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551Y1 - 다기능 인터폰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인터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551Y1
KR200311551Y1 KR20-2003-0000561U KR20030000561U KR200311551Y1 KR 200311551 Y1 KR200311551 Y1 KR 200311551Y1 KR 20030000561 U KR20030000561 U KR 20030000561U KR 200311551 Y1 KR200311551 Y1 KR 200311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ser
interphone
visito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규익
Original Assignee
염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규익 filed Critical 염규익
Priority to KR20-2003-0000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5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1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에서 사용자가 부재 중 집을 방문한 방문자의 확인 및 출입문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다기능 인터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부재 중 절도범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이 키(kye)를 항상 지니고 다니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키홈과 키(kye)가 필요없는 시건장치를 출입문의 내측에 설치하여 실내에서 출입문을 개폐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부재 중 외부에서 핸드폰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인터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외에 설치되어 벨버튼, 마이크, 스피커 및 카메라를 구비한 외부 인터폰;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인터폰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문자와 화상 및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내부 인터폰; 부재 중 상기 내부 인터폰으로 부터 입력되는 벨신호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서 출입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제어하에 사용자 핸드폰으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사용자와 방문자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 다이얼링수단;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시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인터폰장치{Do multi-function interphone device}
본 고안은 가정에서 사용자가 부재 중 집에 방문한 방문자의 확인 및 출입문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다기능 인터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부재 중 절도범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노약자나 어린 아이들이 키(kye)를 항상 지니고 다니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키홈과 키(kye)가 필요없는 시건장치를 출입문의 내측에 설치하여 실내에서 출입문을 개폐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부재 중 외부에서 핸드폰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한 형태의 다기능 인터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폰은 가정집의 현관 외부에 외부 인터폰을 설치하고, 현관 내부에는 내부 인터폰을 설치하여서 방문자가 문 밖에서 외부 인터폰의 초인종을 누를 경우 외부 인터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가 작동하여 방문자를 촬영하게 되고, 그 촬영된 영상이 내부 인터폰의 모니터에 표시되므로서, 사용자가 방문자를 확인하고 문을 열어 줄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인터폰은 단순히 방문자가 방문하여 초인종을 눌렀을때 방문자를 촬영하여 내부 인터폰을 통해 보여주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재중일때 방문한 사람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전혀 알수가 없었으며, 방문자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외출한 것을 모르고 방문했을때 외부의 초인종을 여러번 눌러서 안쪽에서 아무런 대답이 없을 때 비로소 방문자는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므로 그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빈집은 범죄의 표적이 되는데, 침입자는 초인종을 눌러보아 응답이 없을 경우 빈집으로 판단하여 절도행각을 저지르게 되고, 응답이 있을 경우는 범죄 행위를 포기하게 된다.
또한, 집안에 아무도 없을 경우 어린아이가 빈집에 혼자 돌아와 키(kye)로 문을 열고 들어와야 하는데, 어린 아이는 주의력이 산만하여 열쇠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고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시건장치의 경우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집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근래에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직접 출입문을 개폐시키거나 핸드폰이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시건장치를 개폐시키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건장치의 경우도 키 홀더를 갖는 자물쇠 몸체가 출입문 밖으로 노출되어 있어 침입자가 유심히 관찰하거나 특정장비만 갖추면 손쉽게 문을 열 수가 있는 등의 또 다른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정의 출입문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키 홀더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출입문을 개폐시키는 시건장치에 있어서, 시건장치에 자물쇠 몸체가 전혀 필요없는 시건장치를 출입문의 안쪽에 설치하여 내부에서만 시건장치를 작동하거나 또는 핸드폰이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출입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인터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키(kye) 자체가 불필요하고 자물쇠 몸체가 출입문 밖으로 나오지 않음으로서 절도범들이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절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시건장치의 도어록에 도어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강제로 출입문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 경비실이나 인근 경찰서로 바로 연락이 가능하도록 한 다기능 인터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집안에 사람이 외출하고 없어도 친지나 가족이 방문 시 방문자와 사용자가 음성 송수신을 통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고 출입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인터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더욱 다른 목적은 외출 시 방문자가 초인종을 누르면 방문자의 모습을 카트 플래임형식으로 저장하여 귀가 후 확인 할 수 있으며, 방문자와 사용자간에 음성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음성 메모리로 넘어가 음성저장을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인터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열감지 센서를 집 곳곳에 부착한 다음, 내부 인터폰에 연결하여 실내 화재 시 사용자의 핸드폰이나 소방서로 직접 연락이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화재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인터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장치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의 흐름도
도 3 은 본 고안의 마이컴의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의 외부 인터폰의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내부 인터폰의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시건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출입문 2 : 열감지센서
3 : 핸드폰 10 : 외부 인터폰
20 : 내부 인터폰 30 : 마이컴
40 : 자동 다이얼링수단 50 : 시건장치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다기능 인터폰장치는 실외에 설치되어 벨버튼, 마이크, 스피커 및 카메라를 구비한 외부 인터폰;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인터폰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문자와 화상 및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내부 인터폰; 부재 중 상기 내부 인터폰으로 부터 입력되는 벨신호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서 출입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제어하에 사용자 핸드폰으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사용자와 방문자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 다이얼링수단;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시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은 본 고안 다기능 인터폰의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본 고안은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인터폰(10)과, 실내에 설치되는 내부 인터폰(20)과, 사용자가 부재 중 상기 내부 인터폰(20)으로 부터 입력되는 벨신호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서 출입문(1)을 개폐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컴(30)과, 상기 마이컴(30)의 제어하에 사용자 핸드폰(3)으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사용자와 방문자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 다이얼링수단(40)과, 상기 마이컴(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출입문(1)을 개폐하는 시건장치(5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외부 인터폰(10)은 출입문(1)의 외측에 설치되어 방문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내부 인터폰(20)에 전달하도록 카메라(11)가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이의 하부에 방문자와 사용자간에 음성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스피커(12)와 마이크(13)가 각각 설치되며, 마이크(13)의 일측에는 벨버튼(14)이 형성되어 실내에방문자가 있다는 것을 실내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부 인터폰(20)은 방문자의 모습이 표시되는 모니터(21), 방문자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피커(22)와 마이크(23)가 형성되며, 이의 일측에는 출입문을 내부에서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오픈버튼(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21)의 양측에는 키입력부(25)가 형성되는데, 이때 키입력부(25)에는 화재나 외부의 침입자가 있을 경우 소방서나 경찰서로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콜버튼(25a), 사용자가 외출 시 방문자와 음성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핸드폰(3) 번호와 출입문(1)을 개폐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버튼(25b), 일반 전화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하는 전화버튼(25c), 사용자가 외출 및 귀가시에 사용하는 외출/귀가버튼(25d), 경비실로 직접 연결이 가능한 경비실버튼(25e), 사용자가 외출 시 방문자와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카메라(11)에 촬영된 영상과 음성을 확인 할 수 있는 녹음/재생버튼(25f)이 형성된다.
또한, 키입력부(25)의 일측에는 일반 전화기능 및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출입문(1)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다이얼버튼(26)이 형성되고, 키입력부(25)의 상부에는 내부 인터폰(20)의 ON/OFF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전원LED(27)와 출입문(1)의 ON/OFF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도어LED(28)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인터폰(20)에는 마이컴(30)이 내장되어 사용자가 부재 중 상기 내부 인터폰(20)으로 부터 입력되는 벨버튼(14)의 벨신호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서 출입문(1)을 개폐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30)은 출입문(1)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전원공급부(31)와, 시건장치(50)의 도어록(54)에 형성된 도어감지센서(5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침입자가 강제로 출입문(1)을 열고 들어올 경우 이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부(32)와, 가정의 실내에 설치된 열감지센서(2)와 연결되어 열감지센서(2)의 신호를 인식하는 열감지센서부(33)가 내장된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마이컴(30)의 일측에는 자동 다이얼링수단(40)이 구비되는데, 이때 자동 다이얼링수단(40)은 상기 마이컴(30)의 제어하에 방문자가 벨버튼(14)을 누르게되면 사용자 핸드폰(3)으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사용자와 방문자 사이에 통화로를 연결시켜서 쌍방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시건장치(50)는 상기 마이컴(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출입문(1)을 개폐하게 되는데, 이때 시건장치(50)의 내부에는 마이컴(30)의 제어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51)와, 상기 신호감지부(51)의 신호를 인식하여 출입문(1)을 고정하는 도어록(54)을 작동시키는 모터(53)를 구동하는 구동부(52)를 갖는다.
여기서 도어록(54)은 도어록 고정대(55)에 일단이 고정되고, 도어록(54)의 일측 외주연은 모터(53)의 축과 기어식으로 맞물림되어 모터(53)의 구동에 따라서 도어록(54)이 회전하면서 전후방 이동하게 되고, 도어록(54)의 전방 일측 즉, 출입문(1)의 타측에 해당하는 도어프레임에는 도어록 고정구(56)가 설치되어 도어록(54)의 전방이 고정구(56)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록(54)의 일측에는 도어감지센서(57)가 형성되어 외부 침입자가 출입문(1)을 강제로 열고 들어올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도어감지센서부(32)로 신호를보내면 마이컴(30)에서 이를 제어하여 경찰서나 경비실 또는 사용자의 핸드폰(3)으로 바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도면을 첨부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외출하거나 또는 집에 사람이 있을 경우에 따라서 내부 인터폰(20)의 기능이 달라지게 되는데, 도 2 의 본 고안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외출을 할 경우, 사용자는 내부 인터폰(20)에서 기능버튼(25b)을 선택한 다음 외출 시 출입문(1)을 개방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비밀번호는 수시로 입력이 가능하고 별도로 변경하기 전에는 처음의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비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외출 시 방문자와 통화가 가능한 전화번호 및 핸드폰번호를 순차적으로 대략 1~4개 정도 입력을 시킨 다음 외출기능버튼(25d)을 누른 다음 출입문(1)을 닫고 외출을 하면 도어록(54)이 자동으로 5~10초 후에 잠김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방문자가 있을 경우 방문자가 벨버튼(14)을 누르면 벨신호가 입력되면서 자동 다이얼링부(40)는 상기 마이컴(30)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전화번호 순서로 전화를 걸어서 사용자와 방문자 사이에 통화로를 연결시켜준다.
자동 다이얼링부(40)는 사용자의 핸드폰(3)과 연결될 때 까지 3회 정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리 녹음된 안내 메세지가 전송되고 마이컴(30)의 제어하에 음성메모리 기능이 실행되면서 카메라(11)가 작동하여 방문자의 영상과 음성을 저장하여 방문자의 방문 목적을 사용자가 귀가 후에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와 핸드폰(3) 연결이 이루어지면 방문자와 사용자간에 통화로가 연결되어 방문자는 사용자가 집안에서 대화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대화를 하게되는데, 이때 방문자가 절도범일 경우 사람이 집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범죄행위를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방문자의 방문 목적과 방문자가 누구인지를 외부에서도 알수 있으므로 방문자가 가족이나 친척일 경우 사용자는 핸드폰(3)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전송하게 되면 마이컴(30)에서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비밀번호가 불일치할 경우에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비밀번호를 재전송 할 수 있도록 하며, 비밀번호가 일치하게 되면 마이컴(30)에서는 시건장치(50)로 출입문(1)을 개방하는 신호를 보내게 되는데, 이때 시건장치(50)의 신호감지부(51)에서 신호를 인식하여 구동부(52)로 전송하면 구동부(52)에서 모터(53)를 구동시켜 도어록(54)이 도어록 고정구(56)에서 이탈하게 되어 출입문(1)이 개방된다.
방문자가 출입문(1)을 통과한 다음 출입문(1)을 닫게 되면 도어록(54)은 5~10초 후에 자동으로 잠겨지게 되고 방문자는 외출기능을 해제하거나 또는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귀가한 다음 해제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방문자가 외출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외출을 할 경우 내부 인터폰(20)의 도어오픈버튼(24)을 누르면 출입문(1)이 개방되어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것이다. 방문자가 외부로 나가면서 출입문(1)을 닫게 되면 출입문(1)의도어록(54)이 자동으로 잠기면서 외출기능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귀가하면서 집 앞에서 집으로 전화를 걸어서 출입문(1)을 개방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출입문(1)을 개방하고 집으로 들어가면서 외출기능버튼(25d)을 해제한 다음 부재중에 연락을 받지 못한 방문자의 촬영된 영상과 음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음성을 인식하여 방문자를 확인하여 출입문(1)을 개폐시키고 있으나, 더나아가서 무선이동통신의 발달로 화상과 음성을 핸드폰으로 확인하여 방문자를 확인 할 수도 있는 것이고, 기존에 널리 알려진 불루투스를 이용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하게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부 인터폰(20)의 마이컴(30)에는 전원공급부(31)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마이컴(30)은 전원공급부(31)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면 전원공급부(31)는 구동부(52)를 통하여 모터(530를 구동시켜 출입문(1)을 개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30)과 연결된 도어감지센서부(32)와 열감지센서부(33)는 도어감지센서(57)와 열감지센서(2)에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핸드폰(3)이나 또는 경찰서와 소방서로 마이컴(30)의 제어하에 직접 연락이 가능한 것이다.
사용자가 가정에서 있을 경우에는 내부 인터폰(20)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터폰의 역활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외부에서는 출입문(1)을 개폐할 수 없도록 하여 절도범의 절도행위를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이 키(kye)를 지니고 다니다가분실하여 집에 들어가지 못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인터폰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키홀더와 자물쇠 몸체가 출입문 밖으로 노출되어 외부 침입자가 쉽게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출입문의 내측에 시건장치를 설치하여 실내에서만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또는 외출중 사용자의 핸드폰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부재중에도 방문자의 방문 목적을 확인하거나 또는 외출 시 가족이나 친척이 방문할 경우 핸드폰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족이나 친척들이 키(kye)가 없이도 출입이 가능한 동시에 기존에 비밀번호를 이용한 시건장치와 같이 외부로 비밀번호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외출후에 집으로 돌아와서 부재중에 방문한 방문자의 영상과 음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내부 인터폰에 도어감지센서부와 열감지센서부를 형성하여 도둑이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의 핸드폰이나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직접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4)

  1. 실외에 설치되어 벨버튼, 마이크, 스피커 및 카메라를 구비한 외부 인터폰;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인터폰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문자와 화상 및 음성송수신이 가능한 내부 인터폰;
    부재 중 상기 내부 인터폰으로 부터 입력되는 벨신호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서 출입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제어하에 사용자 핸드폰으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사용자와 방문자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 다이얼링수단;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시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터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는 전원공급부, 도어감지센서부, 열감지센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터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는 외부에서 타인이 문을 개방하지 못하도록 키홀더와 키(kye)가 필요없는 시건장치를 출입문 내부에 형성하여서 실내에서만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터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의 내부에 출입문을 개폐하는 도어록과, 도어록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록의 일측에 도어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터폰장치.
KR20-2003-0000561U 2003-01-08 2003-01-08 다기능 인터폰장치 KR200311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561U KR200311551Y1 (ko) 2003-01-08 2003-01-08 다기능 인터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561U KR200311551Y1 (ko) 2003-01-08 2003-01-08 다기능 인터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125A Division KR20040063636A (ko) 2003-01-08 2003-01-08 다기능 인터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551Y1 true KR200311551Y1 (ko) 2003-05-09

Family

ID=4940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561U KR200311551Y1 (ko) 2003-01-08 2003-01-08 다기능 인터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5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695A (ko) 2018-11-02 2020-05-12 윤성은 인터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695A (ko) 2018-11-02 2020-05-12 윤성은 인터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708B1 (ko) 원격지 전자동 무인 영상보안 관리시스템 및 침입자 대응프로그램
CN103348074B (zh) 门锁装置
WO2006038760A1 (en) Videophone having multi-function
WO2002009434A1 (es) Portero electronico digital
JP2002368890A (ja) 留守宅通信設備
JPH098925A (ja) 遠隔留守番装置
KR100576797B1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4406981B2 (ja) セキュリティ電話機及び監視機能付き携帯電話機及び異常監視方法及び異常監視装置
KR101272492B1 (ko) 방문자를 인식하여 상황에 따라 조치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로 연결되는 인터폰
KR20060053760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도어폰 원격제어 방법 및 장치
JP5019928B2 (ja) 住宅情報盤
JP200431061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311551Y1 (ko) 다기능 인터폰장치
KR20040063636A (ko) 다기능 인터폰장치
TW468340B (en) TV phone device with security function
JP200413520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10008246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문자 확인방법 및 그 장치
KR100816462B1 (ko) 도어폰 시스템
KR100430774B1 (ko) 다기능 인터폰장치
JP2006032998A (ja) 無線ドアフォンシステム
KR200255553Y1 (ko) 홈 관제 시스템
JP200706779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30078139A (ko) 방문자 확인장치
KR200278658Y1 (ko) 방문자 확인장치
KR101049049B1 (ko) 원격 모니터링 및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