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277B1 - 팔로워의 경계 설정과 시계열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정상 데이터 탐지가 가능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팔로워의 경계 설정과 시계열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정상 데이터 탐지가 가능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정상 밴드 생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3277B1 KR102133277B1 KR1020180142823A KR20180142823A KR102133277B1 KR 102133277 B1 KR102133277 B1 KR 102133277B1 KR 1020180142823 A KR1020180142823 A KR 1020180142823A KR 20180142823 A KR20180142823 A KR 20180142823A KR 102133277 B1 KR102133277 B1 KR 1021332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follower
- generator
- normal band
- anch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5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상 밴드 생성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판별기가 판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팔로워 생성기가 팔로워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상 밴드와 계측된 팔로워 데이터들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5에 제시된 시계열 데이터들이 지속하여 누적되며 정상 밴드 내부 혹은 외부에 위치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계열 데이터에서 앵커 데이터와 팔로워 데이터를 설정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상 밴드 생성장치가 학습된 팔로워 생성기에 기반하여 입력된 앵커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판별기와 팔로워 생성기 사이에서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팔로워 생성기가 정상 정상 밴드를 생성하기 위해 다수의 팔로워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되며 팔로워를 산출하는 팔로워 생성기와 판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를 적용한 팔로워들과 U, L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팔로워 생성기가 경계 설정값인 U, L과 이 U, L 사이의 값들을 출력하는 정상 밴드 생성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판별기가 판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팔로워 생성기가 팔로워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팔로워 데이터를 적용한 도면이다.
110, 510, 610: 팔로워 생성기
120: 데이터베이스
130, 530: 판별기
150: 밴드 생성기
160: 비정상 탐지기
515: 코스트 펑션
Claims (14)
- 시간 순으로 산출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시간 순으로 선행하는 앵커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앵커 데이터를 다변화시키는 노이즈 데이터를 입력받아 경계가 되는 두 개의 경계 설정값인 U, L과, 팔로워 데이터를 산출하는 팔로워 생성기; 및
상기 팔로워 생성기에서 산출된 팔로워 데이터들로 구성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밴드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U는 팔로워 데이터이며, 상기 팔로워 데이터는 상기 U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로워 생성기는 상기 U 보다 작고 상기 L 보다 큰 팔로워 데이터만 상기 팔로워 생성기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코스트 펑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스트펑션은 상기 U 및 상기 L의 차이가 가장 크도록 상기 U와 상기 L을 출력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시간 순으로 산출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시간 순으로 선행하는 앵커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앵커 데이터를 다변화시키는 노이즈 데이터를 입력받아 경계가 되는 두 개의 경계 설정값인 U, L과, 팔로워 데이터를 산출하는 팔로워 생성기; 및
상기 팔로워 생성기에서 산출된 팔로워 데이터들로 구성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밴드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L은 팔로워 데이터이며, 상기 팔로워 데이터는 상기 L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팔로워 생성기는 상기 U 보다 작고 상기 L 보다 큰 팔로워 데이터만 상기 팔로워 생성기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코스트 펑션을 더 포함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트펑션은 상기 U 및 상기 L의 차이가 가장 크도록 상기 U와 상기 L을 출력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시간 순으로 산출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시간 순으로 선행하는 앵커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앵커 데이터를 다변화시키는 노이즈 데이터를 입력받아 경계가 되는 두 개의 경계 설정값인 U, L과, 팔로워 데이터를 산출하는 팔로워 생성기; 및
상기 팔로워 생성기에서 산출된 팔로워 데이터들로 구성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밴드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앵커 데이터 및 상기 제1앵커 데이터에 후행하는 제1팔로워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앵커 데이터 및 상기 제2앵커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팔로워 생성기가 생성한 제2팔로워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1팔로워 데이터 및 상기 제2팔로워 데이터를 상기 제1앵커 데이터 및 상기 제2앵커 데이터에 대응하여 판별하도록 학습된 판별기를 더 포함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기가 상기 제2팔로워 데이터를 상기 팔로워 생성기가 생성한 데이터로 판단한 경우,
상기 팔로워 생성기는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학습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시간 순으로 산출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시간 순으로 선행하는 앵커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앵커 데이터를 다변화시키는 노이즈 데이터를 입력받아 경계가 되는 두 개의 경계 설정값인 U, L과, 팔로워 데이터를 산출하는 팔로워 생성기; 및
상기 팔로워 생성기에서 산출된 팔로워 데이터들로 구성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밴드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 생성기는 상기 앵커 데이터가 종료하는 시점 이후 상기 팔로워 생성기가 생성한 팔로워 데이터들의 집합 영역을 정상 밴드로 출력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후속하여 입력되는 시계열 데이터가 상기 정상 밴드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후속하여 입력된 시계열 데이터는 비정상 데이터로 탐지하는 비정상 탐지기를 더 포함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정상 밴드 생성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시간 순으로 산출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상 밴드 생성 장치의 팔로워 생성기가 시간 순으로 선행하는 앵커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앵커 데이터를 다변화시키는 노이즈 데이터를 입력받아 경계가 되는 두 개의 경계 설정값인 U, L과, 팔로워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상 밴드 생성 장치의 밴드 생성기가 상기 팔로워 생성기에서 산출된 팔로워 데이터들로 구성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U는 팔로워 데이터이며, 상기 팔로워 데이터는 상기 U 보다 작은 것을 특징을 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 삭제
- 정상 밴드 생성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시간 순으로 산출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상 밴드 생성 장치의 팔로워 생성기가 시간 순으로 선행하는 앵커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앵커 데이터를 다변화시키는 노이즈 데이터를 입력받아 경계가 되는 두 개의 경계 설정값인 U, L과, 팔로워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상 밴드 생성 장치의 밴드 생성기가 상기 팔로워 생성기에서 산출된 팔로워 데이터들로 구성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L은 팔로워 데이터이며, 상기 팔로워 데이터는 상기 L 보다 큰 것을 특징을 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 정상 밴드 생성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시간 순으로 산출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상 밴드 생성 장치의 팔로워 생성기가 시간 순으로 선행하는 앵커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앵커 데이터를 다변화시키는 노이즈 데이터를 입력받아 경계가 되는 두 개의 경계 설정값인 U, L과, 팔로워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상 밴드 생성 장치의 밴드 생성기가 상기 팔로워 생성기에서 산출된 팔로워 데이터들로 구성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팔로워 생성기는 코스트 펑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스트펑션이 상기 U 보다 작고 상기 L 보다 큰 팔로워 데이터만 상기 팔로워 생성기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코스트펑션은 상기 U 및 상기 L의 차이가 가장 크도록 상기 U와 상기 L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팔로워의 경계가 설정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2823A KR102133277B1 (ko) | 2018-11-19 | 2018-11-19 | 팔로워의 경계 설정과 시계열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정상 데이터 탐지가 가능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2823A KR102133277B1 (ko) | 2018-11-19 | 2018-11-19 | 팔로워의 경계 설정과 시계열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정상 데이터 탐지가 가능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8161A KR20200058161A (ko) | 2020-05-27 |
KR102133277B1 true KR102133277B1 (ko) | 2020-07-13 |
Family
ID=7091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2823A Active KR102133277B1 (ko) | 2018-11-19 | 2018-11-19 | 팔로워의 경계 설정과 시계열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정상 데이터 탐지가 가능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327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7151B1 (ko) * | 2022-11-17 | 2023-07-19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계열 데이터의 품질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0100A (ja) | 2006-12-01 | 2008-06-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情報処理装置及びデータ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2017182693A (ja) | 2016-03-31 | 2017-10-05 |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 機器の異常診断方法及び機器の異常診断装置 |
KR101843066B1 (ko) | 2017-08-23 | 2018-05-15 | 주식회사 뷰노 | 기계 학습에 있어서 데이터 확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분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63331U (ko) * | 1990-10-08 | 1992-05-29 | ||
JPH0512240A (ja) | 1991-07-08 | 1993-01-22 | Hitachi Ltd | 予測装置 |
JP2673656B2 (ja) * | 1993-11-16 | 1997-11-05 | トヨタ自動車 株式会社 | 機器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
KR101880678B1 (ko) * | 2016-10-12 | 2018-07-20 | (주)헬스허브 | 기계학습을 통한 의료영상 판독 및 진단 통합 시스템 |
KR102403494B1 (ko) * | 2017-04-27 | 2022-05-27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생성적 대립 네트워크에 기반한 도메인 간 관계를 학습하는 방법 |
-
2018
- 2018-11-19 KR KR1020180142823A patent/KR10213327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0100A (ja) | 2006-12-01 | 2008-06-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情報処理装置及びデータ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2017182693A (ja) | 2016-03-31 | 2017-10-05 |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 機器の異常診断方法及び機器の異常診断装置 |
KR101843066B1 (ko) | 2017-08-23 | 2018-05-15 | 주식회사 뷰노 | 기계 학습에 있어서 데이터 확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분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http://dl-ai.blogspot.com/2017/08/gan-adversarial-learning.html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8161A (ko) | 2020-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mani et al. | A review of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frameworks for anomaly detection in industrial applications | |
KR102118670B1 (ko) | Ict 인프라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ct 인프라 관리 방법 | |
JP6647573B2 (ja) | 人工知能モジュール開発システム及び人工知能モジュール開発統合システム | |
US766759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scoring surveillance system footage | |
TWI776309B (zh) | 循環人工神經網路、由一循環人工神經網路系統執行的方法及神經網路裝置 | |
JP2021064370A (ja) | デジタル・ツイン・シミュレーション・データを利用した時系列データに基づく、大規模な産業用監視システム向けの半教師あり深層異常検出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CN109784391A (zh) | 基于多模型的样本标注方法及装置 | |
GB2567850A (en) | Determining operating state from complex sensor data | |
US11816553B2 (en) | Output from a recurrent neural network | |
KR20170137350A (ko) | 신경망 생성 모델을 이용한 객체 움직임 패턴 학습장치 및 그 방법 | |
JP2019159675A (ja) | プラント運転支援装置、プラント運転支援方法、およびプラント運転支援プログラム | |
EP3866177A1 (en) | Abnormal driv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neural network model | |
KR20220062547A (ko) | 센서 애그나스틱 기계적 기계 결함 식별 | |
EP3748450B1 (en) | Data driven machine learning for modeling aircraft sensors | |
US20200125083A1 (en) | Graph-based predictive maintenance | |
KR102133277B1 (ko) | 팔로워의 경계 설정과 시계열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정상 데이터 탐지가 가능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
Yang et al. | A two‐stage data cleansing method for bridge global positioning system monitoring data based on bi‐direction long and short term memory anomaly identification and 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data repair | |
Friederich et al. | A framework for validating data-driven discrete-event simulation models of cyber-physical production systems | |
CN109324956A (zh) | 系统测试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102133276B1 (ko) | 복수의 노이즈 데이터와 시계열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정상 데이터 탐지가 가능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
CN107563774A (zh) | 一种基于机器学习的商品防伪及趋势分析方法 | |
CN118378104B (zh) | 一种下穿铁路安全施工和安全监测方法及系统 | |
Toubakh et al. | Advanced data mining approach for wind turbines fault prediction | |
KR20200004032A (ko) | 시계열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정상 데이터 탐지가 가능한 정상 밴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정상 밴드 생성 장치 | |
TW202439138A (zh) | 用於預測計算系統中之錯誤的方法及裝置以及訓練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