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289B1 - 서스펜션 모듈, 서스펜션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 및 서스펜션 모듈 또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모듈, 서스펜션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 및 서스펜션 모듈 또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289B1
KR102135289B1 KR1020197019593A KR20197019593A KR102135289B1 KR 102135289 B1 KR102135289 B1 KR 102135289B1 KR 1020197019593 A KR1020197019593 A KR 1020197019593A KR 20197019593 A KR20197019593 A KR 20197019593A KR 102135289 B1 KR102135289 B1 KR 102135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uspension module
electric motor
longitudinal axis
susp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398A (ko
Inventor
세바스티엔 레메트르
줄리엔 페이엑스
에이드리엔 브론덱스
Original Assignee
솜피 액티비티즈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솜피 액티비티즈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솜피 액티비티즈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94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2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inside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7/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 H02K2207/03Tubular motors, i.e. rotary motors mounted inside a tube, e.g. f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의 관형 케이싱(18) 내에서 전기 모터(16)를 위한 서스펜션 모듈(10)에 관한 것이며,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를 위한 것으로 의도되며, 모노블록 서스펜션 부재(100)를 포함한다. 서스펜션 부재(100)는 전기 모터(16)의 회전자의 회전축(X16)와 정렬되도록 의도된 길이 방향 축(X100)을 따라 연장한다. 상기 서스펜션 부재(100)는 길이 방향 축(X100)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축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인접하며, 적어도 하나의 중간 원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원형 플레이트(1202, 1204)를 포함한다. 각각의 중간 원형 플레이트는 적어도 세 개의 연결 포인트(128, 228)에 의해 인접한 두 개의 플레이트(1202, 1204) 각각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서스펜션 모듈, 서스펜션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 및 서스펜션 모듈 또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시스템
본 발명은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 내의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의 관형 케이싱 내부의 전기 모터용 서스펜션 모듈에 관한 것이다.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 분야에서는, 통 형상 케이싱 내부에 대부분 기어드 모터 타입 전동기를 삽입하여 전기 액추에이터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 내에서 롤러 스크린의 권선 튜브 내부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린은 예를 들어 블라인드(blind), 롤링 셔터(rolling shutter) 또는 창살(grate)일 수 있다.
작동 중에, 전기 모터는 전기 모터를 둘러싸는 요소, 특히 관형 케이싱 및/또는 권취 튜브에 전달될 수 있는 진동을 발생시켜,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가 작동할 때 소음을 발생시킨다.
이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EP-B-1,727,959로부터, 길이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한편 토크의 영향하에 비틀림에 견디는 하나 이상의 탄성 커플링 수단을 사용하여, 해당 환경에 맞게 전기 모터를 올바르게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해법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만족할 만한데, 이는 공지된 서스펜션 모듈이 2가지 요구 사항 즉, 전기 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축 주위로의 토크의 양호한 전달을 허용하는 상대적으로 현저한 비틀림 강성(torsional stiffness)을 갖는 것과, 이 모터로부터 진동의 전파를 제한하기 위하여 모터와 환경 사이의 기계적 분리를 보장하도록 전단 및 굴곡 유연성을 갖는 것을 만족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공지된 탄성 커플링 수단에서, 합성 재료, 특히 폴리 우레탄으로 제조된 실린더를 사용하여 케이싱에 대해 모터를 고정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이 실린더는 제한된 토크 전달 능력을 가지고 있다. 강성을 높이면 소음 여과 성능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 게다가, 합성 재료로 제조된 실린더는 큰 직렬로 생산하고 조립하기가 어렵고, 중요한 생산 결함의 원인이다.
또한 점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부품을 사용하여 모터에서 오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점탄성 재료는 실제로 재료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감쇠를 도입한다. 이들은 액추에이터의 주행 종료 한계의 정의 또는 심지어 스크린로드 바의 진동과 관련하여 문제를 발생시키는 실질적인 흐름에 취약하다. 또한, 이러한 점탄성 재료의 진동-음향 성능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전단 및/또는 굴곡에서 충분하게 유연하게 하면서 충분한 강성 또는 비틀림 강성을 가져서 전기 모터가 상보적인 요소와의 회전에서 맞물리도록 하여 환경을 향한 전기 모터의 진동, 따라서 잡음의 전달을 크게 제한하는 새로운 서스펜션 모듈을 제안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기 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축 상에 정렬되도록 의도된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일체형 서스펜션 부재를 포함하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를 위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의 관형 케이싱 내부의 전기 모터용 서스펜션 모듈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서스펜션 부재는 길이 방향 축에 수직으로 배열되고 이 축을 따라 병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환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수의 환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중간 환형 플레이트는 적어도 세 개의 연결 브리지에 의해 인접한 두 개의 플레이트 각각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중간 환형 플레이트를 인접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3 개의 연결 브리지는 토크 전달 동안 서스펜션 부재에 가해지는 비틀림 힘을 분배하는 것을 가능하게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서스펜션 부재에 종래 기술의 커플링 수단보다 양호한 비틀림 강성 및 전달 될 토크의 양호한 분배를 제공한다. 또한, 각 플레이트의 각 측면에 위치한 3 개의 연결 브리지는 플레이트가 탄성 변형되도록 하는 베어링 포인트를 구성하여, 본 발명의 서스펜션 부재에 굴곡 및/또는 전단력에 있어 높은 수준의 유연성을 부여한다. 굴곡은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 주위로 서스펜션 부재의 다른 단부에 대한 서스펜션 부재의 한 단부의 회전에 의한 변형을 지칭한다. 전단(shear)은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병진 이동함에 의한 서스펜션 부재의 변형을 지칭한다. 길이 방향 축을 따라 환형 플레이트가 병치된 서스펜션 부재의 구조는 또한 이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른 진동의 전달을 제한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환형 플레이트의 각각의 측면 상에 적어도 3개의 연결 브리지를 사용함으로써, 반경 방향 및 길이 방향 축선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들 환형 플레이트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는 서스펜션 부재의 재료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토크에 대한 내성과 굴곡 및 전단에서의 강성 사이에서 최상의 타협을 얻는 한편, 특히 분사에 의해 생성하기 쉬운 부품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환형 플레이트의 둘레에 이들 브리지의 분포로 인하여, 각 브리지에서 비틀림 힘의 3개로의 분할은 원칙적으로 굴곡에 대한 단점인 더 짧은 플레이트 단면 또는 브랜치를 초래한다. 그러나 브랜치의 디자인, 예를 들어 원형이 아닌 직선형, 이들의 조정된 치수 등은 이러한 단점을 크게 상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스펜션 부재에 고려되는 구조로 인해, 서스펜션 부재는 유리 섬유로 채워지지 않은 재료에 주입함으로써, 즉 잘 제어되고 비용 효율적인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하지만 선택적 측면에 따르면, 그러한 서스펜션 부재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합으로 고려되는 다음 특징 중 하나 또는 몇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 각각의 연결 브리지는 굴곡 및 전단력이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가해지는 경우에 플레이트, 특히 이 베어링 포인트의 양측의 플레이트 단면들이 변형되도록 하는 베어링 포인트를 형성한다.
- 중간 환형 플레이트의 제1 축 면 상에 위치하는 연결 브리지가 제1 축 면에 반대되는 동일한 환형 플레이트의 제2 축 면 상에 위치된 연결 브리지에 대해 길이 방향 축 주위로 각도적으로 오프셋된다.
- 중간 환형 플레이트의 각각의 축 면 상에서, 연결 브리지는 길이 방향 축 주위로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 중간 환형 플레이트의 상기 각각의 축 면은 길이 방향 축 주위로 120°마다 분포되는 3개의 연결 브리지를 구비하며, 이 중간 환형 플레이트의 두 개의 대향하는 축 면 상에 배치된 두 개의 연결 브리지는 길이 방향 축 주위로 60° 또는 180° 만큼 각도적으로 오프셋된다.
- 각각의 환형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직선으로 된 일련의 빔에 의해 형성되고, 각 연결 브리지는 환형 플레이트의 원주 상의 2개의 인접하는 빔들 사이의 접합점에 배치된다.
- 상기 서스펜션 부재가 길이 방향 축 주위로 비틀림 힘을 받는 경우에 환형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의 빔은 압축 상태에서 동작하여, 토크의 통과를 허용한다.
- 한 쌍의 두 개의 인접한 빔 중 적어도 하나의 빔은 연결 브리지 주위로 굴곡 상태에서 동작하며, 이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가요성을 보장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 내부의 진동을 포함한다.
- - 상기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측정된 중간 플레이트의 두께는 연결 브리지에 접근함에 따라 증가한다.
- - 상기 서스펜션 모듈은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중간 플레이트(들) 내부에 배치된 다각형 튜브를 포함하고, 이 다각형 튜브는 상기 서스펜션 모듈의 두 단부 부분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이 다각형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보강 리브를 구비한다.
- - 상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다각형 튜브 및 중간부는 길이 방향 축 주위로의 상대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형태 협력에 의해 맞물리는 상보적인 릴리프의 형태로 제공된다.
- - 상기 서스펜션 모듈은 상기 중간부 상에 부착된 단부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각형 튜브 상에 제공된 차단 부재는 상기 단부 피스가 상기 중간부 상의 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중간부에 대응하는 하우징에서 축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로킹된다.
- 단부 피스가 상기 중간부 상에 제 위치에 있는 경우, 이 단부 피스의 스커트는 상기 다각형 튜브의 일부분을 방사상으로 둘러싸고, 상기 중간 부분의 내부 다각형 단면에 끼워진다.
- 상기 서스펜션 모듈은 제1 축방향 단부 부분에 모터의 고정 부분과 상기 길이 방향 축 주위로 회전식으로 맞물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제1 단부 부분에 대향하는 제2 축방향 단부 부분에 상기 관형 케이싱에 중심 맞춤 및 고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 상기 서스펜션 모듈은 제1 축방향 단부 부분에 액추에이터의 출력 샤프트와 상기 길이 방향 축 주위로 회전식으로 맞물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제1 단부 부분에 대향하는 제2 축방향 단부 부분에 전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와 길이 방향 축 주위로 회전식으로 맞물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 상기 중간 환형 플레이트 및 연결 브리지는 상기 제1 단부 부분와 제2 단부 부분 사이에서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위치되는 서스펜션 부재의 중간부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를 위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관형 케이싱 내부에 장착된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기 모터는 전술한 것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관형 케이싱에 매달린다. 그러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는 종래 기술의 것에 비해 보다 견고하고 시끄럽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모터는 상기 관형 케이싱과 회전식으로 상기 전기 모터의 고정 부분과 결합하는 제1 서스펜션 모듈,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출력 샤프트와 회전식으로 상기 전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와 결합하는 제2 서스펜션 모듈을 이용하여 관형 케이싱에 매달린다.
동일하고, 각각 제1 특정 단부 피스와 관련되는 2개의 서스펜션 모듈의 서스펜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후자는 전술한 서스펜션 부재 및/또는 전술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잘 이해 될 것이고 그 다른 장점은 예로서 단독으로 제공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서스펜션 모듈의 2 가지 실시예, 전동 액추에이터의 일 실시예 및 그 원리에 따른 설비의 3 가지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 비추어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러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햇빛 차단 설비의 단면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러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폐쇄 설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도 1 및 도 2의 장치 중 하나에 속하는 권선 튜브의 길이 방향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세 IV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상세 V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의 부분에 사용된 서스펜션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서스펜션 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라인 VIII-VIII를 따른 투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화살표(IX) 방향에서의 단부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의 방위에 따라 확대된 도 6 내지 도 10의 서스펜션 모듈에 속하는 환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의 부분에 사용된 서스펜션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서스펜션 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라인 XIV-XIV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화살표 XV 방향의 단부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모듈에 대한, 도 6과 비교 가능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서스펜션 모듈의 축 방향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 및 도 17의 서스펜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상세 19의 확대도이며,
도 20은 도 16 내지 도 19의 서스펜션 모듈의 단부 피스의 다른 각도로부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모듈에 대한 도 18과 유사한 도면이며,
도 22는 도 21의 서스펜션 모듈의 단부 피스에 대한 도 20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두 자동화 설비(I1 및 I2)를 설명하는 것이며, 빌딩(B)에 설치된 각각은 블랙아웃 장치(3)에 속하며, 특히 모터 구동 블라인드 또는 모터 구동 셔터인, 스크린(2)을 구비하는 창 또는 문과 같은 개구부(1)를 포함한다.
블랙아웃 장치(3)는 특히 직물로 만들어지고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주름진 또는 슬레이트된, 권취될 수 있는 블라인드로서, 이 경우에는 설비(I1)는 햇빛 차단 설비이며,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 또는 창살, 이 경우에는 설비(I2)는 폐쇄 설비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블랙아웃 장치(3)의 스크린(2)은 모터 기반 구동 장치(5)에 의해 구동되는 권취 튜브(4) 상에 권취된다. 스크린(2)은 감겨진 위치, 특히 상부 위치와 풀린 위치, 특히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블랙아웃 장치(3)는 스크린(2)의 지지부(23) 뿐만 아니라 스크린(2)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 튜브(4)를 포함한다.
공지된 방식으로, 블랙아웃 장치(3)의 권취형 블라인드는 권취형 블라인드(3)의 스크린(2)을 형성하는 직물을 포함한다. 스크린(2)의 제1 단부, 특히 홈 자동화 설비(I1)에서의 블랙아웃 장치(3)의 조립된 구성에서 스크린(2)의 상부 단부가 권취 튜브(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2)의 제2 단부, 특히 홈 자동화 설비(I1)에서의 블랙아웃 장치(3)의 조립된 구성에서 스크린(2)의 하부 단부가 로드 바(8)에 고정되어 있고, 그 중량은 스크린(2)에 장력을 가하게 된다. 도 1에서, 스크린(2)을 형성하는 직물은 섬유 재료(textile material)로 만들어진다.
공지된 방식으로, 스크린(2)의 제1 단부는 특히 권취 튜브(4)의 전체 길이에 걸쳐 권취 튜브(4)에 고정되어, 스크린(2)을 권취 튜브(4) 주위로 감거나 풀 수 있게 한다.
롤러 블라인드의 경우에, 높은 권취 위치는 소정 높은 주행 종료 위치에 또는 롤러 블라인드(3)의 스크린(2)의 지지부(23)에 정지하기 시작하는 스크린(2)의 로드 바(8)에 대응하고, 낮은 권취 위치는 소정 낮은 주행 종료 위치에 또는 개구부(1)의 문턱(sill; 7)에 정지하기 시작하는 스크린(2)의 로드 바(8) 또는 완전히 풀린 스크린(2)에 대응한다. 도 1에 도시된 설비(I1)가 하우징을 포함하지 않고, 권취 튜브(4)에 감긴 스크린(2)을 형성하는 직물을 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스크린(2)은 2개의 측면 안내로(6)에 의해 안내되는 서로 연결된 수평 슬랫(slats)을 포함하고 롤링 셔터(3)의 스크린(2)을 형성하는 에이프런(apron)을 포함하는 롤링 셔터(3)에 속한다. 이들 슬랫들은 스크린(2)이 풀린 낮은 위치에 도달 할 때 결합된다. 스크린(2)의 상부 슬랫은 2 개의 체결구(10)에 의해 권취 튜브(4)에 부착된다.
이 경우, 권취된 상부 위치는 롤링 셔터(3)의 에이프런(2)의 최종 L 자형 단부 슬랫(8)의 롤링 셔터(3)의 하우징(9)의 에지에 대한 베어링에 대응하고, 풀린 하부 위치는 롤링 셔터(3)의 에이프런(2)의 최종 단부 슬랫(8)의 개구부(1)의 문턱(7)에 대한 베어링에 대응한다.
권취 튜브(4)는 롤링 셔터(3)의 하우징(9)의 내부에 위치된다. 에이프런(2)은 권취 튜브(4) 주위로 감기거나 풀리고, 하우징(9)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9)은 개구 하우징(9)은 개구부(1) 위에 또는 개구부(1)의상부 부분에 위치된다. 하우징(9)은 스크린(2)의 고정 장치의 일체 부분이다.
모터 기반 구동 장치(5)는 제어 유닛(4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유닛(40)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컬 제어 유닛 또는 도시되지 않은 중앙 제어 유닛일 수 있다. 중앙 제어 유닛은 선택적으로 로컬 제어 유닛 뿐만 아니라 빌딩 B 전체에 분포된 다른 유사한 로컬 제어 유닛을 구동한다.
중앙 제어 유닛은 빌딩 B의 내부 또는 외부의 기상 관측소, 특히 외 기상 관측소의 경우 온도, 밝기 또는 풍속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기상 관측소와 통신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유사한 제어 유닛이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도 2에는 하나의 스크린 지지부(23)만이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설비(I2)는 바람직하게는 권취 튜브(4)의 각 단부에 스크린 지지부(23)를 포함한다.
모터-기반 구동 장치(5)는 특히 로컬 또는 중앙 제어 유닛에 의해 획득될 수있는 블랙아웃 장치(3)의 스크린(2)의 해제 명령 또는 권취 명령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은 도 1의 설비 또는 도 2의 설비 중 하나일 수 있는 모터 기반 구동 장치(5)의 단면도이다. 이 모터 기반 구동 장치(5)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를 포함하여, 블랙아웃 장치(3)의 스크린(2)을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권취 튜브(4)를 회전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장착된 상태에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가 권취 튜브(4)에 삽입된다. 이 목적을 위해, 권취 튜브(4)의 내경(d4)은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의 외경(D12)보다 실질적으로 크므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는 정전 장치(3)의 조립 중에 권취 튜브(4)에 삽입 될 수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는, 원통형 전기 모터를 포함하고 있지만 한 측면이 개방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레일에 삽입된다. 액추에이터의 케이싱은 원통형이거나 또는 레일의 섹션과 유사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섹션을 가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액추에이터는 스크린을 배치하기 위한 코드(cord)가 감긴 드라이브 로드를 구동한다.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는 전기 모터(16)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16)는 모터 기반 구동 장치(5)의 조립된 구성에서 권취 튜브(4)의 회전축(X4)과 결합되는 회전축(X16) 주위로 동축으로 위치되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자 및 회전자를 포함한다. 실제로, 전기 모터(16)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감속 기어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일 수 있다. 전기 모터(16)의 출력 샤프트(17)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회전자, 브레이크 또는 감속기에 결합된 전기 모터(16)의 구동 샤프트의 외부 릴리프와 협력하도록 의도된 내부 스플라인(172)이 구비된다. 또한, 이 출력 샤프트(17)에는 외부 스플라인(174)이 구비되어있다.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는 또한 축(X1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관형 케이싱(18)을 포함한다. 케이싱(18)은 금속 또는 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있다. 액추에이터(12)의 외경(D12)은 실제로 관형 케이싱(18)의 외경과 동일하다.
관형 케이싱(18)은 케이싱(18)의 제1 단부(18A)를 폐쇄하는 헤드(21)를 사용하여 지지 부재(23)에 대해 고정된다. 케이싱(18)과 권취 샤프트(4) 사이에 삽입된 베어링(22)은 이 샤프트가 축(X4) 주위로 회전하도록 허용하며, 액추에이터(12)는 지지 부재(23)에 대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전자기계식 액추에이터(1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은 브레이크아웃 장치(3)의 스크린(2)을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제어 유닛(15)을 포함한다. 이 전자 제어 유닛(15)은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의 전기 모터(16)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전기 모터(16)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전자 제어 유닛(15)은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2)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전기 모터(16)를 제어한다.
특히, 전자 제어 유닛(15)은 명령 순서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 수신 모듈(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명령 순서는 원격 제어(40)와 같은 명령 송신기에 의해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제어 유닛(15)의 명령 수신 모듈은 무선형이다. 특히, 이 모듈은 무선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명령 수신 모듈은 또한 유선 수단에 의해 전송되는 명령의 수신을 허용할 수 있다.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의 제어 수단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수단을 포함한다. 하나의 비 제한적인 예로서, 하드웨어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는 전원 메인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부터 지지부(23) 및 헤드(21)를 통해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전기 에너지 공급 케이블(19)을 포함한다. 전자기 액추에이터(12)의 케이싱(18) 내부에 배터리 또는 셀이 일체화된다.
전기 모터(16)는 도 4 및 도 6 내지 도 11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제1 서스펜션 모듈(10) 및 도 5 및 도 12 내지 도 1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제2 서스펜션 모듈(20)을 사용하여 케이싱(17) 내에 매달려 있다.
제1 서스펜션 모듈(10)은 한편으로는 전기 모터(16)의 고정된 시스(sheath) 튜브(162)와 협동하도록 제공된다. 이 시스 튜브(162)는 축(X1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기 모터(16)의 고정자와 맞물린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서스펜션 모듈(10)은 케이싱(18)과 협동하도록 제공된다. 제1 서스펜션 모듈(10)은 서스펜션 부재(100)를 포함한다. 제2 서스펜션 모듈(20)은 서스펜션 부재(200)를 포함한다.
서스펜션 부재(100)는 권취 튜브(4) 내의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의 비 장착 구성에서 축(X16) 상에 중첩되는 길이 방향 축(X100)을 따라 연장된다. 서스펜션 부재(100)는 제1 단부 부분(102)과 제2 단부 부분(104) 사이에서 축(X100)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단부 부분(102)은 원주의 대부분에 걸쳐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관형 외형을 가지며, 제1 단부 부분(102)을 시스 튜브(162)에 고정하는 스크류(164)를 위한 통로 오리피스(106)를 각각 구비하는 2개의 슬롯(105)을 갖는다. 따라서, 축들(X16 및 X100) 주위로 회전하는 요소(100 및 162)를 고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오리피스(106)에 의해 생성된다. 이 인터페이스는 특히 서로 접착되도록 되어 있는 요소(100 및 162)의 구역과 같은 다양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에서, 제1 단부(102)에는 제2 단부(104)를 향해 축(X100)을 따라 높이가 증가하고 서스펜션 부재(100)를 기계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내부 리브(ribs; 107)가 제공된다.
서스펜션 부재(100)의 제2 단부(104)는 특히 제2 단부(104)의 원주 리브(108)에 형성된 직경(D104)을 갖는 축(X10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외형을 갖는다. 이 직경(D104)은 케이싱(18)의 내경(d18)과 동일하다. 제2 단부(104)의 기하학적 구조는 서스펜션 부재의 작동 또는 연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시된 리브는 사출에 의한 서스펜션 부재의 제조를 위한 재료 제거의 결과일 뿐이다.
제2 단부(104)는 슬릿(1092)을 통해 외부로부터 축(X100)에 방사 방향으로 접근 가능하고 서스펜션 부재를 액추에이터(12)의 케이싱(18)에 고정하기 위한 핀(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3개의 중공의 컴파트먼트(109)를 포함한다.
단부들(102 및 104) 사이에서, 서스펜션 부재(100)는 일련의 편평한 환형 플레이트들(120)에 의해 형성된 중간부(110)를 포함한다. 각각의 환형 플레이트(120)는 편평하고, 축(X100)에 수직인 주 평면(P120)을 따라 연장한다. 그 두께(e120)는 축(X100)에 평행하게 측정되고, 주 평면(P120)에서 측정된 환형 플레이트의 최대 치수보다 적어도 5 배 작다.
실제로, 도 11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플레이트(120)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정육각형을 형성하는 6개의 직선 브랜치(121, 122, 123, 124, 125, 126)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 6, 도 7, 도 8 및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3가지 타입의 플레이트(120)가 고려되어야 한다. 제1 단부 플레이트(1202)는 제1 단부 부분(102)과 나란히 있다. 제2 단부 플레이트(1204)는 제2 단부와 나란히 있다. 다른 플레이트는 두개의 다른 판들(120) 사이에서 축(X100)을 따라 각각이 배열되는 중간 플레이트(120i)를 구성한다.
도면 참조 부호 120A 및 120B는 중간 환형 플레이트(120)의 2개의 대향 축면을 표시한다. 플레이트(120i)의 축면은 축(X100)에 수직인 이 플레이트의 면이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플레이트(120i)가 동일한 것을 고려하면, 제1 단부 부분(102)와 마주하는 플레이트(120)의 면(120A)은 도 11에 도시되고, 제2 단부 부분(104)와 마주하는 면(120B)은 도 8에 도시된다.
각각의 중간 플레이트(120i)는 세 개의 연결 브리지(128)에 의해 2개의 인접 플레이트(1202, 1204 또는 120i)에 연결된다. 각각의 연결 브리지(128)는 2개의 인접 환형 플레이트(120)를 연결하고 이들 플레이트들과 단일의 조각인 재료들의 양으로 구성된다. 실제로, 서스펜션 부재(10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어져 있어, 특히 연결 브리지(128)는 서스펜션 부재(100)의 다른 부분과 일체로 되어있다.
비틀림 힘이 세 개의 연결 브리지(128) 사이의 축(X100) 주위에 분포되기 때문에, 축 면(120A)의 측 상에, 각각의 중간 환형 플레이트(120i)와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연결부는 축(X100) 주위에서 비틀림에 강성이다. 유사하게, 중간 플레이트(120i) 각각의 면(120B)의 측 상에서, 비틀림 힘은 3개의 브리지(128) 사이에서 분포된다.
또한, 단부(102, 104) 사이의 서스펜션 부재(100)에 인가된 축(X100) 주위의 비틀림 힘(T)은 연결 브리지(128)에서 환형 플레이트(120)들 사이에 형성된 다중 연결부 상에서 분포된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부재(100)는 2개의 단부 플레이트(1202 및 1204)와 9개의 중간 플레이트(120i)를 포함하는 11개의 환형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실제로, 중간 플레이트의 수는 1 내지 15 사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사이일 수 있다.
따라서, 서스펜션 부재(100)는 도 6의 화살표(T)로 나타낸 축(X100) 주위의 비틀림 방향에서 강성이다. 일단 관형 케이싱(18)에 고정되면, 서스펜션 부재(100)는 전기 모터(16)에 대한 고정 기준점을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스펜션 부재(100)는 관형 케이싱(18) 내에서 모터(16)에 의해 가해지는 토크를 반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서스펜션 부재(100)의 구조는 도 6에서 이중 화살표 F로 나타낸 축(X100)에 수직인 굴곡 방향에서 비교적 높은 가요성을 제공한다. 실제로, 연결 브리지 (128)는 굴곡 및 전단력이 서스펜션 부재(100)에 가해질 때 플레이트, 특히 베어링 포인트의 양측에 있는 플레이트 단면이 변형되도록 하는 다수의 베어링 포인트를 형성한다. 서스펜션 부재(100)의 구성 재료는 점탄성일 필요는 없다. 특히 폴리아세틸 또는 폴리아미드 일 수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한 재료이며 그 특성이 악화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들 재료는 비교적 저렴하고 대량 생산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단부 부분(102, 104) 사이의 축(X100) 둘레에 가해지는 비틀림 힘(T)의 경우에, 브랜치(121 내지 126) 중 적어도 일부는 즉 이들 빔이 강한 방향에서 압축 작용을 하는 것이 주목된다.
이는 2개의 인접 플레이트(120) 사이의 축(X100)에 평행하게 측정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현저한 거리(d120)를 유지하면서, 길이 방향에 수직인 즉, 축(X100)에 방사상 방향에 가까운 방향인 평면(P120)에서 측정된 브랜치들의 축 방향 두께 (e120) 및 브랜치들의 폭(ℓ120)을 감소시킴으로써 브랜치(121 내지 126) 각각의 횡단면의 치수를 최적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비틀림 강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서스펜션 부재(100)의 굴곡 또는 전단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120)의 기하학적 구조는 브랜치(121 내지 126)에서의 견인/압축력을 감소시키면서 부재(100)의 직경을 최대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일 변형에 따르면, 브랜치(121 내지 126)는 원호 모양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환형 플레이트들(120)은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그런 다음, 브랜치(121, 126)는 서스펜션 부재가 비틀림 힘을 받을 때, 굴곡 및 압축 작용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중간 환상 플레이트(120i)의 일면 (120A) 상에 위치된 연결 포인트(128)는 다른 축 방 면(120B) 상에 위치된 연결 포인트(128)로부터 각도상 오프셋 된다. 이 예에서, 면(120A) 상에 배열된 3개의 연결 포인트(128)는 축(X100)을 중심으로 120 °로 이러한 면(120A) 상에서 규칙적으로 분포되며, 축 면(120B) 상에 배열된 연결 포인트(12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축 면(120) 상에 배열된 연결 포인트(128)는 축 면(120B) 상에 연결 포인트(128)가 배치되는 모서리와는 다른 육각형의 3개의 모서리 상에 배열된다. 참조 부호 C12는 브랜치(121 및 122) 사이의 플레이트(120i)의 모서리를 나타내고, C23은 브랜치(122 및 123) 사이의 이러한 플레이트의 모서리를 나타내고, C34은 브랜치(123 및 124) 사이의 이러한 플레이트의 모서리를 나타내고, C45은 브랜치(124 및 125) 사이의 이러한 플레이트의 모서리를 나타내고, C56은 브랜치(125 및 126) 사이의 이러한 플레이트의 모서리를 나타내고, 및 C61은 브랜치(126 및 121) 사이의 이러한 플레이트의 모서리를 나타낸다. 축 면(120A)의 측 상에서, 연결 포인트(128)는 모서리(C61, C23, 및 C45)에 배치되고, 축 면(120B)의 측 상에서, 연결 포인트(128)는 모서리(C12, C34 및 C56)에 배치된다. 참조 부호 α는 중간 환형 플레이트(120i)의 동일한 축 면(120A 또는 120B) 상에 위치된 2개의 연결 브리지(128) 사이의 축(X100) 주위의 각도상의 오프셋 각도를 나타낸다. 예에서, 각도 α는 120°와 같다. 참조 부호 β는 2개의 대향하는 축 면(120A 및 120B) 상에 위치된 2개의 연결 브리지 사이의 오프셋 각도를 나타낸다. 예에서, 각도 β는 2개의 값 즉, β1=60° 및 β2= 180°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브리지의 분포는 서스펜션 부재(100) 내에서 토크의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실제로, 연결 브리지(128)의 수에 관계없이, 각도 β의 최소값은 각도 α의 값의 절반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2 개의 인접한 브랜치 또는 빔의 한 쌍, 즉 브리지(128) 중 하나에서 모서리에 의해 연결된 2 개의 브랜치 또는 빔이 고려된다. 이는 예를 들면 모서리 C12에서 면(120B) 상에 배치된 브리지(128)에서 인접한 브랜치(121 및 122)의 경우이다. 부재(100)가 비틀림 힘(T)을 받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브랜치 또는 빔 또는 이러한 브랜치 또는 빔(121 및 122)의 이러한 쌍은 이 브리지(128) 주위에서 굴곡 작용한다. 다른 인접하는 브랜치 또는 빔의 쌍도 마찬가지이다. 바꾸어 말하면, 브랜치(121 내지 126)는 부재(100)에 일정한 가요성을 부여하고, 특히 진동을 포함할 수 있게 하는 브리지(128) 둘레의 비틀림 하중 하에서 구부러지는 경향이 있다.
서스펜션 부재(200)는 서스펜션 부재(100)와 동일한 원리로 만들어지며, 또한 서스펜션 부재(200)의 중간부(210)에 배치된 평탄한 환형 플레이트(220)를 포함하며, 이 중간부는 길이 방향 축(X200)을 따라 연장하는 서스펜션 부재(200)의 제1 단부 부분(202)과 제2 단부 부분(204) 사이에 배치된다.
플레이트(220)는 제1 단부 부분(202)와 나란한 단부 플레이트(2202), 제2 단부 부분(204)과 나란한 단부 플레이트(2204) 및 단부 플레이트들(2202 및 2204) 사이에서 축(X200)을 따라 배열된 중간 플레이트(220i) 사이에 분포된다.
서스펜션 부재(200)의 중간부(210)는 서스펜션 부재(100)의 중간부(110)와 유사하며, 각각의 중간 환형 플레이트(220i)는 3개가 존재하는 2개의 일련의 연결 브리지(228)에 의해 인접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이로써, 서스펜션 부재(100)와 마찬가지로, 비틀림 강성 및 굴곡 유연성의 관점에서 동일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선택적인 양상에 따르면, 부분(110 및 210)은 동일하며, 특히 제조상 유리하다.
서스펜션 부재(100)의 제1 단부 부분(202)은 육각형의 내부 형태를 가지며 플랜지(24)를 갖는 서스펜션 부재(200)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3개의 스크류용의 3개의 통로 오리피스(206)를 구비한다. 이들 스크류들 중 하나만이 도 3 및 도 5에 도면 번호 266로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2개의 스크류는 이 스크류에 대해 120°로 축(X16 및 X200) 주위로 중첩되어 분포되어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플랜지(24)는 차례로 축(X16) 상에 정렬된 스크류(26)를 사용하여 액추에이터(12)의 출력 샤프트(25) 상에 고정된다. 따라서, 오리피스(206) 및 단부 부분(202)의 내부 형상은 플랜지(24) 및 스크류(26)를 통해 부재(200)를 출력 샤프트(25)와 맞물리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대안적으로, 서스펜션 부재(200)의 제1 단부 부분(202)은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의 출력 샤프트(25)와 직접적으로 맞물린다. 스크류를 제외한 회전식 맞물림의 형태는 예를 들면 적절한 형상 협력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출력 샤프트(25)는 형상 협력에 의해 권취 샤프트(4)에 고정된 휠(28)과 협동하는 라이너(27)가 장착된다. 휠(28)은 출력 샤프트(25)와 권취 튜브(4) 사이의 토크 전달 부재를 구성한다.
회전 가이드 부재(300)는 케이싱(18)의 제1 단부(18A)에 대향하는 제2 단부(18B) 근처에서 케이싱(18) 내에 고정된다. 부재(300)는 단부(18B)에서 출력 샤프트(25)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형성하고, 축(X16) 주위에서 출력 샤프트(25)가 케이싱에 대해 회전할 가능성을 갖는다.
또한, 서스펜션 부재(200)의 단부(204)에는 출력 샤프트(17)의 외부 스플라인(174)에 상보적인 내측 스플라인(230)이 제공되어, 모터(16)의 서스펜션 부재(200) 및 출력 샤프트(17)를 회전시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부분(204)은 슬라이드 링크에 의해 전기 모터(16)의 출력 샤프트(17)와 회전시 맞물림된다. 따라서, 모터(16)가 작동할 때, 출력 샤프트(17)상에서 이용 가능한 토크는 출력 샤프트(25)로 그리고 권취 튜브(4)를 넘어 서스펜션 부재(2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스펜션 부재가 플레이트(220) 및 연결 브리지(228)를 포함하는 그 중간부(210)의 구조로 인해 얻어지는 도 12의 화살표(T)의 방향으로 양호한 비틀림 강성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서스펜션 부재(200) 특히 도 12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굴곡 및 전단의 우수한 유연성을 제공하여, 전기 모터(16)에서 발생된 소음을 필터링할 수 있게 한다.
도 14 및 도 15는 서스펜션 부재(200)의 외측 및 내측 육각형 단면을 도시한다.
제1 서스펜션 부재(100)에 관한 전술한 특성 및 변형예는 제2 서스펜션 부재(200)에도 적용된다.
이들 2개의 서스펜션 부재는 도 6 및 도 12의 화살표 F 방향의 굴곡 유연성 이외에, 이들 도면에서 이중 화살표 Co로 도시된 축(X100 및 X200)에 평행한 방향의 압축 유연성을 갖는다. 이는 또한 모터(16)로부터 오는 진동을 필터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압축 유연성은 축(X100 또는 X200)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압축 부재의 조립의 유연성에 기인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서스펜션 모듈(10)은 그 전체가 서스펜션 부재(100)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서스펜션 모듈(20)은 서스펜션 부재(200)와 플랜지(24)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다. 두 경우에,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부재의 액티브 부분은 일체형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모듈(10)을 도시하며, 도 3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모듈(10)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1로부터 무엇이 이 서스펜션 모듈을 구별하는지를 주로 설명한다. 나머지에 대해서, 이 서스펜션 모듈(10)은 도 3 내지 도 11의 서스펜션 모듈(10)과 유사하며 동일한 특징을 가지며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 16 내지 도 19의 서스펜션 모듈(10)은 단부 부분(102) 및 중간부 또는 본체(110)를 포함하는 일체형 서스펜션 부재(100)를 포함한다. 서스펜션 모듈(10)은 3개의 스크류(151)를 사용하여 중간부(110)에 부착되는 제1 단부 피스(150)를 구성하는 제2 단부 부분(104)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참조 부호(X100)는 서스펜션 부재(100)의 길이 방향 축을 나타낸다. 요소(100, 150)는 축(X100)을 따라 병치된다.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서스펜션 부재(100), 및 특히 중간부(110)는 두 단부 플레이트(1202 및 1204)를 포함하는 평면 환형 플레이트(120) 및 특정 수의 중간 플레이트(120i)를 포함한다. 이전과 유사하게, 연결 브리지(128) 특히 3개의 연결 브리지에서는 각각의 중간 플레이트(120i)를 인접한 플레이트와 연결한다.
중간 플레이트(120i)의 두께(e120)는 둘레에 걸쳐 변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두께는 브리지(128)에 접근하면 증가하여, 축방향으로는 2개의 중간 플레이트(120i) 사이에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는 이들 2개의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2개의 브리지(128) 사이에 배치된 슬릿(140)의 두께(e140)는 브리지(128)에 접근하면 감소한다. 실제로, 연결 브리지(128)와 축(X100)을 따라 양 측면 상에 위치된 2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 구역(Z100)은 두께(e140)의 최대값 보다 더 작은 곡선 반경(R)으로 둥글게 된다.
플레이트(120) 및 결합 구역(Z100)의 기하학적 구조는 부품(120i 및 128) 사이에서 본체(110) 내에 적용되는 기계적 응력을 부드럽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성형(molding)에 의한 제조는 또한 도 3 내지 도 11의 실시예 보다 더 용이하다.
또한, 도 1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부재(100)의 중간부(110)의 내면(S110)은 단부(102)를 향하여 수렴하고 그 첨각(apical angle)이 α로 표시된 축선으로 도시되는 원형 시스(E110) 내에 맞춰진다. 이 각도 α는 3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약 0.5 °의 작은값을 가져서, 부분(102) 부근의 표면(S110)과 부분(120)으로부터 가장 먼 디스크(1204)의 이러한 동일한 표면 사이의 직경의 차이는 수십밀리미터이다. 표면(S110)의 절두 원추형 속성은 서스펜션 부재(100)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케이싱(18) 또는 동일한 속성의 케이싱에 고정시키려는 제1 단부 피스(150)의 측면의 최대 직경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중간부(110)의 최소 직경의 부분은 부분(102)의 측면, 즉 모터(16)로 구성된 매달린 중량체(suspended mass)의 측면에 위치하는데, 이 측면은 운동이 최대 진폭을 갖는 곳이다. 이것은 매달린 중량체의 서스펜션을 선호합니다.
다각형, 이 예에서는 육각형 튜브(130)는 중간부(110) 내부에 배치되면서, 서스펜션 모듈(10)에 일체화 된다. 이 육각형 튜브는 예를 들어, 유리 섬유로 채워진 폴리 아미드(6.6) 또는 약 12,500 메가파스칼의 영률(Young's modulus)을 갖는 유리 섬유로 채워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튜브의 재료는 본체(100)의 성형에 사용되는 재료, 특히 폴리 아세탈 또는 폴리아미드보다 강하고(stiffer), 기계적으로 강하다(mechanically stronger).
육각형 튜브(130)의 외형은 중간부(110)의 내부 형상에 적합하여, 일단 축(X100) 상에 정렬되면, 육각형 튜브(130)는 플레이트(12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이들과 접촉하지 않고 그로부터 작은 방사 방향에서 연장한다. 따라서, 육각형 튜브(130)는 서스펜션 부재(100)로 인해 얻어지는 진동의 감쇠를 방해하지 않는다.
서스펜션 부재(100) 내부의 육각형 튜브(130)의 고정은 3개의 설부(tongue) 또는 탭을 이용하여 얻어지며, 이중 2개는 도 18에서 참조 번호 132로 도시되며, 플레이트(1204) 내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형상의 3개의 노치(134)와 결합되며, 이 중 둘은 도 18에 도시된다. 탭(132)이 노치(134)와 결합되면, 요소(100 및 130)는 형상 협력에 의해 축(X100)을 중심으로 회전에 있어 고정된다.
또한, 서스펜션 부재(100)의 단부에서의 제1 단부 피스(150)의 배치 및 나사(151)의 조임은 노치(134)의 내측에서 탭(132)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탭(132)은 노치(134)의 바닥과 단부 피스(150) 사이에 끼워지고, 특히 중간 플레이트(120i)에 대해 서스펜션 부재(100) 내부의 육각형 튜브(130)를 축 방향으로 고정시킨다.
다각형 튜브는 또한 탭(132)에 대향하는 단부(131)에 노치(133)를 포함한다. 이들 노치는 서스펜션 부재(100) 내부의 대응하는 리브(도시되지 않음)와 협동한다. 정상 작동 중에, 노치(133)는 대응하는 리브와 접촉하지 않는다.
다각형 튜브의 길이는 서스펜션 부재의 활성 부분, 즉 플레이트(120i)를 포함하는 중간부(110)보다 약간 더 크다.
제1 단부 피스(150)는 육각형의 스커트의 형태인 육각형 튜브(130)의 부분(136)을 캡핑, 즉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육각형 단면을 갖는 스커트(152)를 구비하며, 스커트(152)의 것보다 더 작은 축(X100)을 가로지르는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152)에 의한 스커트(136)의 축 방향 중첩을 얻는다. 이것은 서스펜션 부재(100) 내부의 육각형 튜브(130)의 효과적인 중앙 배치(centering)를 보장한다. 스커트(152)는 또한 서스펜션 부재(100)의 중간부(110)의 내부 육각형 단면에 맞춤된다. 따라서, 제1 단부 피스(150)와 서스펜션 부재(100)는 서로 회전에 대해 차단된다.
스커트(152)를 스커트(136) 둘레에 배치함으로써, 제1 단부 피스(150)가 서스펜션 부재(100) 상에 장착되게 하기 위해, 스커트(152)는 노치(154)에 의해 국부적으로 단속되어, 탭(132)이 서스펜션 모듈(10)의 장착된 구성에서 통과하도록 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튜브(130)가 서스펜션 부재(100)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에 육각 튜브(130)는 내주면에 탭(132)에 가장 가까운 단부에서 단부 부분(102)를 향해 연장되는 보강 리브(stiffening ribs; 138)를 구비한다. 리브(138)는 설부(132)에 대향하는 육각형 튜브(130)의 단부(131)로부터 축 방향 거리(d138)에서 멈춘다. 이 거리(d138)는 비공(non-nil)이며, 이는 단부 부분(102)을 통해 서스펜션 부재(100)로 도입되는 모터(165)의 일부와 이들 리브(138) 사이에, 모터(16)의 이러한 일부가 그 단부(131)를 통해 육각형 튜브(130) 내부에 맞물리는 경우라도, 간섭이 없음을 보장한다.
하나 이상의 연결 브리지(128)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20)의 파열의 경우, 육각형 튜브(130)는 서스펜션 부재(100)의 내부 육각형 형상 내부가 차단됨에 의해, 축(X100)을 중심으로 서스펜션 부재(100)의 단부들(102 및 104)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육각형 튜브(130)는 서스펜션 부재(100) 내부에서 안전 기능을 수행한다.
서스펜션 부재(100) 내에 일단 장착되면,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가 치수가 정해진 공칭 토크 부근의 또는 이 공칭 토크의 두 배의 소정의 토크를 초과하는 토크를 겪는다면, 육각형 튜브(130)는 이 서스펜션 부재의 비틀림 보강 기능을 수행한다. 서스펜션 부재(100)의 내측 육각 형상 내부에서 막히게 됨으로써, 단부 부분들(102, 104) 사이에 가해진 토크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단력에 의한 연결 브리지(128)의 찢어짐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항한다. 따라서, 튜브는 본체(100)가 손상되지 않았을 때를 포함하여 단부(102 및 104) 사이의 토크의 전달에 관여한다. 이것은 모듈이 사전 정의된 토크를 초과하는 토크, 특히 공칭 토크를 초과하는 토크를 경험하거나 모듈이 공칭 토크 미만의 토크를 경험할 때 서스펜션 부재가 현저한 크리프(creep)를 경험한 경우이다. 따라서, 브리지(128) 또는 플레이트(120)의 파열 위험이 최소화되거나 심지어 상쇄된다.
도 20 및 도 21의 서스펜션 모듈(20)은 제1 단부 피스(150)와 등가인 방식으로 나사(251)를 사용하여 중간부(210)에 부착된 제2 단부 피스(250)가 관련되는 일체형 서스펜션 부재(200)를 포함한다.
서스펜션 부재(200)는 서스펜션 부재(100)와 동일하며, 제1 단부(202) 및 연결 브리지(228)에 의해 연결되는, 도 16 내지 도 20의 실시예의 요소(102, 110 및 120)와 각각 동일한 플레이트(220)를 포함하는 중간부(210)를 포함한다.
도 16 내지 도 20의 실시예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육각형 및 튜브(130)과 동일한 다각형 튜브(230)가 부분(210)에 삽입된다. 각각이 릴리프(132 및 134)와 동일한 릴리프(232 및 234)가 제공되고, 이것이 중간부(210) 상에 놓이는 경우에 제2 단부 피스(250)에 의해 맞물려 차단된다. 단부 피스(250)는 도 5에 도시된 플랜지(24)의 역할을 한다. 다각형 튜브(230)는 또한 튜브(130)의 노치(133)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노치(233)를 포함한다.
단부 피스(250)에는 도 16 내지 도 20의 실시예의 부분(152 및 154)과 동일한 기능 즉, 육각형 튜브(230)의 부분(236)을 둘러싸고 중간부(210) 내부의 육각형 단면에 맞춤되는 기능을 갖는 스커트(252) 및 노치(254)가 제공된다. 단부 피스(250)는 또한 중앙 슬리브(256)를 포함하며, 그 기능은 도 5에 도시된 스크류와 동일하나 도시 되지 않은 고정 스크류를 위한 가이드 샤프트를 형성하는 것이다.
액추에이터(12)의 장착 중에, 서스펜션 부재(200)의 중간부(210)의 최대 직경은 제2 단부 피스(250)의 측면 상에 위치되고, 중간부(210)의 최소 직경의 부분은 부분(202), 즉 모터(16)로 구성된 매달린 질량체의 측면 상에 위치된다.
도 16 내지 도 22의 실시예의 서스펜션 부재(100 및 200)가 2개의 상이한 단부 피스(150 및 250)를 갖는 단일 유형의 서스펜션 부재(100/200)를 사용하여 동일하기 때문에, 서스펜션 모듈(10 및 20)의 산업적 생산은 사용 중에 이점을 유지하면서, 특히 매달린 질량체의 서스펜션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다각형 튜브(130 및 230)가 상기에서 고려된 것과 동일 할 때도 마찬가지 이다.
도 16 내지 도 22의 두 실시예에서, 다각형 튜브(130 및 230)는 적용 가능한 경우 제1 실시예의 케이블(19)과 같이 서스펜션 모듈(10 및/또는 20)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통과하는 전기 케이블을 기계적으로 보호한다.
도 16 및 도 20의 실시예에서, 서스펜션 모듈(10)은 부품(100, 130 및 150)에 의해 형성된다. 도 21 및 도 22의 실시예에서, 서스펜션 모듈은 부품(200, 230 및 250)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와 관계없이, 연결 브리지(128 또는 228)의 개수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서스펜션 모듈(10, 20)이 관형 케이싱(18)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에 도시된다. 변형예에서, 이들 서스펜션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그러한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추가적인 서스펜션 모듈은 그러한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환형 플레이트(120 또는 220)의 브랜치의 수는 6개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브리지(128 또는 228)의 분포가 적응된다.
변형예에서, 서스펜션 부재(100, 200)의 단면은 6 각형이 아닌 다각형, 예를 들어 8 각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서스펜션 모듈이 다각형 튜브를 포함한다면, 이 튜브의 단면은 서스펜션 부재의 단면에 적응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하나의 서스펜션 모듈(10 또는 20)만이 액추에이터(12) 내에서 사용될 수있다. 잠재적인 다른 서스펜션 모듈이 당 업계의 기술 수준에 따라 존재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려된 실시예 및 대안은 본 발명의 새로운 실시예를 생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9)

  1. 전기 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축(X16) 상에 정렬되도록 의도된 길이 방향 축(X100, X200)을 따라 연장하는 일체형 서스펜션 부재(100, 200)를 포함하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I1,I2)를 위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의 관형 케이싱(18) 내부의 전기 모터(16)용 서스펜션 모듈(10, 20)로서, 상기 서스펜션 부재는 길이 방향 축에 수직으로 배열되고 이 축을 따라 병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환형 플레이트(120i, 220i)를 포함하는 다수의 환형 플레이트(120, 220)를 포함하고, 각각의 중간 환형 플레이트는 적어도 세 개의 연결 브리지(128, 228)에 의해 중간 환형 플레이트에 인접한 두 개의 플레이트(120, 220)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브리지(128, 228)는 굴곡 및 전단력이 상기 서스펜션 부재(100, 200)에 가해지는 경우에 플레이트(120, 220)가 변형되도록 하는 베어링 포인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중간 환형 플레이트(120i, 220i)의 제1 축 면(120A) 상에 위치하는 연결 브리지(128, 228)가 제1 축 면(120A)에 반대되는 동일한 환형 플레이트(120i, 220i)의 제2 축 면(120B) 상에 위치된 연결 브리지(128, 228)에 대해 길이 방향 축(X100, X200) 주위로 각도적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중간 환형 플레이트(120i, 220i)의 상기 각각의 축 면(120A, 120B)은 길이 방향 축(X100, X200) 주위로 120°마다 분포되는 3개의 연결 브리지(128, 228)를 구비하며, 이 중간 환형 플레이트의 두 개의 대향하는 축 면 상에 배치된 두 개의 연결 브리지는 길이 방향 축 주위로 60° 또는 180° 만큼 각도적으로 오프셋(β1, β2)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환형 플레이트(120)는 일련의 빔(121-126)에 의해 형성되고, 각 연결 브리지(128)는 환형 플레이트의 원주 상의 2개의 인접하는 빔들 사이의 접합점(C12-C6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부재(100, 200)가 길이 방향 축(X100, X200) 주위로 비틀림 힘(T)을 받는 경우에 환형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의 빔(121-126)은 압축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한 쌍의 두 개의 인접한 빔(121-126) 중 적어도 하나의 빔은 상기 서스펜션 부재(100,200)가 길이 방향 축(X100, X200) 주위로 비틀림 힘(T)을 받는 경우에 이들 빔들 사이에서 연결 브리지(128, 228) 주위로 굴곡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축(X100, X200)에 평행하게 측정된 중간 플레이트(120i)의 두께(e120)는 연결 브리지(128, 228)에 접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부재(100, 200)의 중간 플레이트(들)(120i, 220i) 내부에 배치된 다각형 튜브(130, 230)를 포함하고, 이 다각형 튜브는 상기 서스펜션 모듈(10, 20)의 두 단부 부분(102, 104, 202, 204)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20, 220)를 포함하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100, 200)의 다각형 튜브(130) 및 중간부(110, 210)는 길이 방향 축(X100, X200) 주위로의 상대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부재(132, 134, 232, 23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110, 210) 상에 부착된 단부 피스(150, 250)를 포함하고, 상기 다각형 튜브(130, 230) 상에 제공된 차단 부재(132, 232)는 상기 단부 피스(150, 250)가 상기 중간부(110, 210)상의 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중간부에 대응하는 하우징(134, 234)에서 축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단부 피스(150, 250)가 상기 중간부(110, 210) 상에 제 위치에 있는 경우, 이 단부 피스의 스커트(152, 252)는 상기 다각형 튜브(130, 230)의 일부분(136, 236)을 방사상으로 둘러싸고, 상기 중간 부분(110, 210)의 내부 다각형 단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축방향 단부 부분(102)에 모터(16)의 고정 부분(162)과 상기 길이 방향 축(X100) 주위로 회전식으로 맞물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06) 및 제1 단부 부분에 대향하는 제2 축방향 단부 부분(204)에 상기 관형 케이싱(18)에 중심 맞춤 및 고정을 위한 인터페이스(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축방향 단부 부분(202)에 액추에이터(12)의 출력 샤프트(25)와 상기 길이 방향 축(X200) 주위로 회전식으로 맞물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06) 및 제1 단부 부분에 대향하는 제2 축방향 단부 부분(204)에 전기 모터(16)의 출력 샤프트(17)와 길이 방향 축 주위로 회전식으로 맞물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중간 환형 플레이트(120i, 220i) 및 연결 브리지(128, 228)는 상기 제1 단부 부분(102, 202)와 제2 단부 부분(104, 204) 사이에서 길이 방향 축(X100, X200)을 따라 위치되는 서스펜션 부재(100, 200)의 중간부(110, 21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모듈.
  16.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I1, I2)를 위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로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관형 케이싱(18) 내부에 장착된 전기 모터(16)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모터(16)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모듈(10, 20)을 이용하여 상기 관형 케이싱(18)에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
  17.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I1, I2)를 위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로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관형 케이싱(18) 내부에 장착된 전기 모터(16)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모터(16)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모듈(10, 20)을 이용하여 상기 관형 케이싱(18)에 매달리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전기 모터(16)는,
    상기 관형 케이싱(18)과 회전식으로 상기 전기 모터(16)의 고정 부분(162)과 결합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1 서스펜션 모듈(10),
    상기 액추에이터(12)의 출력 샤프트(25)와 회전식으로 상기 전기 모터(16)의 출력 샤프트(17)와 결합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2 서스펜션 모듈(20)
    을 이용하여 상기 관형 케이싱(18)에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2개의 서스펜션 모듈(10, 20)의 서스펜션 부재(100, 200)는 동일하고, 각각 제1 특정 단부 피스(150, 250)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서스펜션 부재(100, 200) 및/또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I1, I2)를 위한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로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관형 케이싱(18) 내부에 장착된 전기 모터(16)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모터(16)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모듈(10, 20)을 이용하여 상기 관형 케이싱(18)에 매달리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12)를 포함하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설비(I1, I2).
KR1020197019593A 2016-12-07 2017-12-07 서스펜션 모듈, 서스펜션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 및 서스펜션 모듈 또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시스템 KR102135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62056A FR3059699B1 (fr) 2016-12-07 2016-12-07 Organe de suspension, actionneur electromecanique comprenant un tel organe de suspension et installation de fermeture ou de protection solaire comprenant un tel organe de suspension ou un tel actionneur electromecanique
FR1662056 2016-12-07
PCT/EP2017/081927 WO2018104488A1 (fr) 2016-12-07 2017-12-07 Module de suspension, actionneur électromécanique comprenant un tel module de suspension et installation de fermeture ou de protection solaire comprenant un tel module de suspension ou un tel actionneur electromeca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398A KR20190094398A (ko) 2019-08-13
KR102135289B1 true KR102135289B1 (ko) 2020-07-17

Family

ID=5834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593A KR102135289B1 (ko) 2016-12-07 2017-12-07 서스펜션 모듈, 서스펜션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 및 서스펜션 모듈 또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70950B2 (ko)
EP (2) EP3551827B1 (ko)
KR (1) KR102135289B1 (ko)
CN (2) CN110168187B (ko)
AU (1) AU2017373824B2 (ko)
FR (1) FR3059699B1 (ko)
PL (1) PL3551827T3 (ko)
WO (1) WO2018104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9013328A (es) * 2017-05-08 2020-07-27 Lutron Tech Co Llc Tubo de persiana de rodillo con rigidez variable.
FR3072118B1 (fr) * 2017-10-10 2019-11-08 Somfy Activites Sa Actionneur electromecanique tubulaire et installation domotiqu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FR3072119B1 (fr) * 2017-10-10 2019-11-08 Somfy Activites Sa Actionneur electromecanique tubulaire et installation domotiqu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FR3084688B1 (fr) 2018-08-01 2020-09-18 Somfy Activites Sa Actionneur domotique electromecanique
FR3084690B1 (fr) * 2018-08-01 2020-10-23 Somfy Activites Sa Module mecanique de filtrage de vibrations, actionneur electromecanique comprenant un tel module mecanique de filtrage de vibrations et installation de fermeture, d'occultation ou de protection solair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electromecanique
FR3086688B1 (fr) 2018-09-28 2020-11-06 Somfy Activites Sa Actionneur electromecanique comprenant un module de filtrage de vibrations et installation de fermeture, d'occultation ou de protection solair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electromecanique
FR3104635B1 (fr) 2019-12-11 2022-03-18 Somfy Activites Sa Organe de suspension, actionneur électromécanique comprenant un tel organe de suspension et installation de fermeture ou de protection solair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électromécaniqu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9981A (ja) * 2004-03-16 2007-10-25 ソムフィ ソシエテ パ アクシオンス シンプリフィエ 可動式窓おおい用の電動式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5523A (en) * 1982-06-04 1984-01-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re spring support system for a dynamoelectric machine
FR2946997B1 (fr) * 2009-06-23 2011-07-08 Somfy Sas Actionneur electrique d'entrainement d'un ecran domotique
US20110005694A1 (en) 2009-07-07 2011-01-13 Philip Ng Adjustable Spring Assist for Window Coverings and Awnings
US8575872B2 (en) 2010-02-23 2013-11-05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and method for setting artificial stops
WO2012123575A2 (fr) * 2011-03-17 2012-09-20 Somfy Sas Moteur electrique et installation de fermeture ou de protection solaire comprenant un tel moteur
FR2975426B1 (fr) * 2011-05-17 2018-03-02 Somfy Sas Tete d'actionneur electromecanique de manoeuvre d'un element enroulable
JP6310392B2 (ja) * 2011-10-03 2018-04-11 ハンター ダグラ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建築物開口被覆アセンブリ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FR2983368B1 (fr) * 2011-11-24 2016-09-02 Somfy Sas Actionneur electrique tubulaire d'entrainement pour un ecran domotique, procede d'assemblage d'un tel actionneur et installation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FR2995001B1 (fr) * 2012-09-05 2014-09-26 Somfy Sas Actionneur electromecanique d'entrainement d'un ecran domotique
FR3006706B1 (fr) * 2013-06-06 2015-06-05 Somfy Sas Detection de la position d’un tambour d’enroulement accouple a un moteur par l’intermediaire d’un element souple amortisseur
ES2661729T3 (es) * 2013-09-11 2018-04-03 Gaposa S.R.L. Mecanismo de accionamiento tubular para cierres de tipo rodillo
DE102015106833A1 (de) * 2015-04-30 2016-11-03 Johnson Electric Germany GmbH & Co. KG Fliehkraftbremse für Jalousieantriebe
CN106089004B (zh) * 2016-08-22 2018-08-28 张学录 一种电动升降窗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9981A (ja) * 2004-03-16 2007-10-25 ソムフィ ソシエテ パ アクシオンス シンプリフィエ 可動式窓おおい用の電動式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70950B2 (en) 2020-09-08
WO2018104488A1 (fr) 2018-06-14
CN112177514A (zh) 2021-01-05
EP3786414A1 (fr) 2021-03-03
FR3059699B1 (fr) 2019-05-17
EP3551827B1 (fr) 2020-11-25
CN110168187A (zh) 2019-08-23
EP3551827A1 (fr) 2019-10-16
AU2017373824B2 (en) 2020-01-30
KR20190094398A (ko) 2019-08-13
AU2017373824A1 (en) 2019-06-20
PL3551827T3 (pl) 2021-06-14
CN112177514B (zh) 2022-07-26
FR3059699A1 (fr) 2018-06-08
CN110168187B (zh) 2020-10-16
US20200099271A1 (en)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289B1 (ko) 서스펜션 모듈, 서스펜션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 및 서스펜션 모듈 또는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폐쇄 또는 햇빛 차단 시스템
JP4847536B2 (ja) 高速産業用ローラードア
AU2023282171A1 (en) Roller Tube
CN103958810B (zh) 管形驱动式电致动器、其组装方法和有这类致动器的设施
GB2534083B (en) Rail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CN112673145B (zh) 机电住宅自动化致动器
US11643874B2 (en) Electromechanical home-automation actuator
KR200464734Y1 (ko) 내진성과 소음방지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CN201771401U (zh) 一种百叶帘上的阻尼轮及内置电控百叶帘的中空玻璃
JP6155046B2 (ja) 振動減衰駆動装置を備えた日除け
EP4080006A1 (en) Chain actuator drive with bearing and bearing lock
US20210140233A1 (en) Drive system driving a screen, and apparatus comprising such a system
KR102381573B1 (ko) 전기 기계식 액추에이터 및 이러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홈 자동화 설비
KR20210086656A (ko) 보강재를 갖는 롤러 샤프트
FR3087860A1 (fr) Actionneur domotique electromecanique
CN209184369U (zh) 一种盘式电机
EP4080004A1 (en) Chain actuator drive with bracket and damping elements
CN209130072U (zh) 大负载驱动装置
CN205135372U (zh) 一种管状卷帘门电机系统
JP5528066B2 (ja) すだれ装置
ITUB201535072U1 (it) Motoriduttore, particolarmente per stufe a pe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