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593B1 - 다중모드 현미경 - Google Patents

다중모드 현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593B1
KR102135593B1 KR1020180150959A KR20180150959A KR102135593B1 KR 102135593 B1 KR102135593 B1 KR 102135593B1 KR 1020180150959 A KR1020180150959 A KR 1020180150959A KR 20180150959 A KR20180150959 A KR 20180150959A KR 102135593 B1 KR102135593 B1 KR 102135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formation
optical
fiber coupler
double cl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636A (ko
Inventor
송철
장연희
임진택
이명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5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593B1/ko
Priority to PCT/KR2019/012592 priority patent/WO2020111486A1/ko
Publication of KR2020006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02B21/0024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 G02B21/0028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endoscopes, ophthalmoscopes, attachments to conventional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드 광섬유를 활용한 현미경은 관찰대상물(102)의 표피정보와 단층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배치되는 광학프로브(100);와, 상기 광학프로브(100)의 정보를 전달받는 광섬유(101)와 연결되어 상기 광학프로브(1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와,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관찰대상물(102)의 단면정보를 추출하는 Optical Coherence Tomography(130);와,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관찰대상물(102)의 표피정보를 추출하는 CM(120);과, 상기 Optical Coherence Tomography(130) 및 상기 Confocal microscope(12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미지 처리하는 영상보드(140);와, 상기 영상보드(140)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컴퓨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중모드 현미경{Multimode microscope}
본 발명은 다중 모드 현미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찰대상물에 두 가지 이상의 파장을 포함하는 광이 조사되어 관찰대상물의 단층정보와 표면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공초점 현미경은 깊이방향의 분해능을 가지는 현미경으로써, 시편의 3차원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비침습 광학 현미경으로써 현재 산업계 및 바이오 이미징 연구에 다각도로 사용되고 있다.
내시현미경이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내시경 장비가 낮은 분해능으로 인해 세포단위의 진단이 불가능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분해능 초소형 대물렌즈를 이용하여 인체 내에 삽입 가능한 초소형 현미경으로써 세포단위의 고분해능 영상을 획득하여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장비이다.
공초점 내시현미경이란, 위에서 설명한 공초점 기능과 내시현미경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3차원 영상획득이 가능한 고분해능 내시현미경을 의미한다.
이에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1)는 파이버 번들을 이용한 공초점 내시현미경에 관한 것으로서, (선행기술1)의 시스템은 병변 부위의 세포를 표면에서부터 일정 깊이의 세포영상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내시 현미경의 프로브가 광섬유 다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상 획득을 위한 레이저 스캔이 프로브 뒤쪽에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그리고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2)는 공초점 현미 내시경과 일반 비디오 내시경이 결합된 시스템으로서, (선행기술2)의 시스템은 세포단위의 공초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일반 비디오 내시경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이 결합되며, 시스템에 결합된 프로브에는 일반 비디오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과 공초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3)는 광 간섭성 단층촬영기술(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이하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또는 'OCT' 라고도 칭함)와 공초점 현미경을 결합한 광학 이미징 시스템 관한 것으로서, (선행기술3)의 시스템은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시스템과 공초점 현미경 시스템을 결합한 현미경이 구비된다.
또한, 대기 중의 free space 기반으로 레이저 광원이 각 광학 부품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전달되고,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시스템과 공초점 시스템 각각이 개별적인 스캐닝 엔진을 구비한다.
이에 (선행기술1), (선행기술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초점 단일 모드로는 병변 의심 부위의 깊이 방향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어느 깊이 까지 병변이 퍼져있는지 확인하기 어려워 영상획득 가능 범위의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선행기술1)은 광섬유 다발을 이용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비교적 떨어지며, (선행기술2)는 부피가 큰 시스템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내시경에 접목해서 사용할 수 없고, (선행기술3)는 부피가 매우 큰 프로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시경 형식으로 사용할 수 없어 시스템 활용이 한정적인 무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3)은 대기중의 자유공간(free space) 기반의 광학 시스템으로 레이저 광원이 각각의 광 부품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전달되므로, 광학 부품의 정렬 및 배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1)미국 등록특허공보 US20050242298A1 (선행기술2)일본 공개특허공보 JP2011098169A (선행기술3)Iftimia, Nicusor, et al. "Handhel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probe for detection of basal cell carcinoma and delineation of margins." Journal of biomedical optics 22.7 (2017): 07600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섬유 기반의 광학 시스템으로 공간 활용도가 높고 종래 구조에 비해 비교적 간단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하나의 광학 프로브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더블 클래드 파이버(Double Clad Fiber, 이하 'Double Clad Fiber' 라고도 칭함) 커플러를 통해 분리하여 관찰대상물(이하 '시편'이라고도 칭하며 관찰대상물과 시편을 혼용하여 사용한다)의 단층정보와 표피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다중 모드 현미경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중모드 광섬유를 활용한 현미경에 있어서, 관찰대상물(102)의 표피정보와 단층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배치되는 광학프로브(100);와, 상기 광학 프로브(100)의 정보를 전달받는 광섬유(101)와 연결되어 상기 광학프로브(1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와,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관찰대상물(102)의 단면정보를 추출하는 Optical Coherence Tomography(130);와,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관찰대상물(102)의 표피정보를 추출하는 공초점 현미경 (120, Confocal microscope, 이하 'Confocal microscope' 또는 'CM'이라 고도 칭함);과, 상기 Optical Coherence Tomography(130) 및 상기 CM(12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미지 처리하는 영상보드(140);와, 상기 영상보드(140)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컴퓨터(150)로 이루어져, 하나의 상기 광학프로브(1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를 통해 분리하여 관찰대상물(102)의 단층정보와 표피정보를 동시에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현미경이 제공된다.
여기서 단층정보란 시편에 대해 각 깊이에 따른 정보이고, 표피정보란 시편의 표면 혹은 일정깊이 에서의 정보를 칭한다.
이때 일정깊이란 Confocal microscope에 의해 포커싱 되는 위치로서 표면에 포커싱이 될 때는 표면정보를 추출하게 되며, 포커싱이 표면에서 일정깊이에 포커싱이 될 때에는 해당깊이에 대한 시편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OCT 에는 일반적으로 마이켈슨 간섭계가 사용되나 다른 형태의 간섭계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광학프로브(100)를 통해 상기 관찰대상물(102)에 두 가지 파장을 포함하는 광이 조사되되, 상기 두 가지 파장중 하나의 파장은 제1광원(160)에서 전달되는 (500nm 근방의) 가시광선 파장을 갖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의 파장은 제2광원(170)에서 전달되는 (1300 nm 근방의) 근적외선 중심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광원(160)에서 출사된 제1광은 제1싱글모드광섬유(161)를 통해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전달되고, 상기 제2광원(170)에서 출사된 제2광은 제2싱글모드광섬유(171)를 통해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전달되며, 상기 제1광과 제2광을 전달받은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는 상기 광학프로브(100)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Optical Coherence Tomography(130)는 제2광 생성부와 두 개의 광을 간섭시키는 간섭부와 상기 간섭된 광으로부터 단층영상을 정보를 추출하는 OCT용 광수신부(134)로 구성된다.
여기서 OCT용 광수신부는 스펙트로메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광 생성부는 제2광원(170)과 제2싱글모드광섬유(171)를 포함하며, 상기 간섭부는 상기 제2싱글모드광섬유(171)와 연결된 제2광을 분할하거나 간섭시키는 광분할기(131);와, 상기 광분할기(131)에서 분할된 광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제2콜리메이터(132)와, 상기 평행광을 반사시켜 기준광으로 만드는 기준미러(1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분할기(131)는 상기 분할된 광의 일부가 상기 관찰대상물(102)로 조사된 후 단층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단층반사광과 상기 기준광을 간섭시켜 간섭광을 만들어 상기 OCT용 광수신부(134)로 전달하고, 상기 OCT용 광수신부(134)는 전달된 상기 간섭광으로부터 단층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M(120)은 제1광 생성부와 상기 제1광이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를 통해 상기 관찰대상물(102)로 조사된 후 시편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표피반사광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제1콜리메이터(121)와, 상기 평행광의 단면을 일정형태로 차단하는 에미션필터(122)와 상기 차단된 광을 포커싱 하는 포커싱렌즈(123)와, 상기 포커싱된 광으로부터 표피정보를 추출하는 CM용 광수신기(124)로 형성된다.
여기서 CM용 광수신기는 포토 멀티플라이어 튜브 (Photo Multiplier Tube, 이하 'Photo Multiplier Tube'라고도 칭함)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광과 상기 제2광 중에서 분할된 분할광을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전달되되, 하나의 파장분할 다중화기(180,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이하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라고도 칭함)에서 합쳐져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동시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와 상기 제1콜리메이터(121) 사이에는 멀티모드광섬유(125)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보드(140)는 상기 OCT(130) 로부터 단층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CM (120)으로부터 표피정보를 전달받아 이미지처리한 후, 상기 컴퓨터(150)로 전달하며 상기 컴퓨터(150)는 하나의 화면에 표피이미지와 해당 표피이미지의 단층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display)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미경을 통해 관찰대상물의 표피이미지 정보뿐만 아니라 관찰 대상물의 단층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섬유 기반의 광학 시스템으로 공간 활용도가 높고 종래의 구조에 비해 비교적 간단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소형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OCT와 공초점 현미경 각각의 스캐닝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시스템이 복잡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초점 내시 현미경 시스템을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 현미경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프로브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 현미경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프로브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드 광섬유를 활용한 현미경은 광학프로브(100),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 CM(120), OCT(130), 영상보드(140) 및 컴퓨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학프로브(100)는 관찰대상물(102)의 표피정보와 단층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는 상기 광학프로브(100)의 정보를 전달받는 광섬유(101)와 연결되어 상기 광학 프로브(1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OCT(130)는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관찰대상물(102)의 단면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CM(120)은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관찰대상물(102)의 표피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영상보드(140)는 상기 OCT(130) 및 상기 CM(12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미지 처리하며. 상기 컴퓨터(150)는 상기 영상보드(140)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display) 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현미경은 하나의 상기 광학프로브(1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를 통해 분리하여 관찰대상물(102)의 단층정보와 표피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현미경은 관찰대상물(102)의 공초점 세포 영상을 보면서, 깊이 방향으로의 병변 정보를 알 수 있으며, 내시경 타입이기 때문에 신체 내부의 영상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광학프로브(100)를 통해 상기 관찰대상물(102)에 두 가지 파장을 포함하는 광이 조사된다.
이때, 상기 두 가지 파장중 하나의 파장은 제1광원(160)에서 전달되는 450 nm근방이고, 나머지 하나의 파장은 제2광원(170)에서 전달되는 1300 nm를 중심 파장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광원(160)에서 출사된 제1광은 제1싱글모드광섬유(161)를 통해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전달되고, 상기 제2광원(170)에서 출사된 제2광은 제2싱글모드광섬유(171)를 통해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1광과 제2광을 전달받은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는 상기 광학프로브(10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OCT(130)는 제2광 생성부와 두 개의 광을 간섭시키는 간섭부와 상기 간섭된 광으로부터 단층영상을 정보를 추출하는 OCT용 광수신부(134)로 구성된다.
여기서 OCT용 광수신부는 스펙트로메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광 생성부는 제2광원(170)과 제2싱글모드광섬유(17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간섭부는 상기 제2싱글모드광섬유(171)와 연결된 제2광을 분할하거나 간섭시키는 광분할기(131);와, 상기 광분할기(131)에서 분할된 광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제2콜리메이터(132)와, 상기 평행광을 반사시켜 기준광으로 만드는 기준미러(1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광분할기(131)는 상기 분할된 광의 일부가 상기 관찰대상물(102)로 조사된 후 단층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단층반사광과 상기 기준광을 간섭시켜 간섭광을 만들어 상기 OCT용 광수신부(134)로 전달하고, 상기 OCT용 광수신부(134)는 전달된 상기 간섭광으로부터 단층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광분할기는 2x2 커플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CM(120)은 제1광 생성부와 상기 제1광이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를 통해 상기 관찰대상물(102)로 조사된 후 표피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표피반사광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제1콜리메이터(121)와, 상기 평행광의 단면을 일정형태로 차단하는 에미션필터(122)와 상기 차단된 광을 포커싱 하는 포커싱렌즈(123)와, 상기 포커싱된 광으로부터 표피정보를 추출하는 CM용광수신기(124)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광과 상기 제2광 중에서 분할된 분할광을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전달되되, 하나의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180)에서 합쳐져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동시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와 상기 제1콜리메이터(121) 사이에는 멀티모드광섬유(125)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영상보드(140)는 상기 OCT(130) 로부터 단층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CM (120)으로부터 표피정보를 전달받아 이미지처리한 후, 상기 컴퓨터(150)로 전달하며 상기 컴퓨터(150)는 하나의 화면에 표피이미지와 해당 표피이미지의 단층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display) 함으로써 관찰대상물(102)의 단층정보와 표피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광원(170)으로부터 출사된 제2광은 상기 제2싱글모드 광섬유(171)로 전달되어 상기 광분할기(131)에서 두방향으로 나눠진다.
또한, 상기 광분할기(131)에서 나누어진 레이저 중 한 갈래의 광은 상기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180)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1광원(160)으로부터 출사된 제1광과 합쳐져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의 제1포트(111)를 거쳐 상기 광학프로브(100)로 전달되어 상기 관찰대상물(102)의 표피에서 반사된다.
그리고 상기 관찰대상물(102)의 표피에서 반사된 광은 다시 상기 광학프로브(100)로 입사되고, reference arm(기준부재) 쪽으로 이동한 레이저 역시 반사되어 되돌아오면 상기 광분할기(131)에서 상기 관찰대상물(102)의 표피에서 반사된 광과 간섭을 일으킨다.
이때, 상기 광분할기(131)에서 간섭이 일어난 광 신호는 상기 OCT용 광수신부(134)에서 측정되어 상기 영상보드(140)를 거쳐 영상으로 재구성되고, 해당 영상은 관찰대상물(102)의 깊이 방향으로의 단층 모습으로 상기 컴퓨터(150)에 디스플레이(display) 된다.
또한, 상기 제1광원(160)으로부터 출사된 제1광은 상기 제1싱글모드 광섬유(161)로 전달되어 상기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180)에서 상기 제2광원(170)으로부터 출사된 제2광과 합쳐져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의 제1포트(111) 거쳐 상기 광학프로브(100)로 전달되어 상기 관찰대상물(102)에 흡수된다.
그리고 상기 관찰대상물(102)에서 흡수되고 방출된 광은 다시 상기 광학프로브(100)로 입사되고,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의 제2포트(112)를 통해 상기 멀티모드광섬유(125)를 거친 뒤, 상기 에미션필터(122)와 포커싱렌즈(123)를 투과해 상기 CM용 광수신기(124)에 측정된다.
이때, 상기 CM용 광수신기(124)에 측정된 신호는 상기 영상보드(140)를 거쳐 영상으로 재구성되고, 해당 영상은 관찰대상물(102)의 표피로부터 일정 깊이에 존재하는 세포 영상으로 상기 컴퓨터(150)에 디스플레이(display)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학프로브(100)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 내에는 원통형 압전튜브(5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압전튜브(500)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50) 내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압전튜브결합부(530)에 물리적으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압전튜브(500)의 내부에는 한쪽만 고정된 외팔보 형태의 광섬유스캐너(6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스캐너(600)의 타단부는 상기 압전튜브(500)의 타단부에서 광섬유고정부(510)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광섬유스캐너(600)의 일단부는 자유단이며, 상기 광섬유고정부(510)에 의해 고정되는 광섬유스캐너(600)는 상기 광섬유고정부(510)에서 돌출된 형태로 상기 광섬유고정부(510)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광학프로브 101 : 광섬유
102 : 관찰대상물 110 : Double Clad Fiber 커플러
120 : Confocal microscope 121 : 제1콜리메이터
122 : 에미션필터 123 : 포커싱렌즈
124 : CM용광수신기 125 : 멀티모드광섬유
130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131 : 광분할기
132 : 제2콜리메이터 133 : 기준미러
134 : OCT용 광수신부 140 : 영상보드
150 : 컴퓨터 160 : 제1광원
161 : 제1싱글모드 광섬유 170 : 제2광원
171 : 제2싱글모드 광섬유
180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Claims (6)

  1. 다중모드 광섬유를 활용한 현미경에 있어서,
    관찰대상물(102)의 표피정보와 단층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배치되는 광학프로브(100);와,
    상기 광학프로브(100)의 정보를 전달받는 광섬유(101)와 연결되어 상기 광학프로브(1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와,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관찰대상물(102)의 단면정보를 추출하는 OCT(130);와,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관찰대상물(102)의 표피정보를 추출하는 CM(120);과,
    상기 OCT(130) 및 상기 CM(12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미지 처리하는 영상보드(140);와,
    상기 영상보드(140)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컴퓨터(150)로 이루어져,
    하나의 상기 광학프로브(1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를 통해 분리하여 관찰대상물(102)에 대해 상기 단층정보와 표피정보를 동시에 획득하며
    상기 광학프로브(100)를 통해 상기 관찰대상물(102)에 두 가지 파장을 포함하는 광이 조사되되,
    상기 두 가지 파장중 제2광원(170)에서 전달되는 파장은 근적외선광 영역이며
    상기 OCT(130)는 제2광 생성부와 두 개의 광을 간섭시키는 간섭부와 상기 간섭된 광으로부터 단층영상을 정보를 추출하는 OCT용 광수신부(134)로 구성되되,
    상기 제2광 생성부는 제2광원(170)과 제2싱글모드광섬유(171)를 포함하며,
    상기 간섭부는 상기 제2싱글모드광섬유(171)와 연결된 제2광을 분할하거나 간섭시키는 광분할기(131);와, 상기 광분할기(131)에서 분할된 광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제2콜리메이터(132)와, 상기 평행광을 반사시켜 기준광으로 만드는 기준미러(133)를 포함하고.
    상기 광분할기(131)는 상기 분할된 광의 일부가 상기 관찰대상물(102)로 조사된 후 단층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단층반사광과 상기 기준광을 간섭시켜 간섭광을 만들어 상기 OCT용 광수신부(134)로 전달하며,
    상기 OCT용 광수신부(134)는 전달된 상기 간섭광으로부터 단층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현미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1광원(160)에서 출사된 제1광은 제1싱글모드광섬유(161)를 통해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전달되고, 상기 제2광원(170)에서 출사된 제2광은 제2싱글모드광섬유(171)를 통해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전달되며,
    상기 제1광과 제2광을 전달받은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는 상기 광학프로브(1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현미경.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M(120)은 제1광 생성부와 상기 제1광이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를 통해 상기 관찰대상물(102)로 조사된 후 시편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표피의 반사광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제1콜리메이터(121)와, 상기 평행광의 단면을 일정형태로 차단하는 에미션필터(122)와 상기 차단된 광을 포커싱 하는 포커싱렌즈(123)와, 상기 포커싱된 광으로부터 표피정보를 추출하는 CM용 광수신부(12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현미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과 상기 제2광 중에서 분할된 분할광을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전달되되, 하나의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180)에서 합쳐져 상기 Double Clad Fiber 커플러(110)로 동시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현미경.
KR1020180150959A 2018-11-29 2018-11-29 다중모드 현미경 KR102135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959A KR102135593B1 (ko) 2018-11-29 2018-11-29 다중모드 현미경
PCT/KR2019/012592 WO2020111486A1 (ko) 2018-11-29 2019-09-27 다중모드 현미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959A KR102135593B1 (ko) 2018-11-29 2018-11-29 다중모드 현미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36A KR20200064636A (ko) 2020-06-08
KR102135593B1 true KR102135593B1 (ko) 2020-07-20

Family

ID=7085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959A KR102135593B1 (ko) 2018-11-29 2018-11-29 다중모드 현미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5593B1 (ko)
WO (1) WO202011148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2435A1 (en) 2003-05-29 2007-01-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Double-clad fiber scanning microscope
US20150049339A1 (en) 2005-09-29 2015-02-19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imaging via spectral encod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2407B1 (fr) 2002-07-18 2005-05-06 Mauna Kea Technologies "procede et appareillage d'imagerie de fluorescence confocale fibree"
JP2005230202A (ja) * 2004-02-19 2005-09-02 Fujinon Corp 断層映像装置
JP2011098169A (ja) 2009-11-09 2011-05-19 Hoya Corp 共焦点内視鏡装置、及び共焦点内視鏡システム
KR20150035035A (ko) * 2013-09-27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초점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 시스템
US10649136B2 (en) * 2015-06-25 2020-05-12 Nkt Photonics A/S Delivery fiber assembly and a broad band sour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2435A1 (en) 2003-05-29 2007-01-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Double-clad fiber scanning microscope
US20150049339A1 (en) 2005-09-29 2015-02-19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imaging via spectral encoding
JP6174609B2 (ja) * 2005-09-29 2017-08-02 ザ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イション 1以上の生物学的構造体のマルチモダリティ顕微鏡画像生成を実行する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36A (ko) 2020-06-08
WO2020111486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24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ed optical-coherence-tomographic and confocal detection
JP6768747B2 (ja) Oct光源および走査光学系を使用する2次元の共焦点撮像
US6992776B2 (en) Method for studying a sample and optical interferometer for doing the same
US10028656B2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apparatus
US7474407B2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ith 3d coherence scanning
US8585587B2 (en) Determining phase variation of light in an endoscope
US7649629B2 (en) Optical imaging apparatus with spectral detector
JP2013006071A (ja) 少なくとも1つの電磁放射を伝播するよう構成される機器
EP1201182B1 (en) Imaging apparatus
JP5162431B2 (ja) 光立体構造像装置
JP2002525133A (ja) 改良された観察品質を呈する内視装置
JP3869249B2 (ja) 光イメージング装置
Wurster et al. Endoscopic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ith a flexible fiber bundle
JP4624605B2 (ja) 光イメージング装置
Vega et al. Triple-modality co-registered endoscope featuring wide-field reflectance imaging, and high-resolution multiphoton and optical coherence microscopy
Vega et al. A co-registered multimodal imaging system for reflectance, multiphoton, and optical coherence microscopy
KR102135593B1 (ko) 다중모드 현미경
JP7277560B2 (ja) 被験体を非侵襲的に検査するためのマルチモード撮像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6154228A (ja) 光断層イメージング装置
JP2010210501A (ja) 光立体構造像装置
WO2010064516A1 (ja) 光立体構造像装置及びその光信号処理方法
Zhao et al. Towards ultrathin fiber-optic probe for simultaneous photoacoustic and fluorescence endoscopy
CN217310266U (zh) 一种皮肤成像系统
WO2022085628A1 (ja) 光ファイバーバンドルを用いた非線形ラマン散乱内視鏡
Czarske et al. Fast 3D imaging with lensless holographic endoscopy employing coherent fiber bund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