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707B1 -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707B1
KR102136707B1 KR1020200024819A KR20200024819A KR102136707B1 KR 102136707 B1 KR102136707 B1 KR 102136707B1 KR 1020200024819 A KR1020200024819 A KR 1020200024819A KR 20200024819 A KR20200024819 A KR 20200024819A KR 102136707 B1 KR102136707 B1 KR 102136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layer
carbon
rolle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서
박수진
박찬민
Original Assignee
박영서
박수진
박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서, 박수진, 박찬민 filed Critical 박영서
Priority to KR102020002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H01M2/1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를 구성함에 있어 가볍고 강도가 강한 카본 관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롤러 중량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른 취급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카본의 우수한 강도를 통해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분리막 제품의 품질 유지가 가능하며, 특히 롤러 수명의 연장으로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고, 장치의 연속 구동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카본층을 구성함에 있어 서로 다른 결의 3층 카본사를 배치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강도와 마찰시 소음이 감소되게 하기 위한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Secondary battery film production roller and roll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중량의 감소와, 우수한 표면도 및 강도 향상이 가능하게 하는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및 전기 제품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화학적 디바이스인 이차전지는 보통 리튬 이차전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고분자 폴리머 전해질을 갖고, 리튬이온의 이동으로 전류를 발생하는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전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포장하는 외장재로서 폴리머와 금속을 적층시킨 파우치 필름이 사용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음극(anode)와 양측(cathode) 및 이들 사이에 폴리올리핀계 분리막(separator)을 개재시켜 조립하는데, 이때 전지의 양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이 직접 접혹하여 내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자재로서, 전지 내 이온 통로일 뿐만 아니라 전지의 안전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리막은 통상 제조하는 과정에서 압출과 표면 코팅을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거쳐 제조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분리막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롤러는 대부분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것인바,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어 그 취급이 곤란하였으며, 표면 강도의 저하로 표면에 스크레치 등의 손상이 쉽게 발생하여 분리막 제품 불량률 증대 및 롤러 수명이 현저히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단 단축에 따른 잦은 교체로 제조 장치의 정지가 빈번하여 이 또한 경제적인 손실과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063649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01168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585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롤러를 구성함에 있어 가볍고 강도가 강한 카본 관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롤러 중량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른 취급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카본의 우수한 강도를 통해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분리막 제품의 품질 유지가 가능하며, 특히 롤러 수명의 연장으로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고, 장치의 연속 구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카본층을 구성함에 있어 서로 다른 결의 3층 카본사를 배치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강도와 마찰시 소음이 감소되게 하기 위한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부가 중공되고, 카본사로 감겨진 3층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되,
에폭시 접착 형성되며, 나선 형태를 이루는 제1 카본층;
에폭시 접착 형성되며, 상기 나선 형태의 제1 카본층의 둘레에서 그 제1 카본층과 다른 결을 이루는 제2 카본층; 및
에폭시 접착 형성되며, 상기 수평 형성되는 제2 카본층의 둘레에서 그 제2 카본층과 다른 결을 이루는 제3 카본층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환봉의 둘레에 접착 에폭시를 도포 형성하는 접착 에폭시 도포단계;
상기 에폭시가 도포된 환봉의 둘레에 그 에폭시가 경화되기 전 카본사를 나선방향으로 감되, 복수층으로 감아 기초를 이루는 제1 카본층을 형성하는 제1 카본층 형성단계;
상기 제1 카본층의 표면에 그 제1 카본층의 결과 다른 결의 카본사를 배치 형성하되, 복수층을 이루어 보강이 가능하게 하는 제2 카본층을 형성하는 제2 카본층 형성단계;
상기 제2 카본층의 표면에 그 제2 카본층의 표면에 카본사가 격자 모양으로 직조된 카본원단을 복수층을 이루게 결착하여 제3 카본층을 형성하는 제3 카본층 형성단계;
상기 제3 카본층의 표면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에폭시 코팅단계;
상기 코팅층이 완전 경화된 상태에서 표면도를 부여하기 위해 표면을 절삭하되, 적어도 상기 제3 카본층이 노출되게 절삭하는 절삭단계; 및
절삭된 롤러를 상기 환봉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은, 금속에 비해 가벼운 카본층을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롤러의 전체 중량이 상당히 감소되며, 이에 따른 롤러의 취급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카본의 우수한 강도를 통해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분리막 제품의 품질 유지가 가능하며, 특히 롤러 수명의 연장으로 경제적인 부담 감소는 물론, 장치의 연속적인 사용으로 작업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카본층의 구성이 카본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결의 층이 적층되도록 3층 구조와 코팅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내구성 향상과 분리막과의 마찰시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의 접착 에폭시 도포단계 간략도.
도 5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의 제1 카본층 형성단계 간략도.
도 6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의 제2 카본층 형성단계 간략도.
도 7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의 제2 카본층 형성단계 다른 실시예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의 제3 카본층 형성단계 간략도.
도 9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의 에폭시 코팅단계 간략도.
도 10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의 절삭단계 간략도.
도 11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의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는, 내부가 중공된 관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하되, 제1 카본층(100)과, 제2 카본층(200)과, 제3 카본층(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 카본층(100)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를 구성함에 있어,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관체의 내경에 해당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 카본층(100)은 통상의 카본사가 나선 형태로 감겨진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에폭시 접착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제1 카본층(100)은 상기와 같이 감겨진 카본사가 복수층을 이루면서 서로 에폭시를 통해 접착되어 고착상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의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제2 카본층(200)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기초를 이루는 제1 카본층(100)을 보강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2 카본층(200)은 상기 제1 카본층(100)의 둘레에 형성되되, 그 둘레에서 도면상 상기 제1 카본층(100)의 나선 방향으로 감겨진 카본사와 다른 결 방향으로 에폭시 접착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제1 카본층(100)과 다른 결을 이루는 제2 카본층(200)의 결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예로 제1 카본층(100)의 결과 직교 방향으로 수평을 이루게 구성하거나, 그 제1 카본층(100)의 나선 각과 다른 각도로 X자 형태로 교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카본층(200)은 배치된 각열이 복수층을 이루게 구성되며, 에폭시를 통해 접착되어 고착상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상기 제1 카본층(100)의 표면 나선방향 각열의 카본사를 연결하여 보강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3 카본층(300)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를 구성함에 있어, 표면도를 향상시키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3 카본층(300)은 가로세로로 카본사가 직조되어 된 격자형 카본원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카본원단을 통해 상기 제2 카본층(200)의 표면을 결착 및 에폭시 접착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제3 카본층(300)은 배치된 카본원단이 복수층을 이루게 구성되며, 에폭시를 통해 접착되어 고착상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제2 카본층(200)의 카본사를 연결 및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의 표면의 카본사열을 균일하게 유지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은 내부가 중공된 관체 형태를 이루되, 그 두께에 대한 층 구조가 제1 카본층(100)과 제2 카본층(200)과 제3 카본층(300)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층의 구조가 서로 다른 결의 카본사로 구성되어 서로간에 긴밀한 고착이 가능하여 내부 공극의 방지 및 표면의 균일열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이다.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를 제조하되, 도 3의 도시와 같이 접착 에폭시 도포단계(S100)와, 제1 카본층 형성단계(S200)와, 제2 카본층 형성단계(S300)와, 제3 카본층 형성단계(S400)와, 에폭시 코팅단계(S500)와, 절삭단계(S600)와 분리단계(S700)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에폭시 도포단계(S100)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를 제조함에 있어, 후술하는 제1,2,3 카본층(100)(200)(300)을 형성하기 위한 카본사(20)의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접착 에폭시(31)를 도포하여 된다.
이를 위해, 에폭시 도포단계(S100)는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선반 등의 척(도면중 미도시함)에 고정되어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의 내경에 해당하는 직경을 이루는 환봉(10)의 표면에 투명의 접착 에폭시(31)를 도포하여 된다.
상기 제1 카본층 형성단계(S200)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를 제조함에 있어, 기초를 이루는 제1 카본층(1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카본층 형성단계(S200)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환봉(10)에 도포된 접착 에폭시(31)가 경화되기 전에 통상의 카본사(20)를 실패에 실을 감듯이 나선방향으로 감아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감겨지는 카본사(20)는 그 층의 구조가 복수층을 이루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일예로 롤러(1)의 두께를 고려하여 2~3층 적층 구조를 이루게 감되, 각층에 해당하는 도면상 좌우 이웃하는 카본사(20)가 서로 접촉되게 감기며, 적층되는 층의 카본사(20)는 하층의 이웃하는 카본사(20)의 사이에 감겨지며, 그 표면에서는 환봉(10)이 노출되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카본층 형성단계(S200)에서는 환봉의 표면에 카본사(20)를 수회에 걸쳐 감아 제1 카본층(100)을 형성함으로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를 기초를 이루게 한다.
상기 제2 카본층 형성단계(S300)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감겨진 제1 카본층(100)의 표면을 보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카본층 형성단계(S30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감겨된 제1 카본층(100)의 둘레에 다수열의 카본사(20)를 배치하여 제2 카본층(200)을 형성함으로, 그 제1 카본층(100)의 이웃하는 카본사(20)를 연결 보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카본사(20)는 그 층 구조가 복수층을 이루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일예로 롤러(1)의 두께를 고려하여 2~3층 구조를 이루게 감아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 카본층(200)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배치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2 카본층(200)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카본층(100)의 결과 직각을 이루도록 도면상 수평 방향을 이루며 상하로 연속 배치되도록 복수층으로 적층 형성하되, 각층의 이웃하는 카본사(20)는 서로 접촉되도록 촘촘하게 배치되며, 적층되는 층의 카본사(20)는 하층의 이웃하는 카본사(20)의 사이에 배치되게 하여 그 틈새 및 공극이 방지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카본층(200)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카본층(100)의 결의 각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복수층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X자 교차되게 감아 적층 형성하되, 각층의 이웃하는 카본사(20)는 서로 접촉되도록 촘촘하게 배치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명에서 제2 카본층 형성단계(S300)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 카본층(100)의 표면에 접착 에폭시를 더 도포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상기 제1 카본층(100)과 제2 카본층(200)의 접착력 증대에 따른 보다 효과적인 보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2 카본층 형성단계(S300)에서는 제1 카본층(100)의 표면에 제2 카본층(200)을 제1 카본층(100)의 결과 직교 방향 결을 이루게 함으로써, 제1 카본층(100) 각열의 카본사(20)를 연결 보강하게 된다.
상기 제3 카본층 형성단계(S400)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감겨진 제2 카본층(200)의 표면에 형성되어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의 표면 결을 균일하게 한다.
이를 위해, 제3 카본층 형성단계(S400)는 도 8을 참조하여 카본사(20)가 가로 세로로 격자 형성된 카본원단(21)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되는 것으로, 그 카본원단(21)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카본층(200)의 둘레를 결착하여 접착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2 카본층(200)의 표면에 결착되는 카본원단(21)의 층 구조는 복수층을 이루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일예로 롤러(1)의 두께를 고려하여 2~3층 구조를 이루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제3 카본층(300)은 적층되는 카본원단(21)에 해당하는 카본사(20)가 하층의 이웃하는 카본사(20)의 사이에 배치되게 하여 그 틈새 및 공극이 방지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명에서 제3 카본층 형성단계(S400)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3 카본층(300)의 표면에 접착 에폭시를 더 도포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상기 제2 카본층(200)과 제3 카본층(300)의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카본원단(21)을 제2 카본층(200)의 둘레에 결착 고정함에 있어서는 카본원단(21)을 제1 카본층(100)의 둘레를 1/2씩 즉, 180°씩 감되, 각층은 카본사(20)가 서로 교차되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만약 카본원단(21)을 연속하여 결착시 층간 사이에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 및 그 사이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180°씩 감되, 카본사(20)가 서로 교차되게 정밀한 결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3 카본층 형성단계(S400)에서는 제2 카본층(200)의 표면에 그 제2 카본층(200)의 결과 교차되는 결을 이루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의 표면 결이 전후좌우 균일한 결을 이루게 한다.
상기 에폭시 코팅단계(S500)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결착 형성된 제3 카본층(300)의 표면에 투명의 코팅 에폭시를 도포하여 각각의 제1,2,3 카본층(100)(200)(300)에 침투시켜 공극을 메우는 한편, 서로 간에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코팅층(400)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에폭시 코팅단계(S500)는,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3 카본층(300)의 표면에 코팅 에폭시(32)를 도포 형성 및 경화시켜 코팅층(400)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제1,2,3 카본층(100)(200)(300)의 공극을 메워주는 한편, 각각의 고착력을 증대시켜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삭단계(S600)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코팅 형성된 코팅층(400)을 절삭하여 제3 카본층(300)이 노출되게 한다.
이를 위해, 절삭단계(S600)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도포된 코팅 에폭시(32)가 완전 경화된 상태에서 통상의 선반 작업 등을 통해 상기 코팅층(400) 및 제3 카본층(300)을 절삭하여 벗겨내되, 상기 제3 카본층(300)의 일부를 절삭하여 그 제3 카본층(300)이 완전 노출되어 실질적으로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의 표면이 제3 카본층(300)을 이루게 한다.
상기 분리단계(S700)는,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를 제조함에 있어, 마무리 단계로, 본 발명 제1,2,3 카본층(100)(200)(300)으로 구성된 롤러를 환봉(10)으로부터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중앙이 중공된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은 환봉(10)을 중심으로 하여 그 환봉(10)의 둘레에 에폭시를 접착제로 한 카본사(20)를 감아 제조하되, 제1 카본층(100)과 제2 카본층(200)과 제3 카본층(300)의 감기는 결을 달리하여 에폭시에 의한 기포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카본사(20)의 서로간에 고착력을 증대시키게 되며, 특히 그 고착된 카본사(20)를 절삭작업을 통해 노출되게 하여 롤러(1) 표면의 카본 형성을 통한 강도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절삭 작업을 통해 상하좌우 균일한 결을 이루는 제3 카본층(300)의 노출을 통해 표면도의 균일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일예로 만약 제3 카본층(300)을 생략한 상태로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를 제조하게 되면, 수평 배치 또는 X자 배치된 제2 카본층(200)이 노출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제2 카본층(200)은 분리막을 가이드하는 과정에서 진행방향과 불일치로 인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후좌우 결을 이루는 제3 카본층(300)을 형성하게 되면, 진행하는 분리막이 마찰되는 과정에서 진행방향 결을 통한 안정된 이송 및 마찰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는 도 11을 참조하여 별도의 알루미늄 등의 롤러 바디(2)의 둘레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1)는 그 강도 향상에 따른 수명이 한층 향상되어 장기가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그 교체시에도 롤러 바디(2)로부터 간편하게 분리 교체하면 되는 것으로, 그 취급 또한 매우 편리하게 된다.
10 : 환봉 20 : 카본사
21 : 카본원단 31 : 접착 에폭시
32 : 코팅 에폭시
100 : 제1 카본층 200 : 제2 카본층
300 : 제3 카본층
S100 : 에폭시 도포단계 S200 : 제1 카본층 형성단계
S300 : 제2 카본층 형성단계 S400 : 제3 카본층 형성단계
S500 : 에폭시 코팅단계 S600 : 절삭단계
S700 : 분리단계

Claims (6)

  1. 환봉(10)의 둘레에 접착 에폭시(31)를 도포 형성하는 접착 에폭시 도포단계(S100);
    상기 에폭시가 도포된 환봉(10)의 둘레에 그 에폭시가 경화되기 전 카본사(20)를 나선방향으로 감되, 복수층으로 감아 기초를 이루는 제1 카본층(100)을 형성하는 제1 카본층 형성단계(S200);
    상기 제1 카본층(100)의 표면에 그 제1 카본층(100)의 결과 다른 결의 카본사(20)를 배치 형성하되, 복수층을 이루어 보강이 가능하게 하는 제2 카본층(200)을 형성하는 제2 카본층 형성단계(S300);
    상기 제2 카본층(200)의 표면에 그 제2 카본층(200)의 표면에 카본사가 격자 모양으로 직조된 카본원단(21)을 복수층을 이루게 결착하여 제3 카본층(300)을 형성하는 제3 카본층 형성단계(S400);
    상기 제3 카본층(300)의 표면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코팅하여 코팅층(400)을 형성하는 에폭시 코팅단계(S500);
    상기 코팅층(400)이 완전 경화된 상태에서 표면도를 부여하기 위해 표면을 절삭하되, 적어도 상기 제3 카본층(300)이 노출되게 절삭하는 절삭단계(S600); 및
    절삭된 롤러를 상기 환봉(10)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S700);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카본층 형성단계(S400)에서, 상기 카본원단(21)은 상기 제2 카본층(200)의 둘레를 1/2씩 감아 구성하되, 격자 모양이 교차되게 복수층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본층(200)은,
    상기 제1 카본층(100)의 나선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둘레를 따라 다수열의 카본사(20)를 배치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본층(200)은,
    상기 제1 카본층(100)의 나선방향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게 카본사(20)를 X자 형태로 교차되게 복수층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본층 형성단계(S300)에서는,
    제1 카본층(100)의 표면에 접착 에폭시를 더 도포한 상태에서 제2 카본층 형성단계(S300)를 수행하며,
    제3 카본층 형성단계(S400)에서는,
    제2 카본층(200)의 표면에 접착 에폭시를 더 도포한 상태에서 제2 카본층 형성단계(S30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본층 형성단계(S200)에서,
    각층에 해당하는 좌우 이웃하는 카본사(20)는 서로 접촉되게 감기며, 적층되는 층의 카본사(20)는 하층의 이웃하는 카본사(20)의 사이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KR1020200024819A 2020-02-28 2020-02-28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 KR102136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819A KR102136707B1 (ko) 2020-02-28 2020-02-28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819A KR102136707B1 (ko) 2020-02-28 2020-02-28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707B1 true KR102136707B1 (ko) 2020-07-22

Family

ID=7189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819A KR102136707B1 (ko) 2020-02-28 2020-02-28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70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742A (ja) * 1997-03-17 1998-09-22 Meiji Rubber & Chem Co Ltd 炭素繊維強化樹脂製ロール
JP2938099B2 (ja) * 1988-10-11 1999-08-2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中空円筒状成形物
JP2000052468A (ja) * 1998-08-05 2000-02-22 Tenryu Ind Co Ltd カーボン繊維を含む芯材、これを使用した可撓性長尺シート材用のガイド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38963A (ko) * 2008-10-07 2010-04-15 김수현 산업용 고무롤러
KR101601168B1 (ko) 2015-03-06 2016-03-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20180063649A (ko) 2016-12-02 2018-06-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858566B1 (ko) 2016-06-27 2018-06-28 (주)피엔티 이차전지 분리막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976736B1 (ko) * 2018-03-21 2019-08-28 주식회사 제이오 직조 구조의 조절이 가능한 탄소나노튜브 시트 제조 장치, 방법 및 탄소나노튜브 시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8099B2 (ja) * 1988-10-11 1999-08-2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中空円筒状成形物
JPH10252742A (ja) * 1997-03-17 1998-09-22 Meiji Rubber & Chem Co Ltd 炭素繊維強化樹脂製ロール
JP2000052468A (ja) * 1998-08-05 2000-02-22 Tenryu Ind Co Ltd カーボン繊維を含む芯材、これを使用した可撓性長尺シート材用のガイド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38963A (ko) * 2008-10-07 2010-04-15 김수현 산업용 고무롤러
KR101601168B1 (ko) 2015-03-06 2016-03-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858566B1 (ko) 2016-06-27 2018-06-28 (주)피엔티 이차전지 분리막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180063649A (ko) 2016-12-02 2018-06-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976736B1 (ko) * 2018-03-21 2019-08-28 주식회사 제이오 직조 구조의 조절이 가능한 탄소나노튜브 시트 제조 장치, 방법 및 탄소나노튜브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542B1 (ko)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셀 스택
US111014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JP2013507732A5 (ko)
JP2012513076A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二次電池
KR101812272B1 (ko)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KR20210048957A (ko) 2차 전지용 자재의 자동 교환 장치
KR101291063B1 (ko)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 적층 장치 및 방법
KR101370801B1 (ko)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 제조 방법
KR102136707B1 (ko) 이차전지 필름 제조용 롤러 및 그 롤러 제조방법
KR102265221B1 (ko) 전해액 함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지셀의 제조방법
KR20180116907A (ko) 전극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6673241B2 (ja) 帯状の部材の貼り合わせ方法、および、帯状の部材の貼り合わせ装置
KR101815349B1 (ko)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KR101714110B1 (ko) 이차 전지의 전극 노칭장치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전극용 필름
US10505232B2 (en) Stacked, rolled-electrode battery cell with y-axis bending
KR20150144984A (ko)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KR20150045624A (ko) 스택 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37066B1 (ko)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KR20200037601A (ko) 배터리 전극조립체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200137186A (ko) 기본단위체,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및 방법
CN111446484A (zh) 电芯制作方法和系统
KR101876372B1 (ko)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 전극 제조방법
KR102624033B1 (ko) 전극시트 컬 조절 장치
KR101554337B1 (ko) 나트륨 유황 전지의 양극재 및 양극재 제조 방법
US20230187600A1 (en) Adhesive Layer Coating Unit,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