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763B1 - 골프클럽용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클럽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763B1
KR102138763B1 KR1020190019689A KR20190019689A KR102138763B1 KR 102138763 B1 KR102138763 B1 KR 102138763B1 KR 1020190019689 A KR1020190019689 A KR 1020190019689A KR 20190019689 A KR20190019689 A KR 20190019689A KR 102138763 B1 KR102138763 B1 KR 10213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golf club
face
present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식
김형석
김호장
오상윤
장성현
박지현
Original Assignee
(주)아화골프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화골프,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아화골프
Priority to KR1020190019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6Head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through-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클럽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페이스를 갖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는 부위와 대향되는 타측 부위에 페이스로부터 관통하는 공기 통과 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골프클럽용 헤드{Head for golf club}
본 발명은 골프클럽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클럽의 스윙 시 비교적 공기와 마찰저항을 많이 받게 되는 헤드의 특정 부위에 공기 통과 홀을 형성함으로써, 헤드의 열림에 따른 슬라이스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골프클럽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골프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국내에서도 점차적으로 골프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골프는, 축구, 농구, 배구 및 기타 다른 스포츠들과는 달리 신체적인 조건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고, 타 종목에 비해 과격성이 낮아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광범위하면서도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골프는, 일정 직경의 골프공을 다양한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타격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홀 컵에 넣을 때까지 타수로 우열을 가리는 것으로서, 이 때 사용되는 골프클럽은 규격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한편, 골프클럽에 의한 골프공의 타격 시, 골프공은 골퍼의 스윙 자세, 골프클럽의 종류, 그립의 파지 상태, 골퍼의 마인드 등에 따라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는바, 골퍼가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드레스(Address), 스윙 자세 등과 함께 골프클럽의 선택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즉,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페어웨이나 그린 등에 놓인 골프공을 헤드의 페이스로 타격하면, 이 때의 충격력과 반발력에 의해 골프공은 타격 방향으로 진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골프클럽의 헤드 용적과 페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골프공의 비거리와 방향이 다양하게 변화됨으로써, 각 상황에 맞는 골프클럽의 선택이 요구된다.
골프클럽은, 골퍼가 게임 시에 보유할 수 있는 수량이 통상 14개로 제한되어, 이를 풀 세트(Full set)라고 하는데, 보편적으로 우드가 4개, 아이언이 9개, 퍼터가 1개로 구성된다.
보통 먼 거리를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우드의 종류로는 1번 우드(Driver), 2번 우드(Brush), 3번 우드(Spoon), 4번 우드(Buffy), 5번 우드(Cleek), 7번 우드(Heaven), 9번 우드(Nine), 11번 우드(Eleven)가 있으며, 이들 중 1번 우드는 가장 길며, 골프공을 가장 멀리 보낼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됨으로써, 주로 각 홀의 티 샷시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아이언은 드라이버로 처음 티 샷을 한 후, 그린을 향해 골프공을 공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주로 1번부터 9번까지의 클럽이 있는데, 이들 각각의 아이언은 번호에 따라 페이스의 각도(대략 4도)와 샤프트의 길이에 차이를 가지며, 각 품번에 따라 비거리가 조금씩 차이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골프클럽은, 골프공의 타격면인 페이스(Face)와 샤프트가 결합되는 호젤(Hosel)을 갖는 헤드(Head)와, 헤드에 결합되는 샤프트(Shaft)와, 샤프트의 단부에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된다.
한편, 골프에서 골퍼의 경기력을 높이기 위해 헤드의 스위트 스팟(Sweet spot)에 골프공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노력과 아울러 골프클럽의 선택이 매우 중요한데, 특히 골프클럽의 무게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헤드의 무게를 감소시켜 타구의 방향 및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즉, 골프공이 의도한 방향으로 나아가는가에 대한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헤드의 무게중심이다. 따라서 무게중심이 골프공이 타격되는 페이스 지점 후방에 위치하면 골프공은 대체로 직선 경로를 따르는 반면, 무게중심이 타격되는 페이스의 측부에 위치하면, 골프공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휘어지는 경로를 따르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골프클럽 헤드 무게중심이 측부에 위치함에 따라 슬라이스(Slice) 또는 훅(Hook)이 발생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가 골프클럽(10)을 이용하여 골프공(B)을 타격할 때 무게중심이 샤프트와 먼 위치의 측부에 위치하게 되면 슬라이스가 발생되고, 반대로 무게중심이 샤프트와 가까운 측부에 위치하게 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즉, 헤드(12)가 열린 상태에서 골프공(B)이 헤드(12)의 페이스에 타격이 이루어지는 경우, 슬라이스가 발생되고, 반대로 헤드(12)가 닫힌 상태에서 골프공(B)이 헤드(12)의 페이스에 타격이 이루어지는 경우, 훅이 발생된다.
다시 말해서, 골프는 정확한 자세와 정확한 스윙에 의해 골프공을 정확히 타격하여야 하는데, 다음과 같은 7단계의 스윙 단계를 몸에 익혀야 한다.
먼저, 어드레스 단계, 백 스윙 단계, 탑 오브 스윙 단계, 다운 스윙 단계, 임팩트 단계, 팔로 스로우 단계, 피니시 단계의 스윙에 의해 골프공을 타격하게 되는데, 상급 골퍼가 아닌 이상 위와 같은 스윙 단계에서 제대로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슬라이스 또는 훅의 발생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프로 선수가 아닌 골프를 취미로 즐기는 대부분의 중급 이상 골퍼들은, 자세가 완벽히 교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 잘못된 자세가 굳은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헤드에서 샤프트와 비교적 거리가 먼 부위가 스윙 시 공기와 마찰력에 의해 열린 상태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경우가 많아 주로 훅 보다는 슬라이스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실용등록 제20-0459940호(2012.04.13.) 한국실용등록 제20-0389812호(2005.07.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골프클럽의 스윙 시 비교적 공기와 마찰저항을 많이 받게 되는 헤드의 특정 부위에 공기 통과 홀을 형성함으로써, 헤드의 열림에 따른 슬라이스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골프클럽용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클럽용 헤드는, 페이스를 갖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는 부위와 대향되는 타측 부위에는 페이스로부터 관통하는 공기 통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 통과 홀 중, 상기 페이스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부재가 억지끼워 맞춤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암나사와 체결되기 위하여 그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용 헤드.
또한, 상기 결합부재와 마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통과 홀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중실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실 캡은 헤드와 동일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클럽용 헤드에 의하면, 골프클럽의 스윙 시 비교적 공기와 마찰저항을 많이 받게 되는 헤드의 특정 부위에 공기 통과 홀이 형성됨으로써, 헤드의 열림에 따른 슬라이스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프클럽 헤드 무게중심이 측부에 위치함에 따라 슬라이스 또는 훅이 발생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헤드에 공기 통과 홀이 형성된 골프클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헤드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클럽용 헤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프클럽용 헤드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공기 통과 홀을 페이스에서 마개부가 덮힌 상태를 도시한 골프클럽용 헤드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프클럽용 헤드의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클럽용 헤드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헤드에 공기 통과 홀이 형성된 골프클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헤드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클럽용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클럽(100)용 헤드(110)는, 샤프트(120)와 대향되는 타측 부위에 공기 통과 홀(200)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30)은 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되어 골퍼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공기 통과 홀(200)은 페이스(112)로부터 후면을 관통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급 이상의 골퍼가 골프공을 타격하고자 스윙을 할 때, 헤드(110)의 페이스(112)에 마찰저항을 일으키는 공기 중 일부는 공기 통과 홀(200)을 통과하면서 마찰 저항을 줄이게 되는바, 헤드(110)가 열리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1번 우드인 드라이버를 비롯한 대부분의 골프클럽(100)은 샤프트(120)가 헤드(110)의 일 측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골퍼가 샤프트(120)를 쥐고 스윙을 하게 될 때, 헤드(110)의 페이스(112)에 공기저항이 발생됨에 따라 샤프트(120)와 거리가 먼 타측 부위가 공기저항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헤드(110)가 열리게 되어 슬라이스의 발생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헤드(110)에서 샤프트(120)와 대향되는 타측 부위에 관통하는 공기 통과 홀(200)이 형성되면, 스윙 시 헤드(110)에서 샤프트(120)와 대향되는 타측 부위의 페이스(112)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공기는 공기 통과 홀(200)을 통해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공기저항을 적게 받게 되는바, 헤드(110)가 열리는 현상이 저감되어 슬라이스의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 통과 홀(2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112)로부터 내측에 일정 길이만큼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부재(21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210)는 공기 통과 홀(200)에 대하여 억지끼워 맞춤에 의해 삽입되어 공기 통과 홀(20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통과 홀(200)에 결합부재(210)가 삽입되면, 필요에 따라 마개부(220)를 결합하여 공기 통과 홀(200)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프클럽(100)용 헤드(11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공기 통과 홀(200)을 페이스(112)에서 마개부(220)가 덮힌 상태를 도시한 골프클럽(100)용 헤드(110)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단면도로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통과 홀(200)에 결합부재(210)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110)의 페이스(112) 쪽으로 마개부(220)를 삽입하여 결합시키게 되면, 헤드(110)의 공기 통과 홀(200)이 막음되어 보통의 골프클럽(100)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슬라이스가 자주 발생하는 골퍼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통과 홀(200)이 관통된 상태로 하여 스윙을 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스의 발생 확률을 줄이되, 슬라이스의 발생이 적은 골퍼의 경우 공기 통과 홀(200)을 마개부(220)로 막음하여 보통의 골프클럽(100)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보다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마개부(220)의 경우 그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체결에 의해 간단히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프클럽(100)용 헤드(110)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헤드(110)의 페이스(112)에 마개부(220)를 결합하여 공기 통과 홀(200)을 막음한 상태에서, 헤드(110)의 후방 쪽에는 공기 통과 홀(200)이 그대로 형성됨에 따라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데, 이의 경우 스윙 시 무게 중심이 다소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공기 통과 홀(200)의 후단 쪽에는 헤드(110)와 동일 재질의 중실 캡(300)을 삽입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이 해소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기 통과 홀(200)이 마개부(220)에 의해 막힌 상태에서, 공기 통과 홀(200)에서 마개부(220)에 의해 막히지 않은 다른 부위는 헤드(110)와 동일 재질의 중실 캡(300)을 삽입함으로써, 통상적인 헤드(1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골프클럽 110 : 헤드
112 : 페이스 120 : 샤프트
130 : 손잡이 200 : 공기 통과 홀
210 : 결합부재 220 : 마개부
300 : 중실 캡

Claims (4)

  1. 페이스를 갖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는 부위와 대향되는 타측 부위에 페이스로부터 관통하는 공기 통과 홀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 통과 홀 중, 상기 페이스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부재가 억지끼워 맞춤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암나사와 체결되기 위하여 그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마개부와, 상기 결합부재와 마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통과 홀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중실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실 캡은 헤드와 동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용 헤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19689A 2019-02-20 2019-02-20 골프클럽용 헤드 KR10213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689A KR102138763B1 (ko) 2019-02-20 2019-02-20 골프클럽용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689A KR102138763B1 (ko) 2019-02-20 2019-02-20 골프클럽용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763B1 true KR102138763B1 (ko) 2020-07-28

Family

ID=7183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689A KR102138763B1 (ko) 2019-02-20 2019-02-20 골프클럽용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789A (ko) 2021-05-07 2022-11-15 (주)디테크게엠베하 골프클럽용 헤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194Y1 (ko) * 2000-01-25 2000-07-15 이양희 티샷 연습용 골프채
KR200330068Y1 (ko) * 2003-07-24 2003-10-11 임성식 안정된 스윙수단을 구비한 골프클럽 헤드
KR200389812Y1 (ko) 2005-04-06 2005-07-14 김양수 골프 클럽 헤드
KR20090008460U (ko) * 2008-02-19 2009-08-24 신영우 공기 저항을 줄인 골프채
KR200459940Y1 (ko) 2009-09-11 2012-04-20 유상희 골프 클럽의 헤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194Y1 (ko) * 2000-01-25 2000-07-15 이양희 티샷 연습용 골프채
KR200330068Y1 (ko) * 2003-07-24 2003-10-11 임성식 안정된 스윙수단을 구비한 골프클럽 헤드
KR200389812Y1 (ko) 2005-04-06 2005-07-14 김양수 골프 클럽 헤드
KR20090008460U (ko) * 2008-02-19 2009-08-24 신영우 공기 저항을 줄인 골프채
KR200459940Y1 (ko) 2009-09-11 2012-04-20 유상희 골프 클럽의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789A (ko) 2021-05-07 2022-11-15 (주)디테크게엠베하 골프클럽용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9956B2 (e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face deformation limiting member
US7867105B2 (en) Forged iron head and golf club having the same
JP6078044B2 (ja) 一つまたは複数のフェースチャネル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または他の打球装置
US20130029781A1 (en) Golf club with selected length to weight ratio
US20150258395A1 (e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Impact-Influencing Body Features
US20050064949A1 (en) Golf club
JP5768042B2 (ja) 複数のフェースインサート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または他の打球装置
JP2001212267A (ja) ウッド型クラブ
JP2015514497A (ja) ユーティリティーアイアン
US20160346643A1 (en) Golf Club Set Having Similar Properties
KR102138763B1 (ko) 골프클럽용 헤드
JP2012527252A (ja) フェースインサート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または他の打球装置
US20130130822A1 (en) Golf Club
US6863624B1 (en) Golf club
US20070066419A1 (en) Wood-type golf club
US20130090182A1 (e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with adjustable weighting
US20190105541A1 (en) Golf club device
KR102620145B1 (ko) 골프클럽용 헤드
JP2003135628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20110039635A1 (en) Putter
US20110244980A1 (en) True line putter
KR200432074Y1 (ko) 골프용 퍼터
KR102346984B1 (ko) 골프 드라이버용 페이스
AU2015101396A4 (en) Golf Club
US20130337936A1 (en) Golf cl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