en) 2015-06-12 2017-03-13 (주)디에스통상 Pet carrier
KR200483297Y1 (en) 2015-04-24 2017-04-25 엄윤선 Carrying bag for pet
JP3211174U (en) 2017-03-16 2017-06-29 利恵 武井 apr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8514A (en) * 1981-12-14 1984-01-31 Elf Jennifer L Infant carrier
KR200328597Y1 (en) 2003-07-04 2003-09-29 이필호 A Carrier for A Pet
KR200398002Y1 (en) 2005-07-04 2005-10-12 이인숙 Bag for Carrying a Pet
JP2007056422A (en) 2005-08-26 2007-03-08 Chizuko Kato Foldable apron
JP2008031612A (en) * 2006-08-01 2008-02-14 Mari Yamase Apron which can be folded back
KR200483297Y1 (en) 2015-04-24 2017-04-25 엄윤선 Carrying bag for pet
KR200482888Y1 (en) 2015-06-12 2017-03-13 (주)디에스통상 Pet carrier
JP3211174U (en) 2017-03-16 2017-06-29 利恵 武井 apr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6625B2 (en) Face-to-face and forward-looking baby carrier
US8490844B2 (en) Front infant carrier
US10321661B2 (en) Personal dog carrier harness system with integrated internal support and padded neck support
US9949575B2 (en) Child carrier
KR101272144B1 (en) Baby carrying bend
US20050263102A1 (en) Wearable horizontally oriented multi-positional pet carrier
US20080283559A1 (en) Reversible infant carrier
US20090026235A1 (en) Baby Carrier
US20100308087A1 (en)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carrier means
US6186381B1 (en) Child carrier
US20110127309A1 (en) Pet carrier
KR200473475Y1 (en) Baby hip seat carrier
KR102410580B1 (en)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JP2004181268A (en) Nursing belt and user-worn member
KR102140199B1 (en)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CA3075316A1 (en) Carrying device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KR101962433B1 (en) Apron with a fuction of carrier
KR101086542B1 (en) The Bend for baby carrying
KR20190118502A (en) Apron with a fuction of carrier
EP2440090B1 (en) Harness for a child carried on an adult's shoulders
KR20200111649A (en) Apron with a function of carrier
CN112040802A (en) Apron with loading appliance function
KR200291528Y1 (en) baby carrier
BE1027716B1 (en) BABY CARRIER
JP3136266B2 (en) Baby holder combined use waist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