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668B1 -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 Google Patents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668B1
KR102135668B1 KR1020190066258A KR20190066258A KR102135668B1 KR 102135668 B1 KR102135668 B1 KR 102135668B1 KR 1020190066258 A KR1020190066258 A KR 1020190066258A KR 20190066258 A KR20190066258 A KR 20190066258A KR 102135668 B1 KR102135668 B1 KR 102135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housing
powder
washing water
dehumidif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엠아이
Priority to KR102019006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2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coatings, e.g. vitreous or enamel coatings
    • F28F19/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coatings, e.g. vitreous or enamel coatings of rubber; of plastics material; of varni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수분을 냉각시켜 수분과 이 수분에 포함된 파우더를 함께 포집 제거하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제습실(21a)과 연통되게 입,출구(21b)(21c)가 관통되는고, 제습실(21a) 내벽에 제습실(21a)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분과 파우더를 포집할 수 있도록 포집핀(22a)이 돌출되는 하우징(2); 열전달블록(32)이 포집핀(22a)과 대응되는 하우징(2) 외벽에 밀착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냉각된 열전소자(31) 냉각면의 냉열이 포집핀(22a)에 전달되어 제습실(21a)을 통과하는 수분을 응축시켜 수분과 파우더를 포집핀(22a)에 부착되게 하는 열전소자유니트(3); 열전소자(31)의 방열면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이 방열면을 냉각기키는 방열판(4); 제습실(21a)에 위치한 배기가스 또는 제습실(21a)로 이동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감지센서(5); 습도감지센서(5)가 감지한 습도가 제어부(7)에 미리 설정된 습도보다 낮을 때 공급된 세척수를 하우징(2)의 제습실(21a)로 분사시켜 제습실(21a)과 포집핀(22a)에 부착된 파우더를 세척하는 노즐(6); 및 습도감지센서(5)가 감지한 습도가 미리 입력된 설정습도보다 낮을 때 노즐(6)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게 하고, 설정습보다 높을 때 솔레노이드밸브(S)를 폐쇄하여 노즐(6)로 세척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Electrically dehumidifier that sprays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humidity ratio and cleanses the powder}
본 발명은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파이프 경로상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수분을 냉각시켜 수분과 이 수분에 포함된 파우더를 함께 포집 제거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습실을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습도율보다 낮은 상태로 장시간 통과할 때 파우더가 포집핀에 고착되지 않도록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하고, 열전소자와 열전달블록을 고정하는 케이스를 제거하여 열전소자유니트를 소형화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열전소자유니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열전소자 주변 공기를 건공기로 만들어 사용시 수분에 의한 전기적인 누전현상을 줄일 수 있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과정과 같이 가스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사용된 폐가스, 즉 배기가스는 세정식 집진장치(Wet Scrubber)와 같은 정화장치 등을 이용하여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렇게 제조과정에서 사용된 배기가스 중에는 인체에 유해한 미세한 분진, 즉 파우더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세정과정에서 사용된 냉각수의 일부가 증기상태로 함께 배출되므로 수분도 다량 포함되어 있다. 배출된 배기가스는 출구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져 미세한 수분은 응결되어 작은 덩어리 형태로 변하고, 이 수분 덩어리는 다량의 파우더가 함께 존재하므로 결국 파우더 덩어리가 된다. 이렇게 수분을 함유한 파우더 덩어리는 송풍팬에 의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일부는 파이프 내벽에 부착되어 누적되고, 이 상태가 지속되면 누적된 파우더는 고착되어 점차 파이프 내경을 좁게 만들어 결국 배기가스 배출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수분과 함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파이프 경로상에는 제습기장치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제습장치는 등록특허 제10-1328500호의 스크러버용 제습장치가 공개되었다. 이 종래 기술은 내부의 제습공간(12)에 냉각핀(15)이 다수개 설치된 제습하우징(10); 냉각면이 상기 제습하우징(10)을 향하도록 상기 제습하우징(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냉각핀(15)을 냉각시키는 열전소자(20); 스크러버에서 토출된 가스를 상기 제습하우징(10) 내부로 안내하는 유입관(30); 상기 제습하우징(10)을 통과하여 냉각 및 제습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관(40); 상기 제습하우징(10)에 연결되고, 상기 냉각핀(15)과 접촉되어 응축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50)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하우징(10)은 상기 유입관(30) 및 배출관(40)이 연결되는 연결홀(14)이 형성되며,
상기 제습하우징(10)의 저면에는 상기 응축수를 상기 드레인(50)을 통해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홀(16)이 형성되고,
상기 제습하우징(10)의 상면에는 온도센서가 삽입되는 온도센서홀(17)이 형성되었다.
이 종래 제습장치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무수히 많은 냉각핀(15)을 제습하우징(10) 양측벽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해야 하고, 이후 이 냉각핀(15)을 고정할 수 있도록 냉각핀(15)과 제습하우징(10) 접면부를 브레이징 접합해야 하므로 제조 공수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습도율이 낮을 때 습도는 냉각핀에 포집되어 신속히 제습되지만, 이 습도에 존재하는 파우더는 포집된 상태에서 그대로 건조되어 냉각핀 표면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종래 제습장치는 습도율이 낮은 상태에서 장시간 제습이 진행되면 냉각핀이 누적된 파우더에 묻혀 냉각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제습성능이 급격히 떨어지고, 쌓인 파우더에 의해 제습실 통로는 점차 줄어들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면 결국 제습실이 막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종래 제습장치에 파우더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수단이 갖추어지지 않기 때문이고, 세척수 공급수단이 갖추어져 있다 하더라도 습도율이 낮을 때 집중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파우더를 제거하는 세스템이 갖추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8500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습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습실을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습도율보다 낮은 상태로 장시간 통과할 때 파우더가 포집핀에 고착되지 않도록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할 수 있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소자와 열전달블록을 고정하는 케이스를 제거하여 열전소자유니트를 소형화하여 보다 많은 열전소자유니트 사용으로 제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전소자 주변 공기를 건공기로 만들어 사용시 수분에 의한 전기적인 누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는 배기가스가 출입할 수 있도록 내부 제습실과 연통되게 입,출구가 관통되는고, 제습실 내벽에 제습실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분과 파우더를 포집할 수 있도록 포집핀이 돌출되는 하우징;
열전소자 냉각면에 열전달블록이 밀접하게 조립되고 이 열전달블록이 상기 포집핀과 대응되는 하우징 외벽에 밀착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냉각된 열전소자 냉각면의 냉열이 포집핀에 전달되어 제습실을 통과하는 수분을 응축시켜 수분과 파우더를 포집핀에 부착되게 하는 열전소자유니트;
열전소자의 방열면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이 방열면을 냉각기키는 방열판;
하우징의 제습실, 하우징의 입구 또는 하우징의 입구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실에 위치한 배기가스 또는 제습실로 이동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감지센서;
하우징의 출구 또는 이 출구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습도가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습도보다 낮을 때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하우징의 제습실로 분사시켜 제습실과 포집핀에 부착된 파우더를 세척하는 노즐;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습도가 미리 입력된 설정습도보다 낮을 때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노즐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게 하고, 상기 설정습보다 높을 때 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하여 노즐로 세척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습도감지센서가 제어부에 입력된 설정습도보다 낮음을 10분 이상 감지할 때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어부는 10분∼1시간 주기로 5초 이상 세척수를 공급한다.
본 발명은 제습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내벽과 측면부재의 내벽, 그리고 포집핀 표면은 테프론코팅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제습실과 연통되게 입,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내벽에 복수 개의 포집핀이 돌출되고, 이 포집핀이 제습실에 위치하도록 하우징의 개방부에 밀폐되게 조립되는 측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측면부재와 포집핀은 하나의 금속재를 가공하여 단일몸체로 형성되고, 복수 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일군을 형성하고, 상기 일군이 제습실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배치되며, 이웃하는 일군들의 포집핀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노즐은 유로를 갖는 몸체가 하우징의 출구 내벽 또는 설치장소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어 그 단부가 폐쇄되고, 유로의 경로상에는 하부에 배치된 포집핀에 부착된 파우더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공이 관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 노즐은 별도로 내부에 유로를 갖는 2개 이상의 몸체가 하우징의 출구 내벽 또는 설치장소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어 각 유로가 일렬로 배치되고, 각 유료의 경로상에는 하부에 배치된 포집핀에 부착된 파우더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공이 관통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습실을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습도율보다 낮은 상태로 장시간 통과할 때 제습실 내부에 세척수를 주기적으로 집중 공급하여 파우더를 세척 제거함으로써 제습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누적된 파우더에 의해 제습실 통로가 줄어들거가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소자와 열전달블록을 고정하는 케이스를 제거하여 열전소자유니트의 부피를 소형화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포집핀을 집적 냉각시키는 열전소자유니트를 종래보다 많이 사용하여 제습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소자 주변 공기를 건공기로 만들어 사용시 수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인 누전현상을 줄여 제습기의 전기적인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조립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본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측면부재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측면부재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하부 측면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상부 측면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상,하부 측면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두께가 불규칙한 열전소자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유니트를 보인 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열전소자유니트가 방열판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측면부재 외벽에 형성된 조립홈에 가스켓이 위치한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측면부재 외벽에 열전소자유니트와 가스켓이 조립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원내부를 확대하여 가스켓이 측면부재 외벽과 방열판에 접착고정된 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방열판 내부로 보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방열판에 열전소자유니트가 조립된 상태의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의 내부를 노즐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노즐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노즐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노즐에서 세척수가 분사되 전 제습기 내부를 보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노즐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제습기 내부를 보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세척수 공급에 따른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1)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하우징(2), 포집핀(22a)을 냉각시켜 하우징(2)을 통과하는 수분이 포집핀(22a)에 포집되게 하는 열전소자유니트(3), 열전소자(31)의 방열판(4)을 냉각시키는 방열판(4), 제습실(21a)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5), 외부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제습실(21a)로 분사시키는 노즐(6), 및 습도감지센서(5)가 감지한 습도가 미리 입력된 설정습도보다 낮을 때 노즐(6)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게 하고 설정습보다 높을 때 세척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7)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은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양측 개방부에 조립되는 측면부재(2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1)는 제습실(21a)을 형성하는 몸체가 관통되어 양측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배기가스가 출입할 수 있도록 제습실(21a)과 연통되게 입,출구(21b)(21c)가 형성된다. 상기 양측 개방부 주변 둘레에는 기밀용 오링(R)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홈(21d)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제1수용홈(21d) 외측에는 볼트 체결용 탭(21e)이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입,출구(21b)(21c) 주변 둘레에도 기밀용 오링(R-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2수용홈(21f)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수용홈(21f) 외측에는 후술하는 인렛부재(8) 또는 아웃렛부재(9)를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탭(21g)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21)는 열전소자(31)의 냉열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일례로 구입이 쉬고 가격이 싼 알루미늄 소재 또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구리 소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21)의 제습실(21a) 표면에는 테프론코팅층이 형성되어 제습실(21a) 표면이 배기가스와 직접 접촉되어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우징(2)의 수명을 연장되게 한다. 도 3 내지 도 8에는 녹색바탕의 테프론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테프론코팅방법은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21)의 입,출구(21b)(21c)에는 배기가스가 흐르는 파이프와 연결되는 인,아웃렛부재(8)(9)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하우징(2)을 형성하는 측면부재(22)는 내벽에 복수 개의 포집핀(22a)이 돌출되고, 이 포집핀(22a)이 제습실(21a)에 위치하도록 본체(21)의 개방부에 밀폐되게 조립된다. 상기 측면부재(22)는 조립을 위해 가장자리에 상기 본체(21)의 제1수용홈(21d) 외측에 형성된 탭(21e)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체결공(22b)이 관통된다. 상기 측면부재(22)가 본체(21)의 개방부에 조립되면 제습실(21a)은 입,출구(21b)(21c)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완전히 밀페된다. 따라서 배기가스는 입구(21b)를 통해 제습실(21a)로 공급되어 제습된 후 출구(21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포집핀(22a)에 응결된 수분, 즉 응축수는 입구(21b)를 통해 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측면부재(22)의 외벽 가장자리 근처에는 후술하는 가스켓(G)()의 조립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이 조립홈(22c)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조립홈(22c)과 근접된 외측에는 방열판(4)을 체결 고정하기 위한 탭(22d)이 형성된다. 이 조립홈(22c)에 수용되는 가스켓(G)은 접착제()로 고정되는 데, 이에 관한 내용은 후반부에 언급된다.
상기 측면부재(22)의 재질은 본체(21)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 소재 또는 구리 소재를 사용하면 좋다.
상기 제습실(21a)을 형성하는 측면부재(22)의 내벽과 이에 돌출되는 포집핀(22a) 표면도 테프론코팅층이 형성되어 배기가스와 직접 접촉되어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측면부재(22)와 포집핀(22a)은 하나의 금속재를 가공하여 단일몸체로 형성되게 하였다. 더 구체적으로, 측면부재(22)와 포집핀(22a)을 동종 또는 이종의 금속재를 조립하여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금속재를 통으로 가공하여 조립부분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측면부재(22)와 이에 돌출되는 포집핀(22a)을 통으로 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이유는 첫째, 조립에 의해 발생하는 이음부분과 이에 의해 필여적으로 발생하는 틈새를 제거함으로써 이음부분의 틈새로 배기가스가 침투하여 그 부분이 집중적으로 쉽게 부식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결과 측면부재(22)와 포집핀(22a) 경계부에 테프론코팅층이 형성되더라도 제습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테프론코팅층이 벗겨되면 경계부의 틈새로 배기가스가 침투하여 그 부분이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부식되고, 결국 포집핀(22a)이 절단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여 얻은 결과 경계부의 틈새를 제거하기 위해 측면부재(22)와 포집핀(22a)을 단일 금속재를 통으로 가공하였다. 둘째, 조립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무수히 많은 포집핀을 별도로 가공하고, 또한 이 포집핀을 삽입하기 위해 측면부재(22)에도 많은 구멍을 가공해야 한다. 이후 가공된 포집핀들을 측면부재(22)의 구멍에 삽입한 다음 이 포집핀이 빠지지 않도록 그 조립부분을 브레이징 방식으로 접합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공수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측면부재(22)를 초기에 가공할 때 포집핀(22a)과 일체로 가공하여 가공 및 조립공수를 줄여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포집핀(22a)은 판형상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측면부재(22)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가공 시 공작기계의 커터의 측면 하중에 의해 포집핀(22a)이 파손되거나 절단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만약, 포집핀(22a)을 판형상의 두께와 동일한 지름을 가진 원형태로 가공하면 측면부재(22)와의 접촉면적이 현저히 줄어들어 가공 시 커터의 가공에 의한 측면 하중에 의해 포집핀이 쉽게 절단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원형의 포집핀은 높이를 크게 가공하지 못하므로 대형 제습기를 제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포집핀(22a)은 압출방식으로 제조할 수 없는 형태, 즉 균일하게 일렬로 배치하지 않고 배기가스가 난류현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식으로 배치하였다. 더 구체적으로 포집핀(22a)은 복수 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일군을 형성하고, 상기 일군이 제습실(21a)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배치되며, 이웃하는 일군들의 포집핀(22a)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게 하였다. 따라서 배기가스는 제습실(21a)을 통과할 때 일군의 포집핀(22a)들과 충돌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난류 흐름형태로 통과하게 되므로 함께 통과하는 수분은 냉각된 포집핀(22a)에 응축되므로 제습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유니트(3)는 열전소자(31) 냉각면에 열전달블록(32)이 밀접하게 조립되고 이 열전달블록(32)이 상기 포집핀(22a)과 대응되는 하우징(2)의 본체(21) 외벽에 밀착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냉각된 열전소자(31) 냉각면의 냉열이 포집핀(22a)에 전달되어 제습실(21a)을 통과하는 수분을 응축시켜 수분과 파우더를 포집핀(22a)에 부착되게 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열전소자(31)는 박판 형상을 가지며, 전원이 공급되면 어느 일측면은 냉각되어 온도가 낮은 냉각면이 되고, 타측면은 일측면이 냉각면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열을 방열하므로 온도가 상승하는 방열면이 된다. 그러므로 방열면의 온도가 낮아지지 않으면 냉각면의 온도도 낮아질 수 없다. 즉 방열면의 온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냉각면의 온도도 비례해서 낮아진다.
본 발명의 열전소자유니트(3)의 제조방법은 도 10 및 도 14와 같이 열전소자(31) 냉각면과 열전달블록(32)을 열전도열경화접착제(33)로 부착 경화시켜 단일체로 만들고, 경화 후 각 단일체 전역의 두께가 균일하도록 이 단일체를 지그에 세팅한 다음 노출된 열전달블록(32) 표면을 평탄가공하게 된다.
종래에는 열전소자(31)와 열전달블록(32)을 합성수지로 구성된 케이스(미도시) 내부에 수용하여 이들을 긴밀하게 접착 고정하였다. 따라서 열전소자(31)와 열전달블록(32) 외곽에는 케이스가 위치함에 따라 열전소자유니트(3)의 면적이 커 동일 면적대비 많은 열전소자유니트(3)를 사용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열전소자(31)와 열전달블록(32)을 열전도열경화접착제(33)로 직접 부착하여 열전소자유니트(3)의 면적을 줄여 동일 면적대비 종래보다 많은 열전소자유니트(3)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열전도열경화접착제(33)는 열을 가하면 접착성능을 유지한 상태로 경화되는 특징이 있고,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공지의 접착제이다.
본 발명의 열전소자유니트(3)는 도 11과 같이 복수 개가 측면부재(22)와 방열판(4) 사이에 면접촉 상태로 조립되는 데, 각 열전달블록(32)이 측면부재(22) 외측면에 밀착되고 각 열전소자(31)의 방열면이 방열판(4)에 밀착되게 조립된다. 그러므로 열전소자유니트(3)들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으면 두꺼운 열전소자(31)의 방열면만 방열판(4)에 밀착되고 얇은 열전소자(31)의 방열면은 방열판(4)에 밀착되지 않거나 또는 밀착되더라도 그 밀착력이 낮아 전체 열전소자(31)는 효율적으로 방열되지 않아 냉각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모든 열전소자는 규격품이지만 동일 제조공장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도 조립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허용오차가 발생한다. 예컨대, 도 9와 같이 열전소자(31)의 일측단부의 두께가 t이고 타측단부의 두께가 T라면 이 두께의 허용공차는 T-t=ΔT가 된다. ΔT는 열전소자(31) 고유의 공차이고, 여기에다 열전소자(31)와 열전달블록(32) 사이에 도포되는 열전도열경화접착제(33)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공차도 발생한다.
따라서, 열전소자유니트(3)들은 열전소자(31) 고유의 오차와 함께 조립공정에서 사용되는 열전도열경화접착제(33)의 두께에 따른 오차가 함께 발생하므로, 방열판(4)에 열전소자(31)를 부착하기 전에 균일한 두께로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열전도열경화접착제(33)를 이용하여 열전소자(31)와 열전달블록(32)을 접착 고정한 다음 열전달블록(32)이 상부에 노출되게 열전소자유니트(3)를 지그에 장착하고, 이후 CNC밀링과 같은 평면가공하는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열전달블록(32) 표면을 가공하여 평탄도를 맞추면 가공 완료 후 모든 열전소자유니트(3)들의 두께는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 중 특정 열전소자유니트(3)가 고장이 발생할 때 평탄도가 맞추어진 열전소자유니트(3)를 교체하면 기존에 설치된 열전소자유니트(3)와 두께가 동일하므로 별도로 두께를 맞추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열전달블록(32)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로 구성되어야 하며, 일례로 이미 설명한 알루미늄 소재 또는 구리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4)은 열전소자(31) 방열면들과 밀접하게 조립되어 그 방열면들을 냉각시킨다. 이 방열판(4)은 수냉식으로 냉각되는 것을 사용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냉식 방열판(4)은 본 출원이 선등록한 등록특허 제10-1801597호의 수냉식 방열판(4)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수냉식 방열판(4)은 입구(41)를 통해 열교환실(42)의 입구측 유로(A)로 공급된 액체는 입구측 가이드부재(43) 구간에서 양측으로 격리되어, 입구측 가이드부재(43) 내측으로 흐르는 액체는 차단돌기(43a)에 의해 막혀 열교환핀(45)을 통해 출구측 가이드부재(44)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가이드부재의 차단돌기(44a)에 막혀 출구측 가이드부재(44)의 측을 따라 출구(46)로 배출되고; 상기 입구측 가이드부재(43) 외측으로 흐르는 액체는 상기 입구측 가이드부재(43)를 지나 열교환핀(45)을 통해 출구측 유로(B)로 진입한 다음 출구측 가이드부재(44) 외측을 통해 출구(46)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흐르는 액체는 펌프(P)에 의해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방열판(4)을 냉각시키고 이 방열판(4)에 밀착된 열전소자(31)의 방열면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 외에도 공지의 수냉식 방열판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측면부재(22) 외벽과 방열판(4) 사이에는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이 내부에 조립된 열전소자유니트(3)들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링형상의 가스켓(G)을 접착제(10)로 기밀가능하게 고정한 후 이 조립체를 챔버에 넣고 83∼87℃ 온도에서 3시간 40분∼4시간 20분 가열하여 가스켓(G)에 의해 밀폐된 공간의 수분이 접착제(10)를 통해 외부로 점차 증발하고, 이 공간의 수분 증발이 완료된 다음 접착제(10)가 경화되게 하여 가스켓(G) 양측의 측면부재(22)와 방열판(4)을 기밀 가능하게 접착 고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측면부재(22) 외벽의 조립홈(22c)에 접착제(10)를 도포한 후 이 조립홈(22c)에 가스켓(G)을 삽입하여 접착제(10)에 부착시킨다. 이후 상기 가스켓(G)의 노출된 상부에도 접착제(10)를 도포한다. 이후 복수 개의 열전소자유니트(3)들이 부착된 방열판(4)을 상기 가스켓(G) 상부에 탑재시키면 열전소자유니트(3)의 열전달블록(32)이 측면부재(22) 외벽에 밀착됨과 동시에 방열판(4)의 저면이 가스켓(G) 상부에 도포된 접착제(10)에 부착되어 가스켓(G) 내부는 밀폐된다. 이후 도 14와 같이 방열판(4)의 체결공(47)을 관통하여 조립홈(22c)과 근접된 외측에 형성된 탭(22d)에 체결된 볼트(B)를 이용하여 측면부재(22)와 방열판(4)을 견고하게 체결 고정한다. 이렇게 조립된 조립체를 83∼87℃의 온도를 유지하는 챔버에 넣고 3시간 40분∼4시간 20분동안 가열하여 접착제(10)를 경화시켜 가스켓(G) 내부를 외부와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10)는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에폭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 가열 과정에서 접착제(10)는 초기 겔상태에서 가열될수록 점차 경화되기 시작하여 종료시간에 이르면 완전히 경화되어 가스켓(G) 양측에 측면부재(22)와 방열판(4)을 고정시키게 된다. 열전소자유니트(3) 주변 공기, 즉 가스켓(G) 내부에 수용된 공기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데, 이 수분은 점차 가열되면서 증발이 시작되고 상부 온도인 83∼87℃에 이르면 원활하게 증발하여 아직 경화되지 않은 접착제(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수분 증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가열 완료시점에 가까우면 수분 증발이 둔화됨과 동시에 접착제(10)도 경화가 진행되고, 가열이 종료되면 수분은 거의 증발되어 가스켓(G) 내부에 남아 있는 공기는 수분이 증발된 건공기가 된다.
따라서 가스켓(G)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에는 수분이 거의 없는 건공기가 되므로 열전소자유니트(3)의 열전소자(31)는 수분에 의한 누전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열전소자(31)의 안전한 구동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G)은 열전소자(31)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로(미도시)가 형성되고, 이 통로는 접착제(10)로 밀폐된다. 상기 가스켓(G)은 본 발명의 전기식 제습기가 사용되는 고온 환경에서 변형되지 않는 조건을 가진 합성수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합성수지는 외부 공기를 차단하면서 열전소자(31)와 전기적으로 통전되지 않아 통전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습도감지센서(5)는 하우징(2)의 제습실(21a), 하우징(2)의 입구 또는 하우징(2)의 입구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실(21a)에 위치한 배기가스 또는 제습실(21a)로 이동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은 일례로 도 20 내지 도 21과 같이 인렛부재(8) 내부에 습도감지센서(5)가 설치됨을 보이고 있다. 상기 습도감지센서(5)는 제어부(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습실(21a)로 이동하는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로 보낸다. 상기 습도감지센서(5)는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노즐(6)은 도 20 내지 도 21과 같이 하우징(2)의 출구(21c) 또는 이 출구(21c)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5)가 감지한 습도가 제어부(7)에 미리 설정된 습도보다 낮을 때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하우징(2)의 제습실(21a)로 분사시켜 제습실(21a)과 포집핀(22a)에 부착된 파우더를 세척한다. 상기 노즐(6)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메인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되어 펌프에 의해 압송된 세척수를 제습실(21a)로 분사하게 된다.
상기 노즐(6)의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17 내지 도 18과 같이 유로를 갖는 몸체가 하우징(2)의 출구 내벽 또는 설치장소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어 그 단부가 폐쇄되고, 유로의 경로상에는 하부에 배치된 포집핀(22a)에 부착된 파우더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분사공(61)이 간격을 두고 관통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2)의 출구가 원형이므로 노즐(6)이 원형태로 구성됨을 보이고 있다.
노즐(6)은 단부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펌프에 의해 압송된 세척수는 분사공(61)을 통해 도면과 같은 방향으로 고압으로 배출되므로 제습실(21a) 전역에 고르게 분사되어 포집핀(22a) 뿐만 아니라 하우징(2) 내벽에도 충분하게 분사되어 제습실(21a) 전역에 부착된 파우더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 노즐(6)은 도 19와 같이 별도로 내부에 유로를 갖는 2개 이상의 몸체가 하우징(2)의 출구 내벽 또는 설치장소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어 각 유로가 일렬로 배치되고, 각 유료의 경로상에는 하부에 배치된 포집핀(22a)에 부착된 파우더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공(61)이 관통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노즐(6)은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부재(62)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2개의 노즐(6)도 단부가 폐쇄되어 세척수는 분사공(61)을 통해 고압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노즐(6)을 2개로 분리하는 이유는 양측에서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수 분사압력을 높여 파우더 세척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부(7)는 습도감지센서(5)가 감지한 습도가 미리 입력된 설정습도보다 낮을 때 솔레노이드밸브(S)를 개방하여 노즐(6)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게 하고, 상기 설정습도보다 높을 때 솔레노이드밸브(S)를 폐쇄하여 노즐(6)로 세척수 공급을 차단한다.
일례로, 상기 습도감지센서(5)가 제어부(7)에 입력된 설정습도보다 낮음을 10분 이상 감지할 때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어부(7)는 10분∼1시간 주기로 5초 이상 세척수를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습도감지센서(5)가 제어부(7)에 입력된 설정습도보다 낮음을 장시간 감지할 때 세척수를 공급하는 주기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습실(21a)을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제어부(7)에 미리 입력된 습도율보다 낮은 상태로 장시간 통과할 때 제어부(7)에 입력된 조건에 따라 노즐(6)에서 고압으로 분사된 세척수가 제습실(21a) 전역에 고르게 공급되어 파우더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점, 열전소자(31)와 열전달블록(32)을 고정하는 케이스를 제거하여 열전소자유니트(3)를 소형화하여 보다 많은 열전소자유니트(3)를 사용하여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점, 열전소자(31) 주변 공기를 건공기로 만들어 사용시 수분에 의한 전기적인 누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점을 갖추고 있으므로 이 기술 분야에서 진보성을 갖춘 발명이라 하겠다.
1 : 제습기 2 : 하우징
3 : 열전소자유니트 4 : 방열판
5 : 습도감지센서 6 : 노즐
7 : 제어부

Claims (7)

  1. 배기가스가 출입할 수 있도록 내부 제습실(21a)과 연통되게 입,출구(21b)(21c)가 관통되는고, 제습실(21a) 내벽에 제습실(21a)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분과 파우더를 포집할 수 있도록 포집핀(22a)이 돌출되는 하우징(2);
    열전소자(31) 냉각면에 열전달블록(32)이 밀접하게 조립되고 이 열전달블록(32)이 상기 포집핀(22a)과 대응되는 하우징(2) 외벽에 밀착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냉각된 열전소자(31) 냉각면의 냉열이 포집핀(22a)에 전달되어 제습실(21a)을 통과하는 수분을 응축시켜 수분과 파우더를 포집핀(22a)에 부착되게 하는 열전소자유니트(3);
    열전소자(31)의 방열면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이 방열면을 냉각기키는 방열판(4);
    하우징(2)의 제습실(21a), 하우징(2)의 입구 또는 하우징(2)의 입구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실(21a)에 위치한 배기가스 또는 제습실(21a)로 이동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감지센서(5);
    하우징(2)의 출구 또는 이 출구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5)가 감지한 습도가 제어부(7)에 미리 설정된 습도보다 낮을 때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하우징(2)의 제습실(21a)로 분사시켜 제습실(21a)과 포집핀(22a)에 부착된 파우더를 세척하는 노즐(6);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5)가 감지한 습도가 미리 입력된 설정습도보다 낮을 때 솔레노이드밸브(S)를 개방하여 노즐(6)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게 하고, 상기 설정습보다 높을 때 솔레노이드밸브(S)를 폐쇄하여 노즐(6)로 세척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7);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포집핀(22a)은 측면부재(22)와 하나의 금속재를 가공하여 단일몸체로 형성되고, 복수 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일군을 형성하고, 상기 일군이 제습실(21a)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배치되며, 이웃하는 일군들의 포집핀(22a)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습도감지센서(5)가 제어부(7)에 입력된 설정습도보다 낮음을 10분 이상 감지할 때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어부(7)는 10분∼1시간 주기로 5초 이상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습실(21a)을 형성하는 하우징(2)의 내벽과 측면부재(22)의 내벽, 그리고 포집핀(22a) 표면은 테프론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제습실(21a)과 연통되게 입,출구(21b)(21c)가 형성되는 본체(21)(2); 및
    내벽에 복수 개의 포집핀(22a)이 돌출되고, 이 포집핀(22a)이 제습실(21a)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의 개방부(21a)에 밀폐되게 조립되는 측면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6)은 유로를 갖는 몸체가 하우징(2)의 출구 내벽 또는 설치장소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어 그 단부가 폐쇄되고, 유로의 경로상에는 하부에 배치된 포집핀(22a)에 부착된 파우더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공(61)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6)은 별도로 내부에 유로를 갖는 2개 이상의 몸체가 하우징(2)의 출구 내벽 또는 설치장소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어 각 유로가 일렬로 배치되고, 각 유료의 경로상에는 하부에 배치된 포집핀(22a)에 부착된 파우더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공(61)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KR1020190066258A 2019-06-04 2019-06-04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KR102135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258A KR102135668B1 (ko) 2019-06-04 2019-06-04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258A KR102135668B1 (ko) 2019-06-04 2019-06-04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668B1 true KR102135668B1 (ko) 2020-07-21

Family

ID=7183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258A KR102135668B1 (ko) 2019-06-04 2019-06-04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018B1 (ko) 2024-01-25 2024-05-17 하정자 열전소자를 이용한 증기 응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167A (ja) * 2004-12-08 2006-06-22 Wetmaster Co Ltd 加湿装置
KR101328500B1 (ko) 2013-03-29 2013-11-13 (주)퓨리셈 스크러버용 제습장치
KR101619242B1 (ko) * 2015-09-30 2016-05-10 주식회사 썬닉스 스크러버용 제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167A (ja) * 2004-12-08 2006-06-22 Wetmaster Co Ltd 加湿装置
KR101328500B1 (ko) 2013-03-29 2013-11-13 (주)퓨리셈 스크러버용 제습장치
KR101619242B1 (ko) * 2015-09-30 2016-05-10 주식회사 썬닉스 스크러버용 제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018B1 (ko) 2024-01-25 2024-05-17 하정자 열전소자를 이용한 증기 응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684B1 (ko) 반도체공정의 부산물 포집장치
US20090223077A1 (en) Domestic Appliance for the Care of Washed Articles
RU2446512C1 (ru) Узел элементов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узла элементов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йки
WO2018212940A1 (en) Apparatus for collection and subsequent reaction of liquid and solid effluent into gaseous effluent
KR101932654B1 (ko) 제어반용 제습장치
US20080212642A1 (en) Fluid temperature control device
EP0956142A4 (ko)
KR101619242B1 (ko) 스크러버용 제습장치
US9842746B2 (en) Purge gas spraying plate and fume remo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107733A (ko) 트랩 장치
KR102135668B1 (ko) 습도율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어 파우더를 세척하는 전기식 제습기
TWI575200B (zh) 熱電壓縮氣體或惰性氣體乾燥器
EP3290901B1 (en) Pre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analyzing air pollution
WO2008029858A1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semiconductor package assembly
KR102127952B1 (ko) 냉각수 순환시스템 일체형 부산물 포집장치
CN215997346U (zh) 热熔胶加热装置及点胶设备
KR102135667B1 (ko) 전기식 제습기
KR20200020211A (ko) 펠티어소자가 구비된 습기제거모듈
JP2000349034A (ja) シール用o−リングの熱保護を改良したマイクロ波プラズマ発生装置
JP2001131748A (ja) トラップ装置及びトラップ方法
CN205081671U (zh) 一种具备防潮除湿功能的功率模块
KR102227543B1 (ko) 멀티 파우더 트랩
KR100272316B1 (ko) 반도체설비용항온항습에어공급장치
US4637456A (en) Heat exchanger
EP0666972B1 (en) Gas heater for processing g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