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630B1 - 선로 침하계 - Google Patents

선로 침하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630B1
KR102133630B1 KR1020180017470A KR20180017470A KR102133630B1 KR 102133630 B1 KR102133630 B1 KR 102133630B1 KR 1020180017470 A KR1020180017470 A KR 1020180017470A KR 20180017470 A KR20180017470 A KR 20180017470A KR 102133630 B1 KR102133630 B1 KR 102133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ail
body portion
track
inser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707A (ko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림
Priority to KR102018001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6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61L23/042Track changes detection
    • B61L23/047Track or rail mov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레일의 높이와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선로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로 침하계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의 레일에 장착되어 선로의 변위를 측정하는 침하계로서, 전방측으로 레일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체결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레일의 경사를 측정하는 경사센서(520)와, 상기 체결공간의 상부에 후방으로 삽입되어 플랜지와 몸체부를 고정하는 삽입부재(200)를 포함하는 선로 침하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로 침하계{SETTLEMENT GAUGE OF RAIL ROAD}
본 발명은 철도 선로의 변위측정과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철도레일의 위치와 형상을 정확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선로의 경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로 침하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선로는 원지반에 흙을 성토하여 성토 지반을 만들고 성토 지반 위에 다수의 침목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이후 그 위에 한 쌍의 레일을 표준궤간(일반적으로 1,435mm)으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철도 선로는 철도차량의 이동을 위한 다양한 구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매립지와 같은 연약지반에 설치되거나, 산간의 절개지나 계곡 직접 또는 인접되어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환경에 직면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철도 선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연약 지반(10) 상부에는 토사층(20)이 다짐 작업되고, 상기 토사층(20) 상부에는 골재층(30)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골재층(30)에는 상부에 받침목(40)이 안착되고 상기 받침목(40)의 상부에는 레일(50)이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런데, 여름철에 장마 또는 폭우로 인하여 산사태가 또는 홍수가 발생하면서 절개지나 산의 계곡에 직면해 있는 철도 선로의 성토 지반은 지반 침하가 급격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연약 지반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도 서서히 지반침하가 발생할 수 있고, 철도 선로의 성토 지반에 인접하여 토목 공사가 발생한 경우에도 설계 미숙 또는 오차 등에 의해 지반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터널이나 교량 위를 지나는 철도 레일의 경우에도 침목이 설치되는 구조물이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노후화되면서 서서히 지반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철로 지반 침하와 변형이 우려되는 연약 지반, 절개지, 계곡과 직면한 부분, 또는 구조물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터널, 교량 위를 지나는 철도 레일은 그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지반 침하와 변형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대형 철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열차의 안전 운행을 위하여 철도 레일의 안전 상태를 상시 계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철도의 침하 측정을 위하여 눈금 줄자, 경사계, 레이저 광파기, 광섬유 측정기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9014호는 종래기술의 연약 지반 및 철도 레일 받침목 침하변형 계측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침하변형 계측장치의 경우 각각의 침목에 말뚝을 박고 계측관을 결합하여 개별적으로 지반의 침하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지반의 침하 측정은 각각의 눈금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각각의 침목의 상대적인 위치의 측정 및 관리가 어려우며, 인력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에 있어서도 과도한 시공공정으로 인하여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설치가 된다고 하더라도 상시적인 측정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종래에 다양한 레일이나 침목의 침하 계측 및 관리를 위한 시도가 있어 왔으나, 시공성의 문제와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의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로의 상대적인 침하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면서도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며 사용상 신뢰성이 있는 선로 침하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의 레일에 장착되어 선로의 변위를 측정하는 침하계로서, 전방측으로 레일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체결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레일의 경사를 측정하는 경사센서(520)와, 상기 체결공간의 상부에 후방으로 삽입되어 플랜지와 몸체부를 고정하는 삽입부재(200)를 포함하는 선로 침하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공간은 천정면이 후방으로 경사진 사면부(123)를 구비하여 삽입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면(221)이 사면부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삽입부재가 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체결의 견고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저면의 전방측이 후방으로 경사진 삽입면으로 이루어지고, 삽입면의 후방은 지면과 평행한 체결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 및 삽입부재를 연결하여 삽입부재를 후방측으로 당겨 체결공간의 높이방향 간극을 줄이도록 하는 체결부재(4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체결부재가 관통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높이가 폭보다 더 큰 하나 이상의 체결홀(180)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공간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플랜지부의 단부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발생하는 마그네트(3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센서는 레일에 평행한 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각도와, 레일에 직교한 방향을 축으로하는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2축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의 외면으로 일부가 노출되고 설정값 이상의 경사가 발생한 경우 색상을 달리하여 발광하는 램프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직접 레일의 플랜지부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인 안정성이 있으며, 특히 삽입부재를 통한 기계적인 체결과, 마그네트를 통한 자기력을 통한 체결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체결의 편리성과 장착의 견고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특히 진동이 많고 변화가 큰 선로의 배치 환경에서 사용상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로에 직접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2축센서를 구비하기 때문에 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어 선로의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 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 침하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로 침하계를 후방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로 침하계가 레일에 장착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로 침하계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선로 침하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철도의 레일에 장착되어 선로의 변위를 측정하는 침하계로서 전방측으로 레일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체결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레일의 경사를 측정하는 경사센서와, 상기 체결공간의 상부에 후방으로 삽입되어 레일과 몸체부를 고정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선로 침하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레일은 아래에서 설명될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어느 일방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다양한 종류의 레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 침하계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몸체부(100)에 대해 삽입부재(200)가 배치되는 측을 전방으로, 그에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도 4를 참조하면 레일을 바라보는 방향이 전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의 방향성은 적용되는 사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몸체부(100)는 하우징(130)에 의하여 전체적인 외형을 구성하며 특히 레일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대부분의 외관이 후면과 상하면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양측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여기서 양측방향이란 레일의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양측방향으로의 길이는 선택적이다.
상기 몸체부(100)는 전방측에 체결공간(110)을 구비하며 레일의 플랜지부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간(110)의 전후방 깊이는 플랜지부와의 결합관계나 그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내부에 경사센서를 구비하며, 공간적인 효율성과 기울기 측정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고려하면 체결공간(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가 레일에 장착된 상태에서 레일의 플랜지부 상측에 경사센서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사센서의 작동에 관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된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100)는 체결공간(110)의 상측에 제어부 및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조립 및 유지보수성을 고려하여 몸체부(100)의 상부 전방측에 커버부(14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간(110)은 다양한 형태나 크기의 레일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어느 정도 여유가 있는 높이와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레일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면 삽입부재(200)에 의하여 체결이 완료될 수 있다.
체결 과정의 신뢰성을 위하여 상기 체결공간(110)의 천정면은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사면부(123)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공간(110)의 직립되어 플랜지부의 단부를 마주보는 면을 내벽부(122)로, 바닥면을 저면부(121)로 정의한다. 이때, 상기 내벽부(122)와 저면부(121)는 대략 직교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면부(123)가 내측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처져 있으므로 체결공간(110)도 이에 따라 입구쪽에서 넓고 내측으로 갈수록 상하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체결공간(110)에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재(200)는 실질적으로 레일이 체결공간(110)에 삽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상하방향의 압력을 제공하면서 체결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삽입부재(200)는 몸체부(100)의 사면부(123)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상측의 슬라이딩면(221)과, 레일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면서 접촉이 개시되는 저면 전방측의 삽입면(222) 및 삽입면(222)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대략 저면부(12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체결면(2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재(200)는 체결공간(110)의 상측에서 사면부(123)에 슬라이딩면(221)이 접촉되면서 후방 및 하방으로 이동되고 그 하부와 저면부(121)와의 사이 간극을 좁혀감으로써 레일의 플랜지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삽입부재(200)와 몸체부(100) 사이는 체결부재(410)에 의하여 연결되어 체결부재(410)의 조작에 따라 삽입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체결부재(410)는 삽입부재(200) 및 몸체부(100)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레일에 대해 전방측에서 장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결합을 위한 체결부재(410)의 조작은 몸체부(100)의 후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200)는 삽입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하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몸체부(100)에서 체결부재(410)가 삽입되는 부위는 상하방향으로 어느 정도 유동폭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실시예는 후술한다.
한편, 몸체부(100)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30)의 외면 일부에는 제어신호의 연결을 위한 단자부(1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선로 침하계가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관계를 고려하면 측면의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로 침하계를 후방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몸체부(100)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체결공간(110)에 삽입부재(200)가 삽입되면서 레일에의 장착이 이루어짐은 상기한 바와 같다. 후방측에서 바라볼 때 삽입부재(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체결부재(410)의 관통 배치를 위한 체결홀(18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방향으로 두 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부재(200)는 체결공간(110)에 삽입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하방향의 유동폭이 요청되고 이를 위하여 체결홀(180)은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410)는 삽입부재(200)에 연결되고 체결홀(180)을 관통하여 회전됨에 따라 삽입부재(200)를 후방측으로 당겨 체결공가의 높이방향 간극을 줄이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삽입부재(200)가 하방으로 이동되므로 이러한 체결홀(180)의 높이는 삽입부재(200)의 움직이는 상하 폭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체결홀(180)은 체결부재가 관통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높이가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30)의 내부의 공간에 경사센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사센서는 2축 기울기센서, 즉 2축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도의 길이방향을 X축으로 하고, 평면상 이에 수평하게 직교되는 방향을 Y축으로 보면 레일에 대해 선로 침하계는 Y축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경사센서는 Y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방향의 각도(A)를 측정할 수 있고, X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방향의 각도(B)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30)의 외면에는 각각의 회전방향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1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는 초기화를 위한 다이얼 등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30)의 외면 일부에는 경사가 발생한 경우 또는 설정값 이상의 경사가 발생한 경우에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램프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부(170)는 LED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상태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서 경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어부에서 정상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녹색을 발광하고, 허용각도 이내이나 모니터링이 필요하는 경우 주황색으로, 허용각도 이상이어서 보수가 필요한 경우 적색으로 발광할 수 있을 것이며, 경우에 따라 점멸하도록 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로 침하계가 레일에 장착된 사용상태도이다.
레일(50)은 기본적으로 상부에 휠이 마찰되는 레일헤드(51)와, 레일헤드(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립부(52)와 하부에서 침목 등에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플랜지부(53)로 구성해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로 침하계는 상기 플랜지부(53)에 장착되어 직접적으로 레일의 각도 내지는 변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경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레일과 직접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그 측정의 정확성은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삽입부재(200)가 어느 정도 전방으로 나온 상태에서 몸체부(100)가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플랜지부(53)의 단부는 체결공간(110)으로 삽입되고, 플랜지부(53)의 저면은 체결공간(110)의 저면부(121)에 접촉되고 상면은 삽입부재(200)의 삽입면(222)에 접촉된다.
대부분의 플랜지부(53)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삽입면(222)의 경사는 다양한 형상의 플랜지부(53)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플랜지부(53)가 체결공간(110)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체결부재(410)를 조임으로써 삽입부재(20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고 플랜지부(53)가 삽입되는 상하 높이를 점차적으로 줄여나감으로써 견고하게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플랜지부(53)의 단부가 체결공간(110)의 내벽부(122)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체결부재(410)의 조작 과정에서 전후방으로 어느 정도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장착의 견고성에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내벽부(122)에 마그네트(310)를 구비하고 이러한 마그네트(310)가 플랜지부(53)를 자기력으로 당김으로써 정확한 깊이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재(200)와의 기계적인 압박에 의한 체결과, 자기력에 의한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레일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시간에 따른 체결력의 약화에 대응할 수 있고 이는 시공의 신뢰성으로 이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로 침하계의 구성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30)의 내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체결공간(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하우징(130)의 수용공간에 경사센서(520)와 제어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센서(520)는 2축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전송하고 제어부(600)의 경사감지부(610)는 경사감지값을 데이터화하게 된다. 경보부(640)에서는 소정의 허용각도와 감지된 경사값과의 대비를 통하여 경보의 발생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램프부(170)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부(640)는 통신부(650)를 통하여 원격의 서버(700) 또는 다른 선로 침하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온도센서(520)를 더 구비하여 선로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온도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600)의 온도감지부(620)로 전송하고 상기 온도감지부(620)는 온도감지값을 데이터화할 수 있다.
레일(5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온도에 따라 신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사의 발생에서 온도의 변화가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조건에 따라 허용하여야 하는 경사의 정도 또는 방향의 허용값이 달라질 필요가 있을 것이며, 보정부(630)는 경사감지값을 기초로 경보부에서 경보를 발생하도록 하는 허용각도를 온도감지값에 따라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650)는 원격의 서버(700) 또는 다른 선로 침하계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로에서의 작업신뢰성을 고려하여 RS485통신 방식으로 단자부(150)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다른 형태의 유선통신방식이나 Zigbee, Bluetooth, RF통신, WiFi, 3G, 4G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선로 침하계는 직접 레일의 플랜지부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인 안정성이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삽입부재를 통한 기계적 체결과, 자기력을 통한 체결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체결의 편리성과 장착의 견고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특히 진동이 많고 변화가 큰 선로의 배치 환경에서 사용상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선로에 직접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2축센서를 구비하기 때문에 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어 선로의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증가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몸체부 110...체결공간
121...저면부 122...내벽부
123...사면부 130...하우징
140...커버부 150...단자부
160...표시부 170...램프부
180...체결홀 200...삽입부재
221...슬라이딩면 222...삽입면
223...체결면 310...마그네트
410...체결부재 510...경사센서
520...온도센서 600...제어부
610...경사감지부 620...온도감지부
630...보정부 640...경보부
650...통신부 700...서버

Claims (8)

  1. 철도의 레일에 장착되어 선로의 변위를 측정하는 침하계로서,
    전방측으로 레일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체결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레일의 경사를 측정하는 경사센서(520);
    상기 체결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사면부에서 후방으로 삽입되어 플랜지부와 몸체부를 고정하는 삽입부재(200);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서 조작되어 삽입부재의 전후방 위치를 결정하는 체결부재(410);
    플랜지부를 체결공간으로 삽입시키도록 당기는 마그네트(310);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는,
    플랜지부가 마그네트에 의하여 체결공간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체결부재의 조작에 따라 사면부에 슬라이딩면이 접촉되면서 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여 그 하부와 저면부 사이의 간극을 좁혀감으로써 플랜지부를 상하로 고정하도록 하는 선로 침하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저면의 전방측이 후방으로 경사진 삽입면으로 이루어지고, 삽입면의 후방은 지면과 평행한 체결면으로 이루어지는 선로 침하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몸체부 및 삽입부재를 연결하여 삽입부재를 후방측으로 당겨 체결공간의 높이방향 간극을 줄이도록 하는 선로 침하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체결부재가 관통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높이가 폭보다 더 큰 하나 이상의 체결홀(180)을 구비하는 선로 침하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센서는,
    레일에 평행한 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각도와, 레일에 직교한 방향을 축으로하는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2축센서로 이루어지는 선로 침하계.
  8. 제7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외면으로 일부가 노출되고 설정값 이상의 경사가 발생한 경우 색상을 달리하여 발광하는 램프부(170);를 더 구비하는 선로 침하계.

KR1020180017470A 2018-02-13 2018-02-13 선로 침하계 KR102133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70A KR102133630B1 (ko) 2018-02-13 2018-02-13 선로 침하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70A KR102133630B1 (ko) 2018-02-13 2018-02-13 선로 침하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07A KR20190097707A (ko) 2019-08-21
KR102133630B1 true KR102133630B1 (ko) 2020-07-13

Family

ID=6780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470A KR102133630B1 (ko) 2018-02-13 2018-02-13 선로 침하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6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516B1 (ko) * 2013-04-15 2013-11-13 이근호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JP2014208965A (ja) * 2013-03-27 2014-11-06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センサ支持装置
KR101504123B1 (ko) * 2014-08-08 2015-03-19 주식회사 케이지엠기술 궤도 변위측정 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궤도 변위 측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879A (ja) * 1996-06-28 1998-08-11 Toshinori Abe 列車位置及び速度の検出装置並びに付属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8965A (ja) * 2013-03-27 2014-11-06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センサ支持装置
KR101328516B1 (ko) * 2013-04-15 2013-11-13 이근호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KR101504123B1 (ko) * 2014-08-08 2015-03-19 주식회사 케이지엠기술 궤도 변위측정 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궤도 변위 측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07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280B1 (ko)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량 자동 계측 장치
KR100734390B1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CN202947731U (zh) 沉降信息采集系统
KR101162918B1 (ko) 경사계를 이용한 지중변위 계측 방법
CN103175508A (zh) 铁路路基沉降监测
CN106092042B (zh) 一种基于光纤光栅传感技术的软土地基沉降传感器的使用方法
CN108195346B (zh) 一种实时监测地下多层次空间地表沉降变形的方法
CN111735419B (zh) 边坡水平位移监测系统及其方法
CN101024400A (zh) 高速铁路轨道安全自动测量监控技术
CN102269578A (zh) 空间结构竖向变形测量装置
KR20180057155A (ko)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CN108050988B (zh) 一种地下多层次空间地表地下智能实时全过程监测方法
KR20190000356A (ko)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KR102133630B1 (ko) 선로 침하계
KR101810221B1 (ko) 침목 침하감지장치
KR20180066397A (ko) 비탈면 붕괴 감지 시스템
CN109556524A (zh) 基于光纤光栅技术的裂缝宽度监测系统及方法
KR101514437B1 (ko) 지중 경사계
CN104316029B (zh) 一种地质沉降监测装置及监测方法
KR20180123370A (ko) 레일 지지대,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량 측정장치 및 레일 변위량 계측 시스템
KR102048425B1 (ko)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
KR102039000B1 (ko) 사면붕괴 계측용 봉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면붕괴 계측 방법
KR20180126428A (ko) 레일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량 측정장
CN112187843A (zh) 一种基于bim深基坑基建风险自动监测的系统和方法
CN113137928B (zh) 一种基于光频域反射技术的深部岩土体光纤测斜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