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874B1 -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 - Google Patents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874B1
KR102133874B1 KR1020200002984A KR20200002984A KR102133874B1 KR 102133874 B1 KR102133874 B1 KR 102133874B1 KR 1020200002984 A KR1020200002984 A KR 1020200002984A KR 20200002984 A KR20200002984 A KR 20200002984A KR 102133874 B1 KR102133874 B1 KR 10213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ipe
unit
water supply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덕성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덕성
Priority to KR102020000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B05B11/305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28Interlocking connectors, e.g. with hooks or dovetails, added to the elongated wooden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공간으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여 주변온도를 낮출 수 있는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지붕 처마측에 위치한 보에서 측방향으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물안개 분무유닛이 마련되어 지붕 아래의 공간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관과 물이 분사되는 물안개분사노즐이 기둥과 보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므로 인위적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Pavilion with water mist spray function}
본 발명은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공간으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여 주변온도를 낮출 수 있는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에 관한 것이다.
정자는 휴식을 취하거나 주위의 자연 경관 감상 용도로 선조들이 애용해 온 건축물로, 자연과의 조화를 위해 전면을 개방향 형태를 취하며, 장방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양한 편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정자는 바닥의 각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상부에 지붕을 설치하며, 기둥의 일정높이에는 앉아 쉴 수 있는 마루를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의 형태인데, 도심에 적용되면서 다양한 구조로 개량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정자는 오직 지붕에 의존하여 햇빛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여름철에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시원함을 제공하기에는 부족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9114호에는 지붕 상부에서 지붕 상부표면을 따라 물을 배출하고 지붕의 처마부분으로 흘러내린 물을 다시 집수하는 분수형 지붕을 갖는 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지붕의 표면의 온도를 낮추는데 효과는 있으나 지붕아래의 그늘이 형성되는 공간이나 그 주변 공간의 온도를 낮추기는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0624호 : 정자 지붕 및 그 제작방법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9114호 : 분수형 지붕을 갖는 파고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지붕 처마측에서 측 방향으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여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공간이 확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시원함을 제공할 수 있는 물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 안개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 개의 기둥과; 다수의 상기 기둥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보와; 사용자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평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기둥들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되게 상기 기둥들의 하부와 연결되는 마루와; 상기 공간의 상방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와 상기 기둥들에 지지되어 그늘을 형성하는 지붕과; 상기 공간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상기 보의 측부에서 측 방향으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여 상기 공간과 상기 공간의 주변 온도 하강을 유도하며, 사용자들에게 노출되지 않게 상기 기둥과 상기 보에 인입되거나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물안개 분무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 개의 상기 기둥은 외주면에 내측방향으로 인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강도보강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물 안개 분무유닛은 물이 저장된 물저장조와, 상기 물저장조와 연결되고 다수의 상기 기둥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기둥의 상기 강도보강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둥의 상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의 일측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보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수용되어 상기 보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 연장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물저장조의 물을 상기 보로 연장된 상기 물공급관 측으로 공급하는 물공급펌프와, 상기 물공급관에서 상기 공간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물공급관으로 공급된 물을 미스트형태로 각각 분사하며 다수의 물안개분사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는 길이연장된 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각 길이방향에 교차되게 상하 방향으로 상호 결합가능한 다수의 단위보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보는 일측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인입되며 폭 방향 양측이 개방되는 제1 결속홈과, 타측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인입되며 폭 방향 양측이 개방되는 제2 결속홈과, 상기 기둥에 지지 시 상기 공간 측을 향하는 폭 방향 일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인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상기 제1 결속홈과 상기 제2결속홈에 연통되며 상기 물공급관이 수용되는 물공급관 수용홈과, 폭 방향 타측면에서 상기 물공급관 수용홈으로 관통되어 상기 물 안개분사노즐이 수용되는 다수의 노즐관통공을 구비하며, 상호 결합되는 복수의 상기 단위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단위보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결속홈이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보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2결속홈에 결합되어, 상호 인접한 상기 단위보들은 상호 교차되게 결합되며 각 물공급관수용홈의 일측과 타측이 상호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은 상단에 상호 교차되게 결합된 복수의 상기 단위보의 각 일측과 타측이 수용되어 결합상태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되되 상호 교차되게 결합된 복수의 상기 단위보 중 하나의 일측이 상기 기둥의 제1 폭방향으로 관통되고 다른 하나의 타측이 상기 기둥의 상기 제1 폭 방향에 직교하는 제2폭 방향으로 관통되게 사방향으로 개방되는 결합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지붕 처마측에 위치한 보에서 측방향으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물안개 분무유닛이 마련되어 지붕 아래의 공간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관과 물이 분사되는 물안개분사노즐이 기둥과 보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므로 인위적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보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함으로써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공간이 확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에 대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자의 보에 물공급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자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자의 기둥에서 연장된 물공급관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방향으로 구부러져 물공급관수용홈으로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자의 단위보에 대한 일부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1)가 도시되어 있다.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1)는 지반에 고정된 기초석(2)에 각각 지지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 개의 기둥(10)과; 다수의 기둥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보(20)와; 사용자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평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기둥(10)들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하는 공간(S) 내에 위치되게 기둥(10)들의 하부와 연결되는 마루(30)와; 공간(S)의 상방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보(20)와 기둥(10)들에 지지되어 그늘을 형성하는 지붕(36)과; 공간(S)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보(30)의 측부에서 측 방향으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여 공간(S)과 공간(S)의 주변 온도 하강을 유도하는 물안개분무유닛(50)을 구비한다.
그리고,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1)는 마루(30)와 보(20)의 사이에서 인접하는 기둥(10)과 기둥(10)을 연결하며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가로바(42)와, 복수의 가로바(42)의 중심측에 교차되게 결합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마루(30)와 연결되는 수직바(43)를 포함하는 난간대(41)를 구비한다.
지붕(36)은 다수의 기둥(10)이 상호 이격되는 형성하는 공간(S)의 상방을 덮을 수 있으면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1)는 기초석(2)과 기둥(10)이 4개가 마련되어 정방형태로 배열됨에 따라 복수의 기둥(10)을 연결하는 마루(30)와 보(20)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고 있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1)는 기초석(2)과 기둥(10)이 오각, 육각 및 팔각형태로 배열되게 개수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기둥(10)들이 배열된 형상에 따라 마루(30)와 보(20)의 형상이 달리 적용될 수도 있다.
다수의 기둥(10)은 소재가 한정되지는 않으나 목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4면을 갖는 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기둥(10)은 갈라짐이 발생되거나 갈라짐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강도보강홈(11)이 형성된다. 강도보강홈(11)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기둥(10)의 각 면 중심측에 내측방향으로 인입되고 기둥(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기둥(10)은 후술되는 보(20)의 각 모서리측이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단에서 하방으로 인입되되 각 면으로 개방된 십자 형상 또는 엑스자 형상의 결합지지홈(16)이 형성된다. 결합지지홈(16)에 대해서는 보(20) 설명시 추가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보(20)는 다수의 단위보(21)를 구비한다. 다수의 단위보(21)는 길이연장된 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각 길이방향에 상호 교차되게 상하 방향으로 상호 결합된다.
다수의 단위보(21)는 정방형태로 배열된 4개의 기둥(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4개가 구비되어 일측과 타측이 상호 직교하게 결합되며, 상호 결합된 측이 기둥(10)들에 지지된다.
단위보(21)는 지붕(36)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폭 보다 두께가 큰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보(21)는 일측 단부측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인입되되 폭 방향 양측이 개방되는 제1 결속홈(22)과, 타측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인입되며 폭 방향 양측이 개방되는 제2 결속홈(25)과, 기둥(10)에 지지 시 공간(S) 측을 향하는 폭 방향 일측면(21a)에서 내측방향으로 인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제1 결속홈(22)과 제2결속홈(25)에 연통되며 물안개분부유닛(50)의 물공급관(55)이 수용되는 물공급관 수용홈(27)을 구비한다.
제1결속홈(22)과 제2결속홈(25)은 도 3을 참고하면, 단위보(21)의 길이방향으로 단위보(21)의 폭에 대응되는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인입형성되며 단위보(21)의 폭 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결속홈(22)과 제2결속홈(25)이 각각 인입된 깊이는 물공급관 수용홈(27)의 양측에 제1결속홈(22)과 제2결속홈(25)이 연통될 수 있도록, 단위보(21)의 두께의 절반보다 크게 인입형성된다.
복수의 단위보(21) 중 어느 하나의 단위보(21)의 일측에 형성된 제1결속홈(22)에 다른 하나의 단위보(21)의 타측에 형성된 제2결속홈(25)이 상하방향으로 맞물리게 결합되면서, 상호 인접하는 단위보(21)들은 교차되게 결합된다.
제1결속홈(22)과 제2결속홈(25)은 상호 결합되는 단위보(21)가 직교하도록, 각 개방된 양측을 연결한 연장선상(l,l')들이 단위보(2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기둥(10)의 개수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단위보(20)가 기둥(10)들을 연결하며 상호 결합되기 위해, 제1 및 제2결속홈(22,25)은 기둥(10)의 개수에 따라, 제1 및 제2결속홈(22,25)의 각 개방된 양측을 연결한 연장선상(l,l')들이 단위보(21)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외각(C)이 90도 보다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3개의 기둥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3개의 단위보(20)가 상호 결합되어 3각형상을 이루도록, 제1 및 제2결속홈(22,25)은 연장선상(l,l')들이 단위보(21)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외각(C)이 120도를 이루도록 일정한 폭으로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5개의 기둥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5개의 단위보(20)가 상호 결합되어 5각형상을 이루도록, 제1 및 제2결속홈(22,25)은 연장선상(l,l')들이 단위보(21)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외각(C)이 108도를 이루도록 일정한 폭으로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호 교차되게 결합된 단위보(21)들은 각 물공급관 수용홈(27)의 일측과 타측이 상호 연통되게, 제2결속홈(25)의 저면에 물공급관수용홈(27)의 폭 만큼 돌출되어 제1결속홈(22)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턱(26)이 형성된다. 지지턱(26)은 단위보(21)의 폭 방향 타측면(21b)에 인접한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보(21)는 폭 방향 타측면(21b)에서 물공급관 수용홈(27)으로 관통되어 후술되는 물안개분무유닛(50)의 물 안개분사노즐(65)이 수용되는 다수의 노즐관통공(28)이 형성된다. 다수의 노즐관통공(28)은 단위보(2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고하면,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1)는 물공급관(55)이 단위보(21)의 물공급관수용홈(27)에 수용된 후, 물공급관(55)을 덮을 수 있도록 물공급관수용홈(2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물공급관수용홈(27)에 결합되는 덮개(29)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기둥(10)의 결합지지홈(16)은 기둥의 상단에 하방으로 인입되어 상호 교차되게 결합된 복수의 단위보(21)의 각 일측과 타측이 수용되어 결합상태가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호 교차되게 결합된 복수의 단위보(21) 중 하나의 단위보(21)의 일측이 기둥(10)의 제1 폭 방향으로 관통되고 다른 하나의 단위보(21)의 타측이 기둥(10)의 제1폭 방향에 직교하는 제2폭 방향으로 관통되게 사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결합지지홈(16)은 기둥의 각 면으로 관통하는 십자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개방된 측의 저면은 강도보강홈(11)의 상단과 연통된다.
결합지지홈(16)은 단위보(21)들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는 각도에 대응되게 기둥(10)의 각 면의 중심측으로 개방된 십자형상으로 인입형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달리, 기둥(10)의 개수가 5개 이상이거나 4개 미안인 경우에 기둥(10)의 개수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단위보(21)들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는 각도에 대응되게 'x'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안개 분무유닛(50) 사용자들에게 노출되지 않게 기둥(10)과 보(20)에 인입되거나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물저장조(51)와, 펌프(53)와, 물공급관(55)과, 다수의 물안개분사노즐(65)과, 물공급밸브(67)와, 제어부(70)를 구비한다.
물저장조(51)는 물안개 분사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이해를 돕기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자(1)에 인접하게 지면에 대해 노출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면 아래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공급관(55)은 물저장조(51)와 연결되고 다수의 기둥(10)들 중 어느 하나의 기둥(10)의 강도보강홈(11)에 삽입되어 기둥(10)의 상단으로 연장되며 보(20)의 일측 내부로 관통되어 보(2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수용되어 보(20)의 단위보(21)를 따라 길이 연장된다.
다수의 기둥(10)들 중 물공급관(55)이 삽입되는 어느 하나의 강도보강홈(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강도보강홈(11)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홈(11')에 삽입되는 물공급관(55)은 강도보강홈(11')에 대응되는 폭을 가져 강도보강폼(11')에 삽입되는 공급관하우징(17)에 수용되어 기둥(10)의 상단으로 연장된다.
공급관하우징(17)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강도보강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길이연장되며 일측이 개방된 가지며 내부공간을 갖는 제1커버(18)와, 제1커버(18)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제1커버(18)와 결합될수 있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제1커버(18)와 마주하는 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제2커버(19)를 구비한다.
제1커버(18)와 제2커버(19)는 상호 결합되어 물공급관(55)을 감싸며 강도보강홈(11')에 삽입고정된다.
공급관하우징(17)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물공급관(55)은 도 4를 참고하면, 다수의 단위보(21) 중 상방에 위치한 단위보(21)에만 형성된 공급관관통공(24)을 관통하여 물공급관수용홈(27)을 따라 연장되게 삽입되게 굴곡된다.
물공급관(5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홈(11')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단위보(21)들의 상호 연통되는 물공급관수용홈(27)을 따라 삽입되어 복수의 단위보(21)들이 이루는 사각형상으로 연장된 메인관(56)과, 단위보(21)의 노즐관통공(28)에 대응되는 위치에 메인관(56)에서 분기되어 노즐관통공(28) 내로 연장된 다수의 분기관(61)을 구비한다.
다수의 물안개분사노즐(65)은 물공급관(55)의 분기관(61)의 단부에서 공간(S)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단위보(21)의 측부를 관통하여 물공급관(55)으로 공급된 물을 미스트 형태로 각각 분사한다.
물안개분사노즐(65)은 분기관(61)으로 부터 공급된 물이 미스트 형태로 분사될 수 있도록 내부압력이 상승되게 단부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게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물안개분사노즐(65)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물을 미스트형태로 분사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노즐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한공보 제20-2015-0006408호에 게시된 노즐이 적용될 수도 있다.
물공급펌프(53)는 물공급관(55)의 메인관(56) 일측에 설치되어 물저장조(51)의 물을 단위보(21)로 연장된 물공급관(55)의 분기관(61) 측으로 펌핑하는 것으로서 제어부(70)와 연결된다.
물공급밸브(67)는 메인관(56)을 개폐할 수 있도록 메인관(56)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70)와 연결된다.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공급펌프(53)의 구동과 물공급밸브(67)의 개폐조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설정된 시간에 일정한 시간동안 물공급펌프(53)가 구동되어 물안개가 분사되게 적용될수 있다. 일 예로, 하루에 가장 높은 온도로 올라가는 오전 12시에서 3시사이에 일정한 시간동안 물공급펌프(53)가 구동되게 제어부는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물 안개 분무유닛(50)은 물공급밸브(67)와 물공급펌프(53)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제어부(70)를 통해 물공급밸브(67)와 물공급펌프(53)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1)는 지붕(36) 처마측에 인접하는 보(20)에서 측방향으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물안개 분무유닛(50)이 마련되어 지붕(36) 아래의 공간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1)는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관(55)과 물이 분사되는 물안개분사노즐(65)이 기둥(10)과 보(20)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므로 인위적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1)는 보(20)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함으로써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공간이 확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에 대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물안개분무유닛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1)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분무유닛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분무유닛(50)의 구성에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81)와, 감지센서(85)를 더 구비한다.
온도센서(81)는 기둥(10), 단위보(21), 지붕(36)의 처마 또는 마루(30) 등에 설치되어 지붕(36) 아래의 공간(S)이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며, 감지된 온도정보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온도센서(81)는 감지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70)에 전달할 수 있으면, 적외선 온도센서, 바이메탈 온도센서, 액체팽창온도센서, NTC 온도센서 등 다양한 온도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85)는 기둥(10), 보(20), 지붕(36)의 처마 또는 마루(30) 등에 설치되어 공간(S) 또는 공간(S) 주변에 사람을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감지센서(8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정자의 둘레 전 영역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각 기둥(10)이나 각 단위보(21)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외선을 이용한 동작감지센서(PIR센서)가 적용될수 있다.
제어부(70)는 온도센서(81)로부터 전달받은 공간(S)이나 주변의 온도정보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물안개 분무노즐(65)을 통해 물 안개가 분사되게 물공급펌프(55)를 구동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0)는 온도센서(81)로부터 전달받은 공간(S)이나 주변의 온도정보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고, 감지센서(85)로 부터 사람을 감지한 신호가 전달되면 물안개 분무노즐(65)을 통해 물 안개가 분사되게 물공급펌프(55)를 구동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70)는 공간(S)이나 주변의 온도가 30도 이상이면 물공급펌프(55)를 구동시켜 물안개 분무노즐(65)을 통해 물 안개가 분사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온도센서와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일 때만 물안개를 분사시키거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서 사람이 감지될 때만 물안개를 분사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물과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분무기능이 있는 정자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물공급관(155)과, 단위보(21)의 물공급관수용홈(127)의 상하 폭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다른 물안개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회전구동수단을 더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 분무유닛(15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 분무유닛(50)의 구조에 회전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며, 물공급관(155)의 구조를 달리한다.
물공급관(155)은 메인공급관(161)과, 다수의 엘보우관(165)과, 다수의 회전관(163)과, 다수의 분기관(65)을 구비한다.
메인공급관(161)은 물저장조(51)에서 강도보강홈(11')으로 연장되어 상방에 위치한 단위보(21)의 일측으로 저면에서 물공급관 수용홈(127)으로 관통연장되어 절곡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메인공급관(161)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강도보강홈(11')에 삽입고정되는 공급관하우징(17) 내에 수용되는 부분이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물공급관수용홈(127)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엘보우관(165)은 일측과 타측이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중심측이 절곡형성되어 있다. 엘보우관(165)은 절곡된 중심측이 결합지지홈(16)의 중심측에 위치되어 일측이 상호 교차되게 결합되는 단위보(21)들 중 하나의 단위보(21)의 물공급관수용홈(127)의 일측에 수용되며, 타측이 하나의 단위보(21)의 물공급관수용홈(127)과 연통되며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다른 하나의 단위보(21)의 물공급관수용홈(127)의 타측에 수용된다.
다수의 회전관(163)은 각 단위보(21)의 물공급관수용홈(127)에 수용되며 물공급관수용홈(127)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며, 엘보우관(165)과 메인공급관(16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엘보우관(165) 또는 메인공급관(161)과 장착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다수의 회전관(163) 중 하나의 회전관(163)은 일측이 메인공급관(161)의 수평연장된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메인공급관(161)과 마주하는 엘보우관(165)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다수의 회전관(163) 중 다른 두 개의 회전관(163)은 일측이 상호 마주하는 엘보우관(165)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일측이 엘보우관(165)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엘보우관(165)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다수의 회전관(163) 중 나머지 하나의 회전관(163)은 일측이 엘보우관(165)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물공급관수용홈(127)에 수용된 지지브라켓(17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수의 분기관(164)은 각 회전관(163)의 측부에서 분기되어 각 회전관(16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단부에 물안개분사노즐(65)이 각각 장착되며, 대응되는 위치의 각 노즐관통공(128)으로 수용된다.
노즐관통공(12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관(13) 회전 시 회전관(163)을 축으로 분기관(164)과, 물안개분사노즐(65)이 회동될 수 있도록, 물공급관수용홈(127)에서 멀어질수록 상하방향으로 폭이 확장되게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물공급관수용홈(127)은 회전관(163)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회전관(163)과 엘보우관(165)의 직경보다 큰 일정한 폭으로 인입되다가 단부측이 외측으로 갈수로 상하로 폭이 확장되게 인입형성된다.
회전구동수단은 각 단위보(21)의 폭 방향 일측면(21a)에 각각 장착되며 웜(176)이 장착되는 복수의 구동모터(171)와, 중심으로 회전관(163)이 관통장착되어 회전관(163)과 함께 회전가능하며 웜(176)과 치합되는 복수의 웜휠(178)과, 단위보들의 하면 또는 외측을 향하는 타측면(21b)에 장착되어 물 안개가 분사되는 측 하방에 사람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171)를 구비한다.
또한, 회전구동수단은 감지센서(171)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물 안개가 사람에 인접하게 분사되지 않게 사람이 감지된 측에 위치한 구동모터(171)를 구동시켜 물안개분사노즐(65)을 상향경사지게 회전관(163)을 회전시키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물공급관수용홈(127)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웜휠(178)이 일부 수용될 수 있도록, 웜휠(178)에 대응되는 위치의 폭은 웜휠에 위치되지 않는 곳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공급관수용홈(127)을 덮는 덮개(29)는 물공급관수용홈(127)의 연장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물공급관수용홈(127)에 대해 일부 돌출되는 웜휠(178)을 사이에 두고 웜휠(178)의 양측으로 물공급관수용홈(127)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모터(171)는 제어부(70)에 의해 회전관(163)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Servo motor)모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전류 방향에 따라 웜(176)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DC 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감지센서(85)와 구동모터(171)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브래드 보드(미도시)와, 브래드보드와 연결되어 감지센서(85)와, 구동모터(171)의 구동제어를 위한 아두이노 보드(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아두이노 보드는 한정되지 않으나 Aduino UNO R3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의 전원공급부(71)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와 감지센서, 물공급펌프(53)와 물공급밸브(67)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71)는 마루 하방 일측에 장착되는 베터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상용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콘센트에 결합되는 전원플러그가 적용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분무기능이 있는 정자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관리자가 제어부(70)에 설정한 일정시간동안 물안개가 지속적으로 분사되게 적용될 수도 있으며, 감지센서(171)를 통해 사람 감지시에만 물안개가 분사되게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감지센서(85)는 각 단위보(21)에 장착되는 제1 내지 제4감지센서(85a,85b,85c,85d)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동모터(171)는 각 단위보(21)에 장착되는 제1 내지 제4구동모터(171a,171b,171c,171d)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감지센서(85a)가 장착된 단위보(21)의 하방 측에 사람이 감지되면, 제1감지센서(85a)가 이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제어부(70)는 제1감지센서(85a)가 장착된 단위보(21)에 위치되는 제1구동모터(171a)만 구동시켜 제1구동모터(171a)에 장착된 웜(176)을 회전시킴으로써 분기관(164)이 외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웜휠(178)과 회전관(163)을 일정각도 회전시킨다.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제2 내지 제4감지센서(171b,171c,171d)가 장착된 단위보(21)의 회전관(163)은 분기관(164)이 하향경사진 상태에서 물안개가 분사되게 위치된다.
제1감지센서(85a)에 사람 감지 신호가 해제되면 제어부(70)는 상향된 분기관(164)이 하향경사지도록 제1구동모터(171a)에 장착된 웜(176)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사람이 인접한 측은 물안개를 측상방으로 분사하여 물안개가 직접적으로 사람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1)의 구조에 물안개 분무유닛의 감지센서(85)와, 각 분기관(61)에 장착되는 다수의 단위밸브(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감지센서(85)는 기둥(10), 보(20), 지붕(36)의 처마 또는 마루(30) 등에 설치되어 공간(S) 또는 공간(S) 주변에 사람을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감지센서(8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정자의 둘레 전 영역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각 기둥(10)이나 각 단위보(21)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외선을 이용한 동작감지센서(PIR센서)가 적용될수 있다.
제어부(70)는 감지센서(85)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사람이 감지된 측으로만 물 안개가 분사되게 사람이 감지된 측의 단위보(21)에 장착된 분기관(61)만 개방되게 다수의 단위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사람이 인접한 측으로 만 물안개를 분사함으로써 불필요한 물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
10 : 기둥 11 : 강도보강홈
16 : 결합지지홈 20 : 보
21 : 단위보 22 : 제1결속홈
25 : 제2결속홈 27 : 물공급관 수용홈
28 : 노즐관통공 30 : 마루
36 : 지붕 41 : 난간
50 : 물안개분무유닛 51 : 물저장조
53 : 물공급펌프 55 : 물공급관
65 : 물안개분사노즐 67 : 물공급밸브
70 : 제어부 71 : 전원공극부
81 : 온도센서 85 : 감지센서

Claims (1)

  1. 수직으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 개의 기둥과; 다수의 상기 기둥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보와; 사용자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평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기둥들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되게 상기 기둥들의 하부와 연결되는 마루와; 상기 공간의 상방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와 상기 기둥들에 지지되어 그늘을 형성하는 지붕과; 상기 공간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상기 보의 측부에서 측 방향으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여 상기 공간과 상기 공간의 주변 온도 하강을 유도하며, 사용자들에게 노출되지 않게 상기 기둥과 상기 보에 인입되거나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물안개 분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물 안개 분무유닛은
    물이 저장된 물저장조와, 상기 물저장조와 연결되고 다수의 상기 기둥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기둥의 상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의 일측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보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수용되어 상기 보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 연장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에서 상기 공간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물공급관으로 공급된 물을 미스트형태로 각각 분사하며 다수의 물안개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각면 중심측에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강도보강홈과, 상기 보의 모서리측이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단에서 하방으로 인입되되 각면으로 개방된 십자형상의 결합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는 길이연장된 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각 길이방향에 교차되게 상하 방향으로 상호 결합가능한 다수의 단위보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보는
    일측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인입되며 폭 방향 양측이 개방되는 제1 결속홈과, 타측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인입되며 폭 방향 양측이 개방되는 제2 결속홈과, 상기 기둥에 지지 시 상기 공간 측을 향하는 폭 방향 일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인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상기 제1 결속홈과 상기 제2결속홈에 연통되며 상기 물공급관이 수용되는 물공급관 수용홈과, 폭 방향 타측면에서 상기 물공급관 수용홈으로 관통되어 상기 물 안개분사노즐이 수용되는 다수의 노즐관통공을 구비하며,
    상호 결합되는 복수의 상기 단위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단위보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결속홈이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보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2결속홈에 결합되어, 상호 인접한 상기 단위보들은 상호 교차되게 결합되며 각 물공급관수용홈의 일측과 타측이 상호 연통되며,
    상기 물공급관은
    상기 물저장조에서 상기 기둥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다수의 단위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단위보의 일측으로 저면에서 상기 물공급관 수용홈으로 관통연장되는 메인공급관과, 상호 교차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기 단위보의 각 상기 물공급관수용홈이 연통되는 측에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이 복수의 상기 단위보의 연장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게 절곡된 복수의 엘보우관과, 상기 물공급관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물공급관수용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메인공급관의 단부 또는 상기 엘보우관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엘보우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부에 상기 물 안개분사노즐이 장착되는 다수의 회전관을 구비하고,
    상기 물안개분무유닛은
    상기 단위보의 폭 방향 일측면에 장착되며 웜이 장착된 구동모터와, 중심으로 상기 회전관이 관통장착되어 상기 회전관과 함께 회전가능하며 상기 웜과 치합되는 웜휠을 구비하는 회전구동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각 상기 단위보들의 하면 또는 외측을 항하는 타측면에 장착되어 물 안개가 분사되는 측 하방에 사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물 안개가 사람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사람이 감지된 측에 위치한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물안개분사노즐을 상향경사지게 상기 회전관을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
KR1020200002984A 2020-01-09 2020-01-09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 KR10213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84A KR102133874B1 (ko) 2020-01-09 2020-01-09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84A KR102133874B1 (ko) 2020-01-09 2020-01-09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799A Division KR102067811B1 (ko) 2019-05-17 2019-05-17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874B1 true KR102133874B1 (ko) 2020-07-14

Family

ID=7152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984A KR102133874B1 (ko) 2020-01-09 2020-01-09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8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9118A (zh) * 2022-01-24 2022-05-06 湖南麓上住宅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木结构梁柱连接节点装配组合结构
KR102438611B1 (ko) * 2022-03-17 2022-08-31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스마트 어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205Y1 (ko) * 1987-07-09 1990-10-06 우종헌 물줄기로 형성된 간이용 하우스(칸막이)
KR200359114Y1 (ko) 2004-05-31 2004-08-16 (주) 동산조경 분수형 지붕을 갖는 파고라
KR200363828Y1 (ko) * 2004-07-01 2004-10-07 고혜경 안개 분무장치
KR101830624B1 (ko) 2017-03-02 2018-02-26 장수산업 주식회사 정자 지붕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205Y1 (ko) * 1987-07-09 1990-10-06 우종헌 물줄기로 형성된 간이용 하우스(칸막이)
KR200359114Y1 (ko) 2004-05-31 2004-08-16 (주) 동산조경 분수형 지붕을 갖는 파고라
KR200363828Y1 (ko) * 2004-07-01 2004-10-07 고혜경 안개 분무장치
KR101830624B1 (ko) 2017-03-02 2018-02-26 장수산업 주식회사 정자 지붕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9118A (zh) * 2022-01-24 2022-05-06 湖南麓上住宅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木结构梁柱连接节点装配组合结构
KR102438611B1 (ko) * 2022-03-17 2022-08-31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스마트 어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874B1 (ko)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
ES2303457B1 (es) Sistema constructivo.
US8240097B2 (en) Wood post anchoring base
KR101974456B1 (ko)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67811B1 (ko) 물 안개 분무기능이 있는 정자
JP2002081196A5 (ko)
CN112316343B (zh) 流量开关在250米以上高层建筑消防系统中的应用
JP2008082037A (ja) 雨水貯留槽壁を備えた建物
ES2307453B1 (es) Sistema de formacion de zonas ajardinadas en paredes.
JP5400334B2 (ja) 建物
JP5356304B2 (ja) 建物
JP3890075B2 (ja) 集合住宅の用途に供する建築物
JP3146988U (ja) 建物の構造
JP2006070473A (ja) 雨水タンク及び散水装置
JP4095485B2 (ja) 建物
JP3108807U (ja) 小屋風石風呂装置
JP3045093U (ja) 回転構造建築物
JP3328813B2 (ja) 勾配屋根上の屋上建築
JP3106849U (ja) 屋上付きユニットハウス
KR102473065B1 (ko) 시각과 청각적 효과를 가지는 수로를 구비하는 파고라
JP3494372B2 (ja) 建 物
KR200172616Y1 (ko) 간이 목욕탕
JP3924050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2008248491A (ja) 止水部材及び止水構造
JP2000336966A (ja) 植栽型自走式立体駐車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