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526B1 -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526B1
KR102138526B1 KR1020140004625A KR20140004625A KR102138526B1 KR 102138526 B1 KR102138526 B1 KR 102138526B1 KR 1020140004625 A KR1020140004625 A KR 1020140004625A KR 20140004625 A KR20140004625 A KR 20140004625A KR 102138526 B1 KR102138526 B1 KR 102138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put
digital device
detected
sensor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4522A (ko
Inventor
조은형
이도영
천시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526B1/ko
Priority to US15/039,828 priority patent/US10209873B2/en
Priority to PCT/KR2014/000958 priority patent/WO2015108223A1/en
Publication of KR2015008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비활성화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되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는 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유닛이 비활성화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되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면서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에 기초하여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퀵 컨트롤 메뉴를 선택하는 제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및 제3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은 각각 두 개의 파트들을 포함하고,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은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Description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Device providing quick control menu}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스탠바이 모드에서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에 따라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배터리를 사용하는 포터블 디지털 디바이스가 보급되면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한정된 배터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배터리 지속 시간을 늘리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이 일정시간 이상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탠바이 모드인 디지털 디바이스에 컨트롤 인풋을 입력하여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고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스탠바이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까지 복수의 단계를 거쳐야만 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파워 버튼을 눌러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고, 잠금을 해제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찾아 터치해야 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복수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디바이스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는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입력되는 컨트롤 인풋을 구분하여 디텍트하고,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를 디텍트하는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비활성화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비활성화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면서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퀵 컨트롤 메뉴를 선택하는 제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3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컨트롤 인풋 및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은 각각 두 개의 파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트롤 인풋 및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은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이 비활성화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되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는 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유닛이 비활성화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면서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에 기초하여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퀵 컨트롤 메뉴를 선택하는 제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컨트롤 인풋 및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은 각각 두 개의 파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트롤 인풋 및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은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고 잠금화면 또는 홈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고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퀵 컨트롤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진동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에 포함된 복수의 파트에 대해 각각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이 입력된 위치에 따라 퀵 컨트롤 메뉴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이 입력된 위치에 대응하여 퀵 컨트롤 메뉴를 재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퀵 컨트롤 메뉴의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퀵 커트롤 메뉴를 재배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워치,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뮤직 플레이어, 스마트 테이블, 모니터, 리모컨 또는 텔레비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비활성화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터치 센서 및 진동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도 진동 센서 또는 터치 센서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진동 세서 또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서로 다른 컨트롤 인풋을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상단에서 스탠바이 모드인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컨트롤 인풋(11)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탠바이 모드란 디스플레이 유닛이 비활성화된 상태를 가리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를 짧게 두번 터치하는 인풋을 제1 컨트롤 인풋(11)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두번의 숏 터치가 디텍트되면 이를 제1 컨트롤 인풋(11)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두 번의 숏 터치를 포함하는 제1 컨트롤 인풋은 일 실시예일 뿐,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컨트롤 인풋(11)은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컨트롤 인풋(11)은 첫번째 숏터치를 제1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로서 포함하고, 두번째 숏터치를 제1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로서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컨트롤 인풋(11)이 디텍트되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이 활성화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설정에 따라 잠금화면(lock screen, 12)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홈화면(home screen)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화면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막기 위해 홈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전에 추가적인 컨트롤 인풋을 요구하는 화면일 수 있다. 또한 홈화면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의 하단에서 스탠바이 모드인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를 짧게 한번, 길게 한번 터치하는 인풋을 제2 컨트롤 인풋(13)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숏 터치 및 롱 터치가 순차적으로 디텍트되면 이를 제2 컨트롤 인풋(13)으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숏 터치 및 롱 터치를 포함하는 제2 컨트롤 인풋은 일 실시예일 뿐,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컨트롤 인풋(13)은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컨트롤 인풋(13)은 숏터치를 제2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로서 포함하고, 롱터치를 제2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로서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컨트롤 인풋(13)이 디텍트되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고 퀵 컨트롤 메뉴(1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을 퀵 컨트롤 메뉴(14)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잠금해제 등의 추가적인 절차 없이 즉시 선택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아이콘을 선택적으로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디텍트된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에 대해 각각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은 각각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은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트롤 인풋이 제1 파트 및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제2 컨트롤 인풋이 제3 파트 및 제4 파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1 파트와 제3 파트는 동일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와 제2 컨트롤 인풋의 제4 파트를 비교하여 제1 컨트롤 인풋과 제2 컨트롤 인풋을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부분적으로 동일한 컨트롤 인풋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거나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10)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좌측 상단과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파트 및 제2 파트를 포함하는 제2 컨트롤 인풋(13)을 디텍트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 상단과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컨트롤 인풋(13)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고 퀵 컨트롤 메뉴(1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잠금해제 동작 없이도 즉시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단축 아이콘을 퀵 컨트롤 메뉴(14)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된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3 컨트롤 인풋(21)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3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3 컨트롤 인풋(21)은 제2 컨트롤 인풋과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가 유지된 채 입력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컨트롤 인풋이 입력된 위치에서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는 슬라이드 인풋을 제3 컨트롤 인풋(21)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 하단과 같이 제3 컨트롤 인풋(21)에 의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2의 좌측 하단과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2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컨트롤 인풋 및 이에 연속한 제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스탠바이 모드인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히 실행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복수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진동 센서 유닛 및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트롤 인풋은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컨트롤 인풋에 포함된 두 개의 파트를 디텍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30)와 제2 파트(31)를 포함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도 3에서 컨트롤 인풋은 숏 터치인 제1 파트(30)와 숏 터치인 제2 파트(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30)가 종료된 후, 제2 시간(time period) 내에 발생된 인풋을 제2 파트(31)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진동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함으로써 파워 세이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30)를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숏 터치인 제1 파트(30)에 의한 진동을 센싱하여 제1 파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30)가 디텍트된 t1에 진동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30)가 디텍트된 후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31)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숏 터치인 제2 파트(31)에 의한 진동을 센싱하여 제2 파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파트(31)가 디텍트된 t2에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30) 및 제2 파트(31)가 디텍트되기 전까지 진동 센서 유닛만을 활성화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30) 및 제2 파트(31)가 디텍된 후,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인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이 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31)가 디텍트된 후에는 터치 센서 유닛만을 활성화하고,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복수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진동 센서 유닛 및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트롤 인풋은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컨트롤 인풋에 포함된 두 개의 파트를 디텍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40)와 제2 파트(41)를 포함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도 4에서 컨트롤 인풋은 숏 터치인 제1 파트(40)와 롱 터치인 제2 파트(4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30)가 종료된 후, 제2 시간(time period) 내에 발생된 인풋을 제2 파트(31)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진동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함으로써 파워 세이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40)를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숏 터치인 제1 파트(40)에 의한 진동을 센싱하여 제1 파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40)가 디텍트된 t1에 진동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40)가 디텍트된 후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41)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롱 터치인 제2 파트(41)에 의한 진동을 센싱하여 제2 파트의 시작 포인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파트(41)의 시작 포인트가 디텍트된 t2에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40) 및 제2 파트(41)의 시작 포인트가 디텍트되기 전까지 진동 센서 유닛만을 활성화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파트(41)의 시작 포인트가 디텍트되면,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파트(41)와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가 제1 시간(time period)이상 유지된 경우에 한하여 롱 터치인 제2 파트(41)가 디텍트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진동 센서 유닛 및 터치 센서 유닛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41)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40) 및 제2 파트(41)의 시작 포인트가 디텍트된 후에는 터치 센서 유닛만을 활성화하고,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40) 및 제2 파트(41)가 디텍된 후,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컨트롤 인풋을 터치 센서 유닛을 통해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인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도 2에서 설명한 퀵 컨트롤 메뉴를 선택하는 제3 컨트롤 인풋을 터치 센서 유닛을 통해 디텍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복수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진동 센서 유닛 및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트롤 인풋은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컨트롤 인풋에 포함된 두 개의 파트를 디텍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50)와 제2 파트(51)를 포함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도 5에서 컨트롤 인풋은 숏 터치인 제1 파트(50)와 롱 터치인 제2 파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30)가 종료된 후, 제2 시간(time period) 내에 발생된 인풋을 제2 파트(31)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진동 센서 유닛을 활성화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함으로써 파워 세이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50)를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숏 터치인 제1 파트(50)에 의한 진동을 센싱하여 제1 파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50)가 디텍트된 t1에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50)가 디텍트되기 전까지 진동 센서 유닛만을 활성화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50)가 디텍트된 후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51)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롱 터치인 제2 파트(51)에 의한 터치를 센싱하여 제2 파트의 시작 포인트 및 종료 포인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파트(51)와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가 시작되는 포인트 및 컨택트가 릴리즈되는 포인트를 각각 제2 파트의 시작 포인트 및 종료 포인트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파트(51)와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가 제1 시간(time period)이상 유지된 경우에 한하여 롱 터치인 제2 파트(51)가 디텍트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파트(51)의 종료 포인트가 디텍트된 t2에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50)가 디텍트된 후, 터치 센서 유닛만을 활성화하고,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진동 센서 유닛 및 터치 센서 유닛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50) 및 제2 파트(51)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50) 및 제2 파트(51)가 디텍된 후,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컨트롤 인풋을 터치 센서 유닛을 통해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인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도 2에서 설명한 퀵 컨트롤 메뉴를 선택하는 제3 컨트롤 인풋을 터치 센서 유닛을 통해 디텍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트롤 인풋은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컨트롤 인풋에 포함된 두 개의 파트를 디텍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60)와 제2 파트(61)를 포함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도 6에서 컨트롤 인풋은 숏 터치인 제1 파트(60)와 롱 터치인 제2 파트(6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30)가 종료된 후, 제2 시간(time period) 내에 발생된 인풋을 제2 파트(31)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함으로써 파워 세이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60)를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숏 터치인 제1 파트(60)에 의한 터치을 센싱하여 제1 파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60)가 디텍트된 t1에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60)가 디텍트된 후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61)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롱 터치인 제2 파트(61)에 의한 터치를 센싱하여 제2 파트의 시작 포인트 및 종료 포인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파트(61)와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가 시작되는 포인트 및 컨택트가 릴리즈되는 포인트를 각각 제2 파트의 시작 포인트 및 종료 포인트로서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파트(61)와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가 제1 시간(time period)이상 유지된 경우에 한하여 롱 터치인 제2 파트(61)가 디텍트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파트(61)의 종료 포인트가 디텍트된 t2에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파트(60) 및 제2 파트(61)를 포함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함에 있어서, 터치 센서 유닛만을 활성화하고,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터치 센서 유닛만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60) 및 제2 파트(61)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60) 및 제2 파트(61)가 디텍된 후,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컨트롤 인풋을 터치 센서 유닛을 통해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인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도 2에서 설명한 퀵 컨트롤 메뉴를 선택하는 제3 컨트롤 인풋을 터치 센서 유닛을 통해 디텍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퀵 컨트롤 메뉴의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컨트롤 인풋에 의해 퀵 컨트롤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후, 디지털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디텍트할 수 있다. 퀵 컨트롤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후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위치를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퀵 컨트롤 메뉴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단축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로부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고,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쉽게 퀵 컨트롤 메뉴의 아이템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7의 좌측 상단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컨트롤 인풋(13)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도 7의 우측 상단과 같이, 제2 컨트롤 인풋(13)에 대응하여 퀵 컨트롤 메뉴(1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3 컨트롤인풋(71)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제3 컨트롤 인풋(21)은 제2 컨트롤 인풋(13)에 연속한 슬라이드 인풋이었으나, 도 7의 제3 컨트롤 인풋(71)은 디지털 디바이스(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다. 즉, 도 7의 우측하단과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3 컨트롤 인풋(71)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제3 컨트롤 인풋(71)이 디텍트된 위치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컨트롤 인풋(71)의 컨택트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된 퀵 컨트롤 메뉴(14)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3 컨트롤 인풋(71)에 의해 디지털 디바이스가 이동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퀵 컨트롤 메뉴(1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의 우측 하단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었으므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위치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3 컨트롤 인풋(71)과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가 디텍트된 위치에 퀵 컨트롤 메뉴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 중 하나를 위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퀵 컨트롤 메뉴에 포함된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슬라이드 인풋을 입력하지 않아도, 디지털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의 우측하단에서 사용자는 디지털 디바이스(1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퀵 컨트롤 메뉴의 우측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인풋을 입력하고자 했으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손가락이 슬라이드 되지 않고 디지털 디바이스(10)가 이동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원하는 단축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3 컨트롤 인풋(71)에 의해 선택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퀵 커트롤 메뉴를 재배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에 대응하여 퀵 컨트롤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한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인해 퀵 컨트롤 메뉴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들 중 일부가 디스플레이되지 못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를 재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의 좌측과 같이 컨트롤 인풋(81)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중앙에서 디텍트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전체 단축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기설정된 배열에 따라 단축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들 사이의 각도가 90도가 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의 우측 상단과 같이 컨트롤 인풋(82)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디텍트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들을 재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들 사이의 각도를 45도로 감소시킨 변경된 퀵 컨트롤 메뉴(14-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단축 아이콘들을 재배열하고 변경된 퀵 컨트롤 메뉴(14-1)에 포함된 전체 단축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8의 우측 하단과 같이 컨트롤 인풋(82)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디텍트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들을 부분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들 사이의 각도를 90도로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에 포함된 일부 단축 아이콘이 제외된 퀵 컨트롤 메뉴(14-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외되는 단축 아이콘은 컨트롤 인풋(82)이 디텍트된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8의 우측 하단과 같이 컨트롤 인풋(82)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디텍트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들 중 우측에 위치한 단축 아이콘을 제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컨트롤 인풋(82)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단에서 디텍트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14)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들 중 하단에 위치한 단축 아이콘을 제외하고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10)는 퀵 컨트롤 메뉴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들 전체가 디스플레이될 수 없는 경우에도, 재배열된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가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경우에 한하여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기설정된 영역 밖에서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경우 컨트롤 인풋을 바이패스하거나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엣지(edge)로부터 제1 거리를 초과하여 위치한 중앙영역을 제1 영역(91)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는 도 9에서 거리 d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엣지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위치한 테두리 영역을 제2 영역(9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의 상단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영역(91)에서 컨트롤 인풋(93)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1 영역(91)에서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경우, 퀵 컨트롤 메뉴(1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 인풋이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두 번째 파트가 제1 영역에서 디텍트된 경우에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의 하단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영역(92)에서 컨트롤 인풋(94)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는 제2 영역(92)에서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경우, 퀵 컨트롤 메뉴(14)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을 바이패스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 인풋이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두 번째 파트가 제2 영역에서 디텍트된 경우에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컨트롤 인풋을 바이패스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영역을 구분하고,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퀵 컨트롤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91)과 퀵 컨트롤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제2 영역(92)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구분하는 거리인 제1 거리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조 과정에서 제조사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101), 진동 센서 유닛(102), 터치 센서 유닛(103) 및 컨트롤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센서 유닛(102)은 옵셔널한 구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스탠바이 모드에서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의 종류에 따라 잠금화면 또는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퀵 컨트롤 메뉴에서 선택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실시예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자잉크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진동 센서 유닛(102)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옵셔널한 구성일 수 있다. 진동 센서 유닛(102)은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에 의한 진동을 센싱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에 의한 진동은 컨트롤 인풋에 의해 발생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센서 유닛(102)은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유닛과 함께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센서 유닛(102)은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 중 적어도 하나가 디텍트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센서 유닛(102)은 터치 센서 유닛이 활성화된 때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터치 센서 유닛이 비활성화된 때 진동 센서 유닛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 유닛과 진동 센서 유닛의 전원을 상보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103)은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과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를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103)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103)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유닛(103)은 컨트롤 인풋의 위치 및 이동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103)은 센싱된 컨트롤 인풋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104)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01)과 터치 센서 유닛(103)은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통합되어 설계될 수도 있다. 진동 센서 유닛(102)은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유닛과 함께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유닛(103)은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 중 적어도 하나가 디텍트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유닛(103)은 진동 센서 유닛(102)이 활성화된 때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진동 센서 유닛이 비활성화된 때 터치 센서 유닛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 유닛과 진동 센서 유닛의 전원을 상보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 유닛들 외에도 디지털 디바이스는 가속도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가속도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가 이동하는 것을 디텍트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 유닛은 컨트롤 인풋에 의해 디지털 디바이스가 어느 방향으로 얼만큼 이동했는지 센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터치 센서 유닛, 진동 센서 유닛 및 가속도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1)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스탠바이 모드인 경우에도 터치 센서 유닛 또는 진동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에 잠금화면 또는 잠금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에 잠금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에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함에 있어서, 진동 센서 유닛 및 터치 센서 유닛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로, 컨트롤러(104)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 및 제2 파트를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하고, 해당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이후의 제3 컨트롤 인풋은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컨트롤 인풋을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한 경우, 퀵 컨트롤 메뉴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3 컨트롤 인풋은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진동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제2 컨트롤 인풋에 의해 퀵 컨트롤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이후에는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제2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 및 제2 파트의 시작 포인트를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하고, 제2 파트의 종료 포인트를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 및 제2 파트의 시작 포인트를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한 경우, 제2 파트의 종료 포인트 및 퀵 컨트롤 메뉴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3 컨트롤 인풋은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진동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제2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의 시작 포인트가 디텍트된 이후에는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제2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를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하고, 제2 파트를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를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한 경우, 제2 파트 및 퀵 컨트롤 메뉴에 포함된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3 컨트롤 인풋은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진동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제2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가 디텍트된 이후에는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 및 제2 파트를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스탠바이 모드 및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이후에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디텍트하여 디스플레이된 퀵 컨트롤 메뉴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는 가속도 센서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디텍트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퀵 컨트롤메뉴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인풋의 위치에 기초하여 퀵 컨트롤 메뉴를 재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퀵 컨트롤 메뉴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고 있으므로, 컨트롤러는 사용자에게 퀵 컨트롤 메뉴의 배열을 변경하거나 퀵 컨트롤 메뉴를 부분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기 전까지 스탠바이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10).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탠바이 모드에서 터치 센서 유닛 또는 진동 센서 유닛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활성화된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스탠바이 모드에서도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터치 센서 유닛이 활성화된 경우, 진동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진동 센서 유닛이 활성화된 경우, 터치 센서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터치 센서 유닛 및 진동 센서 유닛 중 어느 하나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파워 세이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컨트롤 인풋 또는 제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S20).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은 각각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은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트롤 인풋이 제1 파트 및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제2 컨트롤 인풋이 제3 파트 및 제4 파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1 파트와 제3 파트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1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와 제2 컨트롤 인풋의 제4 파트를 비교하여 제1 컨트롤 인풋과 제2 컨트롤 인풋을 구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 유닛 및 진동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컨트롤 인풋 및 제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각 컨트롤 인풋에 포함된 두 개의 파트를 서로 다른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는 진동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제2 컨트롤 인풋의 제3 파트를 디텍트하고, 터치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제2 컨트롤 인풋의 제4 파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각 컨트롤 인풋의 파트들을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였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1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S30).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1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고, 설정값에 따라 잠금화면 또는 홈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고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0).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2 컨트롤 인풋의 두번째 파트가 디텍트된 위치에 대응하여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퀵 컨트롤 메뉴를 재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퀵 컨트롤 메뉴의 일부분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에 따라 퀵 컨트롤 메뉴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퀵 컨트롤 메뉴를 제어하는 제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S50). 제3 컨트롤 인풋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을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인풋일 수 있다. 제3 컨트롤 인풋은 제2 컨트롤 인풋에 연속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제2 컨트롤 인풋과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가 유지된 상태에서 입력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여 사용자가 퀵 컨트롤 메뉴의 단축 아이콘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컨트롤 인풋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를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3 컨트롤 인풋에 의해 디지털 디바이스가 이동하는 방향 및 거리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3 컨트롤 인풋에 의해 디지털 디바이스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된 퀵 컨트롤 메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3 컨트롤 인풋과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가 디텍트된 위치에 사용자가 선택하고자하는 아이콘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3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60). 디지털 디바이스는 퀵 컨트롤 메뉴 중 제3 컨트롤 인풋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디지털 디바이스 11: 제1 컨트롤 인풋
13: 제2 컨트롤 인풋 14: 퀵 컨트롤 메뉴
101: 디스플레이 유닛 102: 진동 센서 유닛
103: 터치 센서 윤시 104: 컨트롤러

Claims (20)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컨택트를 디텍트하는 터치 센서 유닛;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컨트롤 인풋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센싱하는 진동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비활성화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비활성화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면서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퀵 컨트롤 메뉴를 선택하는 제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3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컨트롤 인풋 및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은 각각 두 개의 파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에 포함된 제1 파트는 제2 컨트롤 인풋에 포함된 제1 파트와 동일하며,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에 포함된 제2 파트는 제2 컨트롤 인풋에 포함된 제2 파트와 다르고,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는 제2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가 릴리즈(release)되는 제2 컨트롤 인풋의 종료 포인트이며,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와 제2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는 숏 터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는 제1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의 숏 터치 이후에 순차적으로 디텍트되는 두 번째 숏 터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의 제2 파트는 제2 컨트롤 인풋의 제1 파트 이후에 순차적으로 디텍트되는 롱 터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진동 센서를 통해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의 상기 제2 파트를 디텍트하고,
    상기 제2 파트가 디텍트되었을 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진동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의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를 디텍트하고,
    상기 제2 파트가 디텍트된 위치에 기초하여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진동 센서를 통해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의 상기 제1 파트를 디텍트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스탠바이 모드에서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의 상기 제2 파트가 디텍트되었을 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의 상기 제2 파트가 디텍트된 위치가 상기 제1 영역인 경우, 상기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컨트롤 인풋의 상기 제2 파트가 디텍트된 위치가 상기 제2 영역인 경우, 상기 퀵 컨트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디지털 디바이스.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04625A 2014-01-14 2014-01-14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8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625A KR102138526B1 (ko) 2014-01-14 2014-01-14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5/039,828 US10209873B2 (en) 2014-01-14 2014-02-05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device providing quick control menu
PCT/KR2014/000958 WO2015108223A1 (en) 2014-01-14 2014-02-05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device providing quick control men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625A KR102138526B1 (ko) 2014-01-14 2014-01-14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522A KR20150084522A (ko) 2015-07-22
KR102138526B1 true KR102138526B1 (ko) 2020-07-28

Family

ID=5354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625A KR102138526B1 (ko) 2014-01-14 2014-01-14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09873B2 (ko)
KR (1) KR102138526B1 (ko)
WO (1) WO2015108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1920B2 (ja) * 2014-09-03 2018-11-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2354586B1 (ko) 2015-08-11 2022-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상태에 따른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D797786S1 (en) * 2016-02-19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6686241A (zh) * 2016-12-30 2017-05-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应用控制的方法和移动终端
JP6719087B2 (ja) * 2017-12-08 2020-07-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CN108519841A (zh) * 2018-03-30 2018-09-1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应用启动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338501A (zh) * 2020-02-10 2020-06-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压感振动处理方法和装置、移动终端及电子设备
CN111741164B (zh) * 2020-06-17 2021-03-2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声音模式切换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6568A1 (en) 2005-08-31 2007-03-22 Dalton James T Treating renal disease, burns, wounds and spinal cord injury with selective androgen receptor modulators
US20100001967A1 (en) 2008-07-07 2010-01-07 Yoo Young Ji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157044A1 (en) 2010-12-21 2012-06-21 Dongwoo Kim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de screen display therein
US20120262388A1 (en) 2011-03-09 2012-10-18 Acer Incorporate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663B1 (ko) * 2002-05-08 2004-11-17 주식회사 네오엠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164382A1 (en) * 2005-01-25 2006-07-27 Technology Licensing Company, Inc. Image manipulation in response to a movement of a display
KR20070066568A (ko) 2005-12-22 2007-06-27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 스트로크 인식 인터페이스 입력방법
US8385885B2 (en) * 2008-10-17 2013-02-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unlock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568128B1 (ko) * 2008-11-14 2015-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센서 기반의 ui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US8970507B2 (en) * 2009-10-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waking up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US20120038571A1 (en) * 2010-08-11 2012-02-16 Marco Susani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esizing an Active Screen of a Handheld Device
US20130100044A1 (en) * 2011-10-24 2013-04-25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Detecting Wake Condition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619038B2 (en) * 2012-01-23 2017-04-1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cover image and an application image from a low power condition
RU2014141283A (ru) * 2012-04-20 2016-05-1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программа
CN104272238A (zh) * 2012-06-11 2015-01-07 英特尔公司 用于选择-保持-释放电子设备导航菜单系统的技术
WO2014089763A1 (en) * 2012-12-12 2014-06-19 Intel Corporation Single- gesture device unlock and application laun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6568A1 (en) 2005-08-31 2007-03-22 Dalton James T Treating renal disease, burns, wounds and spinal cord injury with selective androgen receptor modulators
US20100001967A1 (en) 2008-07-07 2010-01-07 Yoo Young Ji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157044A1 (en) 2010-12-21 2012-06-21 Dongwoo Kim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de screen display therein
US20120262388A1 (en) 2011-03-09 2012-10-18 Acer Incorporate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522A (ko) 2015-07-22
US20160378319A1 (en) 2016-12-29
WO2015108223A1 (en) 2015-07-23
US10209873B2 (en)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526B1 (ko) 퀵 컨트롤 메뉴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0088B1 (ko) 애플리케이션 스위칭 방법, 디바이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2091597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TWI588734B (zh) 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CN101133385B (zh) 手持电子设备、手持设备及其操作方法
KR101070111B1 (ko) 복수의 터치 감지 장치를 가지는 핸드 헬드 전자 장치
KR102131825B1 (ko)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5519871B1 (ja) 携帯電子機器
JP5959797B2 (ja)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US9395816B2 (en) Display device for selectively outputting tactile feedback and visual feedb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24211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201420318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141205B2 (en) Input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of input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14004227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88301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094886B1 (ko) 택타일 피드백 및 비주얼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63190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080010734A (ko)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전환 제어방법
TW201317952A (zh) 整合式遙控器
CN108700990A (zh) 一种锁屏方法、终端及锁屏装置
JP2016085640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598671B1 (ko)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키보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1845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404459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20140359530A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icons representin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