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808B1 - 목운동 베개 - Google Patents

목운동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808B1
KR102136808B1 KR1020190018416A KR20190018416A KR102136808B1 KR 102136808 B1 KR102136808 B1 KR 102136808B1 KR 1020190018416 A KR1020190018416 A KR 1020190018416A KR 20190018416 A KR20190018416 A KR 20190018416A KR 102136808 B1 KR102136808 B1 KR 102136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s
pressure
room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희
구현정
서민지
Original Assignee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3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with inflatable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목운동 베개는, 몸체; 상기 몸체에 삽입되고,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룸들을 구비하는 쿠션부; 상기 룸들이 각각 서로 독립적인 압력을 갖도록, 서로 다른 경로로 상기 룸에 각각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부; 상기 각 룸들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각 룸마다 기설정된 압력이 되도록 상기 펌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룸들은 상부룸, 하부룸 및 상기 상부름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룸들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는 좌측룸과 우측룸의 압력이 서로 다를 때 보다 낮은 압력의 룸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Description

목운동 베개{PILLOW FOR EXERCISING NECK}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목 교정 운동을 할 수 있는 목운동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수면을 취하는 데에 적합한 물품으로서 다양한 베개가 제안되고 있다. 목침이나 돌베개 등의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추(頸椎)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두부(頭部) 및 경추(頸椎)부 혹은 뒷덜미 부분의 근육과 골격에 무리가 가고, 혈액순환이 방해받기 쉬우며 근육이나 신경의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베개의 높이가 너무 낮은 상태로 되거나 견고한 경도를 갖는 상태로 베개가 되어 사용자의 경추부에 대한 정상적인 만곡을 유지하지 못할 뿐 아니라 뇌의 순환을 방해하여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한다.
한편 컴퓨터 사용 등 평소 고개를 많이 숙이고 일을 하는 사람은 등이 굽고 뒷덜미(고개)는 앞으로 쭉 빠져 있는, 이른바 거북목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은 높은 베개를 선호하지만, 너무 높은 베개를 사용하면 긴장된 근육이 혈액의 흐름이 방해할 수 있고, 경추 뼈의 C자형 곡선이 반대로 꺾이는 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는 깃털이나 솜으로 충진된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 안락한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지나치게 푹신하여 두부와 목이 파묻혀 경추부의 곡선을 유지할 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베개를 높고 넓게 만들어 사용하지만 이 경우에도 베개의 중심이 두부의 무게 중심을 벗어나 베개가 두부에서 빠져 나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경추부의 비정상적인 만곡을 초래한다.
최근 라텍스나 메모리 발포체 베개가 시중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라텍스나 메모리 발포체 베개는 뛰어난 충격 흡수 능력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기술한 베개와는 달리 내용물이 한 쪽으로 쏠리지 않고, 사용 후에는 복원이 잘된다는 강점이 있다. 하지만 큰 압축률 때문에 수면 중에 정상 경추의 구조를 유지하기 어려워 불편함이 해소되지 않고, 옆으로 누워 자는 경우 두부가 쳐져 경추부가 꺾일 위험이 있다.
또한 자세교정을 위한 베개도 시판되고 있는데 목의 정상 만곡을 유지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나 사람의 두부 내지 목의 뒷덜미 전체적인 형상에 일치하는 데에 한계가 있고 착용감이 만족스럽지 못하는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잠자기 전에 간단한 운동으로 자세를 교정하고 목 주변의 근육을 완화 또는 강화시킬 수 있는 목운동 베개가 고려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0867호 (2018.07.13)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목운동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목운동 베개는, 몸체; 상기 몸체에 삽입되고,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룸들을 구비하는 쿠션부; 상기 룸들이 각각 서로 독립적인 압력을 갖도록, 서로 다른 경로로 상기 룸에 각각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부; 상기 각 룸들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각 룸마다 기설정된 압력이 되도록 상기 펌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룸들은 상부룸, 하부룸 및 상기 상부름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룸들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는 좌측룸과 우측룸의 압력이 서로 다를 때 보다 낮은 압력의 룸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룸들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룸들에 주입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목운동 베개는 잠자기 전에 몇 분간의 사용만으로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하면서 잘못된 자세로 인해 약화된 긴목근과 긴머리근을 강화시키고, 단축된 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을 신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목운동 베개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목운동 베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목운동 베개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목운동 베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목운동 베개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목운동 베개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목운동 베개(100)는 몸체(150), 쿠션부(110), 펌프부(140), 센서부(120) 및 제어부(151)를 포함한다.
몸체(150)는 내부부재와 커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부재는 저탄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나 라텍스 발포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커버부재는 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50)는 쿠션부(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의 수용부(102)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쿠션부(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풍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쿠션부(110)는 몸체(150)에 수용된다. 쿠션부(110)의 표면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110)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 때 복수의 공간을 룸으로 표현하면, 쿠션부(110)는 룸들(111, 112, 113, 114)을 구비할 수 있다. 각 룸들(111, 112, 113, 114)은 서로 독립적인 압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들(111, 112, 113, 114)은 상부룸(111), 하부룸(112) 및 좌측룸(113) 및 우측룸(114)을 포함한다.
펌프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 룸들(111, 112, 113, 114)에 서로 다른 압력을 갖도록 공기를 주입한다. 펌프부(140)와 각 룸들(111, 112, 113, 114)은 서로 다른 경로의 주입관(131)들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각 룸들(111, 112, 113, 114)에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압력감지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압력감지센서는 기판에 압력감지공을 형성하고, 압력감지공을 통해 룸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압력을 센싱하는 부분(미도시)을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방식을 통해 제조하여 압력에 의해 휘어져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는 실리콘세라믹층(미도시)으로 형성된다.
제어부(151)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펌프부(140)를 통해 각 룸들(111, 112, 113, 114)의 압력을 조절한다. 제어부(151)는 센서부(120)의 감지에 따라 각 룸들(111, 112, 113, 114)이 기설정된 압력이 되도록 펌프부(14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목운동 베개(100)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머리를 목운동 베개(100)에 접촉하면 압력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사용자가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각 룸들(111, 112, 113, 114)의 압력을 조절한다.
룸들(111, 112, 113, 114)의 압력을 높이거나 낮추는 동작에 의해 긴목근과 긴머리근을 강화시키고, 단축된 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을 신장시킨다.
예를 들어, 상부룸(111)과 하부룸(112)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1단계, 상부룸(111)과 하부룸(112)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낮추는 2단계, 상부룸(111)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증가시키는 3단계, 하부룸(112)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증가시키는 4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좌측룸(113)과 우측룸(114)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잠들었을 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제어부(151)에 의해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좌측으로 머리를 돌렸을 때, 좌측룸(113)의 압력을 높여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돌아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1)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좌측룸(113)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좌측룸(113)이 부풀어 올라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좌측룸(113)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151)는 좌측룸(113)과 우측룸(114)의 압력이 일정 범위에서 동일해지면 좌측룸(113)과 우측룸(114)의 압력을 동시에 점진적으로 낮춘다. 이로 인해, 제어부(151)는 사용자가 코가 천장을 향하는 바른 자세로 목운동 베개(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1)는 좌측룸(113)과 우측룸(114)의 압력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목운동 베개(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룸들(111, 112, 113, 114)의 압력을 조절한다.
몸체(150)는 조작부(180)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목운동 베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8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5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부(미도시)와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해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목운동 베개(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는 제어부(151)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1), 저장부(미도시), 통신부(미도시)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 형태로 몸체(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모듈 형태의 상부에는 단자가 형성되고, 단자가 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미도시)는 음성 출력부의 하나로서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를 통해 목운동 베개(100)의 사용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목운동 베개(200)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목운동 베개(200)는 몸체(250), 쿠션부(210), 펌프부(240), 센서부(220) 및 제어부(251)를 포함한다.
몸체(250)는 내부부재와 커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부재는 저탄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나 라텍스 발포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커버부재는 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250)는 쿠션부(2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의 수용부(202)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쿠션부(2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풍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쿠션부(210)는 몸체(250)에 수용된다. 쿠션부(210)의 표면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210)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 때 복수의 공간을 룸으로 표현하면, 쿠션부(210)는 룸들(211, 212, 213, 214)을 구비할 수 있다. 각 룸들(211, 212, 213, 214)은 서로 독립적인 압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들(211, 212, 213, 214)은 상부룸(211), 하부룸(212) 및 좌측룸(213) 및 우측룸(214)을 포함한다.
펌프부(2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 룸들(211, 212, 213, 214)에 서로 다른 압력을 갖도록 공기를 주입한다. 펌프부(240)와 각 룸들(211, 212, 213, 214)은 서로 다른 경로의 주입관(231)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각 룸들(211, 212, 213, 214)에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220)는 압력감지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압력감지센서는 기판에 압력감지공을 형성하고, 압력감지공을 통해 룸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압력을 센싱하는 부분(미도시)을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방식을 통해 제조하여 압력에 의해 휘어져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는 실리콘세라믹층(미도시)으로 형성된다.
제어부(251)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펌프부(240)를 통해 각 룸들(211, 212, 213, 214)의 압력을 조절한다. 제어부(251)는 센서부(220)의 감지에 따라 각 룸들(211, 212, 213, 214)이 기설정된 압력이 되도록 펌프부(24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목운동 베개(200)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머리를 목운동 베개(200)에 접촉하면 압력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사용자가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각 룸들(211, 212, 213, 214)의 압력을 조절한다.
룸들(211, 212, 213, 214)의 압력을 높이거나 낮추는 동작에 의해 긴목근과 긴머리근을 강화시키고, 단축된 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을 신장시킨다.
예를 들어, 상부룸(211)과 하부룸(212)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1단계, 상부룸(211)과 하부룸(212)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낮추는 2단계, 상부룸(211)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증가시키는 3단계, 하부룸(212)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증가시키는 4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좌측룸(213)과 우측룸(214)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잠들었을 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제어부(251)에 의해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좌측으로 머리를 돌렸을 때, 좌측룸(213)의 압력을 높여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돌아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51)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좌측룸(213)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좌측룸(213)이 부풀어 올라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좌측룸(213)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251)는 좌측룸(213)과 우측룸(214)의 압력이 일정 범위에서 동일해지면 좌측룸(213)과 우측룸(214)의 압력을 동시에 점진적으로 낮춘다. 이로 인해, 제어부(251)는 사용자가 코가 천장을 향하는 바른 자세로 목운동 베개(2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51)는 좌측룸(213)과 우측룸(214)의 압력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목운동 베개(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룸들(211, 212, 213, 214)의 압력을 조절한다.
몸체(250)는 조작부(280)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28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목운동 베개(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28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25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부(미도시)와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해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목운동 베개(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는 제어부(251)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1), 저장부(미도시됨), 통신부(미도시)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 형태로 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모듈 형태의 상부에는 단자가 형성되고, 단자가 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미도시)는 음성 출력부의 하나로서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를 통해 목운동 베개(200)의 사용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목운동 베개(200)는 룸들(211, 212, 213, 214)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룸들(211, 212, 213, 214)에 주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290)를 구비한다. 온도조절부(290)는 일명 캡톤필름 히터가 이용될 수 있다. 필름 히터는 내열성과 탄성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진 폴리이미드(polyimide) 재질의 절연필름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절연필름의 표면에 금속박막이 스퍼터링 공법을 통해 증착된다. 금속박막은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또는 니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금속박막은 절연필름의 일면과 타면 중 어느 일면에 증착되거나 양면 모두에 증착될 수 있다. 금속박막의 외측에 절연막이 코팅되는데, 절연만은 내열성과 탄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의 외측에 과열보호장치, 열감지센서 및 회로기판과 연결되어 가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단자를 통해 필름 히터가 외부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몸체(250) 전면에 형성된 개구된 홀(293)이 형성될 수 있다. 홀(293)을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홀(293)과 온도조절부(290)는 관(292)으로 연결되며, 관(292)을 통해 온도조절부(290)를 지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에 따뜻한 공기를 제공하여 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의 신장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목운동 베개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

  1. 일면에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고,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룸들을 구비하는 쿠션부;
    상기 룸들이 각각 서로 독립적인 압력을 갖도록, 서로 다른 경로로 상기 룸들 각각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부;
    상기 룸들 각각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조작부;
    상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된 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홀과 연결되는 관;
    상기 룸들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룸들에 주입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관을 통해 상기 홀로 배출시키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입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룸들 각각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펌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룸들 각각마다 기설정된 압력이 되도록 상기 펌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룸들은 상부룸, 하부룸 및 상기 상부룸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룸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잠들었을 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좌측룸과 우측룸의 압력이 서로 다를 때 보다 낮은 압력의 룸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룸들의 압력을 높이거나 낮추는 동작에 의해 목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룸과 상기 하부룸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1단계, 상기 상부룸과 상기 하부룸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낮추는 2단계, 상기 상부룸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증가시키는 3단계, 상기 하부룸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증가시키는 4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베개.
  2. 삭제
KR1020190018416A 2019-02-18 2019-02-18 목운동 베개 KR102136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16A KR102136808B1 (ko) 2019-02-18 2019-02-18 목운동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16A KR102136808B1 (ko) 2019-02-18 2019-02-18 목운동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808B1 true KR102136808B1 (ko) 2020-07-22

Family

ID=7189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416A KR102136808B1 (ko) 2019-02-18 2019-02-18 목운동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65B1 (ko) * 2021-01-13 2021-09-07 주식회사 제이앤오코퍼레이션 듀얼 서포트 경추 베개 및 사용 방법
KR102509280B1 (ko) * 2021-09-27 2023-03-10 정예준 교정용 베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528A (ko) * 2010-08-19 2012-02-29 정민우 난방용 핫 코일
KR101643545B1 (ko) * 2016-04-06 2016-07-28 김수형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KR20180080867A (ko) 2017-01-05 2018-07-13 신혜정 베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528A (ko) * 2010-08-19 2012-02-29 정민우 난방용 핫 코일
KR101643545B1 (ko) * 2016-04-06 2016-07-28 김수형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KR20180080867A (ko) 2017-01-05 2018-07-13 신혜정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65B1 (ko) * 2021-01-13 2021-09-07 주식회사 제이앤오코퍼레이션 듀얼 서포트 경추 베개 및 사용 방법
KR102509280B1 (ko) * 2021-09-27 2023-03-10 정예준 교정용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437B2 (en) Digital bed system
KR102136808B1 (ko) 목운동 베개
US20180256387A1 (en) A pillow
KR200489782Y1 (ko) 3중 구조 베개
US10925801B2 (en) Pressure control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an airway
CN108968570A (zh) 一种智能枕头组件
KR20180130928A (ko) 베개의 높이 조절 장치 및 방법
US11825953B1 (en) Multi-zone adjustable bed with smart adjustment mechanism
CN105167460A (zh) 一种智能护脊优化睡眠床垫
US11918525B1 (en) Sleep quality optimization using a controlled sleep surface
CN110234390A (zh) 用于经颅脑刺激的套件和系统
JP7412109B2 (ja) マットレス装置
KR101840704B1 (ko) 목 디스크 재활 치료용 기능성 보조장치 및 그 시스템
KR20160118513A (ko) 적응형 온도 조절 시스템
CN205162602U (zh) 枕头
JP2000014511A (ja) 高さ可変式枕
JP3216199U (ja) モニター装置を備えるスマート枕
KR102497327B1 (ko) 경추베개
KR102656882B1 (ko) 기능성 베개
CN209059568U (zh) 一种颈部护理颈托
WO2023030353A1 (en) Pneumatic sensing and control system for sleep devices
KR20180136731A (ko) 탄력조절 가능한 스마트 침대
KR102443801B1 (ko) 척추 스트레칭용 운동기구
CN213786620U (zh) 一种新型健康仿生枕头
CN211186563U (zh) 智能充气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