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645B1 -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645B1
KR102138645B1 KR1020190164024A KR20190164024A KR102138645B1 KR 102138645 B1 KR102138645 B1 KR 102138645B1 KR 1020190164024 A KR1020190164024 A KR 1020190164024A KR 20190164024 A KR20190164024 A KR 20190164024A KR 102138645 B1 KR102138645 B1 KR 10213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rod
fitting
drying rack
fitting hole
s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희
Original Assignee
(주)두진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진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두진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9016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2Draining-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가 거치되는 선반부를 포함한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반부의 양 측단에 결합되는 측면바; 식기 건조대를 상부 구조물에 걸어서 설치되게 하는 행거봉; 및 상기 행거봉을 상기 측면바에서 수평방향으로 접거나, 상기 행거봉을 상기 측면바에서 수직방향으로 펼칠 수 있게 하는 접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측면바에서 내측 전면부의 양 측단부에 오목하게 구비되며, 상기 측면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끼움홈과, 상기 제1 끼움홈의 내측단에서 상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끼움홈과, 상기 제1 끼움홈의 내측단에서 내측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끼움부, 상기 행거봉의 양측 끝단부에서 각각 내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 끼움홈을 통해 상기 끼움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축부를 포함하여, 선반부와 평행하게 행거봉을 접을 수 있어 구매자가 선반부와 행거봉을 따로 조립할 필요가 없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DISH DRYING RACK}
본 발명은 식기가 거치되는 선반부를 포함한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반부의 양 측단에 결합되는 측면바; 식기 건조대를 상부 구조물에 걸어서 설치되게 하는 행거봉; 및 상기 행거봉을 상기 측면바에서 수평방향으로 접거나, 상기 행거봉을 상기 측면바에서 수직방향으로 펼칠 수 있게 하는 접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측면바에서 내측 전면부의 양 측단부에 오목하게 구비되며, 상기 측면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끼움홈과, 상기 제1 끼움홈의 내측단에서 상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끼움홈과, 상기 제1 끼움홈의 내측단에서 내측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끼움부, 상기 행거봉의 양측 끝단부에서 각각 내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 끼움홈을 통해 상기 끼움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축부를 포함하여, 선반부와 평행하게 행거봉을 접을 수 있어 구매자가 선반부와 행거봉을 따로 조립할 필요가 없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는 그릇이나 접시 등의 각종 식기를 세척 후 올려놓을 수 있는 식기 건조대를 설치하여, 세척된 식기에 남은 물기를 건조하여 제거되게 한다.
이러한 싱크대용 식기 건조대는, 크게 싱크대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바구니식 식기 건조대와, 싱크대의 상측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 설치되는 걸이형 식기 건조대로 구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식기 건조대들 중에서, 싱크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싱크대를 넓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에는 걸이형 식기 건조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걸이형 식기 건조대는 주방의 벽면 상측에 설치된 수납장의 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양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선반부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걸이형 식기 건조대는 일반적으로 지지프레임과 선반부가 분리된 상태로 포장되어 판매되며, 구매자가 식기 건조대를 설치하기 위해 지지프레임을 수납장 등의 상부 구조물 저면에 나사 등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선반부를 거치하여 결합함으로써, 식기 건조대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의 걸이형 식기 건조대는 지지프레임과 건조대를 복수개의 나사 등으로 일일이 결합하여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818835호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선반부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행거봉이 수직, 수평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식기 건조대 설치 시 행거봉의 조립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등록특허는 행거봉의 양단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ㄴ자 모양으로 절곡된 한 쌍의 끼움부와, 상기 측면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부 및 상기 끼움홈부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부가 수용되어 질 수 있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끼움부를 축으로 행거봉을 수직, 수평방향으로 접거나 펼쳐서, 포장 부피를 줄이면서 설치를 쉽게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는 상기 끼움홈부와 연장부가 끼움부에 대응하도록 끼움홈부가 외측을 향하는 형태의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 행거봉을 수직하게 펼쳤을 때, 끼움부가 끼움홈부와 연장부의 개구부로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 중 식기 건조대의 측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행거봉과 선반부가 분리되면서 식기 건조대가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유리 재질의 식기들의 파손 및 이로 인한 상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행거봉을 선반부에 대하여 수직, 수평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어 포장 부피를 줄이면서 설치를 쉽게 하고, 특히 행거봉의 회동축부가 끼움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끼움부의 개구부로 전면 노출이 되지 않아 외력에 의해 행거봉에서 선반부가 분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는,
식기가 거치되는 선반부를 포함한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의 양 측단에 결합되는 측면바;
식기 건조대를 상부 구조물에 걸어서 설치되게 하는 행거봉; 및
상기 행거봉을 상기 측면바에서 수평방향으로 접거나, 상기 행거봉을 상기 측면바에서 수직방향으로 펼칠 수 있게 하는 접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측면바에서 내측 전면부의 양 측단부에 오목하게 구비되며, 상기 측면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끼움홈과, 상기 제1 끼움홈의 내측단에서 상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끼움홈과, 상기 제1 끼움홈의 내측단에서 내측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끼움부,
상기 행거봉의 양측 끝단부에서 각각 내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 끼움홈을 통해 상기 끼움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는,
상기 행거봉은 상기 한 쌍의 회동축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에서,
상기 끼움홀은 외측 후면부가 개구되어 상기 회동축부가 출몰 가능하게 형성된 끼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에서,
상기 끼움홀은 상기 제1 끼움홈의 상, 하측 벽부에서 내측 길이방향으로 연장 연결되는 상, 하측 지지단과, 상기 상, 하측 지지단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 하측 지지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는,
행거봉을 선반부의 수직, 수평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어 포장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설치를 쉽게 하며, 선반부에 조립된 행거봉이 측면바의 내측으로 분리, 이탈할 위험이 없어 선반부의 추락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며,
측면바에 대한 행거봉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됨은 물론, 행거봉의 조립 작업이 편리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바와 행거봉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판을 생략하여 바디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식기가 거치되는 선반부(10)를 포함한 접이식 행거봉(30)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선반부(10)의 양 측단에 결합되는 측면바(20), 식기 건조대를 상부 구조물에 걸어서 설치되게 하는 행거봉(30) 및 상기 행거봉(30)을 상기 측면바(20)에서 수평방향으로 접거나, 상기 행거봉(30)을 상기 측면바(20)에서 수직방향으로 펼칠 수 있게 하는 접이수단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선반부(10)는 상기 측면바(20)의 전후 양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전후 프레임(11), 측면바(20)에 안착되어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대(12), 상기 거치대(12)의 하측에 구비되어 식기에서 흘러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받이(13)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 프레임(11)은 상기 측면바(20)와 사각 형상으로 결합되어 식기 건조대의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전후 프레임(11)과 측면바(20)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대(12)는 다수개의 지지살들이 격자형으로 결합되는 그릴 형태로써, 접시를 세워서 보관하기 위한 돌출 구조, 수저 등의 개별 보관을 위한 수저통 등 그 구조나 부속품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13)는 쟁반 형태로써 상기 선반부(10)에 대하여 전후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된 물을 개별 배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물받이(13)의 일측에 물 배출홈이 구비되어 물받이(13)의 물이 물 배출홈을 통해 싱크대로 흘러서 바로 배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인 상기 접이수단을 구비한 측면바(20)와 행거봉(30)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측면바(20)는 내측 전면부(20a)를 형성하는 바디(20A)와, 상기 바디(20A)의 외측 개구부에 결합되는 후면판(20B)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20A)의 양 측단부에는 상기 접이수단으로 기능하는 한 쌍의 끼움부(21)가 구비되며, 끼움부(21)들 사이에 측면바(20)의 내,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이 구비되어 식기 건조기의 경량화와 손잡이로 사용된다.
아울러 상기 바디(20A)는 전면부(20a)의 외면에서 돌출된 제1 받침부(27)와 제2 받침부(28)가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측면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 받침부(27)에는 상기 거치대(12)가 안착되고, 상기 제2 받침부(28)에는 상기 물받이(13)가 안착된다.
상기 행거봉(30)은 전체적인 형상이 하측단이 개구된'ㄷ'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것으로, 양측 끝단부에 상기 접이수단으로 기능하는 한 쌍의 회동축부(31)가 구비되고, 상측단에 식기 건조대를 수납장의 저면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설치공(32)이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측면바(20)에서 내측 전면부(20a)의 양 측단부에 오목하게 구비되며, 상기 측면바(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끼움홈(22)과, 상기 제1 끼움홈(22)의 내측단에서 상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끼움홈(23)과, 상기 제1 끼움홈(22)의 내측단에서 내측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홀(24)로 이루어진 한 쌍의 끼움부(21),
상기 행거봉(30)의 양측 끝단부에서 각각 내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 끼움홈(22)을 통해 상기 끼움홀(24)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축부(31)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축부(31)는 상기 제1 끼움홈(22)에 끼워져 행거봉(30)의 축으로 기능한다.
이때 상기 행거봉(30)은 상기 한 쌍의 회동축부(31)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한다.
즉, 상기 회동축부(31)들이 서로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행거봉(30)의 탄성력이 발생한다.
상기 제1 끼움홈(22)과 제2 끼움홈(23) 및 끼움홀(24)은, 제2 끼움홈(23)을 중심으로 제1 끼움홈(22)과 끼움홀(24)이 양측으로 연결된 'ㅗ'자형 구조로써, 제1, 제2 끼움홈(22)(23)은 바디(20A)의 내측 전면부(20a)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끼움홀(24)은 바디(20A)의 내측 전면부(20a)로 가려져 바디(20A)의 내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끼움홈(22)은 바디(20A)의 내측 전면부(20a) 외면이 수평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 하측 벽부(22a)와, 상기 상, 하측 벽부(22a)의 외측단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벽부(20b)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 전면부(20a)가 개구된 유사 'ㄷ'자형, 또는 유사'U'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 끼움홈(23) 역시 제1 끼움홈(22)과 동일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끼움홀(24)은 상기 제1 끼움홈(22)의 내측단(제2 끼움홈(23)의 하측단) 벽부를 관통하여 바디(20A)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제2 끼움홈(22)(23)은 홈 형태인 반면에, 상기 끼움홀(24)은 상기 제1 끼움홈(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홀(24)은 외측 후면부가 개구되어 상기 회동축부(31)가 출몰 가능하게 형성된 끼움구(24a)를 포함한다.
즉, 상기 끼움홀(24)은 상기 제1 끼움홈(22)의 수직 벽부(20b)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지 않고 개구된 끼움구(24a)를 가져, 제1, 제2 끼움홈(22)(23)과 반대로 끼움홀(24)이 내측 전면부(20a)로 밀폐되면서 끼움홀(24)의 외측면이 개구된 형태이다.
이러한 끼움홀(24)과 끼움구(24a)는 최소한 상기 회동축부(31)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끼움구(24a)를 통해 회동축부(31)가 끼움홀(24)에 보다 쉽게 결합하여 안착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끼움홀(24)은 상기 제1 끼움홈(22)의 상, 하측 벽부(22a)에서 내측 길이방향으로 연장 연결되는 상, 하측 지지단(24b)과, 상기 상, 하측 지지단(24b)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 하측 지지살(24c)을 형성된다.
상기 상, 하측 지지단(24b)은 상기 회동축부(31)의 상, 하측 외주면을 지지하여 회동축부(31)가 상하로 틀어지지 않고 축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상, 하측 지지살(24c)은 상기 상, 하측 지지단(24b)보다 큰 전후 너비를 갖는 것으로, 상, 하측 지지단(24b)과 함께 회동축부(31)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동축부(31)가 끼움홀(24)에 끼워질 때 회동축부(31)가 끼움홀(24)의 상하로 어긋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상, 하측 지지살(24c)은 바디(20A)의 내측 전면부(20a)와 후면판(20B) 사이를 지지하며, 바디(20A) 내부의 공간부로 측면바(20)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사출 성형에 따른 수축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 하측 지지단(24b)에서 바디(20A)의 테두리까지 길게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이수단은, 먼저 상기 행거봉(30)의 회동축부(31)들을 벌린 다음, 각 회동축부(31)를 각 끼움부(21)의 제1 끼움홈(22)으로 삽입한 후 놓으면, 회동축부(31)들이 오므려지면서 상기 끼움홀(24)로 끼워져 축 결합된다.
이때 회동축부(31)가 벌어진 상태에서는 회동축부(31)들이 서로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고 서로 어긋나는 사선 형태로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회동축부(31)가 상기 끼움홀(24)로 삽입될 때, 상기 끼움구(24a)를 통해 회동축부(31)의 끝단부가 걸리지 않아, 행거봉(30)의 탄성을 이용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끼움홀(24)의 상, 하측에는 상, 하측 지지단(24b)과 상, 하측 지지살(24c)이 돌출되어 있어, 벌어진 회동축부(31)가 다시 오므려질 때 회동축부(31)가 끼움홀(24)에서 이탈하지 않고 정위치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렇게 조립된 회동축부(31)는 상, 하측 지지단(24b)과 상, 하측 지지살(24c) 및 바디(20A)의 내측 전면부(20a)로 지지됨에 따라 끼움홀(24) 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따라서 행거봉(30)을 선반부(10)와 평행하게 눕힌 상태로 포장하여 부피를 최소화하고, 설치 시 행거봉(30)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선반부(10)를 주방의 상부 구조물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렇게 세워진 행거봉(30)은 양측 회동축부(31)가 하측의 지지단(24b)과 지지살(24c)에 지지되는 형태로써, 양측 회동축부(31)가 벌어지도록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회동축부(31)의 끝단부가 하측의 지지단(24b)과 지지살(24c)에 걸리면서 벌어질 수가 없어, 식기 건조대 설치 후 행거봉(30)이 벌어져 선반부(10)가 추락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행거봉(30)은 세워진 상태에서 하측의 지지단(24b)과 지지살(24c)에 의해 회동축부(31)의 벌어짐이 방지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거봉(30)이 벌어지게 하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끼움홀(24)의 내주면에 손상을 주면서 회동축부(31)가 벌어져 끼움홀(24)에서 이탈할 위험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부(31)와 끼움홀(24)에 구비된 이탈 방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끼움홀(24)을 형성하는 바디(20A)의 전면부(20a) 내면에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20b)와, 상기 회동축부(3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20b)의 내측단에 걸리는 걸림돌기(31a)로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0b)는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갖는 사각 돌기 형태이고, 상기 걸림돌기(31a)는 원형의 링 형태의 돌기로써, 서로 상응하는 폭 너비를 갖는다.
이때 회동축부(31)가 끼움홀(24)에 끼워질 때는 회동축부(31)의 끝단부가 끼움구(24a)로 빠지는 형태로 끼워지므로 걸림돌기(31a)가 이탈방지돌기(20b)에 걸리지 않으며, 회동축부(31)를 끼움홀(24)의 끝까지 밀어서 삽입 후 회동축부(31)를 놓으면 걸림돌기(31a)가 이탈방지돌기(20b)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걸리게 된다.
따라서 회동축부(31)가 끼움홀(24)에 장착되었을 때 걸림돌기(31a)가 이탈방지돌기(20b)에 걸려서 회동축부(31)가 제1 끼움홈(22) 방향으로 이동하여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행거봉(30)을 눕히거나 세울 때 이탈방지돌기(20b)와 걸림돌기(31a)의 걸림 구조가 회동축부(31)의 회전을 안내하여 행거봉(30)의 접이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져, 포장 작업이나 설치 중 행거봉(30)이 의도치 않게 회동하면서 벌어져 행거봉(30)이 측면바(20)에서 분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선반부 11 : 프레임
12 : 거치대 13 : 물받이
20 : 측면바 21 : 끼움부
22 : 제1 끼움홈 23 : 제2 끼움홈
24 : 끼움홀 30 : 거치봉
31 : 회동축부 32 : 설치공

Claims (4)

  1. 식기가 거치되는 선반부(10)를 포함한 접이식 행거봉(30)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10)의 양 측단에 결합되는 측면바(20);
    식기 건조대를 상부 구조물에 걸어서 설치되게 하는 행거봉(30); 및
    상기 행거봉(30)을 상기 측면바(20)에서 수평방향으로 접거나, 상기 행거봉(30)을 상기 측면바(20)에서 수직방향으로 펼칠 수 있게 하는 접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측면바(20)에서 내측 전면부의 양 측단부에 오목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바(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끼움홈(22)과, 상기 제1 끼움홈(22)의 내측단에서 상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끼움홈(23) 및
    상기 제1 끼움홈(22)의 내측단에서 내측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홀(24)을 포함하는 한 쌍의 끼움부(21),
    상기 행거봉(30)의 양측 끝단부에서 각각 내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 끼움홈(22)을 통해 상기 끼움홀(24)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축부(31)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홀(24)은 상기 제1 끼움홈(22)의 상, 하측 벽부(22a)에서 내측 길이방향으로 연장 연결되는 상, 하측 지지단(24b)과, 상기 상, 하측 지지단(24b)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 하측 지지살(24c)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후면부가 개구되어 상기 회동축부(31)가 출몰 가능하게 형성된 끼움구(24a)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축부(31)와 끼움홀(24)에 구비된 이탈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끼움홀(24)을 형성하는 바디(20A)의 전면부(20a) 내면에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20b)와, 상기 회동축부(3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20b)의 내측단에 걸리는 걸림돌기(31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봉은 상기 한 쌍의 회동축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


  4. 삭제
KR1020190164024A 2019-12-10 2019-12-10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 KR102138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024A KR102138645B1 (ko) 2019-12-10 2019-12-10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024A KR102138645B1 (ko) 2019-12-10 2019-12-10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645B1 true KR102138645B1 (ko) 2020-07-28

Family

ID=7183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024A KR102138645B1 (ko) 2019-12-10 2019-12-10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524B1 (ko) * 2020-11-27 2021-04-22 (주)두진인더스트리 식기건조대 조립지그, 조립방법 및 이를 위한 식기건조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46Y1 (ko) * 2013-06-26 2013-09-10 신춘우 세면도구 보관대용 행거장치
KR101813789B1 (ko) * 2016-04-04 2017-12-29 김기원 식기선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46Y1 (ko) * 2013-06-26 2013-09-10 신춘우 세면도구 보관대용 행거장치
KR101813789B1 (ko) * 2016-04-04 2017-12-29 김기원 식기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524B1 (ko) * 2020-11-27 2021-04-22 (주)두진인더스트리 식기건조대 조립지그, 조립방법 및 이를 위한 식기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01148A (en) Collapsible display rack
US8579120B2 (en) Crockery basket for a dishwasher
US20100138991A1 (en) Playpen and related playpen set
KR102138645B1 (ko) 접이식 행거봉을 구비한 식기 건조대
CA2155988C (en) Supports for hot tub spa covers
GB2367239A (en) Folding frame clothes airer
CN108113528B (zh) 酒杯干燥架
KR200459450Y1 (ko) 도어 걸이형 다용도 선반
ITTO20121173A1 (it) Accessorio di cesto di lavastoviglie
KR101900608B1 (ko) 조립식 주방용 식기 건조대
EP2785214B1 (en) Furnishing element such as a wardrobe, a piece of furniture or suchlike
KR101813789B1 (ko) 식기선반
KR101639425B1 (ko) 빨래 건조대
KR102128351B1 (ko) 식기선반
KR101818835B1 (ko) 식기선반
KR101305050B1 (ko) 분리식 세탁물 건조대
CN210354007U (zh) 可折叠成壁橱的上下床
JP2010057719A (ja) 折畳式物干台
KR100665699B1 (ko) 세탁물 건조대
ES2514790T3 (es) Cesta para lavavajillas que comprende un estante provisto de una cubierta
CN210493464U (zh) 折叠儿童用品
KR100543070B1 (ko) 절첩식 지주를 갖는 찜기용 찜물받침
KR200454881Y1 (ko) 안전 수납 구조의 가변형 슬라이드 진열판이 구비된 접이식 상품 진열대
KR200142621Y1 (ko)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20080006575U (ko) 스탠드형 숯불구이기 절첩다리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