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425B1 -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425B1
KR101639425B1 KR1020150003252A KR20150003252A KR101639425B1 KR 101639425 B1 KR101639425 B1 KR 101639425B1 KR 1020150003252 A KR1020150003252 A KR 1020150003252A KR 20150003252 A KR20150003252 A KR 20150003252A KR 101639425 B1 KR101639425 B1 KR 10163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hanger
drying
pai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소현
Original Assignee
정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소현 filed Critical 정소현
Priority to KR102015000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지지바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제1 걸이봉이 구비된 한 쌍의 상부건조대; 상기 중앙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절첩레그; 상기 절첩레그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제2 걸이봉이 구비된 보조건조대; 일단은 상기 절첩레그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건조대에 착탈 결합되어 상부건조대가 중앙지지바에 대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버팀대 및; 상기 상부건조대 또는 보조건조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건조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덮개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덮개부재 위에 건조된 세탁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곧게 선 자세로 하나씩 간편하게 갤 수 있도록 한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빨래 건조대{LAUNDERING HANGER}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된 세탁물을 덮개부재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곧게 선 자세로 하나씩 간편하게 갤 수 있도록 한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 건조대는 실내외에서 세탁물을 간편하게 널어서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형태에 따라 크게 바닥에 펼쳐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빨래 건조대와 천장에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식 빨래 건조대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접이식 빨래 건조대는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양의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빨래 건조대는 한국공개특허 제2014-0101151호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빨래 건조대는 수평연결대; 상기 수평연결대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지지대; 상기 수평연결대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상부걸이대; 상기 한 쌍의 하부지지대에 각각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지지대 및; 상기 고정지지대의 선단에 설치되며, 돌기부와 대응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된 고정커버;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빨래 건조대는 고정커버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부걸이대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세탁물을 건조하는데, 건조된 세탁물을 개는 경우 세탁물을 수거하여 바닥에 내려놓거나 또는 별도의 빨래 바구니에 담아 운반한 다음 바닥에 앉아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개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대에 설치된 덮개부재 위에, 건조된 세탁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허리를 굽힐 필요 없이 곧게 선 자세로 세탁물을 간편하게 갤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지지바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제1 걸이봉이 구비된 한 쌍의 상부건조대; 상기 중앙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절첩레그; 상기 절첩레그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제2 걸이봉이 구비된 보조건조대; 일단은 상기 절첩레그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건조대에 착탈 결합되어 상부건조대가 중앙지지바에 대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버팀대 및; 상기 상부건조대 또는 보조건조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건조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한다.
상기 덮개부재는 고리, 벨크로 또는 홈-돌기에 의해 상부건조대 또는 보조건조대에 착탈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빨래 건조대는 상부건조대의 중앙지지바에 ㄷ자 형태의 가로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로대에 의해 덮개부재가 경사지도록 착탈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외기의 순환이 원활하도록 표면에 통공이 형성된 메쉬형 또는 통공이 없는 평판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케이스의 내부에 다단으로 접거나 권취되어 보관하며 케이스의 전방으로 펼쳐 상기 상부건조대 또는 보조건조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목재,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 합성수지 또는 이들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물질로 이루어진 골격을 섬유상 물질로 에워싼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는, 세탁물이 거치된 건조대의 상부에 덮개부재를 결합하여, 덮개부재 위에 건조된 세탁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허리를 굽힐 필요 없이 곧게 선 자세로 세탁물을 편리하게 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 세탁물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별도의 빨래 바구니에 담아 운반할 필요가 없고 그 자리에서 세탁물을 갤 수 있는 기능성이 부여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거치된 건조대의 위치에 따라 덮개부재의 결합 위치 또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부재가 건조대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건조대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 없이 다양한 형태의 건조대에 간편하게 적용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덮개부재 위에 한꺼번에 올려놓아도 세탁물이 덮개부재 사이로 빠지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사시도이고,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 덮개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 덮개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곧게 선 자세로 건조된 세탁물을 간편하게 갤 수 있는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10)는 상부건조대(20a, 20b), 절첩레그(30a, 30b), 보조건조대(40), 버팀대(50) 및 덮개부재(6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빨래 건조대(10)는 중앙지지바(21)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제1 걸이봉(22)이 구비된 한 쌍의 상부건조대(20a, 20b); 상기 중앙지지부(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절첩레그(30a, 30b); 상기 절첩레그(30a, 30b)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제2 걸이봉(41)이 구비된 보조건조대(40); 일단은 상기 절첩레그(30a, 30b)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건조대(20a, 20b)에 착탈 결합되어 상부건조대(20a, 20b)가 중앙지지바(21)에 대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버팀대(50) 및; 상기 상부건조대(20a, 20b) 또는 보조건조대(4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건조대(20a, 20b, 4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덮개부재(60);를 포함한다.
중앙지지바(21)는 바(bar) 형상으로, 한 쌍의 상부건조대(20a, 20b)의 가운데 영역에 배치된다. 중앙지지바(21)는 상부건조대(20a, 20b) 및 절첩레그(30a, 30b)가 양쪽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지지한다.
상기 상부건조대(20a, 20b)는 중앙지지바(21)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세탁물을 거치하기 위해 펼쳐지거나 보관을 위해 접혀진다.
상부건조대(20a, 20b)는 그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제1 걸이봉(22)이 구비된다. 제1 걸이봉(22)은 다수의 세탁물을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부건조대(20a, 20b)의 내측벽에는 제1 걸이봉(22)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지지부(21)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절첩레그(30a, 30b)가 형성된다. 접철레그(30a, 30b)는 상부건조대(20a, 20b)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ㅅ" 자 형태로 펼쳐지거나 접혀진다.
이에 따라 빨래 건조대(10)의 사용시에는 절첩레그(30a, 30b)를 일정 각도로 펼쳐 지면에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빨래 건조대(10)의 보관 및 이동시에는 절첩레그(30a, 30b)를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레그(30a, 30b) 사이에는 보조건조대(40)가 형성된다. 보조건조대(40)는 그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제2 걸이봉(41)이 구비된다. 제2 걸이봉(41)은 제1 걸이봉(22) 외 세탁물을 추가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버팀대(50)는 일단이 상기 절첩레그(30a, 30b)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건조대(20a, 20b)에 착탈 결합된다. 상기 버팀대(50)가 상부건조대(20a, 20b)에 결합되는 경우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부건조대(20a, 20b)가 중앙지지바(21)에 대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상부건조대(20a, 20b) 또는 보조건조대(40)에는 덮개부재(60)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부건조대(20a, 20b) 또는 보조건조대(4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는다.
상기 덮개부재(60)는 건조된 세탁물을 수거하여 갤 때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즉 사용자가 건조된 세탁물을 갤 때 도 1과 같이 상부건조대(20a, 20b)의 상부에 덮개부재(60)를 결합하여 덮개부재(60) 위에 세탁물을 한꺼번에 또는 하나씩 올려놓은 상태에서 곧게 선 자세로 세탁물을 편리하게 갤 수 있다. 세탁물을 개는 것이 완료되면 상부건조대(20a, 20b)로부터 덮개부재(60)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부건조대(20a, 20b)의 일측에만 덮개부재(60)가 결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세탁물이 거치된 건조대의 위치에 따라 덮개부재(60)의 결합 위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일례로 상부건조대(20a, 20b)의 양측 또는 보조건조대(40)에 결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덮개부재(60)는 외기의 순환이 원활하도록 표면에 통공이 형성된 메쉬형 또는 통공이 없는 평판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외기의 순환이 원활하도록 표면에 통공이 형성된 메쉬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은 원형, 다각형, 장방형, 반원형, 유선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목적 및 미려한 디자인을 확보하기 위해 어떠한 형상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통공의 크기는, 덮개부재(60) 위에 건조된 세탁물이 한꺼번에 올려놓아도 세탁물이 덮개부재(60) 사이로 빠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재(60)는 다수개의 세탁물이 한꺼번에 올려놓았을 때에도 휘어져 처짐이 없도록 제1 걸이봉(22) 및 제2 걸이봉(41)과 같은 두께 및 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부재(60)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목재,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 골격을 섬유상 물질로 에워싼 것일 수 있다.
후술하는 자바라식 또는 자동스크린식 구조의 덮개부재(60)는 플렉서블한(flexible)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 덮개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덮개부재(60)는 통상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부건조대(20a, 20b) 또는 보조건조대(40)에 착탈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재(60)는 상하로 유동 가능한 갈고리 형상의 고리(61, 도 2), 벨크로(62, 도 3) 또는 홈-돌기(63a, 63b, 도 4)에 의해 상부건조대(20a, 20b) 또는 보조건조대(40)에 착탈 결합된다.
일례로 고정수단으로 홈-돌기(63a, 63b)를 이용하는 경우, 상부건조대(20a, 20b)에는 홈(63a)이 형성되고 덮개부재(60)에는 상기 홈(63a)에 대응 결합되는 돌기(6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61), 벨크로(62), 홈-돌기(63a, 63b)의 형상은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형상에 의해 고정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고리(61), 벨크로(62), 홈-돌기(63a, 63b)의 개수도 한정하지는 않으며 고정 강도에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 덮개부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재(60´, 60˝)는 자바라식(도 5) 및 자동스크린식(도 6)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재(60´)가 자바라식 구조일 경우, 도 5와 같이 케이스(64)의 내부에 덮개부재(60´)가 다단으로 접어 보관하며 케이스(64)의 전방으로 펼쳐 상기 상부건조대(20a, 20b) 또는 보조건조대(4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60˝)가 자동스크린식 구조일 경우, 도 6과 같이 케이스(64´)의 내부에 덮개부재(60˝)가 권취되어 보관하며 케이스(64´)의 전방으로 펼쳐 상기 상부건조대(20a, 20b) 또는 보조건조대(4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다.
특히, 도 5의 자바라식 건조대 덮개부재(60´)와 도 6의 자동 스크린식 덮개부재(60˝)는 일단을 상부건조대(20a, 20b)의 일단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제작되어 필요시 덮개부재(60´, 60˝)를 타단 쪽으로 전개하도록 하거나, 덮개부재(60´, 60˝)가 상부건조대(20a, 20b)의 어느 쪽과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10´)는 상부건조대(20a, 20b)의 중앙지지바(21)에 "ㄷ" 자 형태의 가로대(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로대(70)에 의해 덮개부재(60)가 경사지도록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부건조대(20a, 20b)와 덮개부재(60) 간의 공간을 제공하여, 상부건조대(20a, 20b)에 거치된 세탁물을 보다 용이하게 수거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10)는 세탁물이 거치된 상부건조대(20a, 20b) 또는 보조건조대(40)의 상부에 덮개부재(60)를 결합하여, 덮개부재(60) 위에 건조된 세탁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곧게 선 자세로 세탁물을 편리하게 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 세탁물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별도의 빨래 바구니에 담아 운반할 필요가 없고 그 자리에서 세탁물을 갤 수 있는 기능성이 부여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거치된 건조대(20a, 20b, 40)의 위치에 따라 덮개부재(60)의 결합위치 또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부재(60)가 상부건조대(20a, 20b) 또는 보조건조대(40)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빨래 건조대(10)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 없이 다양한 형태의 빨래 건조대(10)에 간편하게 적용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덮개부재(60) 위에 한꺼번에 올려놓아도 세탁물이 덮개부재(60) 사이로 빠지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 10´: 빨래 건조대
20a, 20b: 상부건조대
21: 중앙지지바
22: 제1 걸이봉
30a, 30b: 절첩레그
40: 보조건조대
41: 제2 걸이봉
50: 버팀대
60, 60´, 60˝: 덮개부재
61: 고리
62: 벨크로
63a: 홈
63b: 돌기
64, 64´: 케이스
70: 가로대

Claims (6)

  1. 중앙지지바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제1 걸이봉이 구비된 항 쌍의 상부건조대;
    상기 중앙지지바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접철레그;
    상기 접철레그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제2 걸이봉이 구비된 보조건조대;
    일단은 상기 접철레그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건조대에 착탈 결합되어 상부건조대가 중앙지지바에 대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버팀대; 및
    상기 상부건조대 또는 보조건조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건조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고리, 벨크로 또는 홈-돌기에 의해 상부 건조대 또는 보조건조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거나, 케이스의 내부에 다단으로 접거나 권취되어 보관하며, 케이스의 전방으로 펼쳐 상기 상부 건조대 또는 보조 건조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빨래 건조대는 상부건조대의 중앙지지바에 ㄷ자 형태의 가로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로대에 의해 덮개부재가 경사지도록 착탈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목재,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거나 이들 중에서 선택된 재료에 의해 형성된 골격을 섬유상 물질로 에워싼 것일 수 있게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KR1020150003252A 2015-01-09 2015-01-09 빨래 건조대 KR10163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252A KR101639425B1 (ko) 2015-01-09 2015-01-09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252A KR101639425B1 (ko) 2015-01-09 2015-01-09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425B1 true KR101639425B1 (ko) 2016-07-18

Family

ID=5667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252A KR101639425B1 (ko) 2015-01-09 2015-01-09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4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947B1 (ko) * 2016-09-19 2017-03-08 주식회사 영일에이치비 급건조 기능을 갖는 건조대
KR101746206B1 (ko) * 2017-04-21 2017-06-12 장순호 빨래건조대
KR20220033388A (ko) 2020-09-09 2022-03-16 조대성 벽체 고정식 빨래 건조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036B1 (ko) * 2001-09-06 2004-03-30 송재호 빨래 누르개
KR20100098809A (ko) * 2009-03-02 2010-09-10 김도순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101235795B1 (ko) * 2011-09-29 2013-02-26 이하림 접철식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036B1 (ko) * 2001-09-06 2004-03-30 송재호 빨래 누르개
KR20100098809A (ko) * 2009-03-02 2010-09-10 김도순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101235795B1 (ko) * 2011-09-29 2013-02-26 이하림 접철식 빨래 건조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947B1 (ko) * 2016-09-19 2017-03-08 주식회사 영일에이치비 급건조 기능을 갖는 건조대
KR101746206B1 (ko) * 2017-04-21 2017-06-12 장순호 빨래건조대
KR20220033388A (ko) 2020-09-09 2022-03-16 조대성 벽체 고정식 빨래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2909A1 (en) Drying apparatus
US20150176899A1 (en) Apparatus for drying sporting equipment
US8820777B1 (en) Collapsible valet cart
KR101639425B1 (ko) 빨래 건조대
KR20110128583A (ko) 빨래 건조대
KR20110007533U (ko) 다단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90000074U (ko) 건조대 겸용 행거 구조
US20120293052A1 (en) Work top and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laundry hanging device
KR20190077300A (ko) 빨래건조대
US2728996A (en) Foldable electric clothes driers
KR101920054B1 (ko) 수납이 간편한 휴대용 건조대
KR101899542B1 (ko) 빨래 건조대
KR200467112Y1 (ko) 세탁물 건조대
EP1783265A1 (en) Collapsible airer
KR101896658B1 (ko) 조립된 상태로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한 빨래 건조가 가능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160003923A (ko) 좁은 공간에서 빨래를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는 빨래건조대
KR200460948Y1 (ko) 다목적 건조대
KR102411827B1 (ko) 세탁물건조대
KR20120035863A (ko) 분리식 세탁물 건조대
US10011942B2 (en) Wet clothes drying hamper
KR20170095080A (ko) 파라솔이 장착된 빨래 건조대
KR102348220B1 (ko) 세탁물 건조대용 홀더
US3018899A (en) Clothes drying rack
KR101491474B1 (ko) 복수 원통이 동일 방향으로 결합된 결합봉을 이용한 조립식 빨래 건조대
KR102385085B1 (ko) 빨래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