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932B1 -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3932B1 KR102133932B1 KR1020190005384A KR20190005384A KR102133932B1 KR 102133932 B1 KR102133932 B1 KR 102133932B1 KR 1020190005384 A KR1020190005384 A KR 1020190005384A KR 20190005384 A KR20190005384 A KR 20190005384A KR 102133932 B1 KR102133932 B1 KR 1021339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marine cable
- cable
- wind tower
- bending radius
- t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1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in or under wat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01B7/045—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attached to marine objects, e.g. buoys, diving equipment, aquatic probes, marine towlin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저케이블(100)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풍력타워의 하부기초에서 TP(Transition piece) 영역으로 해저케이블(100)의 일단을 입상시키는 단계; b) 소정의 길이만큼 입상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을 행오프(Hang-off)를 이용하여 구속시키는 단계; c) 입상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일단을 풍력타워의 플랫폼 외부로 이송하는 단계; d)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여장 길이를 체크하여 일측을 절단하는 단계; e)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외피를 분해하는 단계; f) 절단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플랫폼 외부 난간 밖을 향해 걸쳐 내려놓는 단계; g)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잡아 올리어 타워 내부로 운반하는 단계; 및h)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TP영역내로 인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력타워 등의 설치 이후에 해저케이블을 인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의 외부로 입상된 해저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한 이후에 해저케이블의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TP(Transition Piece) 내로 인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해상풍력 케이블의 풍력타워 간 입상 시공은 풍력타워의 기초(foundation) 위에 타워가 설치되기 전 또는 타워가 설치된 후에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시공방법은 주변 환경의 제한을 받기 때문에, 주어진 환경 조건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것이 적절하다.
국내에서 풍력타워 등에 해저케이블을 입상하는 시공은 후자와 같이 풍력타워가 설치된 상태에서 해저케이블의 입상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해저케이블은 단말접속상 사고시를 대비하여, 재접속 시공을 위하여 여비로 마련된 해저케이블의 여장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입상시킨 해저케이블을 발전기에 접속시키기 위하여는 해저케이블의 외피를 분해하여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의 플랫폼 외부로 이송하여 전술한 외피제거 등의 공정을 거치게 되고, 이후에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의 TP영역 내부로 다시 인입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다만, 이 경우에 해저케이블을 인입하는 과정에서, 해저케이블이 지나치게 많이 구부러지면 손상되는 최소굽힘반경(MBR)이라는 한계를 가치고 있다. 따라서 해저케이블을 인입하는 과정에서 휘는 정도를 최소화하여, 즉 가능한 수평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 져야 함에도, 풍력타워 내 시공이라는 제한적 공간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18-0000676 호(명칭: 격벽용 케이블의 휨 방지장치)는 격벽의 관통공 상에 각종 케이블이 배선되는 과정에서 최소한의 휨 반경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다만, 선행기술에 의하더라도 풍력타워에서의 해저케이블의 인입공정에 있어서 최소굽힘반경 유지효과를 장담함에는 무리가 따른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저케이블의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풍력타워의 하부기초에서 TP(Transition piece) 영역으로 해저케이블의 일단을 입상시키는 단계; b) 소정의 길이만큼 입상된 상기 해저케이블을 행오프(Hang-off)를 이용하여 구속시키는 단계; c) 입상된 상기 해저케이블의 일단을 풍력타워의 플랫폼 외부로 이송하는 단계; d) 상기 해저케이블의 여장 길이를 체크하여 일측을 절단하는 단계; e) 상기 해저케이블의 외피를 분해하는 단계; f) 절단된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플랫폼 외부 난간 밖을 향해 걸쳐 내려놓는 단계; g)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잡아 올리어 타워 내부로 운반하는 단계; 및 h)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TP영역내로 인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TP영역의 천정개구부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1)이 상기 해저케이블의 직경(D1)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은 3 심(Core) 케이블을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3심 케이블의 외주면을 따라 철선보강층 및 외부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외피가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철선보강층과 외부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3심 케이블의 끝단을 열수축캡으로 실링 마감하는 단계; 및 실링 마감된 상기 3심 케이블의 꼬임을 풀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플랫폼 외부 난간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2)가 상기 3심 케이블 각각의 직경(D2)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잡아 올리어 타워 내부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3)가 상기 3심 케이블 각각의 직경(D2)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h) 단계는, 상기 TP영역의 천정개구부를 통해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TP영역내로 인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4)가 상기 3심 케이블 각각의 직경(D2)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g)단계는, 케이블의 최소굽힘반경 유지를 위한 보조유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의 접히는 부분의 굽힘을 구속한 상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유지장치는, 들어 올리어진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반원형 형상의 제1가이드부; 상기 플랫폼 바닥에 위치하는 상기 해저케이블이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고리 형상의 된 제2가이드부; 및 양단에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의 간격을 유지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래 작업자의 임의의 판단에 의할 경우와 달리, 해저케이블의 최소굽힘반경을 정확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서 발생하는 해저케이블에 대한 접속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 은 해상변전소와 풍력타워 간 또는 풍력타워 상호 간의 해저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시공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의 인입방법을 시간 순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의 인입방법을 시간 순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적 값의 범위가 기재되었을 때, 이의 구체적인 범위가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그 값은 유효 숫자에 대한 화학에서의 표준규칙에 따라 제공된 유효 숫자의 정밀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10은 5.0 내지 14.9의 범위를 포함하며, 숫자 10.0은 9.50 내지 10.49의 범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1) 또는 해상변전소(1)에 인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앞서, 도1 를 참조하여 해상변전소(1)와 풍력타워(1) 간 또는 풍력타워(1) 상호 간의 해저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시공방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풍력타워(1) 간의 해저면에 대하여 닷 등을 이용한 청소작업 후에 본격적인 해저케이블의 시공 공정이 시작된다. 풍력타워(1)에서는 용접, 볼팅 등이 불가하므로 해저케이블을 직접적으로 풍력타워(1)에 인입할 수 없으며, 해저면에서 하부 기초를 통하여 입상시키는 방식으로 접속시킨다. 해저케이블은 풍력타워(1)까지 바지선(70)을 통해 이송되어 시공위치를 확인한 후에 바다로 투입되어, 보조로프(60)를 따라 풍력타워(1)의 하부기초 근처의 해저면으로 이동된다.
해저케이블이 수심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해저케이블의 중량으로 인하여 지나치게 급격히 하강하거나 과도한 텐션(Tenstion)이 가해짐으로 인하여, 자칫 해저케이블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 현장에서는 해저케이블을 부표와 결합하여 부표와 일체로 바다로 투입한다. 부표의 부력으로 인하여 해저케이블은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천천히 해저면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해저케이블이 소정의 깊이만큼 하강된 이후에는 잠수부에 의하여 바다로 투입된 부표를 커팅하여 제거된다.
풍력타워(1) 타워의 TP영역(10)에는 해저케이블을 끌어올리기 위하여, 원통형의 드럼에 메신저로프(50)(50)를 감아 도르래를 이용해서 케이블을 들어올리는 케이블 윈치(Cable Winch)가 설치된다. 메신저로프(50)(50)의 일단이 해저케이블과 연결되고, 풍력타워(1) 타워의 상부에 위치한 TP영역(10)에서부터 하부 기초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J튜브(40)를 따라서 하강한다.
해저케이블의 일단과 메신저로프(50)(50)의 일단이 풍력타워(1)의 하부면에서 잠수부에 의해 연결되면, 메신저로프(50)(50)의 타단은 케이블 윈치에 의해 감아 올려진다. 이에 따라 해저케이블의 일단이 상기 메신저로프(50)(50)와 일체로, J튜브(40) 관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풍력타워(1)의 TP 영역 내부에 도달하게 된다.
이하 도2 내지 도5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100)을 풍력타워(1) 또는 해상변전소(1)에 인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TP영역(10) 내에 입상된 해저케이블(100)이 천정개구부(11)를 통하여 플랫폼(20) 외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3은 외부로 이송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외피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4는 상기 플랫폼(20) 난간에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일측이 걸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5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이 다시 상기 TP영역(10) 내로 인입되는 상태를 나태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100)을 풍력타워(1) 또는 해상변전소(1)에 인입하는 방법은 a) 풍력타워(1)의 하부기초에서 TP(Transition piece) 영역으로 해저케이블(100)의 일단을 입상시키는 단계; b) 소정의 길이만큼 입상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을 행오프(30)(Hang-off)를 이용하여 구속시키는 단계; c) 입상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일단을 풍력타워(1)의 플랫폼(20) 외부로 이송하는 단계; d)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여장 길이를 체크하여 일측을 절단하는 단계; e)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외피를 분해하는 단계; f) 절단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플랫폼(20) 외부 난간 밖을 향해 걸쳐 내려놓는 단계; g)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잡아 올리어 타워 내부로 운반하는 단계; h)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상기 TP영역(10)내로 인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케이블의 최소굽힘반경(MBR)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해저케이블(100)은 3 심(Core) 케이블을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3심 케이블의 외주면을 따라 철선보강층 및 외부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외피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해저케이블(100)은 일반적으로 내부전력망, 외부전력망 모두 광섬유 케이블이 포함된 3심 광복합 케이블을 주로 사용한다. 이는 광섬유케이블을 통신용도뿐만 아니라, 해저케이블(100)의 실시간 감시진단용으로도 사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3심케이블은 상기 해저케이블(100) 내에 트리플렉스(Triflexl) 형상으로 내부에 구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풍력타워(1)의 하부기초에서 상기 해저케이블(100)을 입상시키는 단계로서, 앞서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신저 로프의 일단과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케이블 윈치에 의해 메이저 로프와 일체로서 상기 TP영역(10) 내로 입상된다.
상기 b)단계는 소정의 길이만큼 입상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을 행오프(30)를 이용하여 구속시키는 단계이다. 소정의 길이란, 해저케이블(100)을 단말 접속 상 사고시를 대비하여 재접속 시공을 위하여 여장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야 하고 통상적으로 10m 이상의 여유 길이를 확보한다. 또한 바다에서 올라온 상기 해저케이블(100) 내에 물이 침투되었는지 등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절단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절단 길이 역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단계는 입상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일단을 상기 TP영역(10)의 천정개구부(11)를 통해 플랫폼(20) 외부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해저케이블(100)이 여장의 길이를 포함하여 충분히 입상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외피를 분해하여 제거하는 등의 공정이 상기 TP영역(10) 내에서 이루어지기에는 공간적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TP영역(10)의 천정개구부(11)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저케이블(100)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1)이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직경(D1)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이 상기 TP영역(10)의 천정에서 상기 플랫폼(20) 외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곡선이 형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굽힘에 대하여, 최소굽힘반경(MBR)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d)단계에서 상기 플랫폼(20) 외부로 배출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은 여장의 길이를 체크한 이후에 일측을 절단하고, 상기 해저케이블(100) 내부에 물이 침투하였는지 여부 등의 상태를 판단한다.
이러한 작업이 마쳐진 후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단계에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철선보강층과 외부보호층(PP사) 등을 분해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3심 케이블이 직접적으로 풍력타워(1) 내 발전기와 접속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e) 단계는 상기 철선보강층과 외부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3심 케이블의 끝단을 열수축캡으로 실링 마감하는 단계; 및 실링 마감된 상기 3심 케이블의 꼬임을 풀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플랫폼(20)의 외부 공간은 풍력타워(1)라는 특성상, 공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여장의 길이를 포함하여 대략 10m 이상의 상기 해저케이블(100)을 위치시키기 위해선, 상기 해저케이블(100)이 지나치게 굽혀지게 된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단계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굽힘을 최소화한 상태로서 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플랫폼(20) 외부 난간 밖을 향해 걸쳐 내려놓는 단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f) 단계는, 상기 플랫폼(20) 외부 난간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해저케이블(100)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2)가 상기 3심 케이블 각각의 직경(D2)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플랫폼(20)의 외부 난간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최소굽힘반경(MBR)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공정이 모두 마쳐진 후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상기 풍력타워(1)의 발전기 등과 접속시키기 위하여 다시 상기 TP영역(10) 내로 인입하여야 한다. 이 경우도 역시, 상기 해저케이블(100)은 최대한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굽힘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상기 g)단계는, 상기 플랫폼(20)의 난간에 걸쳐져 있는 상태의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잡아 올리어 타워 내부로 운반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g) 단계는,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잡아 올리어 타워 내부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저케이블(100)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3)가 상기 3심 케이블 각각의 직경(D2)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가 들어올려지는 상황에서 상기 해저케이블(100)에 굽힘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굽힘을 최소화하여 최소굽힘반경(MBR)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 경우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에는 일정 범위 이상의 굽힘 발생이 불가피한 바, 최소굽힘반경(MBR)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장치(200)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
이하,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소굽힘반경 유지를 위한 유지보조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7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상기 유지보조장치(20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지보조장치(200)는, 들어 올리어진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반원형 형상의 제1가이드부(220); 상기 플랫폼(20) 바닥에 위치하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이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고리 형상의 된 제2가이드부(230); 및 양단에 상기 제1가이드부(220) 와 상기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220) 와 상기 제2가이드부(230)의 간격을 유지하는 본체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지보조장치(200)은 상기 해저케이블(100)을 풍력타워(10) 배열을 위해 밖에서 안으로 인입시키거나 운반하는데 있어서, 형성되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두 열의 간격을 물리적 충격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부(210)의 양측에는 제1스프링(211)과 제2스프링(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가이드부(220)와 상기 제2가이드부(23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g)단계는, 도7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상기 유지보조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해저케이블(100)에 형성된 접힌 부분의 굽힘을 구속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지보조장치(200)를 통해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굽힘 부분을 구속함으로써, 종전의 작업자의 임의적 판단에 의한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안전하게 최소한의 굽힘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h)단계에서 상기 천정개구부(11)를 통해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상기 TP영역(10)내로 인입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천정개구부(11)에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굽힘 발생이 불가피하므로 최소굽힘반경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h) 단계는, 상기 TP영역(10)의 천정개구부(11)를 통해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상기 TP영역(10)내로 인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저케이블(100)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4)가 상기 3심 케이블 각각의 직경(D2)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풍력타워(1)에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100)의 인입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해상변전소(1)에 해저케이블(100)을 인입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
10: TP영역
11: 천정개구부
20: 플랫폼
21: 플랫폼 출입구
30: 행오프
40: J튜브
50: 메신저로프
60: 보조로프
70: 바지선
100: 케이블
200: 유지보조장치
210: 본체부
211: 제1스프링
212: 제2스프링
220: 제1가이드부
230: 제2가이드부
10: TP영역
11: 천정개구부
20: 플랫폼
21: 플랫폼 출입구
30: 행오프
40: J튜브
50: 메신저로프
60: 보조로프
70: 바지선
100: 케이블
200: 유지보조장치
210: 본체부
211: 제1스프링
212: 제2스프링
220: 제1가이드부
230: 제2가이드부
Claims (8)
-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풍력타워의 하부기초에서 TP(Transition piece) 영역으로 해저케이블의 일단을 입상시키는 단계;
b) 소정의 길이만큼 입상된 상기 해저케이블을 행오프(Hang-off)를 이용하여 구속시키는 단계;
c) 입상된 상기 해저케이블의 일단을 풍력타워의 플랫폼 외부로 이송하는 단계;
d) 상기 해저케이블의 여장 길이를 체크하여 일측을 절단하는 단계;
e) 상기 해저케이블의 외피를 분해하는 단계;
f) 절단된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플랫폼 외부 난간 밖을 향해 걸쳐 내려놓는 단계;
g)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잡아 올리어 타워 내부로 운반하는 단계; 및
h)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TP영역내로 인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단계는, 케이블의 굽힘반경 유지를 위한 보조유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의 접히는 부분의 굽힘을 구속한 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유지장치는,
들어 올리어진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반원형 형상의 제1가이드부;
상기 플랫폼 바닥에 위치하는 상기 해저케이블이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고리 형상의 된 제2가이드부; 및
양단에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부가 설치되되, 양측에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의 간격을 유지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TP영역의 천정개구부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1)이 상기 해저케이블의 직경(D1)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은 3 심(Core) 케이블을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3심 케이블의 외주면을 따라 철선보강층 및 외부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외피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철선보강층과 외부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3심 케이블의 끝단을 열수축캡으로 실링 마감하는 단계; 및
실링 마감된 상기 3심 케이블의 꼬임을 풀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플랫폼 외부 난간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2)가 상기 3심 케이블 각각의 직경(D2)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절단된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잡아 올리어 타워 내부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3)가 상기 3심 케이블 각각의 직경(D2)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는,
상기 TP영역의 천정개구부를 통해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TP영역내로 인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직경(R4)가 상기 3심 케이블 각각의 직경(D2)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5384A KR102133932B1 (ko) | 2019-01-15 | 2019-01-15 |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5384A KR102133932B1 (ko) | 2019-01-15 | 2019-01-15 |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3932B1 true KR102133932B1 (ko) | 2020-07-15 |
Family
ID=7160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5384A KR102133932B1 (ko) | 2019-01-15 | 2019-01-15 |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39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42317A (zh) * | 2021-11-19 | 2022-03-04 | 电子科技大学 | 一种带有挂钩的电气工程用接线钳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04518A1 (fr) * | 2011-02-03 | 2012-08-09 | Saipem S.A. | Limiteur de courbure de ligne flexible sous-marine et installation de liaison fond-surface en comprenant |
KR20140019247A (ko) * | 2012-08-06 | 2014-02-14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케이블 행-오프 장치 |
KR101516550B1 (ko) * | 2013-09-06 | 2015-05-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케이블 벤딩장치 |
KR101549061B1 (ko) * | 2014-05-22 | 2015-09-01 | 오션씨엔아이 주식회사 | 해저케이블 복구방법 |
KR101555957B1 (ko) * | 2014-05-22 | 2015-09-25 | 오션씨엔아이 주식회사 | 매설된 해저케이블의 복구방법 |
KR101555953B1 (ko) * | 2014-05-22 | 2015-09-25 | 오션씨엔아이 주식회사 | 매설된 해저케이블을 노출시키는 방법 |
KR20170005049A (ko) * | 2014-07-03 | 2017-01-11 |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 케이블 비드 및 그 제조 방법 |
KR20170017555A (ko) * | 2015-08-07 | 2017-02-15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상기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
KR20170061932A (ko) * | 2015-11-27 | 2017-06-07 | 주명석 | 지중 케이블 포설 공법 |
KR20170137658A (ko) * | 2017-09-29 | 2017-12-13 | (주)판토스 | 선박의 해저케이블 운송장치 및 운송방법 |
KR20180001307A (ko) * | 2016-06-27 | 2018-01-04 | 김민석 | 해저 케이블 접속 연결방법 및 접속 연결구조 |
KR20180000676U (ko) | 2016-08-29 | 2018-03-0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격벽용 케이블의 휨 방지장치 |
-
2019
- 2019-01-15 KR KR1020190005384A patent/KR1021339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04518A1 (fr) * | 2011-02-03 | 2012-08-09 | Saipem S.A. | Limiteur de courbure de ligne flexible sous-marine et installation de liaison fond-surface en comprenant |
KR20140019247A (ko) * | 2012-08-06 | 2014-02-14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케이블 행-오프 장치 |
KR101516550B1 (ko) * | 2013-09-06 | 2015-05-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케이블 벤딩장치 |
KR101549061B1 (ko) * | 2014-05-22 | 2015-09-01 | 오션씨엔아이 주식회사 | 해저케이블 복구방법 |
KR101555957B1 (ko) * | 2014-05-22 | 2015-09-25 | 오션씨엔아이 주식회사 | 매설된 해저케이블의 복구방법 |
KR101555953B1 (ko) * | 2014-05-22 | 2015-09-25 | 오션씨엔아이 주식회사 | 매설된 해저케이블을 노출시키는 방법 |
KR20170005049A (ko) * | 2014-07-03 | 2017-01-11 |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 케이블 비드 및 그 제조 방법 |
KR20170017555A (ko) * | 2015-08-07 | 2017-02-15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상기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
KR20170061932A (ko) * | 2015-11-27 | 2017-06-07 | 주명석 | 지중 케이블 포설 공법 |
KR20180001307A (ko) * | 2016-06-27 | 2018-01-04 | 김민석 | 해저 케이블 접속 연결방법 및 접속 연결구조 |
KR20180000676U (ko) | 2016-08-29 | 2018-03-0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격벽용 케이블의 휨 방지장치 |
KR20170137658A (ko) * | 2017-09-29 | 2017-12-13 | (주)판토스 | 선박의 해저케이블 운송장치 및 운송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42317A (zh) * | 2021-11-19 | 2022-03-04 | 电子科技大学 | 一种带有挂钩的电气工程用接线钳 |
CN114142317B (zh) * | 2021-11-19 | 2022-12-13 | 电子科技大学 | 一种带有挂钩的电气工程用接线钳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26105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ep Water Deployment Operations | |
KR20140019247A (ko) | 케이블 행-오프 장치 | |
US20220416525A1 (en) | Cable Protection | |
CN110030162A (zh) | 用于海上风力涡轮机的基础建筑系统和用于安装海上风力涡轮机的方法 | |
US9476521B2 (en) | Method for laying a submarine line on the seabed | |
CN110965804B (zh) | 一种海上风电导管架基础的拆除方法 | |
EP3314119B1 (en) | Method of erecting a tethered wind turbine tower | |
EP3683336A1 (en) | Marine tensile anode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US20220235744A1 (en) | Method of installing a transmission cable arrangement | |
KR20140103253A (ko) | 플랜지형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케이블부설장치 | |
KR102133932B1 (ko) | 최소굽힘반경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을 풍력타워 또는 해상변전소에 인입하는 방법 | |
CN112582938B (zh) | 架空地线更换方法 | |
JP6820698B2 (ja) | 係留索の継ぎ足し方法、浮体構造物の係留方法および浮体式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 |
KR20220045208A (ko) | 텐션 레그 플랫폼 기반의 부유체를 설치하는 방법 | |
WO2015071679A1 (en) | Cable installation and/or protection system | |
EP2799660A1 (en) | Damping sleeve and anchoring method | |
CN107653454A (zh) | 一种张紧式外加电流装置水下部件的安装方法及安装装置 | |
JPS6036564B2 (ja) | 海底光フアイバケ−ブルの接続部とその使用方法 | |
CN116191272A (zh) | 一种恶劣海况下海上风电场的海底电缆维修方法 | |
KR20200094575A (ko) | 풍력타워의 tp영역 내 해저케이블의 횡배열 정리방법 | |
EP3260604A1 (en) | Top part of a base construction | |
CN110789669B (zh) | 一种深水单点系泊中水浮筒回收下放系统及方法 | |
CN111894341A (zh) | 退扭塔吊机扶正方法 | |
KR101576852B1 (ko) | 잭업리그 예인라인 설치방법 및 예인라인 설치장치 | |
KR102309589B1 (ko) | 2점 체결지점 구성의 지그장치를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타워의 인양설치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