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105B1 - 인터폰 - Google Patents

인터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105B1
KR102139105B1 KR1020180133644A KR20180133644A KR102139105B1 KR 102139105 B1 KR102139105 B1 KR 102139105B1 KR 1020180133644 A KR1020180133644 A KR 1020180133644A KR 20180133644 A KR20180133644 A KR 20180133644A KR 102139105 B1 KR102139105 B1 KR 102139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interphone
unit
us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695A (ko
Inventor
윤성은
Original Assignee
윤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은 filed Critical 윤성은
Priority to KR102018013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1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인터폰이 개시된다. 다수 센서로 현관문에 접근한 방문자 여부를 감지하는 방문자 감지부(100); 및 감지된 방문자 여부에 따라 인터폰을 동작하는 인터폰 동작부(200)를 구성한다. 따라서 외부 단말이 다수 센서로 방문자 접근을 감지해서 방문자와 사용자를 통화 연결할 수 있고, 사용자 부재중인 경우 사용자 위치를 판단해서 사용자가 소유한 통신 단말기에 접속해서 방문자와 사용자를 통화 연결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터폰{INTERPHONE}
본 발명은 인터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문자와 사용자를 통화 연결하는 인터폰에 관한 것이다.
인터폰은 방문자가 접속하는 외부 단말과 사용자가 접속하는 내부 단말로 구성된다. 방문자가 사용자 집에 방문했을 때 현관문 밖에 설치된 외부 단말에 접속해서 내부 단말을 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재중인 경우 내부 단말을 통해 외부 단말과 연결되고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인터폰은 사용자 부재중인 경우 방문자가 외부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 단말이 사용자 스마트폰에 연결해서 외부 단말과 스마트폰간에 통화 연결하는 인터폰이 공개번호 제10-2001-0019901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문헌은 외부 단말과 스마트폰이 연결됨에 필요한 기술적 구성을 개시하지만 방문자 감지 기술이 고도화되어 있지 못해 방문자가 접근하지 않은 경우에도 외부 단말과 스마트폰이 통화 연결되는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잘못된 통화로 일상에 감정이 상할 수 있다.
공개번호 제10-2001-0019901호, 부재중 방문자와 통화가능한 도어폰시스템 등록번호 제20-0311551호, 다기능 인터폰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단말이 방문자 접근을 정확히 감지해서 내부 단말을 통해 사용자와 통화 연결하는 인터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 센서로 현관문에 접근한 방문자 여부를 감지하는 방문자 감지부(100); 및 감지된 방문자 여부에 따라 인터폰을 동작하는 인터폰 동작부(200)를 제공한다.
또한, 다수 센서는 문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영상을 이용하는 이미지 센서(110); 현관문 밖 소리를 분석하는 음향 센서(120); 근접 센서를 이용하는 근접 센서부(130); 및 천장으로부터 바닥을 향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감지카메라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 센서(110)는 시간 차를 가지는 영상 이미지간에 픽셀 차이를 계산하고, 음향 센서(120)는 소리에 포함된 음성을 분석하고, 근접 센서부(130)는 근접 센서로 라이더를 이용하고, 감지카메라부(140)는 천장 카메라를 이용한다.
또한, 방문자 감지부(100)는 다수 센서의 조합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방문자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인터폰 동작부(200)는 방문자 감지부(100)를 가지는 외부 단말(210); 및 외부 단말(210)과 연동하며 스마트폰을 연결하는 내부 단말(22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을 이용할 경우에는 외부 단말이 다수 센서로 방문자 접근을 감지해서 방문자와 사용자를 통화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부재중인 경우 사용자 위치를 판단해서 사용자가 소유한 통신 단말기에 접속해서 방문자와 사용자를 통화 연결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인터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수 센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방문자 감지부(100)의 동작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인터폰 동작부(2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인터폰의 통신망 연결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재중인 경우 인터폰 동작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부재중인 경우 인터폰 동작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8른 부재중인 경우 인터넷을 통한 인터폰 동작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인터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인터폰은 다수 센서로 방문자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방문자 여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방문자 여부에 따라 인터폰에 구성된 현관문에 설치된 외부 단말(210)과 댁내에 설치된 내부 단말(220)이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단말(210)이 방문자를 감지하면 내부 단말(220)에 방문자 얼굴을 표시할 수 있고, 내부 단말(220)에서 사용자 확인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 스마트폰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로, 인터폰은 다수 센서로 현관문에 접근한 방문자 여부를 감지하는 방문자 감지부(100); 및 감지된 방문자 여부에 따라 인터폰을 동작하는 인터폰 동작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다수 센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다수 센서는 현관문에 접근한 방문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이미지 센서(110), 음향 센서(120), 근접 센서부(130) 및 감지카메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 센서는 문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영상을 이용하는 이미지 센서(110); 현관문 밖 소리를 분석하는 음향 센서(120); 근접 센서를 이용하는 근접 센서부(130); 및 천장으로부터 바닥을 향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감지카메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 구성으로, 이미지 센서(110)는 시간 차를 가지는 영상 이미지간에 픽셀 차이를 계산하고, 음향 센서(120)는 소리에 포함된 음성을 분석하고, 근접 센서부(130)는 근접 센서로 라이더를 이용하고, 감지카메라부(140)는 천장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센서(120)는 음성 분석에 신경망을 이용할 수 있다. 음향 센서(120)에 사용되는 신경망은 청각 신경망일 수 있고, 청각 신경망은 음성 분석에 최적화될 수 있다. 음향 센서(120)는 신경망을 통해 방문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해서 기록할 수 있고, 기록된 정보는 추후 빅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방문자 감지부(100)의 동작을 보인 예시도이다.
방문자 감지부(100)는 다수 센서를 이용하며, 다수 센서의 조합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방문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 센서에서 중요 역할을 하는 센서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차적인 역할을 하는 센서에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를 부여해서 방문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로, 이미지 센서(110)와 감지카메라부(140)에 높은 가중치를, 음향 센서(120)와 근접 센서부(130)에 낮은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수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 고장난 센서를 제외한 다수 센서에 원 가중치를 조정 부여해서 방문자 감지부(100)가 방문자 여부를 감지함에 있어 본래의 다수 센서의 성능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가중치 조정 부여는 낮은 가중치에 비해 높은 가중치에 조정값을 더 부여할 수 있다.
도 4는 인터폰 동작부(2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인터폰 동작부(200)는 방문자 감지부(100)를 가지는 외부 단말(210); 및 외부 단말(210)과 연동하며 스마트폰을 연결하는 내부 단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210)은 다수 센서를 포함하는 방문자 감지부(100)를 가질 수 있고, 내부 단말(220)은 외부 단말(210)과 연동하여 방문자가 감지될 때 사용자 부재 중이면 사용자 스마트폰에 연결해서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연결 서비스에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인터폰의 통신망 연결을 보인 예시도이다.
인터폰에 연결된 통신망은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일 수 있고, 이동통신망은 인터폰에 이동이 보장된 스마트폰을 연결하고, 인터넷망은 인터폰에 컴퓨터를 연결한다. 이때, 컴퓨터에 연결하는 PC 수신 버튼 또는 스마트폰에 연결하는 휴대폰 수신 버튼이 개입될 수 있다.
도 6은 재중인 경우 인터폰 동작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사용자 재중인 경우 인터폰의 외부 단말(210)과 내부 단말(220)이 연동하고, 방문자는 외부 단말(210)을 이용하고, 사용자는 내부 단말(220)을 이용하고, 외부 단말(210)과 내부 단말(220)이 통화 연결된다. 방문자가 외부 단말(210)을 통해 사용자의 내부 단말(22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7은 부재중인 경우 인터폰 동작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사용자 부재중인 경우 내부 단말(22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폰에 연결을 시도하고 외부 단말(210)과 스마트폰 사이에 통화 연결을 중계한다. 방문자가 외부 단말(210)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통화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휴대폰 수신 버튼이 개입될 수 있다.
도 8른 부재중인 경우 인터넷을 통한 인터폰 동작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사용자 부재중인 경우 내부 단말(220)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을 시도하고 외부 단말(210)과 컴퓨터 사이에 통화 연결을 중계한다. 방문자가 외부 단말(210)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통화 연결될 수 있다. 이때, PC 수신 버튼이 개입될 수 있다.
사용자 부재중인 경우 내부 단말(220)은 사용자 위치를 판단해서 사용자가 소유한 통신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유한 통신 단말기는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경우 내부 단말(220)은 기지국에 연결된 홈 위치 등록기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고, 컴퓨터의 경우 로그인 정보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고, 사용자 위치에 따라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에 선택 접속해서 방문자와 사용자를 통화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컴퓨터에 로그인한 경우 내부 단말(220)이 컴퓨터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내부 단말(220)이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해서 사용자가 컴퓨터 앞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방문자 감지부 110: 이미지 센서
120: 음향 센서 130: 근접 센서부
140: 감지카메라부 200: 인터폰 동작부
210: 외부 단말 220: 내부 단말

Claims (5)

  1. 다수 센서로 현관문에 접근한 방문자 여부를 감지하는 방문자 감지부(100); 및
    감지된 방문자 여부에 따라 인터폰을 동작하는 인터폰 동작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센서는 문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영상을 이용하는 이미지 센서(110);
    현관문 밖 소리를 분석하는 음향 센서(120);
    근접 센서를 이용하는 근접 센서부(130); 및
    천장으로부터 바닥을 향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감지카메라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110)는 시간 차를 가지는 영상 이미지간에 픽셀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음향 센서(120)는 소리에 포함된 음성을 분석하고, 상기 근접 센서부(130)는 근접 센서로 라이더를 이용하고, 상기 감지카메라부(140)는 천장 카메라를 이용하고,
    상기 방문자 감지부(100)는 다수 센서의 조합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방문자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110)와 상기 감지카메라부(140)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음향 센서(120)와 근접 센서부(130)에 낮은 가중치를 적용하는 인터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 동작부(200)는 방문자 감지부(100)를 가지는 외부 단말(210); 및
    상기 외부 단말(210)과 연동하며 스마트폰을 연결하는 내부 단말(220)을 포함하는 인터폰.
KR1020180133644A 2018-11-02 2018-11-02 인터폰 KR102139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44A KR102139105B1 (ko) 2018-11-02 2018-11-02 인터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44A KR102139105B1 (ko) 2018-11-02 2018-11-02 인터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695A KR20200050695A (ko) 2020-05-12
KR102139105B1 true KR102139105B1 (ko) 2020-07-29

Family

ID=7067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644A KR102139105B1 (ko) 2018-11-02 2018-11-02 인터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1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858B1 (ko) * 2021-04-28 2022-11-01 주식회사 대림 사물인식이 가능한 도어폰,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547199B1 (ko) 2022-08-23 2023-06-27 하이워터 주식회사 투수블록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0201A (ja) * 2010-06-25 2012-01-12 Sharp Corp インターホン装置
KR101686857B1 (ko) * 2015-10-16 2016-12-16 (주) 비전에프에이 인터폰을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901A (ko) 1999-08-31 2001-03-15 윤종용 부재중 방문자와 통화가능한 도어폰시스템
KR200311551Y1 (ko) 2003-01-08 2003-05-09 염규익 다기능 인터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0201A (ja) * 2010-06-25 2012-01-12 Sharp Corp インターホン装置
KR101686857B1 (ko) * 2015-10-16 2016-12-16 (주) 비전에프에이 인터폰을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695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21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location
US96481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coming call notification
US20160133104A1 (en) Self-contained security system including voice and video calls via the internet
US866530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US20140071273A1 (en) Recognition Based Security
JP7179834B2 (ja) 音声認識デバイス、音声認識デバイスの連携システム、及び音声認識デバイスの連携方法
US20140329511A1 (en) Audio conferencing
US20080069326A1 (en) Method of integrating an intercom system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2139105B1 (ko) 인터폰
US20160366528A1 (en) Communication system, audio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CN105915521A (zh) 多方通话管理的方法、装置及终端
KR20160059798A (ko) 텔레메틱스를 이용한 도어폰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EP3337128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using smart video cameras
US11837235B2 (en) Communication transfer between devices
US10846810B2 (en) Leveraging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to enhance public safety
JP2009065620A (ja) テレビ電話装置及びテレビ電話装置の着信応答方法
KR20150025750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양방향 번역 방법
KR101679849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경보 방법 및 시스템
KR102142032B1 (ko) 지능형 커뮤니케이션 서버
KR20200003663A (ko) 스마트 초인종 및 이를 이용한 방범 방법
KR101653743B1 (ko) 도어 거치형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US20240163362A1 (en) Method for modifying a parameter of a firs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thereto
KR102111190B1 (ko) 보안모듈, 보안관리단말, 및 보안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687984B1 (ko) Dect 게이트웨이, 이의 작동 방법, 및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
JP2009224909A (ja) 対話検出装置、対話検出システム、および対話検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