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594B1 -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594B1
KR102138594B1 KR1020130160659A KR20130160659A KR102138594B1 KR 102138594 B1 KR102138594 B1 KR 102138594B1 KR 1020130160659 A KR1020130160659 A KR 1020130160659A KR 20130160659 A KR20130160659 A KR 20130160659A KR 102138594 B1 KR102138594 B1 KR 102138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group
driving
driv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943A (ko
Inventor
권수진
장현우
장윤나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5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구동 전극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과 교차하며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을 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그룹별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구동부; 및 상기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수신하는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1번째 터치 구동부 및 제2번째 그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2번째 터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표시장치{TOUCH SCREEN DISPLAY}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터치 구동부를 갖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접촉 위치 검출이 가능한 센싱 장치를 표시장치 상에 장착하거나 표시장치와 일체화시키고, 그 표시장치의 화면 상에 각종의 버튼이나 화상 등을 표시하여, 화면 상에서 직접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표시장치를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라고 한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키보드나 마우스, 키패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 이외에,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 정보 단말기 및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여러 전자장치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터치스크린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방식은 정전용량 방식, 전자기 방식, 광학 방식 등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구동 전극열 및 센싱 전극열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구동 전극열과 센싱 전극열의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량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터치 입력 위치를 검출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패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전극열(11)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과 교차하는 다른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싱 전극열(12)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복수의 구동 전극열(11)은 터치 구동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열이며, 복수의 센싱 전극열(12)은 복수의 구동 전극열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에 따라 복수의 구동 전극열과 복수의 센싱 전극열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용량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유무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량, 즉 터치 센싱 신호를 센싱하는 전극열이다.
터치 IC(20)의 터치 구동부(21)에서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배선(13)을 통해 복수의 구동 전극열(11)로 인가하고, 터치 IC(20)의 터치 센싱부(22)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유무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량, 즉 터치 센싱 신호를 배선(13)을 통해 복수의 센싱 전극열(12)로부터 수신한다.
상술한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패널이 대면적화 됨에 따라, 그에 따른 구동 전극열 및 센싱 전극열의 개수가 많아지게 되고 이를 구동하기 위한 터치 구동부 및 터치 센싱부의 개수도 늘어나게 된다.
특히, 일반적인 2개의 터치 구동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경우 패널(10)을 상하로 나누어 터치 구동을 하였다.
예를 들면, 패널의 상부 영역, 하부 영역으로 나누어 제1번째 터치 구동부에서는 패널의 상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구동 전극열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2번째 터치 구동부에서는 패널의 하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구동 전극열로 터치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였다.
하지만,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패널의 구동 전극열에는 터치 구동 신호의 차이를 두어 인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동일한 신호, 예를 들면,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불필요한 소비전력의 낭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룹으로 분할되어 있는 구동 전극열에 그룹별로 다른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복수의 구동 전극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과 교차하며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을 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그룹별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구동부; 및 상기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수신하는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1번째 터치 구동부 및 제2번째 그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2번째 터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구동 전극열 및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과 교차하며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을 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그룹별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터치 구동부 및 상기 터치 구동 전압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수신하는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부 중 제1번째 터치 구동부가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터치 구동부 중 제2번째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전압보다 낮은 레벨의 터치 구동 전압을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2번째 그룹으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센싱부가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의하면, 그룹으로 분할되어 있는 구동 전극열에 그룹별로 다른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소비전력 저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인가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인가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패널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에 사용되는 패널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무기전계 발광소자와 유기발광 다이오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로도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인가를 간략히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 및 복수의 센싱 전극열(102)을 구비하고 있는 패널(100), 및 터치 구동부(211,212) 및 터치 센싱부(220)를 구비하고 있는 터치 IC(200)를 포함한다.
먼저, 패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 및 복수의 센싱 전극열(102)을 포함하고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은 3개의 그룹(110,120,130)으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1번째 그룹(110) 및 제3번째 그룹(130)은 각각 하나 또는 두개의 구동 전극열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이상의 구동 전극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번째 그룹 및 제3번째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구동 전극열의 개수는 동일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술한 설명에서,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이 3개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형성된다는 의미는 터치 구동 신호가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인가된다는 뜻이지 복수의 구동 전극열이 패널에 분할되어 배치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의 개수와 터치 센싱부의 개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실질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그룹과 복수개의 터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룹의 개수가 n개라면 터치 구동부의 개수는 (n-1)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은 복수의 센싱 전극열(102)과 필름 또는 유리 재질의 기판을 사이에 두고 절연되어 교차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구동 전극열 및 복수의 센싱 전극열이 중첩되는 부분만 절연되어 교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 및 복수의 센싱 전극열(102)의 형상은 사각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단위 전극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의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되었으나,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 및 복수의 센싱 전극열(102)의 형상은 각각의 전극열을 형성하고 있는 오각형, 육각형, 또는 원 등 특정 형상의 단위 전극들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혹은 바(bar) 형상의 직선일 수 있다. 즉,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 및 복수의 센싱 전극열(102)은 상호 정전용량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라면 어떤 형상이든 상관없다.
다음으로, 터치 IC(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터치 구동부(211,212) 및 1개의 터치 센싱부(220)를 구비하고 있으며, 터치 구동부(211,212)에서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로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터치 센싱부(220)에서는 터치 센싱 신호를 복수의 센싱 전극열(102)로부터 수신한다.
터치 구동부(211,212)에서는 터치 감지를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배선(103)을 통해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로 인가하여, 구동 전극열(101) 및 센싱 전극열(102)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되게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전극열을 3개의 그룹(110,120,130)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그룹별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다시 말해, 제1번째 터치 구동부(211)에서 제1번째 그룹(110) 및 제3번째 그룹(13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2번째 터치 구동부(212)에서 제2번째 그룹(12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또는, 제1번째 터치 구동부(211)에서 제1번째 그룹(11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2번째 터치 구동부(212)에서 제2번째 그룹(12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다시 제1번째 터치 구동부(211)에서 제3번째 그룹(13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여기서, 제1번째 그룹(110) 및 제3번째 그룹(130)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는 동일한 터치 구동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이므로 동일한 구동 전압과 동일한 구동 주파수를 갖는다.
그리고, 제1번째 그룹(110) 및 제3번째 그룹(130)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은 제2번째 그룹(120)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의 구동 전압보다 높은 전압일 수 있다.
왜냐하면, 패널의 에지 영역 및 중간 영역의 구동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영역별 구동 조건에 적합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면 터치 감도 및 정확도, 신호 세기에 있어 더 많은 이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에지 영역의 로 데이터(raw data) 크기가 중간 영역의 로 데이터 보다 작으므로 에지 영역에 더 높은 전압을 가해 주어 로 데이터 크기를 크게 출력되게 할 수 있으며, 누적횟수를 중간 영역보다 에지 영역에 더 많이 주어 터치 센싱 횟수를 늘릴 수 있다.
이렇게 구동 조건을 적합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면, 그에 따른 에지 영역의 터치 감도 및 정확도 증가 등이 예상되며, 중간 영역에는 낮은 전압을 가해주어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에지 영역은 제1번째 그룹(110) 및 제3번째 그룹(130)에 대응되는 영역이며, 중간 영역은 제2번째 그룹(120)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터치 센싱부(220)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유무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량, 즉, 패널의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로 인가된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유무에 따른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 및 복수의 센싱 전극열(102)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관한 터치 센싱 신호를 배선(103)을 통해 복수의 센싱 전극열(102)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구동부(211,212)는 배선(103)을 통해 복수의 구동 전극열 중 각각의 구동 전극열의 양 끝단과 연결된 특징이 있다.
이렇듯, 터치 구동부가 배선을 통해 각각의 구동 전극열의 양 끝단과 연결되게 더블 라우팅 배선으로 형성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터치 구동부가 배선을 통해 각각의 구동 전극열의 한 끝단과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배선의 저항값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저항값의 감축에 따라 시정수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인가에 대해 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인가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터치 구동부(211,212,213)에서는 터치 감지를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배선(103)을 통해 복수의 구동 전극열(101)로 인가하여, 구동 전극열(101) 및 센싱 전극열(102)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되게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전극열을 4개의 그룹(110,120,130,140)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그룹별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다시 말해, 제1번째 터치 구동부(211)에서 제1번째 그룹(110) 및 제4번째 그룹(14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2번째 터치 구동부(212)에서 제2번째 그룹(12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3번째 터치 구동부(213)에서 제3번째 그룹(13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또는, 제1번째 터치 구동부(211)에서 제1번째 그룹(11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2번째 터치 구동부(212)에서 제2번째 그룹(12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3번째 터치 구동부(213)에서 제3번째 그룹(13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다시 제1번째 터치 구동부(211)에서 제4번째 그룹(140)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여기서, 제1번째 그룹(110) 및 제4번째 그룹(140)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는 동일한 터치 구동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이므로 동일한 구동 전압과 동일한 구동 주파수를 갖는다.
그리고, 제1번째 그룹(110) 및 제4번째 그룹(140)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은 제2번째 그룹(120) 및 제3번째 그룹(140)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의 구동 전압보다 높은 전압일 수 있다.
왜냐하면, 패널의 에지 영역 및 중간 영역의 구동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영역별 구동 조건에 적합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면 터치 감도 및 정확도, 신호 세기에 있어 더 많은 이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상술한 에지 영역은 제1번째 그룹(110) 및 제4번째 그룹(140)에 대응되는 영역이며, 중간 영역은 제2번째 그룹(120) 및 제3번째 그룹(130)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복수의 구동 전극열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과 교차하며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열, 복수의 구동 전극열을 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그룹별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터치 구동부 및 터치 구동 전압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수신하는 터치 센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한 첫번째 실시예로, 먼저, 터치 구동부 중 제1번째 터치 구동부가 n개의 그룹 중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터치 구동부 중 제2번째 터치 구동부가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전압보다 낮은 레벨의 터치 구동 전압을 n개의 그룹 중 제2번째 그룹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터치 센싱부가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참고로, 상술한 구동 방법에서 제2번째 그룹으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단계를 수행한 후, 터치 구동부 중 제3번째 터치 구동부가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전압보다 낮은 레벨의 터치 구동 전압을 n개의 그룹 중 제3번째 그룹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은 각각 하나 또는 두개의 터치 구동 전극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구동부는 복수의 구동 전극열 중 각각의 구동 전극열의 양 끝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두번째 실시예로, 먼저, 터치 구동부 중 제1번째 터치 구동부가 n개의 그룹 중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터치 구동부 중 제2번째 터치 구동부가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전압보다 낮은 레벨의 터치 구동 전압을 n개의 그룹 중 제2번째 그룹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터치 센싱부가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참고로, 상술한 구동 방법에서 제2번째 그룹으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단계를 수행한 후, 터치 구동부 중 제3번째 터치 구동부가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전압보다 낮은 레벨의 터치 구동 전압을 n개의 그룹 중 제3번째 그룹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은 각각 하나 또는 두개의 터치 구동 전극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구동부는 복수의 구동 전극열 중 각각의 구동 전극열의 양 끝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는 동일한 터치 구동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이므로 동일한 구동 전압과 동일한 구동 주파수를 갖는다.
그리고,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은 제2번째 그룹 또는 제3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의 구동 전압보다 높은 전압일 수 있다.
왜냐하면, 패널의 에지 영역 및 중간 영역의 구동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영역별 구동 조건에 적합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면 터치 감도 및 정확도, 신호 세기에 있어 더 많은 이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에지 영역의 로 데이터(raw data) 크기가 중간 영역의 로 데이터 보다 작으므로 에지 영역에 더 높은 전압을 가해 주어 로 데이터 크기를 크게 출력되게 할 수 있으며, 누적횟수를 중간 영역보다 에지 영역에 더 많이 주어 터치 센싱 횟수를 늘릴 수 있다.
이렇게 구동 조건을 적합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면, 그에 따른 에지 영역의 터치 감도 및 정확도 증가 등이 예상되며, 중간 영역에는 낮은 전압을 가해주어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에지 영역은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에 대응되는 영역이며, 중간 영역은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을 제외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패널 101 : 구동 전극열
102 : 센싱 전극열 103 : 배선
110 : 제1번째 그룹 120 : 제2번째 그룹
130 : 제3번째 그룹 140 : 제4번째 그룹
200 : 터치 IC 211 : 제1번째 터치 구동부
212 : 제2번째 터치 구동부 213 : 제3번째 터치 구동부
220 : 터치 센싱부

Claims (12)

  1. 패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열;
    상기 패널 상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과 교차하며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을 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그룹별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구동부; 및
    상기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수신하는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n개의 그룹 중 상기 패널의 에지 영역에 배치된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제1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1번째 터치 구동부 및 상기 패널의 중간 영역에 배치된 제2번째 그룹 내지 제n-1번째 그룹으로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보다 낮은 구동 전압을 갖는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2번째 터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동일한 구동 전압과 구동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구동 전압은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의 구동 전압보다 높은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n개의 그룹 중 상기 패널의 상기 중간 영역에 배치된 제3번째 그룹으로 제3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3번째 터치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는 동일한 구동 전압과 구동 주파수를 갖고, 상기 동일한 구동 전압은 상기 제3 터치 구동 신호의 구동 전압보다 높은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은 각각 하나의 터치 구동 전극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 중 각각의 구동 전극열의 양 끝단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8. 패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열 및 상기 패널 상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과 교차하며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을 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그룹별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터치 구동부 및 상기 터치 구동 전압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수신하는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부 중 제1번째 터치 구동부가 상기 n개의 그룹 중 상기 패널의 에지 영역에 배치된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터치 구동부 중 제2번째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전압보다 낮은 레벨의 터치 구동 전압을 상기 패널의 중간 영역에 배치된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2번째 그룹 내지 제n-1번째 그룹으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센싱부가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부 중 제3번째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전압보다 낮은 레벨의 터치 구동 전압을 상기 n개의 그룹 중 상기 패널의 상기 중간 영역에 배치된 제3번째 그룹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번째 그룹 및 제n번째 그룹은 각각 하나의 터치 구동 전극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 중 각각의 구동 전극열의 양 끝단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2. 패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열 및 상기 패널 상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과 교차하며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을 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그룹별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터치 구동부 및 상기 터치 구동 전압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수신하는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부 중 제1번째 터치 구동부가 상기 n개의 그룹 중 상기 패널의 에지 영역에 배치된 제1번째 그룹으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터치 구동부 중 제2번째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1번째 그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전압보다 낮은 레벨의 터치 구동 전압을 상기 n개의 그룹 중 상기 패널의 중간 영역에 배치된 제2번째 그룹 내지 제n-1번째 그룹으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터치 구동부 중 제n번째 터치 구동부가 상기 n개의 그룹 중 상기 패널의 상기 에지 영역에 배치된 제n번째 그룹으로 상기 제1번째 그룹으로 인가된 상기 터치 구동 전압과 동일한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센싱부가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열로부터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30160659A 2013-12-20 2013-12-20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102138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659A KR102138594B1 (ko) 2013-12-20 2013-12-20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659A KR102138594B1 (ko) 2013-12-20 2013-12-20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943A KR20150072943A (ko) 2015-06-30
KR102138594B1 true KR102138594B1 (ko) 2020-07-28

Family

ID=5351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659A KR102138594B1 (ko) 2013-12-20 2013-12-20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990B1 (ko) * 2015-08-31 2022-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및 터치 구동 회로
CN110362225B (zh) * 2019-06-18 2024-01-30 腾讯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屏采样频率控制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0180A1 (en) * 2010-08-27 2012-03-01 Brian Michael King Touch and hover switching
JP2013020479A (ja) * 2011-07-12 2013-01-31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065B1 (ko) * 2008-12-11 2015-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US8860686B2 (en) * 2010-04-30 2014-10-14 Atmel Corporation Multi-chip touch scree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0180A1 (en) * 2010-08-27 2012-03-01 Brian Michael King Touch and hover switching
JP2013020479A (ja) * 2011-07-12 2013-01-31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943A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7687B (zh) 显示面板、显示装置、集成驱动电路和驱动方法
KR101641690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US9293078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879434B1 (ko)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패널, 구동 집적회로 및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US10564745B2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US9219086B2 (en) In-cell touch panel
KR10166376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KR101736937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1628724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EP2869166B1 (en) Touch panel,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etection and display method
KR101600305B1 (ko)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521056B2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112528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690437B2 (en) Display device having in-cell touch structur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50011583A (ko) 표시장치
KR101733728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49841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242108B1 (ko) 터치표시장치
KR102138594B1 (ko)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102178197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KR101711591B1 (ko)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 및 터치 집적회로
KR20190029045A (ko) 터치 표시장치
KR20150072933A (ko)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101720997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1818548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터치 집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