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087B1 - 자동 제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제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087B1
KR102136087B1 KR1020180147377A KR20180147377A KR102136087B1 KR 102136087 B1 KR102136087 B1 KR 102136087B1 KR 1020180147377 A KR1020180147377 A KR 1020180147377A KR 20180147377 A KR20180147377 A KR 20180147377A KR 102136087 B1 KR102136087 B1 KR 10213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tray
hot ai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738A (ko
Inventor
박용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4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0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제빙트레이를 제빙컨베이어를 통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일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다수 개의 얼음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된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자동으로 이빙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인에 의해 구동되어 제빙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제빙컨베이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제빙수단과, 상기 제빙수단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분리시키는 이빙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제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컨베이어의 중앙에는 물공급장치에 의해 제빙트레이로 투입된 물을 얼리기 위한 브라인(brine)이 수용되는 브라인탱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제빙장치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제빙트레이를 제빙컨베이어를 통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일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다수 개의 얼음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된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자동으로 이빙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만드는 장치를 뜻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빙장치의 종류로는 물을 분사하여 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분사식과, 물이 유동되는 상태에서 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유수식 및 증발기의 핑거가 침지된 상태에서 핑거에 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침지식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빙장치는 주로 냉장고, 정수기, 자동판매기 등에 설치되는데, 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8478호에는 제빙기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주요 기술적 구성은 서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풀리와, 한 쌍의 풀리를 회전하게 하는 구동장치와,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다수의 제빙부가 마련되며 한 쌍의 풀리에 감겨 설치되는 제빙컨베이어와, 제빙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제빙부로부터 얼음이 이빙되도록 하는 이빙레버와, 이빙레버가 회동하게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이빙레버가 걸림부재에 걸려 회동하면서 얼음의 측면을 밀어 얼음이 제빙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이빙레버와 걸림부재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빙부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이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냉장고 등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교적 부피가 작은 제빙기에 한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가정용, 공업용, 산업용 등으로 사용되는 얼음을 원스톱 방식에 의해 대량으로 자동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제빙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8478호(2005. 08. 1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얼음을 원스톱(one-stop)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속적인 라인 상에서 균일한 품질의 얼음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제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이 제조된 제빙트레이에 1차로 물을 분사하고 2차로 열을 가함으로써 제빙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는 이빙작업이 보다 수월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제빙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체인에 의해 구동되어 제빙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제빙컨베이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제빙수단과, 상기 제빙수단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분리시키는 이빙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제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컨베이어의 중앙에는 물공급장치에 의해 제빙트레이로 투입된 물을 얼리기 위한 브라인(brine)이 수용되는 브라인탱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브라인탱크의 양측 단부에는 서로 높이가 다르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스프라켓과 제3 및 제4스프라켓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진행방향이 브라인탱크의 전방에서 하강하고, 브라인탱크의 후방에서 상승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인탱크의 내부에는 브라인을 강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순환펌프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빙컨베이어의 일측 단부에는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빙수단은 제빙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되어 얼음이 생성된 제빙트레이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장치와, 상기 물분사장치의 후방에 위치되어 제빙트레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및 상기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제빙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얼음들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풍을 생성시키는 열풍기와, 상기 열풍기에서 생성된 열풍을 제빙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빙트레이의 상부로 공급하는 열풍공급관 및 상기 열풍공급관에 설치되어 공급된 열풍을 제빙트레이로 분사하는 열풍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얼음을 원스톱(one-stop)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속적인 라인 상에서 균일한 품질의 얼음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얼음이 제조된 제빙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는 이빙작업을 수행하기 이전에 제빙트레이에 물을 분사하여 이빙작업이 보다 수월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된 얼음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좌측 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우측 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이빙수단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좌측 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우측 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이빙수단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제빙트레이를 제빙컨베이어를 통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일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다수 개의 얼음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된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자동으로 이빙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제빙장치(1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제빙수단(100)과 이빙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빙수단(100)은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빙컨베이어(110), 제1구동수단(120), 제빙트레이(130) 및 물공급장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빙컨베이어(110)는 회전 구동에 의해 그 상부에 안치되는 제빙트레이(13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빙컨베이어(110)의 상부에는 제빙트레이(130)로 투입된 물을 제빙, 즉 얼리기 위한 브라인(brine)이 수용되는 브라인탱크(1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빙컨베이어(110)는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113)가 구비되어 위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면서도, 바퀴(113)의 일측에 지지수단(115)이 구비되어 제빙 작업시 제빙컨베이어(110)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제1구동수단(120)은 제빙컨베이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구동모터(미도시)와 감속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빙컨베이어(11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구동스프라켓(122)과, 종동스프라켓(124)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122)과 종동스프라켓(124)에는 체인(126)이 결합되어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감속기를 통해 구동스프라켓(122)으로 전달되어 구동스프라켓(122) 및 이에 결합된 체인(126)을 회전시킴으로써 제빙컨베이어(110)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빙컨베이어(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스프라켓(122,124), 체인(126) 대신에 벨트, 풀리 구조 등 기존의 컨베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제빙트레이(130)는 얼음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을 수용하는 틀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나의 제빙트레이(130)에는 내측에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홈(132)이 셀 형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빙트레이(130)에 형성되는 물수용홈(132)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빙컨베이어(110)에는 폭 방향으로 길이가 긴 트레이 지지프레임(112)이 제빙컨베이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트레이 지지프레임(112)은 제빙컨베이어(110)를 회전시키는 체인(126)에 결합되어 체인(126)과 함께 회전하면서 내측으로 설치되는 제빙트레이(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트레이 지지프레임(112)에 제빙트레이(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별도록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물공급장치(150)는 제빙컨베이어(110)에 설치된 제빙트레이(130)에 얼음 제조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제빙컨베이어(110)의 전방 단부 일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물공급장치(150)는 물을 저장하는 탱크(152)와, 탱크(152)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미도시), 펌프에 의해 공급된 물을 제빙트레이(130)의 물수용홈(132)으로 투입시키기 위한 노즐(1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양 만큼의 물을 제빙트레이(13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탱크(152)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확인창(156)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제빙트레이(130)에 형성된 물수용홈(132)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제빙트레이(130)에 공급되어야 하는 물의 양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를 통해 물공급장치(150)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빙컨베이어(110)의 중앙 상부 내측에는 브라인탱크(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브라인탱크(140)에는 물을 얼리기 위한 브라인(brine)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브라인은 소금물 등의 어는점이 낮은 용액으로, 물의 어는점인 0℃ 이하에서도 액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빙컨베이어(110)에 설치된 제빙트레이(130)는 그 하단부, 즉 물수용홈(132)이 브라인탱크(140)에 수용된 0℃ 이하의 브라인에 잠겨진 상태에서 제빙컨베이어(11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빙트레이(130)의 물수용홈(132)에 수용된 물은 얼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라인탱크(14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순환펌프(142,144)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순환펌프(142,144)는 브라인탱크(140) 내부에 수용된 브라인을 순환시킴으로써 제빙트레이(130)의 물수용홈(132)에 수용된 물이 어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빙트레이(130)의 물수용홈(132)에 수용된 물의 양에 따라 물이 완전히 어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1구동수단(120)을 구성하는 감속기의 감속비를 조절하여 제빙컨베이어(1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빙트레이(130)에 수용된 물이 완전히 얼 수 있는 충분한 시간 동안 브라인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빙컨베이어(110)를 따라 이동하는 제빙트레이(130)의 하단부가 브라인탱크(140)에 수용된 브라인에 잠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빙트레이(130)의 높이 조절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상기 브라인탱크(140)의 양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빙컨베이어(110)에는 각각 제1 및 제2스프라켓(114a,114b)과 제3 및 제4스프라켓(116a,116b)이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빙트레이(130)가 진입하는 브라인탱크(140)의 전방 단부의 제빙컨베이어(110)에는 제1 및 제2스프라켓(114a,114b)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라켓(114a)의 상부로 체인(126)이 통과되고, 제2스프라켓(114b)의 하부로 체인(126)이 통과되도록 하여 체인(126)의 진행방향이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체인(126)에 결합된 트레이 지지프레임(112)에 의해 지지되는 제빙트레이(130)의 하부, 즉 물수용홈(132)이 브라인탱크(140)에 수용된 브라인에 잠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인탱크(140)의 후방 단부, 즉 제빙트레이(130)가 브라인탱크(140)로부터 벗어나는 후방 단부에는 제3 및 제4스프라켓(116a,116b)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스프라켓(116a)의 하부로 체인(126)이 통과되고, 제4스프라켓(116b)의 상부로 체인(126)이 통과되도록 하여 체인(126)의 진행방향이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체인(126)에 결합된 트레이 지지프레임(112)에 의해 지지되는 제빙트레이(130)의 하부, 즉 물수용홈(132)이 브라인탱크(140)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스프라켓(114b)과 제3스프라켓(116a)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체인(126)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빙컨베이어(110)의 일측 단부, 즉 체인(126)이 결합되는 종동스프라켓(124)에는 장력조절부(16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장력조절부(160)는 구동스프라켓(12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126)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126)은 브라인탱크(140)의 전방에서 하강하고, 후방에서 상승하여 제빙트레이(130)의 물수용홈(132)이 브라인탱크(140)를 통과하는 동안 브라인에 잠길 수 있도록 하는데, 작동 과정에서 체인(126)의 장력이 저하되어 쳐지는 경우 제빙트레이(130) 전부가 브라인에 잠기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장력조절부(160)를 통해 체인(126)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인(126)의 장력을 조절 또는 유지하기 위한 구성은 여러 기술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성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이빙수단(200)은 전술한 제빙수단(100)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130)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물분사장치(210), 열풍공급장치(220) 및 이송컨베이어(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물분사장치(210)는 제빙컨베이어(1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제빙작업이 완료되어 브라인탱크(140)로부터 벗어난 제빙트레이(130)에 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빙트레이(130)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물을 분사하여 제빙트레이(130)를 세척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인탱크(140)로부터 벗어난 제빙트레이(130)는 구동스프라켓(122)을 통해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그대로 제빙트레이(130)에 생성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경우, 체인(126), 제빙트레이(130) 및 트레이 지지프레임(112)에 묻어 있는 브라인 또는 기타 이물질들이 후술할 이송컨베이어(230)에 같이 떨어지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물분사장치(210)를 구성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체인(126), 제빙트레이(130) 및 트레이 지지프레임(112)의 상,하부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함으로써 브라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빙트레이(130)에 물을 분사할 경우 제빙트레이(130)의 온도가 상승하여 생성된 얼음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분사장치(210)의 하부에는 일측 하단부에 배출구(212a)가 구비된 물받이(212)를 설치하여 세척에 사용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열풍공급장치(220)는 물분사장치(210)에 의해 세척이 완료된 제빙트레이(130)에 열풍을 공급하여 생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1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열풍기(222), 열풍공급관(224) 및 열풍분사노즐(2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열풍기(22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2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풍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열풍공급관(224)은 열풍기(222)에 연결 설치되어 열풍기(222)에 생성된 열풍을 제빙트레이(130) 쪽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풍분사노즐(226)은 열풍공급관(224)을 통해 이송되는 열풍을 제빙트레이(130)로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열풍공급관(224)은 다수의 열로 설치되고, 상기 열풍분사노즐(226)은 열풍공급관(224)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모든 제빙트레이(130)에 고르게 열풍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이송컨베이어(230)는 제빙컨베이어(110)의 하부에 제빙컨베이어(110)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어 열풍공급장치(220)로부터 공급된 열풍에 의해 제빙트레이(130)로부터 분리된 얼음들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구동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는 제2구동수단(232)에 의해 구동되고 세부적인 구성은 통상의 컨베이어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이빙수단(200)에 의한 얼음분리 작업은 모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빙컨베이어(110)의 하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얼음이 생성된 제빙트레이(13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열풍에 의해 제빙트레이(130)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바로 이송컨베이어(230) 상에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빙장치(10)에 의하면, 일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얼음을 원스톱(one-stop)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속적인 라인 상에서 균일한 품질의 얼음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얼음이 제조된 제빙트레이(130)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는 이빙작업을 수행하기 이전에 제빙트레이(130)에 물을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빙작업을 보다 수월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제조된 얼음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제빙트레이를 제빙컨베이어를 통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일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다수 개의 얼음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된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자동으로 이빙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10 : (자동) 제빙장치 100 : 제빙수단
110 : 제빙컨베이어 112 : 트레이 지지프레임
114a : 제1스프라켓 114b : 제2스프라켓
116a : 제3스프라켓 116b : 제4스프라켓
120 : 제1구동수단 122 : 구동스프라켓
124 : 종동스프라켓 126 : 체인
130 : 제빙트레이 140 : 브라인탱크
142 : 제1순환펌프 144 : 제2순환펌프
150 : 물공급장치 160 : 장력조절부
200 : 이빙수단 210 : 물분사장치
220 : 열풍공급장치 222 : 열풍기
224 : 열풍공급관 226 : 열풍분사노즐
230 : 이송컨베이어 232 : 제2구동수단

Claims (6)

  1. 체인에 의해 구동되어 제빙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제빙컨베이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제빙수단과, 상기 제빙수단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분리시키는 이빙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제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컨베이어의 중앙에는 물공급장치에 의해 제빙트레이로 투입된 물을 얼리기 위한 브라인(brine)이 수용되는 브라인탱크가 구비되되,
    상기 이빙수단은 제빙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되어 얼음이 생성된 제빙트레이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장치와, 상기 물분사장치의 후방에 위치되어 제빙트레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및 상기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제빙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얼음들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인탱크의 양측 단부에는 서로 높이가 다르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스프라켓과 제3 및 제4스프라켓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진행방향이 브라인탱크의 전방에서 하강하고, 브라인탱크의 후방에서 상승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인탱크의 내부에는 브라인을 강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순환펌프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컨베이어의 일측 단부에는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풍을 생성시키는 열풍기와, 상기 열풍기에서 생성된 열풍을 제빙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빙트레이의 상부로 공급하는 열풍공급관 및 상기 열풍공급관에 설치되어 공급된 열풍을 제빙트레이로 분사하는 열풍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
KR1020180147377A 2018-11-26 2018-11-26 자동 제빙장치 KR10213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377A KR102136087B1 (ko) 2018-11-26 2018-11-26 자동 제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377A KR102136087B1 (ko) 2018-11-26 2018-11-26 자동 제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655A Division KR102243639B1 (ko) 2020-07-09 2020-07-09 자동 제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38A KR20200061738A (ko) 2020-06-03
KR102136087B1 true KR102136087B1 (ko) 2020-07-22

Family

ID=7108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377A KR102136087B1 (ko) 2018-11-26 2018-11-26 자동 제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0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111A (ko) * 2020-07-09 2020-07-20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자동 제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879A (ja) * 2000-10-27 2002-05-09 Meidensha Corp 凍結排水再利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303A (ko) * 2001-10-06 2003-04-14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틸팅 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KR100508478B1 (ko) * 2003-01-24 200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기
KR100993599B1 (ko) * 2008-04-23 2010-12-16 주식회사 아이스맨 얼음 공급장치(벨트 컨베이어 포함)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혼합장치
KR20130114949A (ko)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원일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879A (ja) * 2000-10-27 2002-05-09 Meidensha Corp 凍結排水再利用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111A (ko) * 2020-07-09 2020-07-20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자동 제빙장치
KR102243639B1 (ko) * 2020-07-09 2021-04-26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자동 제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38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42181U (zh) 自动洗盘机
KR102136087B1 (ko) 자동 제빙장치
US433024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rozen confections
US2267789A (en) Apparatus for freezing food products
KR20200087111A (ko) 자동 제빙장치
CA1145575A (en) Apparatus for freezing confections
US1528043A (en) Method or art of and apparatus for making ice
KR100914827B1 (ko) 농산물 자동세척기
KR100605007B1 (ko) 초음파 세척 시스템
US1961337A (en) Vegetable-conditioning method and machine
US2978882A (en) Ice cube making machine
US2117658A (en) Ice making method and apparatus
JP6506868B1 (ja) 食品加工処理装置および食品加工処理方法
US2162213A (en) Process of freezing food products
US1354049A (en) Dish-washer
US2015512A (en) Apparatus for washing or treating fruit and the like
US4206614A (en) Ice producing apparatus
US2551148A (en) Blanching machine
US3799807A (en) Automatic case washing system
US1301428A (en) Pasteurizer.
US2253912A (en) Bottle washer
US2268551A (en) Ice cream reerigerator
US3105504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ruit
JPH08313140A (ja) 無端コンベヤを備えた物品処理装置
KR970016436A (ko) 냉장고용 분사식 제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