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257B1 -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 Google Patents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7257B1 KR102137257B1 KR1020190168874A KR20190168874A KR102137257B1 KR 102137257 B1 KR102137257 B1 KR 102137257B1 KR 1020190168874 A KR1020190168874 A KR 1020190168874A KR 20190168874 A KR20190168874 A KR 20190168874A KR 102137257 B1 KR102137257 B1 KR 1021372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fiber membrane
- organic solvent
- hollow fiber
- adhesiv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은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이 수용된 하우징; 하우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되, 중공사막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제1 배관을 구비한 결합유닛; 및 결합유닛에 결합되며 제2 배관을 구비한 캡유닛을 포함하며, 결합유닛은 일단부가 하우징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캡유닛에 결합되며 제1 배관을 구비한 몸체부;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되, 외벽이 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며, 중심부에 중공사막의 일단부가 접착되는 접착부재; 및 몸체부의 내벽과 접착부재의 외벽 사이에 마련되되, 일측벽이 접착부재의 외벽에 접착되고 타측벽이 몸체부의 내벽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매몰되어 접착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접착부재의 외벽과 몸체부의 내벽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산업과 제약산업에서 요구되는 분리공정은 증류, 결정, 흡착, 추출 등의 공정을 수반하며 거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되고 있어 유기용매 여과막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개발되거나 상용화된 대부분의 여과막은 수처리용이나 기체분리용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유기용매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는 안정적인 화학구조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유기용매에 대한 화학적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유기용매 나노여과 성능이 뛰어난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박막 복합막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져 왔다.(등록특허 제10-1979685호 참조).
상기한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박막 복합막을 중공사막 형태로 하고 이를 가압식 모듈에 적용하는 경우에 유기용매에 대한 내화학성 재질의 하우징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중공사막을 접착한 접착부재는 유기용매에 대한 내화학성 재질의 하우징의 내벽에 접착되지 않으므로 중공사막을 하우징의 내부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을 하우징의 내부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이 수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중공사막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제1 배관을 구비한 결합유닛; 및 상기 결합유닛에 결합되며 제2 배관을 구비한 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캡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배관을 구비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되, 외벽이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며, 중심부에 상기 중공사막의 일단부가 접착되는 접착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내벽과 상기 접착부재의 외벽 사이에 마련되되, 일측벽이 상기 접착부재의 외벽에 접착되고 타측벽이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매몰되어 상기 접착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접착부재의 외벽과 상기 몸체부의 내벽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의 일측벽은 상기 몸체부의 내벽으로부터 몸체부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착부재의 외벽은 상기 밀폐부재의 높이방향 상면 또는 하면과 상기 밀폐부재의 일측벽을 감싸며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접착부재는 상호 접착됨과 동시에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밀폐부재에 걸림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의 외벽에는 상기 밀폐부재의 높이방향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밀폐부재의 일측벽이 삽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의 높이방향 상면 또는 하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플랜지에 매몰되는 수평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확장부에 대향되는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매몰된 상기 밀폐부재의 높이방향 상면 또는 하면에는 제1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 요철 형상에 대응되는 제2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몸체부에 걸림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매몰된 상기 밀폐부재의 높이방향 상면 및 하면에는 제3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3 요철 형상에 대응되는 제4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몸체부에 걸림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캡유닛은 유기용매에 대한 내화학성을 갖는 나일론, 폴리케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수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재는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CPVC)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몸체부의 내벽에 밀폐부재를 인서트 사출에 의해 매몰하고 밀폐부재에 접착부재를 접착함으로써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을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접착부재와 몸체부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100)은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F)이 수용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유닛(130)과, 결합유닛(130)에 결합되는 캡유닛(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F)을 수용하며, 유기용매를 포함한 원수를 여과분리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110)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기용매에 대한 내화학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된다.
예를들어, 하우징(110)은 나일론, 폴리케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수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130)은 하우징(110)의 양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중공사막(F)의 양단부를 지지하고 하우징(110)의 양단부를 밀폐한다.
결합유닛(130)은 하우징(1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몸체부(140)와, 몸체부(140)의 내부에 마련되어 중공사막(F)의 일단부가 접착되는 접착부재(150)와, 몸체부(140)의 내벽과 접착부재(150)의 외벽 사이에 마련되어 접착부재(150)를 고정 지지함과 동시에 접착부재(150)의 외벽과 몸체부(140)의 내벽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재(160,160a)를 포함한다.
몸체부(140)의 일단부는 하우징(110)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캡유닛(17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몸체부(140)는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내부와 유체연통되는 제1 배관(145)을 구비한다.
그리고 몸체부(140)는 유기용매에 대한 내화학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며, 예를들어 몸체부(140)는 하우징(110)과 동일한 나일론, 폴리케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수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몸체부(140)의 일단부 외벽과 하우징(110)의 일단부 외벽에는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그루브(groove,111,143)가 형성되며, 몸체부(140)의 일단부와 하우징(110)의 일단부는 그루브조인트(groove joint, G)에 의해 상호 밀폐되게 결합된다. 이때 몸체부(140)의 일단부 외경과 하우징(110)의 일단부 외경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40)의 타단부는 후술할 캡유닛(17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40)와 캡유닛(170)의 결합은 몸체부(140)의 타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제1 플랜지(141)와 캡유닛(170)의 일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제2 플랜지(171)가 클램프(C)에 의해 상호 밀폐되게 결합된다.
접착부재(150)는 중심부에 복수의 중공사막(F)의 일단부가 접착되며, 외벽이 몸체부(140)의 내벽에 밀착된 원기둥형상을 갖는다. 하우징(1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몸체부(140)의 내부에 중공사막(F)이 접착된 접착부재(150)를 마련하여 복수의 중공사막(F)을 하우징(110)의 내부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재(150)는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재(150)는 하우징(110)과 몸체부(140) 및 후술할 밀폐부재(160,160a)가 결합된 결합체의 내부에 중공사막(F)을 배치한 후 에폭시 수지 등에 침지하고 경화시킨 후 몸체부(140)의 타단부에서 돌출된 영역을 절단하여 몸체부(140)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접착부재(150)의 외벽이 몸체부(140)의 내벽에 밀착된 경우에도 중공사막(F)을 이용하여 원수에서 유기용매를 여과분리하는 동안 높은 압력이 접착부재(150)에 작용하므로 접착부재(150)를 몸체의 내벽에 고정 지지하여야 하고 또한 접착부재(150)의 외벽과 몸체부(140)의 내벽 사이를 밀폐시켜야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40)는 유기용매에 대한 내화학성을 갖는 나일론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접착부재(150)는 에폭시 수지 등의 형성되므로 몸체부(140)와 접착부재(150)가 상호 접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40)의 내벽과 접착부재(150)의 외벽 사이에 밀폐부재(160,160a)를 마련하여 접착부재(150)를 고정 지지함과 동시에 접착부재(150)의 외벽과 몸체부(140)의 내벽 사이를 밀폐시킨다.
밀폐부재(160,160a)의 일측벽과 접착부재(150)의 외벽이 상호 접착되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160,160a)는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CPVC)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60,160a)가 접착부재(150)에 접착되는 경우에도 몸체부(140)의 내벽과 밀폐부재(160,160a) 사이를 밀폐시켜야 하므로, 밀폐부재(160,160a)의 소재 특성을 고려하여 인서트 사출을 통해 밀폐부재(160,160a)의 타측벽이 몸체부(140)의 내벽에 매몰되게 한다. 즉, 인서트 사출 성형방식으로 밀폐부재(160,160a)의 타측벽이 몸체부(140)의 내벽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매몰되게 성형하여 밀폐부재(160,160a)와 몸체부(140)가 한 몸체를 이루도록 한다.
한편 인서트 사출에 의해 밀폐부재(160,160a)의 타측벽이 몸체부(140)의 내벽에 매몰되는 경우에도 중공사막(F)을 이용하여 원수에서 유기용매를 여과분리하는 동안 높은 압력이 접착부재(150)에 작용한다.
이에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부재(160,160a)에서 접착부재(150)가 이탈되지 않도록, 밀폐부재(160,160a)의 일측벽을 몸체부(140)의 내벽으로부터 몸체부(140)의 중심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하고 이에 따라 밀폐부재(160,160a)의 높이방향 상면(또는 하면)이 몸체부(140)의 내벽에서 돌출되게 하며, 접착부재(150)의 외벽이 밀폐부재(160,160a)의 높이방향 상면(또는 하면)과 밀폐부재(160,160a)의 일측벽을 감싸도록 형성한다. 또한 접착부재(150)의 외벽이 몸체부(140)의 내벽에 밀착되게 형성한다. 이로써 밀폐부재(160,160a)와 접착부재(150)는 상호 접착됨과 동시에 접착부재(150)가 밀폐부재(160,160a)의 높이방향 상면(또는 하면)에 걸림결합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밀폐부재(160,160a)의 일측벽과 높이방향 상면 및 하면이 몸체부(140)의 내벽으로부터 몸체부(140)의 중심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하고, 접착부재(150)의 외벽에는 밀폐부재(160,160a)의 일측벽과 높이방향 상면 및 하면이 삽입되는 오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밀폐부재(160,160a)와 접착부재(150)는 상호 접착됨과 동시에 접착부재(150)의 오목홈에 밀폐부재(160,160a)의 일측벽 및 높이방향 상면 및 하면이 삽입되어 접착부재(150)와 밀폐부재(160,160a)는 상호 걸림결합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밀폐부재(160,160a)의 타측벽이 몸체부(140)의 내벽에 매몰되게 성형되는 경우에도 소재특성과 유기용매를 여과분리하는 동안 작용하는 압력에 대해 밀폐부재(160,160a)와 몸체부(140)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동시에 밀폐부재(160,160a)와 몸체부(140)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16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40)의 내벽에 매몰된 밀폐부재(160)의 높이방향 상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확장부(163)가 형성되고, 몸체부(140)의 내벽에 매몰된 밀폐부재(160)의 높이방향 하면에는 제1 요철(16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몸체부(140)의 제1 플랜지(141)에는 수평확장부(163)가 매몰되며 몸체부(140)에는 제1 요철(161) 형상에 대응되는 제2 요철(147)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확장부(163)가 제1 플랜지(141)에 매몰되고 제1 요철(161)과 제2 요철(147)이 상호 걸림결합되어 밀폐부재(160)와 몸체부(14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밀폐부재(160)와 몸체부(140)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160a)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40)의 내벽에 매몰된 밀폐부재(160a)의 높이방향 상면 및 하면에는 제3 요철(161a)이 형성되고, 몸체부(140)에는 제3 요철(161a) 형상에 대응되는 제4 요철(147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3 요철(161a)과 제4 요철(147a)이 상호 걸림결합되어 밀폐부재(160a)와 몸체부(14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밀폐부재(160a)와 몸체부(140)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밀폐부재(160,160a)를 몸체부(140)에 매몰되게 성형한 후 몸체부(140)와 하우징(110)을 결합하고 중공사막(F)을 몸체부(140) 및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에폭시 수지 등에 침지하고 경화시켜 접착부재(150)의 외벽이 몸체부(140)의 내벽에 밀착됨과 동시에 접착부재(150)의 외벽을 밀폐부재(160,160a)의 일측벽에 접착 및 걸림결합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캡유닛(170)은 몸체부(140)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캡유닛(17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내부와 유체연통되는 제2 배관(175)을 구비한다.
제2 플랜지(171)의 중심부에는 몸체부(140)의 타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72)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플랜지(141)와 제2 플랜지(171)가 밀착되는 경우에 제1 플랜지(141)와 제2 플랜지(171)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제2 플랜지(171)의 표면에는 오링(o-ring) 등과 같은 실링부재(S)가 개재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실링홈(173)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40)의 타단부와 캡유닛(170)은 실링홈(173)에 실링부재(S)가 개재된 상태에서 몸체부(140)의 타단부를 삽입홈(172)에 삽입한 후 클램프(C)를 이용하여 제1 플랜지(141)와 제2 플랜지(171)를 상호 결합한다.
그리고 캡유닛(170)은 유기용매에 대한 내화학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며, 예를들어 캡유닛(170)은 하우징(110) 및 몸체부(140)와 동일한 나일론, 폴리케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수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사막 모듈(100)의 하측에 마련된 제2 배관(175)에 유기용매를 포함한 원수를 공급한다. 원수에 포함된 유기용매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된 중공사막(F)에 의해 여과분리된 후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중공사막 모듈(100)의 상측 및 하측에 마련된 제1 배관(145)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유기용매가 여과분리된 농축수는 중공사막 모듈(100)의 상측에 마련된 제2 배관(175)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바와 달리, 중공사막 모듈(100)의 상측(또는 하측)에 마련된 제1 배관(145)에 유기용매를 포함한 원수를 공급하여 원수를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원수에 포함된 유기용매는 중공사막(F)에 의해 여과분리된 후 중공사막(F)을 따라 중공사막 모듈(100)의 상측 및 하측에 마련된 제2 배관(17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유기용매가 여과분리된 농축수는 중공사막 모듈(100)의 하측(또는 상측)에 마련된 제1 배관(145)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중공사막 모듈 110: 하우징
130: 결합유닛 140: 몸체부
141: 제1 플랜지 143: 그루브
145: 제1 배관 147: 제2 요철
147a: 제4 요철 150: 접착부재
160, 160a: 밀폐부재 161: 제1 요철
161a: 제3 요철 163: 수평확장부
170: 캡유닛 171: 제2 플랜지
172: 삽입홈 173: 실링홈
175: 제2 배관
130: 결합유닛 140: 몸체부
141: 제1 플랜지 143: 그루브
145: 제1 배관 147: 제2 요철
147a: 제4 요철 150: 접착부재
160, 160a: 밀폐부재 161: 제1 요철
161a: 제3 요철 163: 수평확장부
170: 캡유닛 171: 제2 플랜지
172: 삽입홈 173: 실링홈
175: 제2 배관
Claims (7)
-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이 수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중공사막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제1 배관을 구비한 결합유닛; 및
상기 결합유닛에 결합되며 제2 배관을 구비한 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캡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배관을 구비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되, 외벽이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며, 중심부에 상기 중공사막의 일단부가 접착되는 접착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내벽과 상기 접착부재의 외벽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몸체부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착부재의 외벽에 접착되는 일측벽과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매몰되는 타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접착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접착부재의 외벽과 상기 몸체부의 내벽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재의 외벽은 상기 밀폐부재의 높이방향 상면 또는 하면과 상기 밀폐부재의 일측벽을 감싸고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접착부재는 상호 접착됨과 동시에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밀폐부재에 걸림결합되는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의 외벽에는 상기 밀폐부재의 높이방향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밀폐부재의 일측벽이 삽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높이방향 상면 또는 하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플랜지에 매몰되는 수평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확장부에 대향되는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매몰된 상기 밀폐부재의 높이방향 상면 또는 하면에는 제1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 요철 형상에 대응되는 제2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몸체부에 걸림결합되는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매몰된 상기 밀폐부재의 높이방향 상면 및 하면에는 제3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3 요철 형상에 대응되는 제4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몸체부에 걸림결합되는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캡유닛은 유기용매에 대한 내화학성을 갖는 나일론, 폴리케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수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재는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CPVC)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8874A KR102137257B1 (ko) | 2019-12-17 | 2019-12-17 |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8874A KR102137257B1 (ko) | 2019-12-17 | 2019-12-17 |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7257B1 true KR102137257B1 (ko) | 2020-07-22 |
Family
ID=7189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8874A KR102137257B1 (ko) | 2019-12-17 | 2019-12-17 |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725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70555A4 (en) * | 2021-02-04 | 2024-10-02 | Kolon Inc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ND SEAL ASSEMBLY COMPRISING SAME |
EP4270557A4 (en) * | 2021-02-04 | 2024-10-09 | Kolon Inc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ND SEAL ASSEMBLY COMPRISING SAME |
EP4270556A4 (en) * | 2021-02-04 | 2024-10-09 | Kolon Inc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ND SEAL ASSEMBLY COMPRISING SAM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0528Y1 (ko) * | 2003-09-22 | 2004-02-11 |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 중공사막 여과기의 결합 및 세정장치 |
KR20130076180A (ko) * | 2011-12-28 | 2013-07-08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 |
JP2014147860A (ja) * | 2013-01-31 | 2014-08-21 | Asahi Kasei Chemicals Corp |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接着固定部における接着剤の選定方法、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
KR20140117346A (ko) * | 2011-12-29 | 2014-10-07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막 가습기 |
KR101975495B1 (ko) | 2017-11-03 | 2019-05-08 |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 중공사막모듈 |
KR101979685B1 (ko) | 2018-11-06 | 2019-05-17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박막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
-
2019
- 2019-12-17 KR KR1020190168874A patent/KR1021372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0528Y1 (ko) * | 2003-09-22 | 2004-02-11 |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 중공사막 여과기의 결합 및 세정장치 |
KR20130076180A (ko) * | 2011-12-28 | 2013-07-08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 |
KR20140117346A (ko) * | 2011-12-29 | 2014-10-07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막 가습기 |
JP2014147860A (ja) * | 2013-01-31 | 2014-08-21 | Asahi Kasei Chemicals Corp |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接着固定部における接着剤の選定方法、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
KR101975495B1 (ko) | 2017-11-03 | 2019-05-08 |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 중공사막모듈 |
KR101979685B1 (ko) | 2018-11-06 | 2019-05-17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박막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70555A4 (en) * | 2021-02-04 | 2024-10-02 | Kolon Inc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ND SEAL ASSEMBLY COMPRISING SAME |
EP4270557A4 (en) * | 2021-02-04 | 2024-10-09 | Kolon Inc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ND SEAL ASSEMBLY COMPRISING SAME |
EP4270556A4 (en) * | 2021-02-04 | 2024-10-09 | Kolon Inc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ND SEAL ASSEMBLY COMPRIS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7257B1 (ko) | 유기용매 나노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 |
CN103153445B (zh) | 包括具有密封凸起部的端盖的流体过滤组件 | |
US8110016B2 (en) | Fluid filter assembly including seal | |
US20050194305A1 (en) |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7638049B2 (en) | Three-port high performance mini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 |
JP6373734B2 (ja) | バルブ一体型容器、それを備えた液体取出装置、およびバルブ一体型容器の製造方法 | |
JP3236103B2 (ja) | 中空糸膜モジュール | |
JPH0679110A (ja) | 攻撃的流体を濾過するフィルター | |
CN103068471B (zh) | 包括手柄的流体过滤组件 | |
US10744464B2 (en) | Ceramic membrane module with drive plate and related methods | |
US3834545A (en) | Supported tubular membrane | |
JP4688141B2 (ja) | 液体分離装置 | |
KR101902458B1 (ko) | 중공사막 모듈 | |
US12076693B2 (en) | Hollow-fiber membrane module | |
JP6613700B2 (ja) | 中空糸膜モジュール | |
JP2016041216A (ja) |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ケーシング筒、ケーシング筒の製造方法 | |
JP5385523B2 (ja) | 分離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
US20090236027A1 (en) | Blood Treatment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 |
JP7122928B2 (ja) | 中空糸膜モジュール | |
JP7337955B2 (ja) |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製造方法 | |
JP6610061B2 (ja) | 中空糸膜モジュール | |
US12005028B2 (en) | Disposable port device for connecting a functional unit to a flexible wall of a disposable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port device | |
US20220032236A1 (en) | Fluid separation element | |
JP2016034612A (ja) |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 |
JPS62136209A (ja) | 分離膜モジユ−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