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207B1 -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 Google Patents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207B1
KR102139207B1 KR1020200031515A KR20200031515A KR102139207B1 KR 102139207 B1 KR102139207 B1 KR 102139207B1 KR 1020200031515 A KR1020200031515 A KR 1020200031515A KR 20200031515 A KR20200031515 A KR 20200031515A KR 102139207 B1 KR102139207 B1 KR 10213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ntainer
pumping
auxiliary container
hair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영
Original Assignee
서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영 filed Critical 서현영
Priority to KR1020200031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45D19/02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for applying simultaneously two or more substances, e.g. colouring agents, to the hair without prior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45D24/28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with piston pump or other types of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55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reciprocating piston or plunger acting as the pressur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6Brushes with heads on opposite sides or ends of a handle not intended for simultaneous use
    • A45D2019/0066
    • A45D2019/025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1 브러시(120)와 제2 브러시(130)가 서로 다른 면에 설치되어 염색약을 토출하는 브러시 헤드(100); 염모제 용기(420)와 산화제 용기(410)가 포함된 주 용기(410, 420)를 수용하고, 주 용기(410, 420)에서 토출된 용액을 브러시 헤드(100)로 전달하는 제1 수용부(200); 염모제와 산화제와 세정제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된 보조 용기(430)를 수용하고, 보조 용기(430)에서 토출된 용액을 제2 수용부(300); 및 제1 수용부(200)의 내측에서 주 용기(410, 420)를 펌핑하는 제1 펌핑수단(510)과, 제2 수용부(300)의 내측에서 보조 용기(430)를 펌핑하는 펌핑부(500);를 포함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DUAL BRUSH FOR HAIR DYE WITH AUXILIARY CONTAINER}
본 발명은 보조 용기가 구비된 듀얼 염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화제와 염모제 또는 세정제 중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듀얼 염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 염색약은 염모제와 산화제가 개별 튜브에 각각 저장되어, 사용 시 사용자가 적정량의 염모제와 산화제를 짜내서 혼합한 후, 빗 등의 염색용 브러시를 이용해 염색약을 모발에 발라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렇게 염모제와 산화제를 각각 짜내어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염모제와 산화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기 어렵고, 특히 별도 용기에 혼합한 염색약을 브러시에 묻힌 후 모발에 바를 때 염색약이 피부나 옷, 기타 주변에 떨어져 이염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염색약 용기를 염색용 브러시에 장착하여 염색약의 토출 및 도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기술과, 염모제와 산화제를 미리 혼합하지 않고, 모발에 염색약을 도포할 때 적정량만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염모제와 산화제의 혼합 및 브러시를 이용한 염색약의 도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듀얼식 모발 염색용 브러시 기구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염모제와 산화제를 개별 용기에 보관하여 한번의 토출로 분사 되는 종래의 듀얼식 모발 염색용 브러시 기구는 염모제와 혼합제 중 어느 하나가 부족한 경우, 별도로 충전할 수 없기에 두 개의 용기중 어느 하나가 남았다 하더라도 새로 이 구매해야되기에 폐기물의 증가 및 소비자의 비용부담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발 염색용 브러시는 사용 후 사용자가 세척하기 위해서는 흐르는 물에 용기를 세척하거나, 또는 물에 담가두도록 하여 세척해야됨에 따라 불편하고, 또한 장기 보관시에 오염 가능성이 높아 위생에 취약한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모발 염색용 브러시는 사용자가 펌핑부재를 작동시켜 브러시에 염색약을 토출 시킨 후 머리 염색을 진행함에 따라 모발에 비하여 염색약이 과하게 토출될 수 있어 염색약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 0-1449451호(2014.10.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모제와 산화제가 각각 서로 다른 용기에 수납되는 듀얼 모발식 염색 장치에서 염모제와 산화제 또는 세정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용기가 추가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염색약이 토출될 수 있어 모발 염색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양을 줄일 수 있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1 브러시와 제2 브러시가 서로 다른 면에 설치되어 염색약을 토출하는 브러시 헤드와, 염모제 용기와 산화제 용기가 포함된 주 용기를 수용하고, 주 용기에서 토출된 용액을 브러시 헤드로 전달하는 제1 수용부와, 염모제와 산화제와 세정제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된 보조 용기를 수용하고, 보조 용기에서 토출된 용액을 브러시 헤드로 전달하는 제2 수용부 및 제1 수용부의 내측에서 주 용기를 펌핑하는 제1 펌핑수단과 제2 수용부의 내측에서 보조 용기를 펌핑하는 제2 펌핑수단을 구비한 펌핑부를 포함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염모제 또는 산화제가 추가로 수납된 보조 용기가 추가됨에 따라 사용중 부족한 염모제 또는 산화제의 보충이 가능하여 구매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염모제와 산화제 중 어느 하나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염색이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러시 선단에 토출되는 염색약이 두피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토출됨에 따라 염색약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분해 도면이다.
도 5는 브러시 헤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브러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개폐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가압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혼합 연결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연결 및/또는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분해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는 양면에 서로 다른 용도의 브러시가 구비된 브러시 헤드(100)와, 염모제 용기(420)와 산화제 용기(410) 및 보조 용기(430)와, 염모제 용기와 산화제 용기(이하 주 용기(410, 420)라 총칭함)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200)와, 보조 용기(430)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300)와, 주 용기(410, 420) 및 보조 용기(430)를 펌핑하는 펌핑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 용기(430)는 염모제와, 산화제 또는 세정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염모제 용기(420)와 산화제 용기(410) 및 보조 용기(430)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저장된 용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는 공지된 구성을 적용한다.
브러시 헤드(100)는 염색약을 수용하는 헤드 몸체(110)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1 브러시(120)와 제2 브러시(130)와, 헤드 몸체(110)의 내측을 확인하는 투명창(140)과, 헤드 몸체(110)의 상단에서 개폐되는 개폐수단(150)을 포함한다.
헤드 몸체(110)는 주 용기(410, 420) 및/또는 보조 용기(430)에서 토출된 염색약 또는 세정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을 형성한다.
제1 브러시(120)는 헤드 몸체(110)의 일면, 제2 브러시(130)는 헤드 몸체(110)의 반대 면에 복수로서 정렬된다. 여기서 제1 브러시(120)와 제2 브러시(130)는 서로 다른 지름과 간격을 갖고 헤드 몸체(110)의 양면에서 직립 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1 브러시(120)는 모발의 전체 염색, 제2 브러시(130)는 모발의 일부 염색시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브러시(120)는 제2 브러시(130)에 비하여 적은 직경을 갖는 대신 숫자가 많고, 상호간이 간격이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브러시(120) 및/또는 제2 브러시(130)는 가압 에 의해 헤드 몸체(110)에 수용된 염색약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1 브러시(120)를 예로서 설명하나, 제2 브러시(130) 역시 동일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브러시 헤드(100)의 단면도, 도 6은 브러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브러시(120) 및/또는 제2 브러시(130)는 탄성 지지가 되어 압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헤드 몸체(110)에 수용된 염색약을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 제1 브러시(120)의 구조를 설명하자면, 제1 브러시(120)는 염색약을 토출시키도록 외면에 관통된 토출공(121)과, 하단에서 염색약이 인입되는 인입공(122)과, 인입공(122)과 토출공(121) 사이의 유로와, 외면에 돌출되는 가압 돌기(123)를 포함한다.
또한, 헤드 몸체(110)는 헤드 몸체(110)의 내측에서 제1 브러시(1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12)과, 스프링(112)을 수용하는 수용블록(111)을 포함한다.
먼저, 헤드 몸체(110)의 구성을 설명하면, 수용블록(111)은 복수로서 헤드 몸체(110)의 내면에서 제1 브러시(120)의 하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대향된 양 벽면이 개구되고, 내측에서 스프링(112)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수용블록(111)은 헤드 몸체(110)의 내측에서 제1 브러시(120)의 하단이 직립 되도록 지지하되, 제1 브러시(120)가 스프링(112)에 의한 탄성력으로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 및 그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스프링(112)은 수용블록(111)의 내측에 수용되며, 제1 브러시(120) 하단의 외면에 끼움되도록 설치된다.
제1 브러시(120)는 토출공(121)과 인입공(122)을 따라 연장되는 유로가 내측에 형성된다. 이중 인입공(122)은 수용블록(111)의 내측에서 헤드 본체의 수용공간으로 인출되는 하단 외면에 형성된다.
토출공(121)은 헤드 몸체(110)의 외 측에 위치되어 인입공(122)을 통하여 인입된 염색약을 토출시킨다.
가압 돌기(123)는 수용블록(111)에 위치되는 제1 브러시(120)의 외면에서 외 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112)을 가압 한다.
여기서 제1 브러시(120)는 압력이 가해지면, 가압 돌기(123)가 스프링(112)을 가압하면서 하단이 헤드 몸체(110)의 내측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염색약은 헤드 몸체(1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제1 브러시(120) 하단에 형성된 인입공(122)을 통하여 인출공으로 토출된다.
또한, 제1 브러시(120)는 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112)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제1 브러시(120)의 하단에 형성된 인입공(122)은 수용블록(111)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투명창(140)은 투명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헤드 몸체(110)의 내측에서 염색약의 수량과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내측을 투시한다. 즉, 사용자는 투명창(140)을 통하여 헤드 몸체(110)의 내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개폐수단(150)은 헤드 몸체(110)의 상단에서 관통된 배출공(113)을 개폐시킨다. 여기서 배출공(113)은 헤드 몸체(110)에 수용된 염색약 및/또는 세정제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헤드 몸체(110)의 상단에 관통형성된다. 개폐수단(150)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헤드 몸체(110)의 배출공(113)에 억지 끼움 식으로 체결되어 배출공(113)을 개폐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개폐수단(15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개폐수단(150)은 탄성 재질의 탄성 몸체(151)와, 탄성 몸체(1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 힌지(152)와, 탄성 몸체(151)의 하향 연장되어 배출공(113)으로 인입되는 하부(153)와, 하부(153)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54)를 포함한다.
개폐 힌지(152)는 탄성 몸체(151)의 한쪽에서 헤드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내향된 홈의 벽면에 고정되어 탄성 몸체(1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탄성 몸체(151)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서 헤드 몸체(110)에 내향된 홈의 내측에서 힌지결합된다. 여기서 탄성 몸체(151)는 상면 한쪽에서 상향 된 상부 돌기(15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돌기(151a)는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153)는 탄성 몸체(151)에서 하향 연장되어 배출공(113)에 억지 끼움 식으로 인입된다. 여기서 탄성 몸체(151)와 하부(153)는 일체형으로서 탄성 재질로 제조된다.
걸림돌기(154)는 하부(153)의 끝단에서 외 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로서 헤드 몸체의 내면에 걸림 되어 탄성 몸체(151) 및 하부(153)가 배출공(113)에서 허락되지 않은 이탈과 틈새를 방지한다.
제1 수용부(200)는 펌핑부(500)를 가압하는 제1 가압 수단(220)과, 가압 수단을 수용하는 제1 캡(210)과, 주 용기(410, 420)들을 수용하는 제1 용기 하우징(230)과, 염색약 및/또는 세정제를 헤드 몸체(110)로 안내하는 혼합 연결관(240)을 포함한다.
제1 캡(210)은 일면에서 제1 개구(211)가 형성되고, 내측이 공간을 형성하여 가압 수단을 수용한다. 여기서 제1 개구(211)는 내측에 수용된 가압 수단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또한, 제1 캡(210)은 브러시 헤드(100)와 혼합 연결관(2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혼합 연결관(240)은 제1 캡(210)에서 연장되어 브러시 헤드(100)의 헤드 몸체(110) 하단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캡(210)은 내면에서 하단까지 하향 연장된 복수의 음각홈(도시되지 않음)과 양각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캡(210)의 내면에 형성된 양각홈(도시되지 않음)과 음각홈(도시되지 않음)은 제1 가압 수단(220) 및 제1 수용부(200)의 외면에 형성된 음각홈(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양각홈(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캡(210)의 내면에 형성된 양각홈(도시되지 않음)은 제1 가압 수단(220)의 외면에 형성된 음각홈(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되고, 제1 캡(210)의 내면에 내향된 음각홈(도시되지 않음)은 제1 수용부(200)의 외면에 돌출되는 양각홈(도시되지 않음)이 체결된다.
제1 가압 수단(220)은 내측에 수용된 펌핑부(500)를 가압한다. 이를 위하여 제1 가압 수단(220)은 내측에 펌핑부(500)가 수용되는 제1 가압 몸체(223)와, 제1 가압 몸체(223)의 상단에서 힌지 결합하는 제1 가압 스위치(221)와, 펌핑부(500)의 토출관이 연통되는 연통공(222)을 포함한다.
제1 가압 몸체(223)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제1 캡(210)의 내측으로 인입 및 수용된다. 여기서 제1 가압 몸체(223)는 상하면이 모두 개구 되나, 상면은 제1 가압 스위치(22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 몸체(223)는 제1 가압 스위치(221)의 선단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측의 벽면이 절개되는 절개구(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 스위치(221)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1 가압 스위치(22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가압 스위치(221)는 제1 가압 몸체(223)의 선단에 형성되어, 절개구(222a)를 통하여 그 끝단이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1 가압 스위치(221)는 제1 가압 몸체(223)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가압 힌지(221b)와, 연통공(222)이 형성되는 가압판(221a)과, 가압판(221a)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펌핑돌기(221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판(221a)은 가압 힌지(221b)에 의해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중심부에 연통공(222)이 형성된다. 또한 가압판(221a)의 선단은 절개구(222a)를 통하여 인출 또는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가압판(221a)은 사용자가 누르면, 그 힘을 제1 가압 몸체(223)의 내측에 수용된 펌핑부(500)에 가한다.
또한, 연통공(222)은 타원형의 장공으로 형성된다.
펌핑돌기(221c)는 가압판(221a)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되, 힌지측에서 선단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펌핑돌기(221c)의 경사구조는 가압판(221a)의 회전범위를 좁게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는 펌핑돌기(221c)는 연통공(222)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펌핑부(500)는 주 용기(410, 420)를 가압하는 제1 펌핑수단(510)과, 보조 용기(430)를 가압하는 제2 펌핑수단(520)을 구성한다. 제1 펌핑수단(510)은 제1 가압 몸체(223)의 내측에 수용되며, 제1 가압 스위치(221)에 의한 압력으로 주 용기(410, 420)를 가압한다. 여기서 주 용기(410, 420)는 염모제와 산화제 용기(410, 420)로서 제1 펌핑수단(510)은 염모제 용기(420)와 산화제 용기(410)를 동시에 펌핑한다.
제1 펌핑수단(510)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선택 또는 조합한 것임에 따라 그 세부 설명을 생략하고, 주요 구성만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1 펌핑수단(510)은 염모제 용기(420)와 산화제 용기(410)가 동시에 체결되고, 염모제와 산화제를 혼합 연결관(240)으로 토출시키는 제1 펌핑관(5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펌핑수단(510)은 내측에서 산화제 용기(410)와 염모제 용기(420)에서 각각 토출된 용액를 제1 펌핑관(511)으로 안내하는 유로가 구성된다.
주 용기(410, 420)는 염모제가 수용된 염모제 용기(420)와 산화제가 수용된 산화제 용기(410)를 포함하고, 보조 용기(430)는 염모제와 산화제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용기 하우징(230)은 제1 캡(210)이 체결되는 수용본체(231)와, 수용본체(231)의 내측에서 주 용기(410, 420)를 수용하는 수용홈(233)과, 수용본체(231)의 외면에 형성되는 손잡이(232)를 포함한다.
수용본체(2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면에서 하향 연장된 양각홈(도시되지 않음) 또는 음각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제1 캡(210)의 하단 내면에 체결된다.
수용홈은 수용본체(231)의 내면에서 하향 연장된 홈으로서 주 용기(410, 4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수용홈은 주 용기(410, 420)들의 외면과 일치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내향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손잡이(232)는 수용본체(231)의 외면에서 형성되며, 사용자가 염색 중에 브러시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혼합 연결관(240)은 제1 캡(210)의 내측에서 제1 펌핑관(511)과 연결되고, 반대측에서 브러시 헤드(100)의 내측으로 연결되어 주 용기(410, 420)에서 토출된 염모제와 산화제 등의 용액을 혼합 및 토출 시킨다. 이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혼합 연결관(24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혼합 연결관(240)은 브러시 헤드(100)에서 제1 캡(210)의 내측으로 하향 연장된다. 그리고 혼합 연결관(240)은 하단이 개방되어 제1 펌핑관(511)이 체결된다. 따라서 제1 펌핑관(511)을 통하여 토출되는 염모제와 산화제를 혼합하여 브러시 헤드(100)로 안내한다.
또한, 혼합 연결관(240)은 보조 연결관(340)과 연결되며, 보조 연결관(340)에서 토출된 용액(염모제와 산화제와 세정제 중 어느 하나)을 브러시 헤드(100)로 안내한다.
여기서 혼합 연결관(240)은 염모제와 산화제의 혼합을 위하여 내면에서 돌출되는 와류돌기(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류돌기(241)는 혼합 연결관(240)의 내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하면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용액의 흐름을 간섭하여 상면에 와류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와류는 염모제와 산화제 간의 혼합을 유도할 수 있다.
제2 수용부(300)는 제2 펌핑수단(520)을 가압하는 제2 가압 수단(320)과, 제2 가압 수단(320)을 수용하는 제2 캡(310)과, 보조 용기(430)가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제2 용기 하우징(330)과, 보조 용기(430)에서 토출되는 용액를 혼합 연결관(240)으로 안내하는 보조 연결관(340)을 포함한다.
제2 캡(310)은 하면이 개방되고, 내측이 빈 공간을 이루어 제2 가압 수단(32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2 캡(310)은 제2 가압 수단(320)이 외부로 노출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제2 개구(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펌핑수단(520)은 보조 용기(430)의 상측에서 보조 용기(430)를 가압(펌핑)한다. 여기서 제2 펌핑수단(520)은 보조 용기(430)에서 토출되는 용액을 안내하는 유로(도시되지 않음)와, 유로에서 안내된 용액를 보조 연결관(340)으로 토출하는 제2 펌핑관(521)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2 펌핑수단(52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스프레이 방식의 펌핑 장치를 적용할 수 있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다. 다만, 제2 펌핑관(521)은 제1 펌핑관(511)에서 2개의 유로가 형성된 것과 달리 보조 용기(430)의 용액 만을 토출시킴에 따라 하나의 유로만 형성된다.
제2 가압 수단(320)은 제2 캡(310)의 내면에 체결되는 제2 가압 몸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와, 제2 가압 몸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의 선단에서 상하회전되면서 제2 펌핑수단(520)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 스위치(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가압 수단(320)의 구성은 제1 가압 수단(220)과 동일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보조 연결관(340)은 제2 캡(310) 내에서 제2 펌핑관(521)과 연결되고, 반대측에서 혼합 연결관(240)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보조 연결관(340)은 보조 용기(430)로부터 토출된 용액를 혼합 연결관(240)으로 토출 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연결관(340)은 혼합 연결관(240)에서 토출 된 용액의 유입을 방지하고, 보조 용기(430)에서 토출된 용액만을 혼합 연결관(240)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내측에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용기 하우징(330)은 수용본체(231)의 일측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보조 용기(430)가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2 용기 하우징(330)은 직립된 벽면 사이에서 절개되어 보조 용기(430)가 인출입되는 끼움 개구(333)가 형성된 보조 수용체(331)와, 보조 수용체(331)의 하단에서 보조 용기(430)를 지지하는 바닥면(332)으로 구성된다.
보조 수용체(331)는 직립된 벽면들 사이에서 끼움 개구(333)가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 개구(333)를 사이에 두고 직립된 벽면들은 보조 용기(430)가 끼움될 때, 그 간격이 변형될 수 있다. 즉, 보조 수용체(331)는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수용체(331)의 벽면은 보조 용기(430)의 외면에 일치되도록 곡면을 형성한다.
바닥면(332)은 보조 수용체(331)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어 끼움 개구(333)를 통하여 인입된 보조 용기(43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주 용기(410, 420)는 염모제 용기(420)와 산화제 용기(410)로서 제1 용기 하우징(230)의 수용홈(233)에 수납된다. 그리고 제1 펌핑수단(510)은 염모제 용기(420)와 산화제 용기(410)이 상단에 설치되어 제1 가압 수단(220)의 내측으로 조립된다.
제1 캡(210)은 내측에 제1 가압 수단(220) 및 제1 펌핑수단(510)이 체결된 상태에서 제1 용기 하우징(230)의 선단 외면에 체결된다. 여기서 제1 펌핑수단(510)의 제1 펌핑관(511)은 제1 캡(210)을 연통하여 브러시 헤드(100) 내측으로 연장된 혼합 연결관(24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가압 수단(220)의 제1 가압 스위치(221)는 제1 가압 몸체(223)의 내면에서 가압 힌지(221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에서 하향 돌출된 펌핑돌기(221c)가 제1 펌핑수단(510)의 상면을 지향 또는 접촉된 상태로서 조립된다.
또한, 보조 용기(430)는 제2 용기 하우징(330)에 끼움식으로 수납된다. 그리고 제2 펌핑수단(520) 및 제2 가압 수단(320)은 순차 조립되어 제2 캡(310)의 내면에 체결된다. 여기서 제2 펌핑수단(520)이 제2 펌핑관(521)은 제2 캡(310)을 통하여 혼합 연결관(240)으로 연장된 보조 연결관(34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체결된다.
또한, 제1 가압 스위치(221)와 제2 가압 스위치(321)는 제1 캡(210) 및 제2 캡(310)의 제1 개구(211)와 제2 개구(311)에서 각각 인출 또는 노출된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가 제1 가압 스위치(221)를 가압 하면, 제1 가압 스위치(221)는 가압 힌지에 의해 하향 회전되면서 제1 펌핑수단(510)의 상부를 가압 한다. 따라서 염모제 용기(420)와 산화제 용기(410)는 염모제와 산화제를 토출하고, 토출된 염모제와 산화제는 제1 펌핑관(511)을 통하여 혼합 연결관(240)으로 이동되어 브러시 헤드(100)로 토출된다.
여기서 주 용기(410, 420)에서 토출된 염모제와 산화제는 혼합 연결관(240)의 내면에 형성된 와류돌기(241)에 의한 간섭으로 발생된 와류에 의해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 가압 스위치(221)를 가압 하면서 헤드 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투명창(140)을 통하여 헤드 몸체(110)의 내측에 수용되는 양을 확인할 수 있어 적절한 양이 수용되면 제1 가압 스위치(221)의 가압 을 해제한다.
이후 사용자가 넓은 영역에 염색을 진행하고자 할 때는 제1 브러시(120), 좁은 영역에 염색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 브러시(130)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1 브러시(120)는 두피에 접촉되면서 압력이 가해지면, 스프링(112)이 수축하면서 두피에 접촉된 해당 제1 브러시(120)가 헤드 몸체(110)의 내측(110a)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헤드 몸체(110)의 내측(110a)에 수용된 염색약은 해당 제1 브러시(120)의 인입공(122)을 통하여 인입된 후 유로(124)를 거쳐 토출공(121)으로 토출된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제1 브러시(120)와, 복수의 제2 브러시(130) 중 두피에 접촉되면서 가해지는 브러시(120, 130)에서만 염색약이 토출 될 수 있어 염색약의 과다 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염색이 완료된 이후에 세정제가 저장된 보조 용기(430)를 통하여 브러시 헤드(100)를 세척할 수 있다. 또는 주 용기(410, 420) 중 용량이 모자라거나, 농도를 변화시키기 위ㅎ여 염모제 또는 산화제가 저장된 보조 용기(430)를 통하여 염색을 진행할 수 있다.
이중 세척 과정을 예로서 설명하자면, 사용자는 제2 가압 스위치(321)를 가압 하여 보조 용기(430)에 보관된 세정제를 토출시킨다. 세정제는 제2 펌핑수단(520)의 제2 펌핑관(521)과 보조 연결관(340) 및 혼합 연결관(240)을 거쳐 헤드 몸체(11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개폐수단(150)을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정제는 헤드 몸체(110)의 내측을 통하여 개폐수단(150)에 의해 개방된 헤드 몸체(110)의 배출공(11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세정제는 보조 용기(430)에서 토출된 후 배출공(113)으로 배출될 수 있어 헤드 몸체(110)의 내측에 잔류된 찌꺼기를 빠른 유속으로제거할 수 있다. 또는 세정제가 헤드 몸체(110)의 내측으로 분사된 이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배출공(113)이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세정제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염색 대상 면적에 따라 제1 브러시(120)와 제2 브러시(13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염모제와 산화제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된 보조 용기(430)가 추가됨에 따라 염모제와 산화제의 농도 조절이 용이하고, 용량 부족을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세정제를 구비할 수 있어 브러시 헤드(100)의 세척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브러시 헤드 110 : 헤드 몸체
111 : 수용블록 112 : 스프링
120 : 제1 브러시 121 : 토출공
122 : 인입공 123 : 가압 돌기
124 : 유로 130 : 제2 브러시
140 : 투명창 150 : 개폐수단
151 : 탄성 몸체 151a : 상부돌기
152 : 개폐 힌지 153 : 하부
154 : 걸림돌기 200 : 제1 수용부
210 : 제1 캡 211 : 제1 개구
220 : 제1 가압 수단 221 : 제1 가압 스위치
221a : 가압판 221b : 가압 힌지
221c : 펌핑돌기 222 : 연통공
223 : 제1 가압 몸체 230 : 제1 용기 하우징
240 : 혼합 연결관 241 : 와류돌기
300 : 제2 수용부 310 : 제2 캡
311: 제2 개구 320 : 제2 가압 수단
321 : 제2 가압 스위치 330 : 제2 용기 하우징
340 : 보조 연결관 410 : 산화제 용기
420 : 염모제 용기 430 : 보조 용기
500 : 펌핑부 510 : 제1 펌핑수단
511 : 제1 펌핑관 520 : 제2 펌핑수단
521 : 제2 펌핑관

Claims (8)

  1.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1 브러시(120)와 제2 브러시(130)가 서로 다른 면에 설치되어 염색약을 토출하는 브러시 헤드(100);
    염모제 용기(420)와 산화제 용기(410)가 포함된 주 용기(410, 420)를 수용하고, 주 용기(410, 420)에서 토출된 용액을 브러시 헤드(100)로 전달하는 제1 수용부(200);
    염모제와 산화제와 세정제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된 보조 용기(430)를 수용하고, 보조 용기(430)에서 토출된 용액을 브러시 헤드(100)로 전달하는 제2 수용부(300); 및
    제1 수용부(200)의 내측에서 주 용기(410, 420)를 펌핑하는 제1 펌핑수단(510)과, 제2 수용부(300)의 내측에서 보조 용기(430)를 펌핑하는 제2 펌핑수단(520)을 구비한 펌핑부(500); 를 포함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수용부(200)는
    제1 펌핑수단(510)을 가압하는 제1 가압 스위치(221)가 구비된 제1 가압 수단(220);
    주 용기(410, 420)를 수납하는 수용홈(233)이 형성되는 제1 용기 하우징(230);
    제1 가압 수단(220) 및 제1 펌핑수단(510)을 내측에 수용하여 제1 용기 하우징(230)의 선단에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제1 캡(210); 및
    제1 캡(210)의 내측에서 염모제와 산화제가 토출되는 제1 펌핑수단(510)의 제1 펌핑관(511)에 연결되고, 반대 방향으로 브러시 헤드(100)로 연장되어 염모제와 산화제를 혼합하여 전달하는 혼합 연결관(240);을 포함하고,
    제1 가압 스위치(221)는
    제1 펌핑관(511) 또는 혼합 연결관(240)이 연통되는 연통공(222)이 형성되고, 선단이 제1 캡(210)의 제1 개구(211)를 통하여 노출되는 가압판(221a);
    가압판(22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압 힌지(221b); 및
    가압판(221a)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제1 펌핑수단(510)을 가압하는 펌핑돌기(221c);를 포함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 수용부(300)는
    직립된 벽면 사이에서 절개되어 보조 용기(430)가 인출입되는 끼움 개구(333)가 형성된 보조 수용체(331)와, 보조 수용체(331)의 하단에서 보조 용기(430)를 지지하는 바닥면을 구비한 제2 용기 하우징(330);
    제2 펌핑수단(520)을 가압 하도록 상하 회전 가능한 제2 가압 스위치(321)가 구비된 제2 가압 수단(320); 및
    제2 가압 스위치(321)가 노출되도록 절개된 제2 개구(311)가 구비되어 제2 가압 수단(320)을 내측에 수용하는 제2 캡(310);
    제2 캡(310)의 내측에서 보조 용기(430)에 저장된 용액을 토출하는 제2 펌핑수단(520)의 제2 펌핑관(521)에 연결되고, 반대 방향으로 혼합 연결관(240)으로 연장되어 보조 용기(430)에서 토출된 용액을 혼합 연결관(240)으로 전달하는 보조 연결관(340);을 포함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용기 하우징(230)과 제2 용기 하우징(330)은 일체형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브러시(120) 또는 제2 브러시(130) 중 적어도 하나는
    브러시 헤드(100)의 헤드 몸체(110) 내측으로 인입되는 하단에 관통되어 염색약이 인입되는 인입공(122);
    염색약을 토출시키는 토출공(121);
    인입공(122)과 토출공(121) 사이의 유로; 및
    외면에서 돌출되는 가압 돌기(123);를 포함하고,
    브러시 헤드(100)는
    제1 브러시(120) 또는 제2 브러시(13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설치되어 탄성지지하되, 가압 돌기(123)에 의해 가압 되는 스프링(112); 및
    헤드 몸체(110)의 내측에서 제1 브러시(120) 또는 제2 브러시(130)의 인입공(122)이 형성된 하단이 이동되는 공간을 구획하고, 내측에 스프링(112)을 수용하는 수용블록(111); 을 포함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러시 헤드(100)는
    측면에서 내부에 충진된 염색약을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 투시가 가능한 투명창(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러시 헤드(100)는
    상단에서 관통되어 내측에 수용된 염모제와 산화제가 혼합된 염색약 또는 세정제를 배출시키는 배출공(113); 및
    배출공(113)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150);을 더 포함하고,
    개폐수단(150)은
    헤드몸체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탄성 몸체(151)와, 탄성 몸체(151)에서 하향 연장되어 배출공에 억지끼움되는 하부와, 하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8. 청구항 2에 있어서, 혼합 연결관(240)은
    내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와류돌기(2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KR1020200031515A 2020-03-13 2020-03-13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KR10213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515A KR102139207B1 (ko) 2020-03-13 2020-03-13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515A KR102139207B1 (ko) 2020-03-13 2020-03-13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207B1 true KR102139207B1 (ko) 2020-07-29

Family

ID=7189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515A KR102139207B1 (ko) 2020-03-13 2020-03-13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73084A1 (en) * 2021-02-26 2022-09-01 L'oreal Control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ormulation delivery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9253A (ja) * 1997-03-13 1998-09-22 Takeda Giken Kogyo:Kk 補充式スプレ−
KR20020030040A (ko) * 2002-01-15 2002-04-22 노용완 모발액 충전용 헤어브러시
KR200419746Y1 (ko) * 2006-03-13 2006-06-23 (주)민진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포장용기
KR200426428Y1 (ko) * 2006-02-28 2006-09-19 필립산업(주)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KR100684339B1 (ko) * 2006-04-10 2007-02-26 차성일 용액 수납케이스가 구비된 헤어브러시
KR20070084644A (ko) * 2006-02-21 2007-08-27 홍선표 머리빗
KR100905917B1 (ko) * 2008-10-08 2009-07-02 (주) 아름다운 화장품 교반봉이 구비된 염색제 용기
KR200452020Y1 (ko) * 2008-10-02 2011-01-25 김시완 다용도 머리빗
KR101449451B1 (ko) 2013-08-16 2014-10-13 (주)나산기업 염색제 용기
KR20170105654A (ko) * 2016-03-09 2017-09-20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염색용기
KR101908667B1 (ko) * 2018-05-04 2018-10-16 (주)지영솔루텍 염모제와 산화제의 개별 용기 사용이 가능한 모발 염색용 브러시 기구
KR101983063B1 (ko) * 2018-04-12 2019-05-29 주식회사 탭코리아 이종 화장품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9253A (ja) * 1997-03-13 1998-09-22 Takeda Giken Kogyo:Kk 補充式スプレ−
KR20020030040A (ko) * 2002-01-15 2002-04-22 노용완 모발액 충전용 헤어브러시
KR20070084644A (ko) * 2006-02-21 2007-08-27 홍선표 머리빗
KR200426428Y1 (ko) * 2006-02-28 2006-09-19 필립산업(주)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KR200419746Y1 (ko) * 2006-03-13 2006-06-23 (주)민진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포장용기
KR100684339B1 (ko) * 2006-04-10 2007-02-26 차성일 용액 수납케이스가 구비된 헤어브러시
KR200452020Y1 (ko) * 2008-10-02 2011-01-25 김시완 다용도 머리빗
KR100905917B1 (ko) * 2008-10-08 2009-07-02 (주) 아름다운 화장품 교반봉이 구비된 염색제 용기
KR101449451B1 (ko) 2013-08-16 2014-10-13 (주)나산기업 염색제 용기
KR20170105654A (ko) * 2016-03-09 2017-09-20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염색용기
KR101983063B1 (ko) * 2018-04-12 2019-05-29 주식회사 탭코리아 이종 화장품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101908667B1 (ko) * 2018-05-04 2018-10-16 (주)지영솔루텍 염모제와 산화제의 개별 용기 사용이 가능한 모발 염색용 브러시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73084A1 (en) * 2021-02-26 2022-09-01 L'oreal Control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ormulation deliv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00544A1 (en) Foundation injector and foundation filled cosmetic implement therewith
KR20060124982A (ko) 세탁기의 세제 투입 구조
KR102139207B1 (ko)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KR10262974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8505714A (ja) 回転吐出式染色剤容器
KR200433054Y1 (ko) 혼합용 분무 브러쉬
KR101254540B1 (ko) 헤어 염색기
KR101129230B1 (ko) 모발 염색기 결합 홀더를 갖는 거품 염색 빗
US2024015095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386712B1 (ko) 세탁기
WO2007145430A1 (en) Hair brush for mixing hair dye liquid
KR101777190B1 (ko) 교체형 도포체를 갖는 회전식 토출용기
KR200424587Y1 (ko) 염모제 혼합용 브러쉬
JP2016500294A (ja) 毛髪の泡沫染色装置
KR100690025B1 (ko) 염모제 혼합분출이 가능한 헤어브러시
KR200270351Y1 (ko) 약제 분출장치를 갖는 브러쉬
US8905045B2 (en)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KR101193764B1 (ko) 염모제 용기
KR101458310B1 (ko) 도포 기능이 개선된 모발 거품 염색장치
KR20180006008A (ko) 모발 혼합 염색기구
JPH04102569A (ja) 泡状液体の混合吐出装置
KR20110059022A (ko) 리필용 휴대 염색기구
KR200445143Y1 (ko) 염색제 용기
KR200444062Y1 (ko) 염색제 용기
KR200312885Y1 (ko) 약액 분출장치를 갖는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