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206B1 - 악취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악취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206B1
KR102137206B1 KR1020180103944A KR20180103944A KR102137206B1 KR 102137206 B1 KR102137206 B1 KR 102137206B1 KR 1020180103944 A KR1020180103944 A KR 1020180103944A KR 20180103944 A KR20180103944 A KR 20180103944A KR 102137206 B1 KR102137206 B1 KR 102137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hydrogen sulfide
odor removal
area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419A (ko
Inventor
조한재
이승재
이주헌
이경원
이동훈
서동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코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코,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코
Priority to KR102018010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2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6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2Hydrogen sulfi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resence of specific gases or aerosols
    • G01N31/224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resence of specific gases or aerosols for investigating presence of dangerous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매립지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악취제거방법이 제공된다. 악취제거방법은, (a) 통기 가능한 다공성의 지지체에 철산화물 입자가 부착되어 형성된 처리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처리체를 악취제거영역에 설치하여 악취제거영역의 악취물질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악취제거방법{Method for removing odor}
본 발명은 악취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지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악취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악취는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각종 폐기물들이 악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유기체의 부패에 의해서도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악취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불쾌할 뿐만 아니라 악취물질이 갖는 독성으로 인해 인체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 중이다. 악취는 폐기물 처리장과 같은 특정 장소뿐만 아니라 도심지나 일반 가정 등 여러 곳에서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높은 악취 처리용 물질(예,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71049 등)을 제공하거나, 특별한 구조로 악취 처리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처리장치 등을 제공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매립지나 가축 매몰지역과 같은 대기에 노출된 토양 표면에서 직접 발생하는 악취에 대한 만족스런 처리기술은 아직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들은 그 범위가 매우 넓을 뿐만 아니라 그에 알맞은 적절한 처리방식도 개발되지 못하여 악취 제거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71049호(2007. 10. 29), 명세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립지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매우 편리하게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악취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악취제거방법은, (a) 통기 가능한 다공성의 지지체에 철산화물 입자가 부착되어 형성된 처리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처리체를 악취제거영역에 설치하여 상기 악취제거영역의 악취물질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의 접촉은, 상기 악취제거영역보다 넓은 검지영역으로부터 상기 악취제거영역을 결정한 후 실시하며, 상기 악취제거영역은 상기 검지영역의 황화수소를 검지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황화수소의 검지는, 아세트산납 및 황산구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지물질에 의할 수 있다.
상기 검지물질은 황화수소에 의해 변색될 수 있다.
상기 검지물질은 황화수소에 의해 변색되되, 분당 1리터 이상의 유동속도를 갖는 유체 내 농도 1ppm의 황화수소에 의해 30분 이내에 변색될 수 있다.
상기 검지물질은 입상의 담지체에 담지되며, 상기 담지체는 알루미나 및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악취제거영역 및 상기 검지영역은 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면과 중첩되는 시트 상의 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황화수소의 검지는, 일단부는 지면을 향하고 타단부에 팬이 형성된 유체유동로를 내부에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유체유동로 내측에서 상기 유체유동로를 통과하는 유체와 접촉하는 검지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검지영역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검지모듈로부터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검지모듈은 상기 검지물질을 둘러싸 내부에 수용하며 적어도 일부가 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한 타공판으로 이루어진 타공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공하우징은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검지모듈은 상기 타공하우징 일 측에서 상기 검지물질의 변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처리체는, 철산화물이 함유된 복합화력발전소의 배가스를 상기 지지체에 투과시켜 상기 배가스로부터 철산화물을 포집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복합화력발전소의 배가스 유동로에 설치되는 필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악취를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매립지나 가축 매몰지역 등 대기 중에 넓게 노출되어 있는 토양표면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매우 편리하게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나 또는 그보다 작은 범위로 처리범위를 적절히 설정하여 대응하는 효과적인 악취제거가 가능하며, 악취제거용 처리체를 별도의 제조공정 없이 타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막고 환경보전에도 매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악취제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악취제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처리체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악취제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검지모듈의 배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검지모듈을 좀더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처리체를 악취제거영역에 설치한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험례 1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악취제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은 도 1의 순서도를 기본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도면을 함께 참조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악취제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악취제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처리체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악취제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검지모듈의 배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검지모듈을 좀더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처리체를 악취제거영역에 설치한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악취제거방법은 처리체(도 2의 10참조)를 악취제거영역에 설치하여 악취제거영역의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특히, 처리체는 통기 가능한 다공성의 지지체에 철산화물(Iron oxide) 입자가 부착되어 형성된 것으로 악취물질이 섞인 공기를 투과시키며 공기 중의 악취물질을 철산화물 입자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악취제거방법은, (a) 통기 가능한 다공성의 지지체에 철산화물 입자가 부착되어 형성된 처리체를 준비하는 단계(S100), 및 (b) 처리체를 악취제거영역에 설치하여 악취제거영역의 악취물질과 접촉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b) 단계(S300)의 접촉은, 악취제거영역보다 넓은 검지영역(도 3의 A참조)으로부터 악취제거영역(도 5의 B참조)을 결정한 후 실시하며, 악취제거영역은 검지영역의 황화수소를 검지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화수소를 검지하여, 악취제거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통기 가능한 다공성의 지지체에 철산화물 입자가 부착되어 형성된 처리체(도 2의 10참조)를 준비한다(S100). 처리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등에 권취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를 펼치면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처리체(10)는 시트 상의 기재로 이루어진 지지체에, 철산화물 입자가 부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처리체(10)를 특히,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준비할 수 있다.
처리체(10)는 철산화물이 함유된 복합화력발전소의 배가스를, 통기 가능한 다공성의 지지체로 투과시키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형성된 처리체(10)는 철산화물이 함유된 복합화력발전소의 배가스를 지지체에 투과시켜, 배가스로부터 철산화물을 포집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지지체는 복합화력발전소의 배가스 유동로(예를 들어, 가스터빈 후단의 덕트, 배열회수 보일러장치, 연돌 등 배가스가 유동하는 유로 전체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에 설치되는 필터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처리체(10)는 철산화물이 배가스에 섞여 나오는 복합화력발전소의 배가스를 필터체로 처리하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준비될 수 있다. 처리체(10)는 배가스 유동로에 설치된 필터체로 배가스를 투과시킴으로써 철산화물 입자를 충분히 포집하여 생성시킨 필터체와 철산화물 입자의 복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처리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등에 권취된 형태로 보관하거나 축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고, 별도의 처리를 통해 철산화물 입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철산화물 입자가 함유된 배가스를 필터링하는 또 다른 오염물질의 처리과정을 통해 처리체(10)를 형성하고, 이를 다시 악취제거에 사용하므로, 자원의 낭비를 막고 환경을 보전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처리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형태로 펼친 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처리체(10)를 이루는 지지체(즉, 전술한 필터체일 수 있다)는 예를 들어, 부직포와 같은 통기 가능한 시트 상의 기재일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체 상에 철산화물 입자가 충분히 포집되어 있는 상태로 처리체(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체(10)는 지면에 중첩시켜 설치하기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필요한 만큼 절단하여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지면 상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넓은 처리장소(즉, 지면 상의 악취가 발생하는 영역)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처리체(10)의 두께, 너비, 길이 등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악취제거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200)를 진행한다. 악취제거영역은 황화수소를 검지하는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처럼, 처리체(10)를 악취제거영역(도 5의 B참조)에 설치하기 이전에, 악취제거영역보다 넓은 검지영역으로부터 악취제거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악취제거영역에 대해 처리체(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악취제거영역의 결정단계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악취제거영역(도 5의 B참조) 및 검지영역(도 3의 A참조)은 모두 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대기 중에 넓게 노출된 토양 표면과 같은 지면 상에서 악취 제거가 필요한 영역을 결정하여 처리체(도 2의 10참조)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악취제거영역(B) 및 검지영역(A)은 지면에 형성되며, 전술한 지지체는 지면과 중첩되는 시트 상의 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지면은 반드시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면일 필요는 없으며 처리체(10)를 설치한 이후에는 흙이나 다른 자재로 덮을 수도 있다. 악취제거영역(B) 및 검지영역(A)이 형성되는 지면은 예를 들어, 매립지나 가축 매몰장소와 같이 지면 아래 매립된 유기물 등이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는 대기 중으로 노출된 토양의 표면일 수 있다.
악취제거영역(B)은 악취제거영역(B)보다 넓은 검지영역(A)의 황화수소를 검지하여 결정할 수 있다. 황화수소는 매우 강한 악취와 독성을 가진 악취물질로 매립지 등의 대기 중에 노출된 토양 표면에서 감지될 수 있다. 황화수소는 예를 들어, 황산염의 환원반응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매립지에 매립된 폐기물과 유기성 물질 등에는 황산염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황화수소를 검지하여 악취제거영역(B)을 결정할 수 있다.
황화수소의 검지는, 아세트산납 및 황산구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지물질에 의할 수 있다. 검지물질은 황화수소에 의해 변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채색으로부터 유채색으로 변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황화수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황화수소에 의해 무채색으로부터 유채색으로 변색되는 검지물질은 예를 들어, 아세트산납일 수 있다. 그러나 검지물질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또 다른 형태로 변색되는 등의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황화수소에 반응하는 다른 물질들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검지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황화수소의 검지에는 이러한 검지물질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로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세트산납의 경우, 다음과 같은 반응식을 통해 황화수소를 검지할 수 있다.
(반응식 1) (CH3COO)2Pb+H2S=PbS+2CH3COOH
이러한 검지물질은 황화수소에 의해 변색되되, 분당 1리터 이상의 유동속도를 갖는 유체 내 농도 1ppm의 황화수소에 의해 30분 이내에 변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하는 유체 내 상기 농도의 황화수소를 30분 이내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나, 또는 30분 이내에 황화수소를 감지하더라도 상기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감지가 가능한 어느 경우에도 검지물질로서는 적합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검지물질은 예를 들어, 아세트산납일 수 있다. 검지물질은 입상의 담지체에 담지되며, 담지체는 알루미나 및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세트산납을 입상의 담지체에 담지한 물질의 경우 최초 백색에서 황색, 갈색, 검정색의 순으로 변색되어 육안으로도 황화수소의 검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한 조건도 잘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험례를 통해 다시 설명한다.
황화수소의 검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모듈(20)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황화수소의 검지는, 일단부는 지면을 향하고 타단부에 팬(23)이 형성된 유체유동로(도 4의 22참조)를 내부에 포함하는 프레임(도 4의 21참조) 및 유체유동로(22) 내측에서 유체유동로(22)를 통과하는 유체와 접촉하는 검지물질(도 4의 24a참조)을 포함하고 검지영역(도 3의 A참조)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검지모듈(20)로부터 실시될 수 있다.
검지모듈(20)은 복수 개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영역(A) 내에 나누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배치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검지영역(A) 내에서 검지모듈(20)의 개수를 늘려 배치하거나 검지영역(A)을 보다 확대하는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검지모듈(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유체유동로(22)로 공기 등의 유체를 통과시키며 검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검지모듈(20)은 프레임(21) 하단부에 레그(26)가 형성되어 있어 지면에서 이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1) 하면에는 타공판(미도시)과 같은 통기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프레임(21) 하면을 통해 주변(특히, 지면 부근)의 유체를 흡입하고 상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면에서 발생하여 기중에 섞여 유동하는 악취물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유체유동로(22)는 프레임(21)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지면을 향하는 일단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확대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반대편의 타단부에는 팬(23)이 형성되어 있어 유체유동로(22)를 통과하는 상승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검지모듈(20)의 프레임(21) 외측에는 투명한 재질로 도어(27)를 형성하여 내부를 확인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검지모듈(20)은 검지물질(24a)을 둘러싸 내부에 수용하며 적어도 일부가 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한 타공판으로 이루어진 타공하우징(24)을 포함할 수 있다. 타공하우징(24)은 예를 들어,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검지물질(24a)의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개폐가 가능하여 검지물질(24a)도 교환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공하우징(24)은 타공판을 통해 유체를 유입하여 내부 검지물질(24a)과 접촉시킬 수 있다. 타공하우징(24)은 유체유동로(22) 내 삽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타공하우징(24)을 거치 가능한 내부프레임이나 클램프 등의 구조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타공하우징(24)은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고, 검지모듈(20)은 타공하우징 일 측에서 검지물질(24a)의 변색을 감지하는 센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5)는 예를 들어, 입사광의 파장을 검출하여 색상을 감지하는 색감지 센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된 타공하우징(24)의 일 측에 배치되어 검지물질(24a)의 변색을 감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검지모듈(20)에는 검지물질(24a)의 변색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미도시)나 유무선 방식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미도시)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지물질(또는 검지물질을 내부에 포함하는 검지모듈)을 이용하여 검지영역(A)으로부터 악취제거영역(B)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검지영역(A)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다 하더라도 검지모듈(20)의 개수를 늘리거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지면에서 유출되는 황화수소의 발생량과 발생위치 등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지영역(A)으로부터, 특히 처리가 요구되는 악취제거영역(B)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처리체(도 5의 10참조)를 악취제거영역(도 5의 B참조)에 설치하여 악취제거영역(B)의 악취물질과 접촉시킨다(S300). 예를 들어 악취물질이 황화수소를 포함하는 경우 처리체(10)는 다음과 같은 반응식을 통해서 이를 제거할 수 있다.
(반응식 2) Fe2O3+3H2S=Fe2S3+3H2O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철산화물 입자를 통기 가능한 다공성의 지지체에 부착시켜 준비한 처리체(10)의 철산화물 성분이, 황화수소와 반응하여 황화수소와 같은 악취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특히 도 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제거영역(B)은 그 크기나 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지면 상에 넓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황에 따라 국소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앞서 설명한 것처럼 처리체(10)를 필요한 만큼 절단하여 악취제거영역(B)에 중첩시킴으로써 이러한 악취제거영역(B)의 악취물질과 효과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악취제거영역(B)의 크기에 관계 없이 매우 효과적인 악취 제거가 가능하다. 전술한 것처럼 처리체(10)를 설치한 이후에는 추가적으로 흙이나 다른 부재로 덮을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그냥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 밖에 다른 구조물을 설치하여 처리체(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악취제거영역(B)에 처리체(10)를 설치하여 악취제거영역(B)의 악취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실험례를 통해 전술한 검지물질의 검지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례 1) 아세트산납과 황산구리의 황화수소 검지특성
아세트산납과 황산구리는 각각 입상의 알루미나 담지체에 담지된 상태의 것(이하, 검지제로 지칭함)으로 준비하였다. 즉 입상의 담지체에 담지된 아세트산납으로 이루어진 아세트산납 검지제와 입상의 담지체에 담지된 황산구리로 이루어진 황산구리 검지제를 각각 준비하여 조건에 맞추어 황화수소의 검지특성을 알아보았다.
각각의 검지제 모두 입경은 2~4mm의 분포를 보였으며 아세트산납 검지제는 변색 전 백색, 황산구리 검지제는 변색 전 청색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검지제를 서로 다른 유리관(재질: borosilicate) 내부에 각각 충전하고 석영 울로 검지제 양측을 채워 각 유리관 내 통기 가능하게 고정하였다 각 유리관의 양단부는 실리콘 마개로 막고 각 마개 중앙에 튜브(재질: PTFE)를 삽입하여 튜브를 통해서만 유체가 입출되도록 2조의 실험용 칼럼을 구성하였다. 각 실험용 칼럼에는 조제된 황화수소 가스에 질소가스를 혼합하여 농도를 조절하고 주입시켰다. 주입되는 동안 가스의 유량 및 농도는 유량조절계로 일정하게 유지시켰으며 특히, 황화수소 농도를 1ppm으로 유지하고 가스 주입 후 30분이 경과하는 시점에서 각 검지제의 변색 여부를 확인하였다. 유량 100mL/min인 경우, 200mL/min인 경우, 1000mL/min인 경우에 대해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실험례 1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농도 1ppm인 황화수소의 유량이 적어도 1000mL/min(즉, 1L/min)인 경우에 주입시간 30분이 경과하는 시점에서 유의미한 변색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변색은 아세트산납 검지제와 황산구리 검지제의 경우 모두에서 나타나므로 아세트산납과 황산구리 모두 검지물질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변색의 범위와 정도 및 가시성을 모두 감안할 때, 백색에서 황색으로 변색되는 아세트산납 검지제의 변색이 보다 확연하게 관찰되므로 아세트산납의 경우 더욱 검지물질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처리체 20: 검지모듈
21: 프레임 22: 유체유동로
23: 팬 24: 타공하우징
24a: 검지물질 25: 센서부
26: 레그 27: 도어
A: 검지영역 B: 악취제거영역

Claims (12)

  1. (a) 통기 가능한 다공성의 지지체에 철산화물 입자가 부착되어 형성된 처리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처리체를 악취제거영역에 설치하여 상기 악취제거영역의 악취물질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제거방법으로,
    상기 (b) 단계의 접촉은, 상기 악취제거영역보다 넓은 검지영역으로부터 상기 악취제거영역을 결정한 후 실시하며, 상기 악취제거영역은 상기 검지영역의 황화수소를 검지하여 결정하고,
    상기 악취제거영역 및 상기 검지영역은 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면과 중첩되는 시트 상의 기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a) 단계의 처리체는, 철산화물이 함유된 복합화력발전소의 배가스를 상기 지지체에 투과시켜 상기 배가스로부터 철산화물을 포집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는 복합화력발전소의 배가스 유동로에 설치되는 필터체인 악취제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수소의 검지는, 아세트산납 및 황산구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지물질에 의하는 악취제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물질은 황화수소에 의해 변색되는 악취제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물질은 황화수소에 의해 변색되되, 분당 1리터 이상의 유동속도를 갖는 유체 내 농도 1ppm의 황화수소에 의해 30분 이내에 변색되는 악취제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물질은 입상의 담지체에 담지되며, 상기 담지체는 알루미나 및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악취제거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수소의 검지는, 일단부는 지면을 향하고 타단부에 팬이 형성된 유체유동로를 내부에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유체유동로 내측에서 상기 유체유동로를 통과하는 유체와 접촉하는 검지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검지영역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검지모듈로부터 실시되는 악취제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모듈은 상기 검지물질을 둘러싸 내부에 수용하며 적어도 일부가 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한 타공판으로 이루어진 타공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악취제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하우징은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검지모듈은 상기 타공하우징 일 측에서 상기 검지물질의 변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악취제거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03944A 2018-08-31 2018-08-31 악취제거방법 KR10213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44A KR102137206B1 (ko) 2018-08-31 2018-08-31 악취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44A KR102137206B1 (ko) 2018-08-31 2018-08-31 악취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419A KR20200026419A (ko) 2020-03-11
KR102137206B1 true KR102137206B1 (ko) 2020-07-27

Family

ID=6980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944A KR102137206B1 (ko) 2018-08-31 2018-08-31 악취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2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96B1 (ko) * 2015-12-31 2016-07-15 (주)센코 가스센서를 이용한 악취측정 장치
JP2017031514A (ja) * 2015-07-30 2017-02-09 平岡織染株式会社 消臭性吸音織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49B1 (ko) 2006-07-24 2007-10-29 주식회사 포스렉 악취제거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KR20100127387A (ko) * 2009-05-26 2010-12-06 (주)바이오텔 검지관을 이용한 악취의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1514A (ja) * 2015-07-30 2017-02-09 平岡織染株式会社 消臭性吸音織物
KR101639796B1 (ko) * 2015-12-31 2016-07-15 (주)센코 가스센서를 이용한 악취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419A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42988B (zh) 一种空气净化介质单元、空气净化装置及空气净化方法
EP1506023B1 (en) Air decontamination devices
US6576092B2 (en) Method for removal of mercury from various gas streams
CN101069752A (zh) 空气净化装置
US20050145108A1 (en) Air cleaning system
Sheoran et al. Air pollutants removal using biofiltration technique: a challenge at the frontiers of sustainable environment
JP5273474B2 (ja) 汚染土壌浄化装置及び汚染土壌浄化方法
KR102137206B1 (ko) 악취제거방법
ATE320842T1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verunreinigtem fluid
JP3665601B2 (ja) 土壌改良装置
CN107456836A (zh) 一种吸附催化一体化废气治理设备
JP2016000189A (ja) 空気浄化装置
JP3049527U (ja) 燃焼炉等における排ガス等の有害物質の除去装置
DE69924313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Schadstoffe enthaltendem verunreinigtem Gas
KR20030022752A (ko) 대기오염 제거장치
JP4465190B2 (ja) 汚染物質の除去方法及び装置
FR3128887A1 (fr) Matériau filtrant et son application
JP2001104933A (ja) 汚染土壌の熱乾燥処理場及び熱乾燥処理方法
DK1216110T3 (da) Behandling af oxiderbar gas frembragt fra affald på en losseplads
Srivastava Pollution Control: A brief review of conventional and nano technological approaches
JP2013184149A (ja) 汚染物吸着シート
JP3277201B2 (ja) 空気清浄装置
JP2007144364A (ja) 汚染処理対策システム及び汚染処理対策方法
WO2009110071A1 (ja) 有機ハロゲン化合物等の有害物質を含有する固体の処理装置
JP6581827B2 (ja) 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