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425B1 -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8425B1 KR102048425B1 KR1020190112842A KR20190112842A KR102048425B1 KR 102048425 B1 KR102048425 B1 KR 102048425B1 KR 1020190112842 A KR1020190112842 A KR 1020190112842A KR 20190112842 A KR20190112842 A KR 20190112842A KR 102048425 B1 KR102048425 B1 KR 1020484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rod
- magnet
- support
- slee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5/00—Applications of measuring apparatus or devices for track-building purposes
- E01B35/12—Applications of measuring apparatus or devices for track-building purposes for measuring movement of the track or of the components thereof under rolling loads, e.g. depression of sleepers, increase of gaug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1—Elastic layers other than rail-pads, e.g. sleeper-shoes, bitu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용 레일의 높이와 위치의 변위를 감지하기 위해 침목이 안착된 지반의 침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 침하여부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열차의 탈선 위험성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용 레일의 높이와 위치의 변위를 감지하기 위해 침목이 안착된 지반의 침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 침하여부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열차의 탈선 위험성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선로는 원지반에 흙을 성토하여 성토 지반을 만들고 성토 지반 위에 다수의 침목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이후 그 위에 한 쌍의 레일을 표준궤간(일반적으로 1,435mm)으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철도 선로는 철도차량의 이동을 위한 다양한 구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매립지와 같은 연약지반에 설치되거나, 산간의 절개지나 계곡 직접 또는 인접되어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환경에 직면하게 된다.
즉, 철도 선로는 연약 지반 상부에 토사층이 다짐 작업되고, 상기 토사층 상부에는 골재층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골재층에는 상부에 침목이 안착되고 상기 침목의 상부에는 레일이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런데, 여름철에 장마 또는 폭우로 인하여 산사태가 또는 홍수가 발생하면서 절개지나 산의 계곡에 직면해 있는 철도 선로의 성토 지반은 지반 침하가 급격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연약 지반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도 서서히 지반침하가 발생할 수 있고, 철도 선로의 성토 지반에 인접하여 토목 공사가 발생한 경우에도 설계 미숙 또는 오차 등에 의해 지반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터널이나 교량 위를 지나는 철도 레일의 경우에도 침목이 설치되는 구조물이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노후화되면서 서서히 지반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철로 지반 침하와 변형이 우려되는 연약 지반, 절개지, 계곡과 직면한 부분, 또는 구조물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터널, 교량 위를 지나는 철도 레일은 그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지반 침하와 변형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대형 철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열차의 안전 운행을 위하여 철도 레일의 안전 상태를 상시 계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로 인해 지반의 침하를 계측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측정이 눈금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침목의 상대적인 위치의 측정 및 관리가 어려우며, 인력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에 있어서도 과도한 시공공정으로 인한 경제적인 낭비가 초래되었다.
또한, 설치가 된다고 하더라도 상시적인 측정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설치가 비교적 간편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침하 감지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철도 지반 침하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설치가 간편하여 유지 보수로 인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는 상단에 레일(10)이 안착되는 침목(2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대(100); 일측과 타측이 상기 한쌍의 지지대(10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침목(20)과 교차되도록 가로지르는 다수의 보강레일(30)의 상면을 가압하는 견인대(200); 상기 침목(20)이 안착되는 도상자갈(40)에 일정깊이로 삽입되며, 상단에 자석(301)이 고정되는 변위로드(300); 상기 자석(301)이 갖는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변위로드(300)의 침하여부를 측정하도록 상기 자석(301)의 상측에 배치되고, 측정된 침하 여부를 데이터화 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감지센서(400); 상기 감지센서(400)와 상기 자석(301)을 일정간격 이격시키되, 이격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일측에 상기 감지센서(400)가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견인대(200)에 고정되는 센서고정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위로드(300)는 상기 도상자갈(40)에 삽입되며, 상면에 체결홀(311)이 함입형성되는 삽입로드(310); 상기 삽입로드(310)와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홀(311)에 삽입되는 체결봉(321)이 하단에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자석(301)이 고정되는 지지로드(320); 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로드(310)의 상단에는 진동에 의해 상기 삽입로드(310)가 상기 도상자갈(40)에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상자갈(40)의 표면에 안착되는 지지날개(3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고정부(500)는 일측이 상기 견인대(200)에 고정되며, 타측에 삽입공(511)이 함입형성된 제1 고정대(510); 상기 제1 고정대(510)와 결합되도록 하단에 상기 삽입공(511)에 삽입되는 지지봉(52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51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며, 일측에 감지센서(400)가 부착되는 제2 고정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고정부(500)에는 상기 감지센서(400)와 상기 자석(301)의 이격된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감지센서(400)의 상하이동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600);가 더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간격조절부(6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하면에 상기 감지센서(400)가 부착되는 센서고정판(610); 상기 센서고정판(6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상기 센서고정부(500)의 일측을 관통하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연결대(620); 상기 연결대(620)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연결대(6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판(630); 상기 지지판(630)의 하면과 상기 센서고정부(50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판(63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640); 일측이 상기 센서고정판(610)의 하면에 고정되며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결대(620)의 하강 시 타측이 상기 변위로드(300)의 상단에 접촉되면서 상기 연결대(620)의 하강을 제한하는 간격유지로드(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반 침하여부 및 정도에 따라 자석의 자력 세기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침하여부를 관리자에게 전송이 가능하고, 침목을 지지하는 브라켓에 장착이 가능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변위로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센서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의 간격조절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감지센서의 데이터 송신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7 은 본 발명의 침목고정브라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변위로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센서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의 간격조절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감지센서의 데이터 송신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7 은 본 발명의 침목고정브라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쌍의 레일(10) 및 한쌍의 레일(10)을 지지하는 침목(20), 침목(20) 및 레일(1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침목(20)과 교차되며 연결되는 다수의 보강레일(30) 및 침목(20) 주변에 깔린 도상자갈(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침목(20)을 지지하는 지반의 침하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침하 여부를 관제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철도 레일(10) 또는 침목(20) 또는 보강레일(30) 중 어느 한 곳에 설치가 가능하며, 설치되는 위치는 현장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지지대(100), 견인대(200), 변위로드(300), 감지센서(400) 및 센서고정부(500)를 포함한다.
지지대(100)는 양측단이 침목(2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중앙이 침목(2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이때, 지지대(100)는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대(200)는 침목(20)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보강레일(30)의 상면을 감싸도록 양단이 한쌍의 지지대(100)에 각각 결합되면서, 보강레일(30)의 상면을 가압하여 보강레일(30)이 침목(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견인대(200)와 지지대(100)는 'U'형상의 볼트 또는 일반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견인대(200)와 지지대(100)의 상호 결합으로 인해 지반이 침하될 때 레일(10)이 급격하게 휘거나 절곡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변위로드(300)는 상하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도상자갈(40)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다. 변위로드(300)의 하단은 바람직하게는 송곳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변위로드(300)가 도상자갈(40)에 삽입될 때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변위로드(300)의 상단에는 자석(301)이 고정되는데, 자석(301)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변위로드(300)가 도상자갈(40)에 삽입되면, 도상자갈(40)의 침하여부에 따라 변위로드(300)의 상단에 위치한 자석(301)의 상하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감지센서(400)는 자석(30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자석(301)이 갖는 자력을 감지하여 변위로드(300) 또는 지반의 침하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감지센서(400)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감지센서(400)는 자석(301)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자석(301)의 자력을 감지하는데, 지반이 침하되어 변위로드(300)가 하강하면 자석(301)이 함께 하강하여 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되는 자력의 세기가 감소된다.
감지센서(400)는 변위로드(300)의 침하여부, 또는 지반의 침하여부를 자석(301)이 갖는 자력의 세기를 통해 감지하며, 감지센서(400) 내에 임의로 설정된 자력의 강도 이하로 자력이 감지되면 지반이 침하되었다고 판단하여 이를 데이터화한 후 외부로 데이터를 송신하여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여 감지센서(400)의 데이터 송수신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감지센서(400)는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인터넷망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레일(10)의 침하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관리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관리서버는 감지센서(4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반침하여부로 감지되면, 작업자나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일실시예로 다양한 범위 내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센서고정부(500)는 감지센서(40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일측에 감지센서(400)가 장착되며, 타측이 견인대(200) 또는 침목(20) 또는 보강레일(30)에 고정되면서 감지센서(400)를 이격시킨다. 센서고정부(500)는 그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견인대(2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고정부(500)의 높이는 레일(10)의 상단 높이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지센서(400)는 센서고정부(500)의 일측 하단에 고정되어 자석(301)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변위로드(300)는 삽입로드(310)와 지지로드(320)를 포함한다. 삽입로드(310)는 도상자갈(40)에 일정깊이로 삽입되며, 소정의 직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로드(310)의 하단은 송곳 모양으로 형성되어 도상자갈(40)에 삽입될 때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로드(310)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일정깊이 삽입된 체결홀(311)이 함입 형성된다.
지지로드(320)는 도상자갈(40)의 표면위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삽입로드(310)와 결합된다. 이때, 지지로드(320)의 하단에는 체결홀(311)에 삽입되는 체결봉(321)이 돌출 형성되며, 체결봉(321)이 체결홀(311)에 삽입됨으로 인해 지지로드(320)와 삽입로드(31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홀(311)의 내측면과 체결봉(321)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회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로드(320)의 상면에는 자석(301)이 고정되어 감지센서(400)와 자석(301)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한편, 삽입로드(310)의 상단 외측면에는 지지날개(330)가 형성되는데, 지지날개(330)는 삽입로드(31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지지날개(330)는 삽입로드(310)가 열차의 이동 등에 따른 외부 진동에 의해 도상자갈(40)로 삽입되어 지반침하로 인한 침하가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침하여부가 감지되는 오작동 현상을 방지해주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즉, 지지날개(330)가 삽입로드(310)의 상단에 형성되고, 지지날개(330)의 하면이 도상자갈(40)의 표면에 안착된다. 이로 인해 소정의 직경을 갖는 삽입로드(310)가 외부 진동에 의해 도상자갈(40)에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로드(310)의 삽입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해줄 수 있어 감지센서(400)와 자석(301)이 이루는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해줄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4 를 참조하여 센서고정부(500)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센서고정부(500)는 제1 고정대(510) 및 제2 고정대(52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대(510)는 일측이 견인대(200)에 고정되며, 타측에 삽입공(511)이 함입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고정대(510)는 견인대(200)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512)과 제1 브라켓(512)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소정의 직경을 이루도록 세워지는 원통형상의 제1 하우징(513)을 포함한다. 이때, 제1 하우징(513)의 상면에는 삽입공(511)이 함입 형성된다.
제2 고정대(520)는 제1 고정대(510)와 회전 결합되도록 제1 고정대(510)와 연결되며, 하단에 삽입공(511)에 삽입되는 지지봉(521)이 돌출 형성되어 삽입공(51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고정대(520)는 감지센서(400)가 일측 하면에 부착되는 제2 브라켓(522)과 제2 브라켓(522)의 타측 하면에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동형상의 제2 하우징(523)을 포함한다. 이때, 제2 하우징(523)의 하면에는 지지봉(52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제1 고정대(510)와 제2 고정대(520)는 상호 회전 결합되며, 이는 센서고정부(500)가 견인대(200)에 먼저 고정되는 경우 제2 고정대(520)을 일측으로 회전시킨 후 변위로드(300)를 도상자갈(40)에 삽입하고 이후 제2 고정대(520)을 타측으로 회전시켜 감지센서(400)와 자석(301)이 상호 마주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센서고정부(500)에는 감지센서(400)와 자석(301)의 이격된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간격조절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600)는 작업자가 감지센서(400)의 상하이동을 제어하여 자석(301)와 이루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600)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간격조절부(600)는 센서고정판(610), 연결대(620), 지지판(630), 탄성부재(640) 및 간격유지로드(65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고정판(6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석(301)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때, 센서고정판(610)의 하면에는 감지센서(400)가 부착되어 자석(301)과 감지센서(400)가 상호 마주볼 수 있도록 한다.
연결대(620)는 센서고정판(6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일측단이 센서고정판(610)과 결합되어 센서고정판(610)과 일체를 이룬다. 이때, 연결대(620)의 타측단은 센서고정부(50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센서고정부(500)의 일측 상단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센서고정부(500)의 일측에는 연결대(62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501)이 형성된다.
연결대(620)가 센서고정부(500)를 관통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감지센서(400)와 자석(301)의 이격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데, 연결대(620)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센서고정부(500)의 관통홀(501)의 내측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맞물리게 되고, 연결대(620)가 회전함으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판(630)은 연결대(6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연결대(620)의 상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연결대(620)가 이루는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판(630)에 별도의 공구를 장착하여 연결대(6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640)는 지지판(630)의 하면과, 센서고정부(50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여 지지판(630)을 탄성지지한다. 탄성부재(640)가 지지판(630)을 탄성지지함으로 인해 연결대(62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즉, 열차의 이동에 따른 진동이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연결대(620)가 임의로 회전하여 감지센서(400)와 자석(301)이 이루는 간격이 변경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간격유지로드(65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봉 형상으로 상하방향, 즉, 연결대(62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진다. 간격유지로드(650)의 연장되는 길이는 바람직하게 감지센서(400)와 자석(301)이 이루는 최적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간격유지로드(650)의 일측단이 센서고정판(610)의 하면에 고정되고, 연결대(620)의 회전으로 인해 센서고정판(610)이 하강하면, 간격유지로드(650)의 타츠단이 변위로드(300)의 상단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연결대(620)는 더 하강하지 못하게 되며, 감지센서(400)와 자석(301)의 이격된 간격은 최적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보강레일(30)이 설치되지 않는 선로 구간에도 변위로드(300), 감지센서(400) 및 센서고정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변위로드(300), 감지센서(400) 및 센서고정부(5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침목(20)의 상단에 안착되어 침목(20)과 고정되는 침목고정브라켓(7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침목고정브라켓(700)은 침목(20)의 상단에 안착되고, 양단이 침목(20)의 양측면에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침목고정브라켓(700)의 양측 끝단에는 별도의 고정볼트가 관통하여 침목(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어떠한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침목(20)과 침목고정브라켓(7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침목고정브라켓(700)의 상단에는 센서고정부(500)가 고정될 수 있는데, 이들 사이를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별도의 연결봉(71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710)의 상하 연장길이에 따라 센서고정부(500)에 안착된 감지센서(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침목고정브라켓(700)을 통해 기존에 설치된 침목(20)에도 설치가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일정간격 이격 배치하여 다수개 설치하는 과정을 통해 지반 및 침목의 침하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레일(10)의 특정 구간(침하구간)에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자석의 자력 세기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침하여부를 관리자에게 전송이 가능함에 따라 유사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열차의 탈선 등의 위험요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10 : 레일 20 : 침목
30 : 보강레일
100 : 지지대 200 : 견인대
300 : 변위로드 400 : 감지센서
500 : 센서고정부 600 : 간격조절부
30 : 보강레일
100 : 지지대 200 : 견인대
300 : 변위로드 400 : 감지센서
500 : 센서고정부 600 : 간격조절부
Claims (5)
- 상단에 레일(10)이 안착되는 침목(2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대(100);
일측과 타측이 상기 한쌍의 지지대(10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침목(20)과 교차되도록 가로지르는 다수의 보강레일(30)의 상면을 가압하는 견인대(200);
상기 침목(20)이 안착되는 도상자갈(40)에 일정깊이로 삽입되며, 상단에 자석(301)이 고정되는 변위로드(300);
상기 자석(301)이 갖는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변위로드(300)의 침하여부를 측정하도록 상기 자석(301)의 상측에 배치되고, 측정된 침하 여부를 데이터화 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감지센서(400);
상기 감지센서(400)와 상기 자석(301)을 일정간격 이격시키되, 이격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일측에 상기 감지센서(400)가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견인대(200)에 고정되는 센서고정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고정부(500)에는 상기 감지센서(400)와 상기 자석(301)의 이격된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감지센서(400)의 상하이동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6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간격조절부(6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하면에 상기 감지센서(400)가 부착되는 센서고정판(610);
상기 센서고정판(6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상기 센서고정부(500)의 일측을 관통하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연결대(620);
상기 연결대(620)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연결대(6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판(630);
상기 지지판(630)의 하면과 상기 센서고정부(50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판(63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640);
일측이 상기 센서고정판(610)의 하면에 고정되며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결대(620)의 하강 시 타측이 상기 변위로드(300)의 상단에 접촉되면서 상기 연결대(620)의 하강을 제한하는 간격유지로드(6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로드(300)는 상기 도상자갈(40)에 삽입되며, 상면에 체결홀(311)이 함입형성되는 삽입로드(310);
상기 삽입로드(310)와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홀(311)에 삽입되는 체결봉(321)이 하단에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자석(301)이 고정되는 지지로드(320); 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로드(310)의 상단에는 진동에 의해 상기 삽입로드(310)가 상기 도상자갈(40)에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상자갈(40)의 표면에 안착되는 지지날개(3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고정부(500)는 일측이 상기 견인대(200)에 고정되며, 타측에 삽입공(511)이 함입형성된 제1 고정대(510);
상기 제1 고정대(510)와 결합되도록 하단에 상기 삽입공(511)에 삽입되는 지지봉(52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51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며, 일측에 감지센서(400)가 부착되는 제2 고정대(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842A KR102048425B1 (ko) | 2019-09-11 | 2019-09-11 |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842A KR102048425B1 (ko) | 2019-09-11 | 2019-09-11 |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8425B1 true KR102048425B1 (ko) | 2019-11-25 |
Family
ID=6873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2842A KR102048425B1 (ko) | 2019-09-11 | 2019-09-11 |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842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5484B1 (ko) | 2021-02-01 | 2021-06-16 | 김병천 | 반사체를 이용한 지반 변형 감지장치 |
KR102507690B1 (ko) * | 2022-10-19 | 2023-03-08 | 강원길 | 철도레일용 지반 침하 감지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77901A (ja) * | 1990-02-13 | 1991-12-09 | Nkk Corp | 磁気式変位計 |
KR20040055053A (ko) * | 2002-12-20 | 2004-06-26 | 코오롱건설주식회사 | 반사시트를 이용한 지반침하 측정장치 및 방법 |
KR100720156B1 (ko) | 2005-07-14 | 2007-05-18 | 남진우 | 철도 레일의 침하량 측정장치 |
KR101799982B1 (ko) * | 2017-02-02 | 2017-11-21 | 김태준 | 철도 레일용 보강장치 및 그 관제 시스템 |
KR101810221B1 (ko) | 2016-11-22 | 2018-01-03 | 주식회사 누림코리아 | 침목 침하감지장치 |
-
2019
- 2019-09-11 KR KR1020190112842A patent/KR1020484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77901A (ja) * | 1990-02-13 | 1991-12-09 | Nkk Corp | 磁気式変位計 |
KR20040055053A (ko) * | 2002-12-20 | 2004-06-26 | 코오롱건설주식회사 | 반사시트를 이용한 지반침하 측정장치 및 방법 |
KR100720156B1 (ko) | 2005-07-14 | 2007-05-18 | 남진우 | 철도 레일의 침하량 측정장치 |
KR101810221B1 (ko) | 2016-11-22 | 2018-01-03 | 주식회사 누림코리아 | 침목 침하감지장치 |
KR101799982B1 (ko) * | 2017-02-02 | 2017-11-21 | 김태준 | 철도 레일용 보강장치 및 그 관제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5484B1 (ko) | 2021-02-01 | 2021-06-16 | 김병천 | 반사체를 이용한 지반 변형 감지장치 |
KR102507690B1 (ko) * | 2022-10-19 | 2023-03-08 | 강원길 | 철도레일용 지반 침하 감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7204543B2 (en) | System for dynamically monitoring roadway roof separation based on fibre grating and pre-warning method | |
KR102082238B1 (ko) | 변형 가능한 센서 케이스를 갖는 변위 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 측정장치 및 변위량 계측 시스템 | |
KR102048425B1 (ko) | 철도용 지반침하 감지장치 | |
CN105783868B (zh) | 一种地铁隧道变形在线监测系统及监测方法 | |
KR101434911B1 (ko) | 매립형 궤도를 구성하는 레일의 선형설정을 위한 레일 조립대 | |
KR101226280B1 (ko) |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량 자동 계측 장치 | |
KR101457649B1 (ko) |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 |
KR101799982B1 (ko) | 철도 레일용 보강장치 및 그 관제 시스템 | |
RU2681766C1 (ru) |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верхнего строения безбалластного и бесстыкового пути на мосту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магистрали | |
KR101291591B1 (ko) | 광섬유 브릴루앙 산란 센서를 이용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변형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
KR101504123B1 (ko) | 궤도 변위측정 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궤도 변위 측정시스템 | |
CN104655101A (zh) | 高精度导线式全断面边坡稳定监测预警系统及其监测方法 | |
CN1900650B (zh) | 一种带有高度监测装置的浮置道床 | |
CN103017827A (zh) | 铁路营业线桥涵施工防护多传感器实时监测系统 | |
KR102081291B1 (ko) | 철도레일 침하 감지 시스템 | |
KR101810221B1 (ko) | 침목 침하감지장치 | |
KR20180123370A (ko) | 레일 지지대,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량 측정장치 및 레일 변위량 계측 시스템 | |
KR20050053733A (ko) | 고정 선로의 하부 구조물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 |
CN109781734A (zh) | 一种基于光纤光栅技术的高铁路基脱空监测系统 | |
KR20180126428A (ko) | 레일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량 측정장 | |
KR100950324B1 (ko) | 철도레일 신축이음매장치 변위 검지 시스템 | |
CN113969520B (zh) | 一种铁路隧道内无砟轨道结构及其纠偏方法 | |
KR101353466B1 (ko) | 침목 높이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 |
JP4338273B2 (ja) | 道床沈下検知方法、道床沈下検知器及び道床沈下監視装置 | |
KR102506511B1 (ko) | 레일 지지대,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 측정장치 및 레일 변위량 계측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