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946B1 -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946B1
KR102138946B1 KR1020150137783A KR20150137783A KR102138946B1 KR 102138946 B1 KR102138946 B1 KR 102138946B1 KR 1020150137783 A KR1020150137783 A KR 1020150137783A KR 20150137783 A KR20150137783 A KR 20150137783A KR 102138946 B1 KR102138946 B1 KR 102138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bed
disposable
belt
output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426A (ko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7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9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40Structures for supporting 3D objects during manufacture and intended to be sacrificed after comple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1회용 출력 베드와 상기 1회용 출력 베드를 적어도 2개 이상 내장하며 보관할 수 있는 1회용 출력 베드 저장 유니트와 상기 1회용 출력 베드 저장 유니트 하부에 구비되며 출력 베드를 상부로 밀어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링과 상기 1회용 출력 베드와 밀착하며 회전으로 벨트에 안착시키기 위한 출력 베드 이송 모터와 바퀴와 모터의 회전으로 움직이는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 상부에 구비되며 현재 이송 벨트 위에 임시보관중인 출력물이 가득 차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적재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출력 영역을 많이 사용하는 물체를 적어도 2개 이상 출력할 때에도 사용자의 부가적인 동작 없이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Automatic apparatus for discharging filament of three-dimensional printer}
본 발명은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력영역이 한정되어 있는 3차원 프린터의 사용에서, 다양한 크기의 출력물을 출력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출력이 완료된 베드를 벨트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고 새로운 출력 베드에서 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제품 개발 단계에서 프로토 타입의 제조 또는 다품종 소량 생산 시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물체의 입체 형상을 출력하기 위한 3차원 프린팅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3차원 프린팅은 물체의 입체 형상을 3차원 그래픽 설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2차원 단면 형상 데이터의 조합으로 생성한 후 이러한 2차원 단면형상 데이터 정보에 따라 ABS나 PLA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등의 원료물질을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 베드에 형성하여 물체의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3차원 프린팅의 종류에는 원료물질을 압출하여 출력 베드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 또는 FFF (Fused Filament Fabrication) 방식이 있으며, 분말을 높은 열의 레이저로 녹여 적층시켜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이 있고,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가 담긴 수조 안에 레이저 빔을 투사하여 조형하는 SLA (Stereolithography Apparatus) 방식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상기한 적층 구현 방식은 원료물질인 열가소성 수지를 양 옆이 막혀있는 원통형 줄감개에 실처럼 동그랗게 말아놓은 것과 유사한 형태의 가는 재료를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압출기에 공급하여 노즐에서 녹여서 한 층씩 적층하며 쌓아올리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재료는 필라멘트라고 하고, 상기 재료를 감는 양 옆이 막혀있는 원통형 줄감개를 보빈 또는 스풀 등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노즐에서 사출된 필라멘트가 한 층씩 적층되며 공기 또는 별도의 냉각장치에 의해 경화되며 출력 베드는 한 층의 적층이 완료될 때 마다 설정된 한 층의 높이만큼 내려가서 다음 층을 적층하는 과정으로 물체를 성형한다.
기존의 3차원 프린터를 사용할 때, 여러 개의 출력물을 출력하려는 경우 사용자가 3차원 프린터의 동작 중에 프린터 옆에 있으면서 출력이 완료되면 베드를 제거하고 새로운 1회용 베드를 사용하거나, 3차원 프린터에 따라서는 베드에서 출력물을 제거하고 해당 베드를 재사용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상기한 2가지의 어느 쪽이든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작업이 필요하며, 연속작업을 하는 경우 프린터의 종료시각에는 사용자가 프린터 옆에서 베드를 수동으로 제거해 주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출력 영역을 많이 사용하는 물체를 적어도 2개 이상 출력할 때 사용자의 부가적인 동작 없이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력이 완료된 출력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출력 베드를 영구 사용형이 아닌 1회용으로 하여, 다수의 출력 베드를 겹쳐 스프링을 통해 밀어올리는 1회용 출력 베드 저장 유니트를 마련하고, 해당 출력이 완료된 1회용 출력 베드를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 벨트로 옮겨 출력물의 이동 및 임시 저장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출력 영역을 많이 사용하는 물체를 적어도 2개 이상 출력할 때에도 사용자의 부가적인 동작 없이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직후의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1회용 출력 베드 유니트(110)를 내장하며 보관할 수 있는 1회용 출력 베드 저장 유니트(100), 상기 1회용 출력 베드 저장 유니트 하부에 구비되며 출력 베드를 상부로 밀어주는 스프링(120), 상기 1회용 출력 베드(110)와 밀착하며 회전으로 벨트에 안착시키기 위한 출력 베드 이송 모터(200), 바퀴와 모터의 회전으로 움직이는 이송 벨트(300), 이송 벨트(300) 상부에 구비되며 현재 이송 벨트(300) 위에 임시보관중인 출력물이 가득 차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적재 센서(도면 미도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를 포함한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3차원 프린터의 출력 노즐 유니트는 1회용 출력 베드(110) 위에 작업을 실시한다.
출력 작업이 완료되면, 3차원 프린터의 출력 노즐 유니트는 기기의 초기 상태에 위치해 있던 장소로 이동한다. 이후, 1회용 출력 베드(110)와 1회용 출력 베드 유니트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 때 출력 베드 유니트의 결합은 결합을 위한 어떤 방식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를 한정하지도 않는다. 예를 들면, 1회용 출력 베드(110)와 1회용 출력 베드 유니트는 자석으로 결합할 수 있고, 고리 등의 연결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1회용 출력 베드(110)와 출력 베드 유니트의 결합이 해제되면, 1회용 출력 베드(110)와 밀착해 있는 출력 베드 이송 모터(200)가 동작하여 1회용 출력 베드(110)를 이송 벨트(300)로 이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은 이송 벨트(300)로 이동할 때 출력 베드 이송 모터(200)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이송 벨트(300)로 안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모터의 방식에 따라 롤러를 부착하여 직선 방향으로 바로 이송 벨트(300)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송 모터(200)의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1회용 출력 베드(110)가 이송 벨트(300)에 안착이 되었으면 적재 센서는 현재 이송 벨트(300)에 출력물이 포화 상태에 있는지 확인한다. 임시보관중인 출력물이 이송 벨트(300) 위에 가득 차 있는 상태라면 3차원 프린터는 빛, 소리, 표시부 또는 알림창의 선택적 조합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이송 벨트(300) 위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물의 제거를 요청한다.
이송 벨트(300) 위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물이 가득 차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다음 출력 베드를 안착시킬 수 있을 만한 충분한 거리까지 벨트를 이동시킨 후 이송 벨트(300)의 이동을 정지 시킨다.
출력 베드 이송 모터(200)에 의하여 가장 윗층의 1회용 출력 베드(110)가 제거되면, 출력 베드 유니트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프링(120)이 적재되어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1회용 출력 베드를 상부로 밀어 올려, 다음 출력을 위한 1회용 출력 베드를 3차원 프린터에 공급한다. 상부로 밀어 올려진 1회용 출력 베드는 이 전 사용되었던 1회용 출력 베드와 마찬가지로 자석 또는 연결 고리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1회용 출력 베드 저장 유니트
110 : 1회용 출력 베드
200 : 이송 모터
300 : 이송 벨트

Claims (3)

  1.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에 있어서,
    홈이 구비된 1회용 출력 베드;
    상기 1회용 출력 베드를 적어도 2개 이상 내장하며 보관할 수 있는 1회용 출력 베드 저장 유니트;
    상기 1회용 출력 베드 저장 유니트 하부에 구비되며 출력 베드를 상부로 밀어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링;
    상기 1회용 출력 베드의 홈과 결합하여 벨트 방향으로 상기 출력 베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90도 회전으로 벨트에 안착시키기 위한 출력 베드 이송 모터;
    바퀴와 모터의 회전으로 움직이는 이송 벨트; 와
    상기 이송 벨트 상부에 구비되며 현재 이송 벨트 위에 임시보관중인 출력물이 가득 차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적재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137783A 2015-09-30 2015-09-30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 KR102138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783A KR102138946B1 (ko) 2015-09-30 2015-09-30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783A KR102138946B1 (ko) 2015-09-30 2015-09-30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426A KR20170038426A (ko) 2017-04-07
KR102138946B1 true KR102138946B1 (ko) 2020-07-28

Family

ID=5858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783A KR102138946B1 (ko) 2015-09-30 2015-09-30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0589B (zh) * 2020-09-25 2022-04-22 大连交通大学 一种具有滑动推拉出料结构的3d打印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286B1 (en) * 2001-06-28 2003-03-29 Dongbu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side braze packag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7963A (ja) * 1995-10-25 1997-05-06 Tamura Seisakusho Co Ltd 立体像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RU2620807C2 (ru) * 2012-09-05 2017-05-29 Апреция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Компани Система и комплект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трехмерной печат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286B1 (en) * 2001-06-28 2003-03-29 Dongbu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side braze packag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426A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44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use of materials i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US11084274B2 (en) Three-dimensional shap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ree-dimensional shap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8826511B2 (en) Spacer wafer for wafer-level camer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TWI611078B (zh) 整合式建造及材料供應技術
CN105619648B (zh) 用于3d打印的自动供液设备及其液位感测装置
US20210206085A1 (en) Build material dispenser refill control for additive manufacturing
JP2015178245A (ja) 三次元造形装置の粉体材料供給装置
JP6384826B2 (ja) 三次元積層造形装置、三次元積層造形方法および三次元積層造形プログラム
KR20170124961A (ko) 상이한 빌드 재료로 3-차원으로 인쇄된 물체 내에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78996B1 (ko) 서포터 최소화를 위한 3d프린터
KR102138946B1 (ko) 벨트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자동 배출 장치
US11104073B2 (en) Build material container
US20170028647A1 (en) Three dimensional printing system
KR20170000295A (ko) 선별적 재료 이송 장치를 구비하여 다색 출력이 가능한 3차원 프린터
US20210205887A1 (en) Three dimensional (3d) printed molds having breakaway features
US10442179B2 (en) 3D printer with spool and material container
KR101773133B1 (ko) 3d 프린터의 플렉서블 필라멘트 자동 풀림장치
KR20170000223A (ko) 출력 노즐 유니트의 정상 작동을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3차원 프린터
KR101679737B1 (ko) 광경화기를 구비하는 3차원 프린팅 헤드 조립체
JP2018105740A (ja) 散乱x線除去用グリッド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TWI616320B (zh) 快速成型裝置
KR20190064127A (ko) 필름 결합형 자성베드를 구비하고 있는 3d 프린터
KR101628161B1 (ko) 가이드 튜브를 통한 블록 자동공급 방식의 블록 적층형 3d 프린팅 시스템 및 블록 적층형 3d 프린팅 방법
KR20200046920A (ko) 복수의 프로젝터 방식의 3d 프린터의 제어 방법
KR20150080663A (ko) 다방향 거동 노즐 및 기판이 장착된 3d프린팅 및 3d프린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