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512B1 - 밴드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밴드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512B1
KR102134512B1 KR1020180084861A KR20180084861A KR102134512B1 KR 102134512 B1 KR102134512 B1 KR 102134512B1 KR 1020180084861 A KR1020180084861 A KR 1020180084861A KR 20180084861 A KR20180084861 A KR 20180084861A KR 102134512 B1 KR102134512 B1 KR 102134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unit
fastening
fixed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870A (ko
Inventor
고민정
Original Assignee
고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민정 filed Critical 고민정
Priority to KR102018008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5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고정 대상물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가진 제1 유닛; 및 상기 제1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이 고정되고, 상기 제2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이 고정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관이나 덕트 등의 고정 대상물을 결속한 상태의 유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밴드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밴드체결장치{BAND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밴드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이나 덕트 등의 고정 대상물을 결속한 상태의 유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밴드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공조계통의 덕트를 포함한 각종 배관과, 위생계통의 하수도관을 포함한 각종 유체의 이송을 위한 배관과, 전기계통의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배관 등 다양한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은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면이나 기둥 등과 같은 설치 대상물에 고정되거나,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건축물에 고정된 다른 배관과 미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배관을 고정하기 위하여는 등록실용 제20-0451781호의 "기둥용 결속필름밴드"(이하 선행기술) 등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면이나 기둥 또는 다른 배관 등에 흠집을 내지 않고 원하는 높이와 위치에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의 건설현장에서는 각종 배관마다 다양한 직경에 대응하는 길이의 결속필름밴드를 모두 대응시켜 작업하는 것이 힘들다.
특히, 선행기술은 결속필름밴드의 길이가 출고 당시에 지정된 상태이므로, 직경에 대응하는 길이가 맞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배관의 직경에 대응하는 길이가 짧으면, 이를 늘여 사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건설현장에서 다양한 설치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등록실용 제20-04517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배관이나 덕트 등의 고정 대상물을 결속한 상태의 유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밴드체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다양한 배관들 각각의 직경에 맞게 길이 조절하여 결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밴드체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고정 대상물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가진 제1 유닛; 및 상기 제1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이 고정되고, 상기 제2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이 고정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체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상기 체결홀보다 큰 면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홀과 상기 체결슬롯은 상기 제1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닛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번갈아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설치 대상물과 마주보는 제3 면과, 상기 제3 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을 고정시키는 제4 면을 가진 제1 편과, 상기 제1 편의 상기 제4 면에 고정되어 노출된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을 고정시키는 제5 면과, 상기 제5 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상기 상기 제2 삽입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을 고정시키는 제6 면을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6 면에 고정되어 노출된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4 면에 고정된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편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 대상물에 고정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상기 체결홀보다 큰 면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과, 상기 체결홀과 대응되게 상기 제1 편의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 연통홀과, 상기 체결슬롯의 중심부와 대응되게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 연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과 상기 체결슬롯은 상기 제1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닛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번갈아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체결구는 각각 상기 제1 연통홀 및 상기 제2 연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 대상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편 및 상기 제2 편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측편과, 상기 제1 편 및 상기 제2 편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상기 제1 측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편과 상기 제2 측편 각각의 내측면에 상기 제1 유닛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 안내되고,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제1 측편과 상기 제2 측편 및 상기 제4 면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1 측편과 상기 제2 측편 및 상기 제6 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편의 가장자리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3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1 연결 사면과, 상기 제4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2 연결 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연결 사면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을 삽입 안내하는 제1 유도 설편과, 상기 제2 편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5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3 연결 사면과, 상기 제6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4 연결 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4 연결 사면을 통하여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을 삽입 안내하는 제2 유도 설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편 및 상기 제2 편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측편과, 상기 제1 편 및 상기 제2 편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상기 제1 측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편으로부터 각각 마주보게 돌출되며, 상기 제2 연결 사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이 접촉하는 제1 안내 사면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측의 제1 면이 상기 제2 연결 사면측으로 삽입 안내되도록 하는 제1 윙 돌편과, 상기 제1 측편과 상기 제2 측편으로부터 각각 마주보게 돌출되어 상기 제6 면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측편 및 상기 제2 측편 각각의 내측면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6 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규제하며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을 받침 지지하는 제2 윙 돌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유닛은, 중심부에 상기 제2 연통홀이 배치되며 상기 제4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면의 상기 체결슬롯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2 면의 상기 체결슬롯 가장자리 외측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제1 걸림 고정부와, 중심부에 상기 제1 연통홀이 배치되며 상기 제4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면측으로부터 상기 체결홀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 대상물에 고정되는 체결구의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4 면측을 향하여 걸리는 체결 압력을 분산 지지하는 지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5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단부측의 제2 면이 상기 제5 면과 마주본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부측의 제1 면에 접촉하여 걸림 고정되는 제2 걸림 고정부와, 상기 제6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단부측의 제1 면이 상기 제6 면과 마주본 상태에서, 상기 제2 단부측의 제1 면 및 제2 면에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면과, 제1 면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고정 대상물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가진 제1 유닛; 및 제1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며, 제1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제1 단부측의 제1 면과 제1 단부측의 제2 면이 고정되고, 제2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제2 단부측의 제1 면이 고정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관이나 덕트 등의 고정 대상물을 결속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벽면이나 천장 구조물 또는 기타 배관에 대한 고정 설치 또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유닛의 양단부를 제2 유닛에 고정시키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결속 및 체결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은, 제1 면 및 제2 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과, 제1 면 및 제2 면에 체결홀보다 큰 면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을 더 포함하되, 본 발명에 따른 체결홀과 체결슬롯은 제1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유닛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번갈아 일렬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길이와 규격이 정해진 상태에서 작업해야 하는 한계를 가진 기존의 결속장치와 비교할 때, 건설 현장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설치 및 시공 환경에 맞게 제1 유닛의 길이 조절을 통한 결속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설치 대상물과 마주보는 제3 면과, 제3 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제1 삽입부로부터 삽입되는 제1 단부측의 제1 면을 고정시키는 제4 면을 가진 제1 편과, 제1 편의 제4 면에 고정되어 노출된 제1 단부측의 제2 면을 고정시키는 제5 면과, 제5 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제2 삽입부로부터 삽입되는 제2 단부측의 제1 면을 고정시키는 제6 면을 가진 제2 편과, 제6 면에 고정되어 노출된 제2 단부측의 제1 면과, 제4 면에 고정된 제1 단부측의 제2 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단부측의 제2 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 편을 관통하여 설치 대상물에 고정되는 체결구를 포함함으로써, 제1 유닛의 밴드 본체 양단부의 결속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면 및 제2 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과, 제1 면 및 제2 면에 체결홀보다 큰 면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과, 체결홀과 대응되게 제1 편의 제3 면 및 제4 면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 연통홀과, 체결슬롯의 중심부와 대응되게 제3 면 및 제4 면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 연통홀을 더 포함하며, 체결홀과 체결슬롯은 제1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유닛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번갈아 일렬로 배치되고, 체결구는 각각 제1 연통홀 및 제2 연통홀을 관통하여 설치 대상물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면이나 천장 구조물 또는 기타 배관에 대한 고정 설치시에 체결구에 의한 확실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제1 편 및 제2 편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측편과, 제1 편 및 제2 편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제1 측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편을 더 포함하며, 제1 측편과 제2 측편 각각의 내측면에 제1 유닛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 안내되고, 제1 삽입부는, 제1 측편과 제2 측편 및 제4 면에 의하여 형성되며, 제2 삽입부는, 제1 측편과 제2 측편 및 제6 면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유닛의 체결 및 결속을 위한 삽입 안내가 흐트러짐없이 똑바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확실하게 배관류의 결속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제1 편의 가장자리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3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1 연결 사면과, 제4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2 연결 사면을 가지며, 제2 연결 사면을 통하여 제1 단부측의 제1 면을 삽입 안내하는 제1 유도 설편과, 제2 편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5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3 연결 사면과, 제6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4 연결 사면을 가지며, 제4 연결 사면을 통하여 제2 단부측의 제1 면을 삽입 안내하는 제2 유도 설편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1 유닛의 양단부가 비뚤어짐이 없이 똑바로 정확한 위치에 겹쳐져 고정 대상물에 대한 결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제1 편 및 제2 편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측편과, 제1 편 및 제2 편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제1 측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편으로부터 각각 마주보게 돌출되며, 제2 연결 사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 단부측의 제2 면이 접촉하는 제1 안내 사면을 각각 구비하고, 제1 단부측의 제1 면이 제2 연결 사면측으로 삽입 안내되도록 하는 제1 윙 돌편과, 제1 측편과 제2 측편으로부터 각각 마주보게 돌출되어 제6 면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제1 측편 및 제2 측편 각각의 내측면 하단부에 배치되며, 제2 단부측의 제1 면이 제6 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규제하며 제2 단부측의 제2 면을 받침 지지하는 제2 윙 돌편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2 유닛의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제1 유닛의 제1 단부측의 제2 면과 제2 단부측의 제1 면이 서로 맞닿아 접촉 고정되도록 정확하게 삽입 유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중심부에 제2 연통홀이 배치되며 제4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면의 체결슬롯으로부터 삽입되어 제2 면의 체결슬롯 가장자리 외측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제1 걸림 고정부와, 중심부에 제1 연통홀이 배치되며 제4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면측으로부터 체결홀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 대상물에 고정되는 체결구의 헤드부로부터 제4 면측을 향하여 걸리는 체결 압력을 분산 지지하는 지지통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1 걸림 고정부에 의하여 걸림 고정된 밴드 본체의 중심부, 즉 체결슬롯과 체결홀이 번갈아 일렬로 배치된 부분을 따라서 휘어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밴드 본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 균일한 하중과 압력 분산을 유도함으로써 결속 및 체결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제5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단부측의 제2 면이 제5 면과 마주본 상태에서, 제1 단부측의 제1 면에 접촉하여 걸림 고정되는 제2 걸림 고정부와, 제6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단부측의 제1 면이 제6 면과 마주본 상태에서, 제2 단부측의 제1 면 및 제2 면에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블록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2 유닛의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제1 유닛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결속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제2 유닛으로부터 빠지거나 이탈되는 일이 없이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체결장치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체결장치를 이용하여 결속한 고정 대상물을 설치 대상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을 제3 면 및 제5 면측에서부터 내려다 본 것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을 제4 면 및 제6 면측에서부터 비스듬하게 올려다 본 것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5는 도 3의 V-V 선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체결장치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체결장치를 이용하여 결속한 고정 대상물(300)을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을 제3 면(203) 및 제5 면(205)측에서부터 내려다 본 것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체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을 제4 면(204) 및 제6 면(206)측에서부터 비스듬하게 올려다 본 것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도 3의 V-V 선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제1 단부(401) 및 제2 단부(402)를 가지며, 제1 단부(401)와 제2 단부(40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면(101)과, 제1 면(101)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고정 대상물(30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제2 면(102)을 포함하고,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가진 것이다.
아울러, 제2 유닛(200)은 제1 단부(401)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403, 이하 도 5 참조)와, 제2 단부(402)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404, 이하 도 5 참조)를 구비하며, 제1 삽입부(403)로부터 삽입된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과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이 고정되고, 제2 삽입부(404)로부터 삽입된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형 덕트나 원형 배관 또는 원형 기둥 등과 같이 양단 관통인 중공의 부재들을 포함한 고정 대상물(300)을 결속하여, 도 2와 같이 천장 패널이나 벽면 또는 철골 구조물 등의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120)과,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체결홀(120)보다 큰 면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홀(120)과 체결슬롯(130)은 제1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유닛(10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번갈아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체결슬롯(130) 및 체결홀(120)을 통하여 삽입 관통된 볼트 등의 체결구(이하 미도시)는 제2 유닛(200)의 고정편을 관통하여 천장 패널이나 벽면 또는 철골 구조물 등의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유닛(100)은, 제1 단부(401)와 제2 단부(402) 사이에서 제1 면(101)과 제2 면(102)이 형성된 띠 형상의 밴드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체결홀(120)은 제1 면(101)으로부터 제2 면(102)에 걸쳐 밴드 본체(110)에 관통 형성되는 일정 직경을 가진 것이다.
전술한 체결슬롯(130)은 제1 면(101)으로부터 제2 면(102)에 걸쳐 밴드 본체(110)에 관통 형성되며 체결홀(120)보다 큰 면적을 가진 것이다.
전술한 제1 단부(401)는 가상의 일직선(이하 미도시)의 일단부가 만나 형성되며, 제2 단부(402)는 가상의 일직선의 타단부가 만나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편(210) 및 제2 편(220)을 포함하고, 체결구(이하 미도시)가 제1 편(210)을 관통하여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편(210)은 설치 대상물(500)과 마주보는 제3 면(203)과, 제3 면(203)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제1 삽입부(403)로부터 삽입되는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을 고정시키는 제4 면(204)을 가진 것이다.
제2 편(220)은 제1 편(210)의 제4 면(204)에 고정되어 노출된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을 고정시키는 제5 면(205)과, 제5 면(205)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제2 삽입부(404)로부터 삽입되는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을 고정시키는 제6 면(206)을 가진 것이다.
체결구는 제6 면(206)에 고정되어 노출된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과, 제4 면(204)에 고정된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단부(402)측의 제2 면(102)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 편(210)을 관통하여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제1 편(210)의 제3 면(203) 및 제4 면(204)에는, 체결홀(120)과 대응되게 제1 연통홀(211)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구가 삽입되며, 체결슬롯(130)의 중심부와 대응되게 제3 면(203) 및 제4 면(204)에는, 제2 연통홀(212)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구가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체결구는 각각 제1 연통홀(211) 및 제2 연통홀(212)을 관통하여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1 연통홀(211) 및 제2 연통홀(212) 각각의 중심을 연결한 제1 직선(ℓ1)과, 체결홀(120) 및 체결슬롯(130) 각각의 중심을 연결한 제2 직선(ℓ2)의 길이는 같아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1 편(210) 및 제2 편(220)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측편(201)과, 제1 편(210) 및 제2 편(220)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제1 측편(20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편(20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측편(201)과 제2 측편(202) 각각의 내측면에 제1 유닛(100)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 안내되고, 제1 삽입부(403)는, 제1 측편(201)과 제2 측편(202) 및 제4 면(204)에 의하여 형성되며, 제2 삽입부(404)는, 제1 측편(201)과 제2 측편(202) 및 제6 면(206)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편(210)의 양측 가장자리는 제1 측편(201) 및 제2 측편(202) 각각의 내측면 상단부에 고정되며, 제3 면(203)은 제1 측편(201) 및 제2 측편(202)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제1 편(210)과 제2 편(220)은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5 면(205)은 제3 면(20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알 수 있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의 양단부가 비뚤어짐이 없이 똑바로 정확한 위치에 겹쳐져 고정 대상물(300)에 대한 결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2 유도 설편(231, 23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유도 설편(231)은 제1 편(210)의 가장자리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3 면(203)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1 연결 사면(231a)과, 제4 면(204)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2 연결 사면(231b)을 가지며, 제2 연결 사면(231b)을 통하여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을 삽입 안내하는 것이다.
제2 유도 설편(232)은 제2 편(220)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5 면(205)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3 연결 사면(232a)과, 제6 면(206)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4 연결 사면(232b)을 가지며, 제4 연결 사면(232b)을 통하여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을 삽입 안내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유닛(200)은, 제2 편(22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원호 형상의 양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5 면(205)과 제3 연결 사면(232a)을 연결하는 제1 안내 곡면(232c)과, 제6 면(206)과 제4 연결 사면(232b)을 연결하는 제2 안내 곡면(232d)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2 유닛(200)의 제1 삽입부(403) 및 제2 삽입부(404)를 통해 삽입된 제1 유닛(100)의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과 제2 단부측의 제1 면(101)이 서로 맞닿아 접촉 고정되게 삽입 유도할 수 있도록, 제1, 2 윙 돌편(240, 2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우선, 제1 윙 돌편(240)은 제1 편(210) 및 제2 편(220)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측편(201)과, 제1 편(210) 및 제2 편(220)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제1 측편(20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편(202)으로부터 각각 마주보게 돌출되며, 제2 연결 사면(231b)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제1 윙 돌편(240)은,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이 접촉하는 제1 안내 사면(241)을 각각 구비하고,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이 제2 연결 사면(231b)측으로 삽입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제2 윙 돌편(250)은 제1 측편(201)과 제2 측편(202)으로부터 각각 마주보게 돌출되어 제6 면(206)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제1 측편(201) 및 제2 측편(202) 각각의 내측면 하단부에 배치되며,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이 제6 면(20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규제하며 제2 단부(402)측의 제2 면(102)을 받침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삽입부(403)는, 제1 측편(201)과 제2 측편(202)과 제2 연결 사면(231b) 및 제1 안내 사면(241)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2 삽입부(404)는, 제1 측편(201)과 제2 측편(202)과 제4 연결 사면(232b) 및 제2 윙 돌편(250)의 상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제1 안내 사면(241)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단부(402)측의 제2 면(102)이 삽입 안내되게 제2 윙 돌편(250) 각각의 상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안내 사면(25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1 측편(201) 및 제2 측편(202) 각각의 내측면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제1 유도 설편(231)의 양단부에 절개 형성된 삽입 확인 절개부(231c, 231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제1 측편(201) 및 제2 측편(202) 각각의 내측면과 제2 편(220)의 양측 가장자리가 만나는 연결부위로부터 제2 편(220)에 절개 형성되어 제2 윙 돌편(2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삽입 확인 슬롯(252, 25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확인 슬롯(252, 252)은 제2 윙 돌편(250)의 상면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가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 유닛(100)의 삽입 및 정확한 체결 여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삽입 확인 절개부(231c, 231c)와 삽입 확인 슬롯(252, 252)은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 또는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이 제대로 삽입 관통하였는지 작업자가 설치 작업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1 걸림 고정부(260)와 함께 지지통부(2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걸림 고정부(260)는 중심부에 제2 연통홀(212)이 배치되며 제4 면(204)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면(101)의 체결슬롯(130)으로부터 삽입되어 제2 면(102)의 체결슬롯(130) 가장자리 외측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통부(270)는 중심부에 제1 연통홀(211)이 배치되며 제4 면(204)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면(102)측으로부터 체결홀(120)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되는 체결구의 헤드부로부터 제4 면측을 향하여 걸리는 체결 압력을 분산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걸림 고정부(260)는, 크게 한 쌍의 삽입 돌편(261, 261)과, 제1 후크편(262)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삽입 돌편(261, 261)은 제2 연통홀(212)의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하여 제4 면(204)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것으로, 장공 형상인 체결슬롯(130)의 원호 형상 양단부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원호 형상의 외측면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제1 후크편(262)은 한 쌍의 삽입 돌편(261, 261) 각각의 하단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단부 말단까지 좁아지게 경사 첨두(尖頭)를 형성한 것이며, 제1 후크편(262) 각각의 상면이 제2 면(102)에 접촉됨으로써, 제1 유닛(10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제1 걸림 고정부(260)의 형상 변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후크편(262) 각각의 경사 첨두가 체결슬롯(130)의 양단부 내측면을 따라 삽입될 때, 한 쌍의 삽입 돌편(261, 261)의 하단부가 서로 근접하는 탄성 변형을 허용한 후, 제1 후크편(262) 각각의 상면이 완전히 체결슬롯(130)으로부터 빠져나와 제2 면(102)에 접촉 고정되면 한 쌍의 삽입 돌편(261, 261)의 하단부는 원위치로 복귀하는 탄성 복원을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울러, 제4 면(204)으로부터 제1 걸림 고정부(260)의 제2 면(102)이 걸림 고정되는 부분까지의 거리와, 제4 면(204)으로부터 지지통부(270)의 하부 끝면까지의 거리의 차(g, 이하 도 5 참조)는, 제1 유닛(100)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4 면(204)으로부터 제1 후크편(262) 각각의 상면까지의 거리와, 제4 면(204)으로부터 지지통부(270)의 하부 끝면까지의 거리의 차(g)는, 밴드 본체(110)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게 함으로써, 제1 유닛(100)이 제1 편(210)에 대하여 이탈되지 않고 확실하게 걸림 고정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걸림 고정부(260)의 제1 후크편(262) 각각이 체결슬롯(130)을 관통 삽입하여 제2 면(102)에 제대로 걸림 고정되었는지 체결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삽입 돌편(261, 261) 각각의 외측면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4 면(204)에 원호 형상으로 체결 확인 슬롯(263, 263)이 관통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지지통부(270)는, 내, 외통(271, 272) 사이에 메인 보강 리브(273) 및 서브 보강 리브(274)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내통(271)은 제1 연통홀(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4 면(204)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것이며, 외통(272)은 내통(271)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로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며 제4 면(204)으로부터 내통(271)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된 것이다.
복수의 메인 보강 리브(273)는 내통(271)의 외주면과 외통(272)의 내주면을 상호 연결하도록 제4 면(204)으로부터 내통(271) 및 외통(272)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이다.
서브 보강 리브(274)는 제4 면(204) 및 내통(271)의 외주면으로부터 내통(271) 및 외통(272)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며, 복수의 메인 보강 리브(273) 중 하나의 메인 보강 리브(273)와 이웃한 메인 보강 리브(27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1 편(210)의 제4 면(204)에는 비틀림이나 휘어짐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제2 유닛(200)의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도록 접촉안내 리브(213)와 접촉보강 리브(214)를 더 구비하며, 제1 단부(401)의 원활한 삽입 안내를 위하여 가이드 챔퍼(215, guide chamfer)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접촉안내 리브(213)는 제1 편(21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를 거쳐 제1 유도 설편(231)까지 연장되도록, 제4 면(204) 및 제2 연결사면으로부터 지지통부(270)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접촉안내 리브(213)는, 제1 걸림 고정부(260)와 지지통부(27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하여, 가상선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제1 유닛(100)의 삽입 방향에 따른 구조적 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이 제4 면(204)에 직접 접촉되거나 처지거나 휘어지는 등의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코자 마련된 것이다.
접촉보강 리브(214)는 제1 편(210)의 일측 가장자리 양측에 형성되도록, 제4 면(204)으로부터 돌출되어 복수의 접촉안내 리브(213) 각각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것이다.
가이드 챔퍼(215)는 제1 편(21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접촉안내 리브(213) 각각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접촉보강 리브(214)의 가장자리로부터 접촉안내 리브(213) 각각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절개 형성되어 제1 단부(401)의 삽입 안내를 유도하게 된다.
제4 면(204)에 대하여 가이드 챔퍼(215)가 형성된 경사각은 후술할 경사안내 절개부(224s) 및 경사안내 리브(225r) 각각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제5 면(205)과 이루는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단부(401)의 삽입 안내를 확실하고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2 걸림 고정부(280)와 함께 걸림 블록(29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 걸림 고정부(280)는 제5 면(205)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이 제5 면(205)과 마주본 상태에서,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에 접촉하여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걸림 블록(290)은 제6 면(206)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이 제6 면(206)과 마주본 상태에서,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130)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유닛(200)은, 제2 걸림 고정부(280) 및 걸림 블록(290)의 형성을 위하여 설치 슬롯(221)과 베이스 블록(222)과 지지 연결편(223, 223)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설치 슬롯(221)은 제5 면(205)으로부터 제6 면(206)에 걸쳐 장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베이스 블록(222)은 설치 슬롯(221)의 내측에 배치되고, 지지 연결편(223, 223)은 이러한 베이스 블록(222)의 양측면과 설치 슬롯(221)의 내측면을 각각 연결한다.
지지 연결편(223, 223)은,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으로부터 체결슬롯(130)을 관통하여 제2 걸림 고정부(280)가 삽입 관통하여 걸림 고정되거나,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으로부터 체결슬롯(130)의 일측 가장자리가 접촉되어 걸림 고정될 때, 베이스 블록(222)의 양단부가 지지 연결편(223, 223)을 기준으로 회동하듯이 미약하게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역할을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제2 걸림 고정부(280)는 제5 면(205)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블록(222)의 상면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걸림 블록(290)은 제6 면(206)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블록(222)의 하면으로부터 베이스 블록(222)의 하면 타단부까지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제2 걸림 고정부(280)는, 지지 돌편(281)과 제2 후크편(282) 및 지지 보강 리브(283)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지 돌편(281)은 원호 형상인 베이스 블록(222)의 일단부 상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체결슬롯(130)의 일단부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이다.
제2 후크편(282)은 지지 돌편(281)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제5 면(205)과 평행한 하면을 가지는 것이다.
지지 보강 리브(283)는 지지 돌편(281)의 원호 형상 내측면과 베이스 블록(22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후크편(282)의 하면은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과 접촉됨으로써, 밴드 본체(110)의 제1 단부(401)측 제2 면(102)을 제5 면(205)에 접촉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원호 형상인 베이스 블록(222)의 타단부와 이웃한 설치 슬롯(221)의 타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5 면(205)으로부터 돌출된 코어 안내 리브(2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코어 안내 리브(224)의 양단부로부터 제2 편(220)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경사안내 절개부(224s)가 경사지게 절단 형성되어 제1 단부(401)의 중심부가 제2 걸림 고정부(280)측으로 원활히 안내되도록 유도하는 가장자리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원호 형상인 코어 안내 리브(224)의 양단부로부터 제2 편(220)의 일측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제1 측편(201) 및 제2 측편(202)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제5 면(205)으로부터 돌출된 사이드 안내 리브(22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사이드 안내 리브(225)의 일측면으로부터 제2 편(220)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경사안내 리브(225r)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 단부(401)의 양측이 제2 걸림 고정부(280)측으로 원활히 안내되도록 유도하는 가장자리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6 면(206)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편(220)의 일측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제6 면(206)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이탈방지 사면(226s)을 구비한 삼각 기둥 형상의 이탈방지 안내블록(226)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탈방지 안내블록(226)은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이 제4 연결 사면(232b)을 따라 제6 면(206)과 제2 윙 돌편(250)의 상면 사이로 삽입 안내되어 체결슬롯(130)의 일측 가장자리가 걸림 블록(290)에 걸릴 때 제1 유닛(100), 즉 밴드 본체(110)가 원호 형상으로 휘어져 삽입 안내되게 유도 함으로써 밴드 본체(110)의 제2 단부(402)가 뒤로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밴드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밴드, 즉 제1 유닛(100)의 밴드 본체(110)를 고정 대상물(300, 이하 도 2 참조)의 외주면에 감아 제2 유닛(200)에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결속 및 고정 작업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며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로, 도 5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우선, 작업자는 ①제1 단부(401)를 제1 삽입부(403)를 통하여 밀어넣고,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에 관통된 복수의 체결슬롯(130)들 중에서, 제1 단부(401)로부터 순서대로 세번째 또는 네번째 정도에 위치한 체결슬롯(130)을 제1 걸림 고정부(260)에 관통시켜 걸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1 단부(401)로부터 첫번째 또는 두번째 정도에 위치한 체결슬롯(130)을 제2 걸림 고정부(280)에 관통시켜 걸림 고정시킨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②제2 단부(402)를 제2 삽입부(404)를 통하여 밀어넣고,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에 관통된 복수의 체결슬롯(130)들 중에서 제2 단부(402)로부터 순서대로 세번째 또는 네번째 정도에 위치한 체결슬롯(130)을 걸림 블록(290)에 관통시켜 걸림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걸림 블록(290)에 고정되어 제2 편(220)으로부터 제1 편(210)의 제4 면(204) 하부측으로 노출된 제2 단부(402)를 제1 단부(401)측 제2 면(102)으로 밀어붙여 체결구를 이용하여 제1, 2 단부(101, 102)를 제2 유닛(2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체결구를 이용한 고정은 제2 단부측(102)측의 제2 면(102)으로부터 삽입된 체결구가, 이미 걸림 고정되어 제2 체결홀(212)과 대응되게 배치된 체결슬롯(130)의 중심부 및 제2 체결홀(212)을 관통하여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됨과 동시에, 별도의 체결구가 제1 체결홀(211)과 대응되게 배치된 체결홀(12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됨으로써 결속 및 고정 작업이 완료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밴드체결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제1 단부(401) 및 제2 단부(402)를 가지며, 제1 단부(401)와 제2 단부(40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면(101)과, 제1 면(101)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고정 대상물(30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제2 면(102)을 포함하고,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가진 제1 유닛(100); 및 제1 단부(401)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403, 이하 도 5 참조)와, 제2 단부(402)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404)를 구비하며, 제1 삽입부(403)로부터 삽입된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과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이 고정되고, 제2 삽입부(404)로부터 삽입된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이 고정되는 제2 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관이나 덕트 등의 고정 대상물(300)을 결속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벽면이나 천장 구조물 또는 기타 배관에 대한 고정 설치 또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유닛(100)의 양단부를 제2 유닛(200)에 고정시키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결속 및 체결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100)은,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120)과,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체결홀(120)보다 큰 면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130)을 더 포함하며, 체결홀(120)과 체결슬롯(130)은 제1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유닛(10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번갈아 일렬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길이와 규격이 정해진 상태에서 작업해야 하는 한계를 가진 기존의 결속장치와 비교할 때, 건설 현장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설치 및 시공 환경에 맞게 제1 유닛(100)의 길이 조절을 통한 결속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설치 대상물(500)과 마주보는 제3 면(203)과, 제3 면(203)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제1 삽입부(403)로부터 삽입되는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을 고정시키는 제4 면(204)을 가진 제1 편(210)과, 제1 편(210)의 제4 면(204)에 고정되어 노출된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을 고정시키는 제5 면(205)과, 제5 면(205)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제2 삽입부(404)로부터 삽입되는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을 고정시키는 제6 면(206)을 가진 제2 편(220)과, 제6 면(206)에 고정되어 노출된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과, 제4 면(204)에 고정된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단부(402)측의 제2 면(102)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 편(210)을 관통하여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되는 체결구를 포함함으로써, 제1 유닛(100)의 밴드 본체(110) 양단부의 결속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120)과,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체결홀(120)보다 큰 면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130)과, 체결홀(120)과 대응되게 제1 편(210)의 제3 면(203) 및 제4 면(204)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 연통홀(211)과, 체결슬롯(130)의 중심부와 대응되게 제3 면(203) 및 제4 면(204)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 연통홀(212)을 더 포함하며, 체결홀(120)과 체결슬롯(130)은 제1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유닛(10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번갈아 일렬로 배치되고, 체결구는 각각 제1 연통홀(211) 및 제2 연통홀(212)을 관통하여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면이나 천장 구조물 또는 기타 배관에 대한 고정 설치시에 체결구에 의한 확실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제1 편(210) 및 제2 편(220)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측편(201)과, 제1 편(210) 및 제2 편(220)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제1 측편(20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편(202)을 더 포함하며, 제1 측편(201)과 제2 측편(202) 각각의 내측면에 제1 유닛(100)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 안내되고, 제1 삽입부(403)는, 제1 측편(201)과 제2 측편(202) 및 제4 면(204)에 의하여 형성되며, 제2 삽입부(404)는, 제1 측편(201)과 제2 측편(202) 및 제6 면(206)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유닛(100)의 체결 및 결속을 위한 삽입 안내가 흐트러짐없이 똑바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확실하게 배관류의 결속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제1 편(210)의 가장자리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3 면(203)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1 연결 사면(231a)과, 제4 면(204)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2 연결 사면(231b)을 가지며, 제2 연결 사면(231b)을 통하여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을 삽입 안내하는 제1 유도 설편(231)과, 제2 편(220)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5 면(205)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3 연결 사면(232a)과, 제6 면(206)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4 연결 사면(232b)을 가지며, 제4 연결 사면(232b)을 통하여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을 삽입 안내하는 제2 유도 설편(232)을 더 함으로써, 제1 유닛(100)의 양단부가 비뚤어짐이 없이 똑바로 정확한 위치에 겹쳐져 고정 대상물(300)에 대한 결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제1 편(210) 및 제2 편(220)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측편(201)과, 제1 편(210) 및 제2 편(220)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제1 측편(20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편(202)으로부터 각각 마주보게 돌출되며, 제2 연결 사면(231b)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이 접촉하는 제1 안내 사면(241)을 각각 구비하고,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이 제2 연결 사면(231b)측으로 삽입 안내되도록 하는 제1 윙 돌편(240)과, 제1 측편(201)과 제2 측편(202)으로부터 각각 마주보게 돌출되어 제6 면(206)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제1 측편(201) 및 제2 측편(202) 각각의 내측면 하단부에 배치되며,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이 제6 면(20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규제하며 제2 단부(402)측의 제2 면(102)을 받침 지지하는 제2 윙 돌편(2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2 유닛(200)의 제1 삽입부(403) 및 제2 삽입부(404)를 통해 삽입된 제1 유닛(100)의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과 제2 단부측의 제1 면(101)이 서로 맞닿아 접촉 고정되도록 정확하게 삽입 유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중심부에 제2 연통홀(212)이 배치되며 제4 면(204)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면(101)의 체결슬롯(130)으로부터 삽입되어 제2 면(102)의 체결슬롯(130) 가장자리 외측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제1 걸림 고정부(260)와, 중심부에 제1 연통홀(211)이 배치되며 제4 면(204)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면(102)측으로부터 체결홀(120)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되는 체결구의 헤드부로부터 제4 면측을 향하여 걸리는 체결 압력을 분산 지지하는 지지통부(270)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1 걸림 고정부(260)에 의하여 걸림 고정된 밴드 본체(110)의 중심부, 즉 체결슬롯(130)과 체결홀(120)이 번갈아 일렬로 배치된 부분을 따라서 휘어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밴드 본체(110)의 길이 방향에 걸쳐 균일한 하중과 압력 분산을 유도함으로써 결속 및 체결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제5 면(205)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단부(401)측의 제2 면(102)이 제5 면(205)과 마주본 상태에서, 제1 단부(401)측의 제1 면(101)에 접촉하여 걸림 고정되는 제2 걸림 고정부(280)와, 제6 면(206)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이 제6 면(206)과 마주본 상태에서, 제2 단부(402)측의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130)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블록(290)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2 유닛(200)의 제1 삽입부(403) 및 제2 삽입부(404)를 통해 삽입된 제1 유닛(100)의 제1 단부(401) 및 제2 단부가, 결속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제2 유닛(200)으로부터 빠지거나 이탈되는 일이 없이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관이나 덕트 등의 고정 대상물을 결속한 상태의 유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밴드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제1 면
102...제2 면
110...밴드 본체
120...체결홀
130...체결슬롯
200...제2 유닛
201...제1 측편
202...제2 측편
203...제3 면
204...제4 면
205...제5 면
206...제6 면
210...제1 편
211...제1 연통홀
212...제2 연통홀
213...접촉안내 리브
214...접촉보강 리브
215...가이드 챔퍼
220...제2 편
221...설치 슬롯
222...베이스 블록
223, 223...지지 연결편
224...코어 안내 리브
224s...경사안내 절개부
225...사이드 안내 리브
225r...경사안내 리브
226...이탈방지 안내블록
226s...이탈방지 사면
231...제1 유도 설편
231a...제1 연결 사면
231b...제2 연결 사면
231c, 231c...삽입 확인 절개부
232...제2 유도 설편
232a...제3 연결 사면
232b...제4 연결 사면
232c...제1 안내 곡면
232d...제2 안내 곡면
240...제1 윙 돌편
241...제1 안내 사면
250...제2 윙 돌편
251...제2 안내 사면
252, 252...삽입 확인 슬롯
260...제1 걸림 고정부
261, 261...삽입 돌편
262...제1 후크편
263, 263...체결 확인 슬롯
270...지지통부
271...내통
272...외통
273...메인 보강 리브
274...서브 보강 리브
280...제2 걸림 고정부
281...지지 돌편
282...제2 후크편
283...지지 보강 리브
290...걸림 블록
300...고정 대상물
401...제1 단부
402...제2 단부
403...제1 삽입부
404...제2 삽입부
500...설치 대상물
ℓ1...제1 직선
ℓ2...제2 직선

Claims (10)

  1.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고정 대상물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가진 제1 유닛; 및
    상기 제1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이 고정되고, 상기 제2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이 고정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설치 대상물과 마주보는 제3 면과, 상기 제3 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을 고정시키는 제4 면을 가진 제1 편과,
    상기 제1 편의 상기 제4 면에 고정되어 노출된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을 고정시키는 제5 면과, 상기 제5 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상기 상기 제2 삽입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을 고정시키는 제6 면을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6 면에 고정되어 노출된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4 면에 고정된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편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 대상물에 고정되는 체결구와,
    상기 제5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단부측의 제2 면이 상기 제5 면과 마주본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부측의 제1 면에 접촉하여 걸림 고정되는 제2 걸림 고정부와,
    상기 제6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단부측의 제1 면이 상기 제6 면과 마주본 상태에서, 상기 제2 단부측의 제1 면 및 제2 면에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블록과,
    상기 제6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편의 일측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6 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이탈방지 사면을 구비한 삼각 기둥 형상의 이탈방지 안내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상기 체결홀보다 큰 면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체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과 상기 체결슬롯은 상기 제1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닛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번갈아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체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상기 체결홀보다 큰 면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슬롯과,
    상기 체결홀과 대응되게 상기 제1 편의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 연통홀과,
    상기 체결슬롯의 중심부와 대응되게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 연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과 상기 체결슬롯은 상기 제1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닛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번갈아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체결구는 각각 상기 제1 연통홀 및 상기 제2 연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 대상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체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편 및 상기 제2 편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측편과,
    상기 제1 편 및 상기 제2 편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상기 제1 측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편과 상기 제2 측편 각각의 내측면에 상기 제1 유닛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 안내되고,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제1 측편과 상기 제2 측편 및 상기 제4 면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1 측편과 상기 제2 측편 및 상기 제6 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체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편의 가장자리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3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1 연결 사면과, 상기 제4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2 연결 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연결 사면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을 삽입 안내하는 제1 유도 설편과,
    상기 제2 편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5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3 연결 사면과, 상기 제6 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경사지는 제4 연결 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4 연결 사면을 통하여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을 삽입 안내하는 제2 유도 설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체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편 및 상기 제2 편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측편과, 상기 제1 편 및 상기 제2 편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상기 제1 측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편으로부터 각각 마주보게 돌출되며, 상기 제2 연결 사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이 접촉하는 제1 안내 사면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측의 제1 면이 상기 제2 연결 사면측으로 삽입 안내되도록 하는 제1 윙 돌편과,
    상기 제1 측편과 상기 제2 측편으로부터 각각 마주보게 돌출되어 상기 제6 면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측편 및 상기 제2 측편 각각의 내측면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6 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규제하며 상기 제2 단부측의 상기 제2 면을 받침 지지하는 제2 윙 돌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체결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중심부에 상기 제2 연통홀이 배치되며 상기 제4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면의 상기 체결슬롯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2 면의 상기 체결슬롯 가장자리 외측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제1 걸림 고정부와,
    중심부에 상기 제1 연통홀이 배치되며 상기 제4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면측으로부터 상기 체결홀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 대상물에 고정되는 체결구의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4 면측을 향하여 걸리는 체결 압력을 분산 지지하는 지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체결장치.
  10. 삭제
KR1020180084861A 2018-07-20 2018-07-20 밴드체결장치 KR102134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861A KR102134512B1 (ko) 2018-07-20 2018-07-20 밴드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861A KR102134512B1 (ko) 2018-07-20 2018-07-20 밴드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70A KR20200009870A (ko) 2020-01-30
KR102134512B1 true KR102134512B1 (ko) 2020-07-15

Family

ID=6932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861A KR102134512B1 (ko) 2018-07-20 2018-07-20 밴드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5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7007A (ja) * 2016-11-09 2018-05-17 株式会社エスコ ダクト取付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81Y1 (ko) 2008-04-30 2011-01-12 김종구 기둥용 결속필름밴드
KR20170100728A (ko) * 2016-02-26 2017-09-05 고민정 밴드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7007A (ja) * 2016-11-09 2018-05-17 株式会社エスコ ダクト取付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70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8446B2 (en) Bridge clip
US7922129B2 (en) Cable routing devices with integrated couplers
US8833013B2 (en) Termination collar for air duct
US8840071B2 (en) Cable support and method
US4044428A (en) Conduit clamp
CA2923147C (en) "pipe securing apparatus"
US20150291326A1 (en) Bundle Spacing Device
US7601918B2 (en) Protective barrier for piping and cabling
KR102134512B1 (ko) 밴드체결장치
WO2009090628A2 (en) Pest blocking device
CN107534283B (zh) 线缆限制器
US20050217191A1 (en) I-joist web hole insert
US10498123B2 (en) Support bracket for mounting octagonal boxes on furring channels
US10563401B2 (en) Bridge clip
KR20180001036U (ko) 파이프 고정용 밴드
US11015738B1 (en) Conduit strap and methods of strapping a conduit to a surface
CN101641543B (zh) 用于开式卡箍的机械联接
US20200326094A1 (en) Insulated metal clad reinforced duct
JP6892401B2 (ja) 取着体及び配線・配管材布設具
CN115843325A (zh) 示踪线保持器
JP6936164B2 (ja) 配線・配管材布設具の布設構造、及び配線・配管材布設具
US20040231174A1 (en) Device and method providing a straight edge along an object
US20230400659A1 (en) Optical fibre clip
JP6936163B2 (ja) 配線・配管材布設具
EP1482615B1 (en) Adaptor for the curbature of cables laid in an openable race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