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203B1 -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203B1
KR102137203B1 KR1020200059104A KR20200059104A KR102137203B1 KR 102137203 B1 KR102137203 B1 KR 102137203B1 KR 1020200059104 A KR1020200059104 A KR 1020200059104A KR 20200059104 A KR20200059104 A KR 20200059104A KR 102137203 B1 KR102137203 B1 KR 102137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eight
parts
solution
reinforc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59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4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mer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radical per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06Polyalkylene(poly)amines
    • C08G73/0213Preparatory process
    • C08G73/022Preparatory process from polyamines and epihalohydr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2Materials for stopping leaks, e.g. in radiators, in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는 창문과 창틀로 이루어진 창호; 상기 창문의 창문홈에 부착된 것으로, 상기 창문홈의 제 1 내측벽에 부착된 제 1 보강재와, 상기 제 1 내측벽의 대향 측인 제 2 내측벽에 부착된 제 2 보강재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재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와 보강재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창문의 창문홈의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에 고무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부착함으로써 우수한 기밀성 및 단열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Window assembly guarantees impact resistance and airtightness}
본 발명은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창호와 보강재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창문의 창문홈의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에 고무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부착함으로써 우수한 기밀성 및 내충격성을 보장할 수 있는,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축물 중 외기와 접하는 곳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환기, 채광, 조망 등을 위한 통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먼지, 습기, 냉기, 온기 등의 침입을 막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창호에 필수적으로 기밀성이 요구되는데 기밀성은 공기를 통하지 않게 하는 성질로서, 기밀성이 높은 창호는 외부 공기 접촉을 막아주고 단열의 기능을 수행하여 겨울철 따뜻한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기밀성이 떨어지는 창호를 사용하면 겨울철 실내에 냉기가 돌고 자연스레 난방비가 올라가게 되어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이러한 창호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384134호(발명의 명칭 : 고 기밀성 단열 창호)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벽에 설치되는 외측창호와 내측창호 및 상기 외측창호와 내측창호에 구비되는 창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중창에 있어서, 상기 내측창호는, 외측부에 설치되는 외측면체; 내측부에 설치되는 내측면체; 상기 외측면체와 상기 내측면체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체; 및 상기 외측면체와 상기 중간체(300) 사이 및 상기 내측면체와 상기 중간체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체는, (a) 아크릴수지, 메틸메타크릴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스티렌수지 및 셀룰로이드수지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며, (b)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창문이 슬라이딩되는 레일이 구비되고,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하측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면체 상기 중간체 또는 상기 중간체와 상기 내측면체를 연결하는 상부연결체; 를 포함하고, (c) 상기 레일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를 구획하는 격벽으로 구성되며, (d) 상기 하측돌출부와 대응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상측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연결체와 소정으로 이격되어 상기 외측면체와 상기 중간체 또는 상기 중간체와 상기 내측면체를 연결하는 하부연결체;를 포함하며, (e) 상기 하측돌출부와 상기 상측돌출부는 상기 레일에 상기 창문이 슬라이딩되면 접촉되도록 1mm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단열성 증가 기능 및 슬라이딩 시 기밀성 증가 기능이 구현되고, (f) 상기 외측면체에 연장되어 외측창호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외측창호는 빗물 및 결로수가 외측으로 유도되도록 외측으로 경사가 낮아지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기밀성 단열 창호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창호에 구비되는 연결체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시공하여 창호의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켰지만, 창호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외측면체와 내측부에 설치되는 내측면체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체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체가 아크릴수지, 메틸메타크릴수지 등의 수지 계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바, 고무보다 내구성과 기계적 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호와 보강재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창문의 창문홈의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에 고무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부착함으로써 우수한 기밀성 및 내충격성을 보장할 수 있는 창호 어셈블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창호와 보강재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창문의 창문홈의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에 고무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부착한 창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재가 베이스층과 베이스층에 적층되고 베이스층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재에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강재에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는, 창문과 창틀로 이루어진 창호; 상기 창문의 창문홈에 부착된 것으로, 상기 창문홈의 제 1 내측벽에 부착된 제 1 보강재와, 상기 제 1 내측벽의 대향 측인 제 2 내측벽에 부착된 제 2 보강재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재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층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보강재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되, 전체 보강재 중량 대비, 상기 첨가제 1 내지 15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에 의하면,
1) 창호와 보강재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창문의 창문홈의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에 고무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부착함으로써 우수한 기밀성 및 내충격성을 보장할 수 있고,
2) 보강재가 베이스층과 베이스층에 적층되고 베이스층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층을 포함함으로써 창호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창문이 가동되지 않을 시 창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으며,
3) 보강재에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보강재의 탄성 복원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방열 및 방음 기능을 보조할 수 있으며, 보강재의 구조적 안정성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보강재에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보강재의 기계적 내구성 및 열적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 어셈블리의 기본적인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2 보강재가 창문홈에 부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강재가 베이스층 및 보강층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첨가제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 어셈블리의 기본적인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는 창호(10)와 보강재(1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창문(100)의 창문홈(110)의 제 1 내측벽(111) 및 제 2 내측벽(112)에 고무를 포함하는 보강재(120)를 부착함으로써 우수한 기밀성 및 내충격성을 보장할 수 있다.
창호(10)는 창틀(200)을 프레임으로 하여 창문(100)을 결합한 것으로서, 사람 또는 물건이 드나들거나 환기, 채광, 조망 등을 위한 통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먼지, 습기, 냉기, 온기 등의 침입을 막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창호(10)는 여닫는 방식에 따라 고정창, 미닫이창, 여닫이창, 오르내리기창, 들창, 회전창, 미늘살창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창문(100)은 창틀(200)에 끼워진 상태로 창호(10)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창호(10)의 가동 부분, 문짝 등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창문(100)은 창문(100)의 상하 측 양면 및 좌우 측 일면(창틀(200)과 상응하는 측 면)에 후술할 창틀(200)의 홈통에 들어맞고 내측으로 함입된 창문홈(110)을 포함하여, 창문(100)이 창호(10)에서 결합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창호(10)의 기밀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창문(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 재질의 창을 포함하여 창호(10)를 닫았을 시에도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바, 창문(100)은 이중창, 3실 이중창 및 복수의 창 사이에 불활성 기체를 충진하여 단열성능을 보강한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창틀(200)은 창호(10)의 프레임, 즉 테두리로서 내측(창틀(200)의 각 면에서 창문(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홈통을 구비하여 이 홈통을 따라 창문(100)이 움직이도록 할 수 있으며, 목재,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문(100)의 창문홈(110)과 창틀(200)의 홈통이 요와 철(凹와 凸)과 같은 형태로 서로 맞물려 끼워짐으로써 홈통이 창문(100)을 움직이는 일종의 레일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창호(10) 외부로부터 비,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창호(10)는 창문홈(110)을 구비한 창문(100) 및 홈통을 구비한 창틀(200)을 포함하는바 창문홈(110)과 홈통이 서로 상응하여 좌우로 개폐가 가능하고, 외부로부터 먼지 및 습기 등이 침입하는 경로를 길어지게 함으로써 기밀성 및 단열을 유지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2 보강재가 창문홈에 부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보강재(120)는 창문(100)의 창문홈(1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 1 보강재(121)와 제 2 보강재(122)로 이루어져 창호(10)의 기밀성과 내충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보강재(120)는 창문(100)의 내측으로 함입된 창문홈(110)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창문홈(110)의 내부는 ㄷ자 형태와 유사할 수 있는바, 보강재(120)는 대향하고 있는 양면, 즉 창문홈(110)을 바라볼 때 좌측벽인 제 1 내측벽(111) 및 우측벽인 제 2 내측벽(112)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재(120)는 제 1 내측벽(111)에 부착된 제 1 보강재(121) 및 제 2 내측벽(112)에 부착된 제 2 보강재(122)로 구성되어 창문홈(110)과 홈통을 더욱 들어맞도록 함으로써 냉기, 온기의 출입 및 먼지, 습기 등의 출입을 방지하여 창호(10)의 기밀성 및 단열을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보강재(120)는 고무를 포함하여 탄성을 부여하여 창문(100)과 창틀(200)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창문(100)을 여닫으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밀성이 향상됨으로써 외풍 및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내충격성이 향상되어 창문(100)을 여닫으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켜주어 이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무는 천연 고무, 폴리클로로프렌고무(polychloroprene rubber:CR), 니트릴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 부타디엔고무(butadiene rubber:BR) 등일 수 있다.
이때, 포함이라 함은 보강재(120)의 제조 과정에서 보강재(120)의 고화 과정 전에 액화된 고무를 단순 혼합시키거나 보강재(120)의 표면에 고무를 코팅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한은 두지 않는다.
더하여, 보강재(120) 내의 고무의 조성에 대하여 예를 들자면, 전체 보강재 대비, 고무 80%, 기타 첨가제 20% 등의 비율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강재가 베이스층 및 보강층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이, 보강재(120)는 베이스층(123)과 베이스층(123) 상에 적층된 보강층(124)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강층(124)은 베이스층(123)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져 창호(10)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창문(100)이 가동되지 않을 시 창틀(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찰 계수란 두 물체가 접촉하고 있을 때, 그 접촉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와 두 면을 수직으로 누르고 있는 힘의 크기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마찰 계수가 큰 재질일수록 잘 미끄러지지 않은 성질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베이스층(123)과 보강층(124)은 50 : 50, 70 : 30, 90 : 10 등의 다양한 부피비로서 적층될 수 있으며, 베이스층(123)이 창문홈(110)과 맞닿고 베이스층(123)보다 마찰 계수가 큰 보강층(124)이 창틀(200)의 홈통과 맞닿는 것이 창호(10)의 기밀성 향상에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보강재(120)는 고무를 포함하는바 고무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높을수록 마찰 계수가 낮다는 특성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높은 베이스층(123)이 창문홈(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더하여 상대적으로 마찰 계수가 높고 논슬립성을 가지는 보강층(124)이 창틀(200)과 맞닿게 되어 창호(10)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틸고무를 베이스층(123)에 포함하고 상대적으로 마찰 계수가 큰 크로로프렌 고무를 보강층(124)에 포함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첨가제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보강재(120)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보강재(120)의 탄성 복원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방열 및 방음 기능을 보조할 수 있으며, 보강재(120)의 구조적 안정성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첨가제는 전체 보강재 중량 대비, 상기 첨가제 1 내지 15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포함이라 함은 보강재(120)의 베이스와 함께 액상의 형태로 혼합된 뒤 고화되거나, 고화된 베이스의 표면에 첨가제가 코팅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때, 첨가제를 베이스의 표면에 코팅시킬 때는 베이스의 표면에 액상의 첨가제를 도포한 후 70 내지 100℃에서 5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여 첨가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제는 제 1 용액 제조 단계(S100), 제 2 용액 제조 단계(S110), 제 3 용액 제조 단계(S120), 첨가제 완성 단계(S130)를 거쳐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용액 제조 단계(S100)는 톨루엔 30 내지 50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 formamide) 30 내지 50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10 내지 2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톨루엔과 디메틸포름아미드는 첨가제 제조의 유기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서 후술할 HMDI와 반응하여 높은 점성 거동을 보이게 되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질 수 있는 첨가제가 될 수 있다.
다음, 제 2 용액 제조 단계(S110)는 상기 제 1 용액 80 내지 90중량부, POSS(Polyhedral Oligomeric Silsequioxane) 5 내지 15중량부, DBTDL(dibutyltin dilaurate) 0.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유무기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나노입자인 POSS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HMDI의 결합에 합께 결합되어 구조적 복합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점성 거동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첨가제의 방열 및 방음 차단 기능을 더욱 잘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POSS는 우수한 내열성 및 산화 반응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더하여, DBTDL은 첨가제 합성의 속도를 촉진하는 촉매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제 3 용액 제조 단계(S120)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제 2 용액 70 내지 95중량부, HMDI(hexamethylene diisocyanate) 5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한 후 30 내지 90분 동안 가열하여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HMDI는 상술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반응하여 점탄성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인 첨가제가 합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첨가제 완성 단계(S130)는 제 3 용액 85 내지 95중량부, PECH(Polyepichlorohydrin)를 포함한 탄성물질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첨가제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탄성물질은 첨가제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방열 및 방음 성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탄성물질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첨가제는 우수한 내열성 및 산화 반응에 안정성을 보일뿐 아니라 PECH(Polyepichlorohydrin)를 포함한 탄성물질을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높은 탄성 복원력을 가지게 되어 보강재(120)가 우수한 방음 및 방열 성능을 가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탄성물질은 1차 용액 제조 단계, 중간 물질 수득 단계, 2차 용액 제조 단계, 3차 용액 제조 단계, 탄성물질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차 용액 제조 단계는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 formamide) 60 내지 85중량부, PECH(Polyepichlorohydrin) 5 내지 20중량부, 소듐아자이드(Sodium Azide)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한 뒤 80 내지 120℃에서 6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디메틸포름아미드는 탄성물질 합성을 위한 유기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PECH의 말단에 존재하는 염소기(-Cl)이 소듐아자이드의 아자이드기(-N3)로 치환되게 된다. 즉, PECH와 소듐아자이드가 반응하여 생성된 물질이 탄성물질의 뼈대가 되는 것이다.
이후, 중간 물질 수득 단계는 1차 용액을 물에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침전물인 중간 물질을 수득하는 과정으로서, 1차 용액 내에 존재하는 소듐아자이드를 포함한 기타 미 반응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진행된다. 이때, 침전 과정 전에는 미리 1차 용액을 한번 여과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2차 용액 제조 단계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80 내지 95중량부, 상기 중간 물질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며, 3차 용액 제조 단계는 상기 2차 용액을 여과하여 수득물을 수득한 뒤 메탄올(methanol) 80 내지 95중량부, 상기 수득물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3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은 중간 물질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다시 용해된 중간 물질이 메탄올에 침전됨으로써 정제될 수 있다. 또한, 수득물이 메탄올에 혼합됨으로써 염소기가 아지드기로 치환된 물질이 생성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탄성물질 완성 단계는 3차 용액을 진공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시켜 탄성물질을 완성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탄성물질은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으며, 첨가제에 포함됨으로써 방음 및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첨가제에 포함되어 보강재(120)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쿠션감으로 인해 보강재(120)가 외부의 온도가 내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과 더불어 소리의 음파가 효과적으로 반사되어 우수한 방음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보강재(120)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보강재(120)의 기계적 내구성 및 열적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제는 전체 보강재 중량 대비, 상기 보조제 1 내지 15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술하였듯이 포함이라 함은 단순 혼합, 도포 및 코팅을 모두 총칭하는 의미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창호 100: 창문
110: 창문홈 111: 제 1 내측벽
112: 제 2 내측벽 120: 보강재
121: 제 1 보강재 122: 제 2 보강재
123: 베이스층 124: 보강층
200: 창틀 S100: 제 1 용액 제조 단계
S110: 제 2 용액 제조 단계 S120: 제 3 용액 제조 단계
S130: 첨가제 완성 단계

Claims (10)

  1.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로서,
    창문과 창틀로 이루어진 창호;
    상기 창문의 창문홈에 부착된 것으로, 상기 창문홈의 제 1 내측벽에 부착된 제 1 보강재와, 상기 제 1 내측벽의 대향 측인 제 2 내측벽에 부착된 제 2 보강재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재는, 고무를 포함한 상태에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층보다 마찰 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되,
    전체 보강재 중량 대비, 상기 첨가제 1 내지 15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톨루엔 30 내지 50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 formamide) 30 내지 50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10 내지 2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액 80 내지 90중량부, POSS(Polyhedral Oligomeric Silsequioxane) 5 내지 15중량부, DBTDL(dibutyltin dilaurate) 0.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제 2 용액 70 내지 95중량부, HMDI(hexamethylene diisocyanate) 5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한 후 30 내지 90분 동안 가열하여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3 용액 85 내지 95중량부, PECH(Polyepichlorohydrin)를 포함한 탄성물질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첨가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물질은,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 formamide) 60 내지 85중량부, PECH(Polyepichlorohydrin) 5 내지 20중량부, 소듐아자이드(Sodium Azide)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한 뒤 80 내지 120℃에서 6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용액을 물에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침전물인 중간 물질을 수득하는 단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80 내지 95중량부, 상기 중간 물질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용액을 여과하여 수득물을 수득한 뒤 메탄올(methanol) 80 내지 95중량부, 상기 수득물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3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3차 용액을 진공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시켜 탄성물질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어셈블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되,
    전체 보강재 중량 대비, 상기 보조제 1 내지 15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어셈블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59104A 2020-05-18 2020-05-18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 KR102137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04A KR102137203B1 (ko) 2020-05-18 2020-05-18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04A KR102137203B1 (ko) 2020-05-18 2020-05-18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203B1 true KR102137203B1 (ko) 2020-07-24

Family

ID=7189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104A KR102137203B1 (ko) 2020-05-18 2020-05-18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2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360B1 (ko) * 2013-05-08 2013-09-16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101382559B1 (ko) * 2013-11-14 2014-04-07 정의국 창호용 방풍가스켓
JP2016108227A (ja) * 2014-11-10 2016-06-20 株式会社クラレ 遮音性および曲げ強度に優れる積層体及び合わせガラス
JP6512097B2 (ja) * 2013-08-06 2019-05-15 株式会社カネカ 軟質熱可塑性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360B1 (ko) * 2013-05-08 2013-09-16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JP6512097B2 (ja) * 2013-08-06 2019-05-15 株式会社カネカ 軟質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382559B1 (ko) * 2013-11-14 2014-04-07 정의국 창호용 방풍가스켓
JP2016108227A (ja) * 2014-11-10 2016-06-20 株式会社クラレ 遮音性および曲げ強度に優れる積層体及び合わせガラ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1338A (ko) 기밀성이 향상된 시스템 창호
JP5616740B2 (ja) 住宅用サッシのシール構造
KR20170130162A (ko) 기밀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KR102137203B1 (ko) 내충격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창호 어셈블리
KR102286633B1 (ko) 창호 프레임의 단열 구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단열 구조
KR100510392B1 (ko)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KR101785081B1 (ko) 단열 이중창
KR101892991B1 (ko) 덧댐 창호, 창호시스템 및 덧댐 창호의 시공방법
KR102249378B1 (ko) 여밈대의 기밀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KR102168659B1 (ko) 단열 프로젝트 창호
RU191442U1 (ru)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ое светопрозрачное ограждение проема
KR101732853B1 (ko) 단열 창호
JP2002121969A (ja) 上げ下げ窓
KR102137204B1 (ko) 단열 효율을 강화한 창호 어셈블리
CN111927253A (zh) 一种断桥铝系统门窗
CN206571342U (zh) 一种隐扇窗
KR102189261B1 (ko) 수직 단열라인이 일치되는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KR200326568Y1 (ko)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CN109972980B (zh) 一种保温防火窗
JP3640332B2 (ja) パネルユニットの雨仕舞い装置
CN220705516U (zh) 一种多功能推拉式铝合金门窗
CN217950217U (zh) 一种提高提升推拉门气密性的搭接结构
CN108546403B (zh) 一种装修施工工艺
CN2337293Y (zh) 复合式移动窗门
CN211422448U (zh) 一种窗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