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949A -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949A
KR20130114949A KR1020120037411A KR20120037411A KR20130114949A KR 20130114949 A KR20130114949 A KR 20130114949A KR 1020120037411 A KR1020120037411 A KR 1020120037411A KR 20120037411 A KR20120037411 A KR 20120037411A KR 20130114949 A KR20130114949 A KR 20130114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sprocket
jacket
liqui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일
Priority to KR102012003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4949A/ko
Publication of KR2013011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F03B17/025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and reciprocat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F03B17/04Alleged perpetua mobil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화석 연료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설치 위치가 제한적인 수력 터빈이나 수차 그리고 경제성 및 기술 개발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그리고 태양광, 태양열, 풍력 또는 조력을 에너지 원으로 이용하는 동력 발생 장치를 대신하여 환경적으로 안정적이고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 장치는 내부에 액체가 담겨진 액체 재킷; 액체 재킷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상단 스프라켓 및 하단 스프라켓; 상단 스프라켓과 하단 스프라켓의 양 측부에 설치된 된 제 1 및 제 2 프레임; 및 제 1 및 제 2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상단 스프라켓과 하단 스프라켓에 무한 궤도 형태로 장착된 다수의 부력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프레임은 액체 재킷 내의 액체 내에 위치하고, 제 2 프레임의 액체 재킷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 1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부력 부재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며, 부력 부재의 이송에 의하여 상단 스프라켓과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한다.

Description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Power generating apparatus utilizing buoyanc}
본 발명은 동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부력체의 부력에 의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 발생 장치는 원자력 또는 화석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증기를 생성하고 그 증기압으로 동력을 발생하거나, 내연 기관 또는 외연 기관과 같은 동력 발생 장치는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폭발력으로 동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석 연료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는 환경적인 문제로 인하여 선진국 등에서는 많은 규제를 받고 있고 있다.
한편, 수력 터빈이나 수차 등은 물의 낙차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로서, 친환경적인 장치로 간주되고 있으나, 강의 댐과 같이 그 장치를 설치하는데 한정적이며, 따라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기 어려운 기술이다.
이와 함께, 태양광, 태양열, 풍력 또는 조력을 에너지 원으로 이용하는 동력 발생 장치는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경제성 및 실용화될 수 있는 기술력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화석 연료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를 대체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환경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화석 연료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설치 위치가 제한적인 수력 터빈이나 수차 그리고 경제성 및 기술 개발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그리고 태양광, 태양열, 풍력 또는 조력을 에너지 원으로 이용하는 동력 발생 장치를 대신하여 환경적으로 안정적이고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 장치는 내부에 액체가 담긴 액체 재킷; 액체 재킷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상단 스프라켓 및 하단 스프라켓; 상단 스프라켓과 하단 스프라켓의 양 측부에 설치된 된 제 1 및 제 2 프레임; 및 제 1 및 제 2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상단 스프라켓과 하단 스프라켓에 무한 궤도 형태로 장착된 다수의 부력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프레임은 액체 재킷 내의 액체 내에 위치하고, 제 2 프레임의 액체 재킷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 1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부력 부재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며, 부력 부재의 이송에 의하여 상단 스프라켓과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상단 스프라켓 및 하단 스프라켓은 외주면이 다수의 평면 영역이 연결된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각 부력 부재의 측면이 대응하는 스프라켓의 각 평면 영역과 면접촉한다.
또한, 액체 재킷은 내부에 제 1 프레임이 위치한 메인 재킷 및 메인 재킷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제 2 프레임의 하단부가 위치하는 보조 재킷을 포함하되, 보조 재킷은 메인 재킷과 유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상단은 개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스프라켓은 액체 재킷의 메인 재킷의 외측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 스프라켓은 액체 재킷의 보조 재킷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단 스프라켓 및 하단 스프라켓의 중심부에는 커플링 장치가 장착된 회전 샤프트가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제 1 프레임은 액체 재킷의 메인 재킷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제 2 프레임은 그 하단부가 액체 재킷의 보조 재킷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각 부력 부재는 밀폐시킬 수 있는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공기 또는 가스가 채워져 있으며, 단면 형상은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며, 이웃하는 다른 부력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부력 부재는 스프라켓과 대응하는 측 부의 상단 및 하단에 힌지 연결 수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다른 부력 부재의 하단 및 상단에 장착된 힌지 결합 수단과 결합된다.
또한, 각 부력 부재는 이송력을 상단 및 하단 스프라켓에 손실 없이 정확하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이송력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력 전달 부재의 예로서, 부력 부재의 스프라켓과 대응하는 표면에서 연장편이 연장될 수 있으며, 이 연장편은 각 스프라켓의 평면 영역에 형성된 요부 내에 수용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는 부력에 의한 부력 부재의 상승(이동) 운동을 통하여 스프라켓을 회전시키고, 스프라켓의 회전을 통하여 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방식으로 동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부력 부재의 상부에 장착된 수납 부재에 담겨져 있는 액체 또는 물체를 자켓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경적인 문제점, 설치 위치의 제한, 경제성 및 검증되지 않은 기술 등과 같은 각종 문제점을 갖는 기존의 동력 발생 장치를 대신하여 환경적으로 안정적이고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동력 발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정단면도로서,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정단면도로서,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는 크게, 내부에 액체가 담겨진 소정 높이의 액체 재킷(100), 액체 재킷(1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단 스프라켓(210) 및 하단 스프라켓(220), 상단 스프라켓(210)과 하단 스프라켓(220)의 양 측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제 1 및 제 2 프레임(310 및 320), 제 1 및 제 2 프레임(310 및 320) 내에 배치되며 서로 연결된 상태로 상단 스프라켓(210)과 하단 스프라켓(220)에 무한 궤도 형태로 장착된 다수의 부력 부재(400)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각 구성 부재의 구성 및 기능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액체 재킷(100)
액체 재킷(100)은 소정 체적을 갖는 부재로서, 내부에는 액체(편의상 점으로 표시함)가 채워져 있다. 액체 재킷(100) 내에 채워지는 액체는 제한되지 않으며, 후술할 부력 부재(400)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액체가 이용될 수 있다.
액체 재킷(100)은 메인 재킷(110) 및 메인 재킷(110)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보조 재킷(120)을 포함한다. 보조 재킷(120)은 메인 재킷(110)과 액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상단은 일부 영역을 제외한 전체가 밀봉되어 있어 내부의 액체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 재킷(100)을 메인 재킷(110)과 보조 재킷(120)으로 구분함으로써 액체의 유출 없이 후술할 제 1 프레임(310)을 액체 재킷(100) 내에, 그리고 제 2 프레임(320)을 액체 재킷(100) 외부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의 미설명 부호 "P"는 액체 재킷(100) 내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펌프와 같은 액체 공급 수단이다.
스프라켓 (210 및 220)
상단 스프라켓(210)은 액체 재킷(100)의 메인 재킷(110)의 외측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 스프라켓(220)은 액체 재킷(100)의 메인 재킷(110)의 외측 하단부, 즉 보조 재킷(12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단 스프라켓(210) 및/또는 하단 스프라켓(220)의 중심부에는 회전 샤프트(211, 221)가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 샤프트(211, 221)의 단부에는 외부 장치의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와의 연결을 위한 커플링 장치(도 2의 "C")가 장착된다.
한편, 상단 스프라켓(210) 및 하단 스프라켓(220)은 외주면이 다수의 평면 영역(212, 222)이 연결된 다각형 형상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프레임(310 및 320)
소정 높이를 갖는 제 1 프레임(310)은 액체 재킷(100)의 메인 재킷 (11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제 2 프레임(320)은 액체 재킷(100)의 메인 재킷(110)의 외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 2 프레임(320)의 하단부는 액체 재킷(100)의 보조 재킷(120) 상단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하여 연장된 상태에서 보조 재킷(120)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 1 프레임(310)은 그 하단이 액체 재킷(100)의 메인 재킷(110)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제 2 프레임(320)의 하단과 액체 재킷(100)의 보조 재킷(120)의 바닥면 역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 1과 함께 제 2 프레임(32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프레임(320)은 다수의 수직 단위 바(320-1)로 이루어지며, 수직 단위 바(320-1)를 가상적으로 연결한 선, 즉 제 2 프레임(320)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프레임(320)은 그 상단이 상단 스프라켓(210)의 하단과 대응하며, 하단은 하단 스프라켓(220)의 중심, 즉 하단 스프라켓(220)의 회전 샤프트(221)와 대응한다.
여기서, 제 1 프레임(310)은 제 2 프레임(32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310)과 제 2 프레임(320)의 상단에는 하우징(500;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500) 내에 상단 스프라켓(210)이 위치한다.
한편, 도 1에서의 미설명 부호 "S"는 제 1 프레임(310)과 제 2 프레임(320)에 연결된 스페이스 바로서, 소정 높이를 갖는 제 1 프레임(310)과 제 2 프레임(320)이 변형 없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력 부재(400)
다수의 부력 부재(400)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프레임(310 및 320) 내에 배치된다. 특히, 다수의 부력 부재(400)는 무한 궤도 형태로 연결된 상태로 상단 스프라켓(210)의 상단면 그리고 하단 스프라켓(220)의 하단면에 접촉된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상세도로서, 서로 연결된 2개의 부력 부재(400)만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각 부력 부재(400)는 밀폐된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공기, 헬륨 가스 또는 수소 가스와 같은 가스(G)로 채워져 있다.
모든 부력 부재(400)는 제 1 및 제 2 프레임(310 및 320) 내에 위치하며, 따라서 그 단면 형상은 제 1 및 제 2 프레임(310 및 3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사각형이다.
각 부력 부재(40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이웃하는 부력 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어느 한 부력 부재(400; 도 3에서 아래에 위치한 부력 부재)의 상단 일측부, 바람직하게는 스프라켓(210 또는 220)과 대응하는 측부의 상단에는 힌지 연결 수단(410)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에 인접하는 부력 부재(400; 도 3에서 위에 위치한 부력 부재)의 하단 일측부에는 이 힌지 연결 수단(410)이 결합되는 힌지 연결 수단(420)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양 부력 부재(400)가 수직 상태에 있을 때에는 2개의 부력 부재(400)의 상단과 하단이 접촉하고 있지만, 이 힌지 연결 수단(410 및 420)에 의하여 어느 한 수력 부재(400)가 다른 수직 부재(40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힌지 회전한 상태(즉, 도 3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각 부력 부재(400)의 일 측면, 즉 스프라켓(210 또는 220)과 대응하는 측면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 스프라켓(210) 및 하단 스프라켓(220)의 외주면의 각 평면 영역(212, 222)은 각 부력 부재(400)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각 부력 부재(400)의 상단에는 상단이 개방된 수납 부재(490)가 일체로 그리고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수납 부재(490)가 부력 부재(400)에 일체로 형성된 경우, 부력 부재(400)의 하단 및 수납 부재(490)의 상단에 각각 힌지 연결 수단(420 및 410)이 장착되어 아래에 이웃하는 부력 부재(400)의 상단의 수납 부재(490)에 설치된 힌지 연결 수단(410) 그리고 위에 이웃하는 부력 부재(400)의 하단에 설치된 힌지 연결 수단(42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작동, 기능 및 효과를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부력 부재(400; 실질적으로는 부력 부재(400)와 수납 부재(490))와 힌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부력 부재(400)는 상단 및 하단 스프라켓(210 및 220)에 무한 궤도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부력 부재(400)가 연결된 연결체는 상단 스프라켓(210)의 상부면 및 하단 스프라켓(220)의 하부면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곡선부 그리고 상단 스프라켓(210)과 하단 스프라켓(220)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직선부로 구분된다.
부력 부재 연결체의 2개의 직선부를 구성하는 부력 부재(400)는 제 1 프레임 (310) 및 제 2 프레임(320) 내부에 각각 위치하며, 따라서 제 1 프레임(310)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부력 부재(400)는 액체 재킷(100)의 액체가 채워져 있는 메인 재킷(110) 내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제 1 프레임(310) 내에 위치하는 모든 부력 부재(400)에는 부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승하게 된다(도 1의 화살표 방향).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부력 부재(400)의 일 측면, 즉 스프라켓(210, 220)과 대응하는 측면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단 스프라켓(210) 및 하단 스프라켓(220)의 외주면은 다수의 평면 영역(212, 222)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부력 부재(400)의 평면 측면은 상단 및 하단 스프라켓(210, 220)의 각 평면 영역(212, 222)과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 1 프레임(3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모든 부력 부재(400)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면, 상단 스프라켓(210)의 상부 외주면 그리고 하단 스프라켓(220)의 하부 외주면과 대응하는 모든 부력 부재(400)의 측면과 상단 스프라켓(210)과 하단 스프라켓(220)의 외주면의 각 평면 영역(212, 222) 간의 접촉력으로 인하여 상단 스프라켓(210)과 하단 스프라켓(220)은 회전 샤프트(211, 212)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부력 부재(400)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힌지 연결 수단(410 및 410)에 의하여 어느 한 수력 부재가 다른 수력 부재에 대하여 소정 각도 힌지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부력 부재(400)의 평면 측표면은 원형 형상의 각 스프라켓(210 및 220)의 외주면의 평면 영역(212, 222)에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후, 제 1 프레임(3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력 부재(400)는 상단 스프라켓(210)을 지나 (액체가 존재하지 않은, 대기 하의) 제 2 프레임(320) 내로 진입한다. 특히, 이와 동시에 제 2 프레임(320) 내에 위치하는 부력 부재(400)는 하단 스프라켓(220; 즉, 보조 재킷(120) 내부)을 지나 제 1 프레임(310) 내로, 즉, 액체가 채워져 있는 메인 재킷(110)의 내부로 진입한다. 이후, 이동된 부력 부재(400)는 메인 재킷(110) 내에서 액체에 의한 부력에 의하여 제 1 프레임(310)을 따라 상승하며, 위와 같은 작동은 영구적으로 반복 진행된다.
한편, 제 1 프레임(310) 내에서 부력에 의한 부력 부재(400)가 상승할 때, 부력 부재(400)의 이송력이 상단 및 하단 스프라켓(210 및 220)에 손실 없이 정확하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력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력 부재(400)의 일측면(스프라켓 대응 표면)에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편(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하는 각 스프라켓(210 및 220)의 평면 영역(212, 222)에는 이 연장편(401)과 대응하는 요부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각 부력 부재(400)의 일 측면이 각 스프라켓(210 또는 220)의 각 평면 영역(212 또는 222)과 접촉할 때, 각 부력 부재(4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장편(401)이 대응하는 각 스프라켓(210 또는 220)의 평면 영역(212 또는 222)에 형성된 요부에 수용됨으로써, 부력 부재(400)의 상승력이 각 스프라켓(210 및 220)에 손실 없이 정확하게 전달되어 각 스프라켓(210 및 220)은 정확하게 회전한다.
한편, 위의 구조와 반대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부력 부재(400)의 일측면(스프라켓 대응 표면)에는 소정 깊이의 요부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각 스프라켓(210 및 220)의 평면 영역(212, 222)에는 이 요부 내에 수용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 1 프레임(310) 내에서의 부력에 의한 각 부력 부재(400)가 상승 이동하고, 이동하는 부력 부재(400)가 상단 및 하단 스프라켓(210 및 2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단 및 하단 스프라켓(210 및 220)의 회전 샤프트(211 및 221)에 커플링 장치(C; 예를 들어, 체인, 기어)를 장착하고 이 커플링 장치(C)에 예를 들어, 발전기, 펌프와 같은 동력이 요구되는 외부 기계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축을 연결함으로써 상단 및 하단 스프라켓(210 및 220)의 회전력을 기계 장치의 구동력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력 부재(400)의 상단에는 상단이 개방된 수납 부재(490)가 일체로 그리고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부력 부재(400)가 부력에 의하여 제 1 프레임 (310) 내(즉, 메인 재킷(110) 내)에서 상승할 때, 수납 부재(490)에 액체(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가 채워지게 되며, 부력 부재(400)가 상단 스프라켓(210)의 외주면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납 부재(490) 내의 액체는 외부로 배출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내부에 액체가 담겨진 액체 재킷;
    액체 재킷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상단 스프라켓 및 하단 스프라켓;
    상단 스프라켓과 하단 스프라켓의 양 측부에 설치된 된 제 1 및 제 2 프레임; 및
    제 1 및 제 2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상단 스프라켓과 하단 스프라켓에 무한 궤도 형태로 장착된 다수의 부력 부재를 포함하되,
    제 1 프레임은 액체 재킷 내의 액체 내에 위치하고, 제 2 프레임의 액체 재킷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 1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부력 부재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며, 부력 부재의 이송에 의하여 상단 스프라켓과 하단 스프라켓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 스프라켓 및 하단 스프라켓은 외주면이 다수의 평면 영역이 연결된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각 부력 부재의 측면이 대응하는 스프라켓의 각 평면 영역과 면 접촉하는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액체 재킷은 내부에 제 1 프레임이 위치한 메인 재킷 및 메인 재킷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제 2 프레임의 하단부가 위치하는 보조 재킷을 포함하되, 보조 재킷은 메인 재킷과 유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상단은 제 2 프레임이 위치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단 스프라켓은 액체 재킷의 메인 재킷의 외측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 스프라켓은 액체 재킷의 보조 재킷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 스프라켓 및 하단 스프라켓의 중심부에는 커플링 장치가 장착된 회전 샤프트가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프레임은 액체 재킷의 메인 재킷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제 2 프레임은 그 하단부가 액체 재킷의 보조 재킷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부력 부재는 밀폐시킬 수 있는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공기 또는 가스로 채워져 있으며, 단면 형상은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며, 이웃하는 다른 부력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부력 부재는 스프라켓과 대응하는 측부의 상단 및 하단에 힌지 연결 수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다른 부력 부재의 하단 및 상단에 장착된 힌지 결합 수단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각 부력 부재는 상단에 상단 개방 수납 부재가 장착되어 메인 자켓 내에서 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부력 부재의 상향 이송에 따라 메인 자켓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수납 부재의 상단 및 부력 부재의 하단에는 이웃하는 부력 부재의 하단 및 상단에 장착된 힌지 결합 수단과 힌지 결합하는 힌지 결합 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각 부력 부재에는 이송력을 상단 및 하단 스프라켓에 손실 없이 정확하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이송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 부력 부재의 이송력 전달 부재는 스프라켓과 대응하는 표면에서 연장된 연장편이며, 연장편은 각 스프라켓의 평면 영역에 형성된 요부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KR1020120037411A 2012-04-10 2012-04-10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KR20130114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411A KR20130114949A (ko) 2012-04-10 2012-04-10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411A KR20130114949A (ko) 2012-04-10 2012-04-10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949A true KR20130114949A (ko) 2013-10-21

Family

ID=4963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411A KR20130114949A (ko) 2012-04-10 2012-04-10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9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554A1 (ko) * 2014-03-13 2015-09-17 창이테크(주) 액체자석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WO2019212073A1 (ko) * 2018-05-03 2019-11-07 Lee Wooil 수중에서 발전기가 내장된 공기용기를 연속으로 벨트에 연결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직 왕복 회전시킴으로써 수압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수축 팽창운동으로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기에너지를 획득하는 시스템
KR20200061738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자동 제빙장치
WO2022131694A1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무한클린에너지 중량체 및 유체 이동에 의한 동력발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554A1 (ko) * 2014-03-13 2015-09-17 창이테크(주) 액체자석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WO2019212073A1 (ko) * 2018-05-03 2019-11-07 Lee Wooil 수중에서 발전기가 내장된 공기용기를 연속으로 벨트에 연결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직 왕복 회전시킴으로써 수압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수축 팽창운동으로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기에너지를 획득하는 시스템
KR20200061738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프로팩코리아 자동 제빙장치
WO2022131694A1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무한클린에너지 중량체 및 유체 이동에 의한 동력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1726A (ko) 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14949A (ko)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KR101392282B1 (ko) 파력 발전장치
CN104454321A (zh) 全封闭摆锤内感波浪发电系统
CN201679617U (zh) 潮间带波浪能发电系统
KR200426926Y1 (ko) 작동이 용이한 조류발전장치
CN205277728U (zh) 重力发电装置及应用其的重力发电系统
KR20100134992A (ko) 간이 수력발전장치
KR200478748Y1 (ko) 수력발전장치
CN103994012B (zh) 活叶式水流动力装置
KR101079266B1 (ko) 태양광 전지 패널 지지 장치
CN105003381A (zh) 一种水下垂直轴稳定型发电机
KR20130042092A (ko) 풍력과 파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 장치
JP3179682U (ja) 水力式発電装置。
KR101933800B1 (ko) 파력 발전 장치
KR20130100944A (ko) 다중 소수력 발전기 장치
KR20070061501A (ko) 부상력을 이용한 발전설비
CN104121140A (zh) 一种y型海浪能吸收和转换装置
JP2018096365A (ja) 浮力式回転装置
CN203441674U (zh) 海洋潮汐发电装置
CN102865186A (zh) 浮力与重力发电装置
CN103388567A (zh) 一种海洋潮汐落差泵水装置
CN109519322A (zh) 一种偏心惯性轮式发电平台
CN103388551A (zh) 一种海洋潮汐发电装置
KR102004082B1 (ko) 부력체와 수중터빈을 구비한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