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399B1 -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2399B1 KR102132399B1 KR1020190046885A KR20190046885A KR102132399B1 KR 102132399 B1 KR102132399 B1 KR 102132399B1 KR 1020190046885 A KR1020190046885 A KR 1020190046885A KR 20190046885 A KR20190046885 A KR 20190046885A KR 102132399 B1 KR102132399 B1 KR 1021323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main body
- door
- clothing
- neutral 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 D06F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과 제습 기능을 갖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전면이 개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의 어느 한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의 다른 모서리에 이웃한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잠김 위치, 중립 위치 및 열림 위치를 갖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본체를 바라보게 되는 일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캠은 상기 잠김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중립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열림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 측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잠김 위치에서 상기 홈에 걸리되 상기 캠이 상기 중립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형성되는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전면이 개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의 어느 한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의 다른 모서리에 이웃한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잠김 위치, 중립 위치 및 열림 위치를 갖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본체를 바라보게 되는 일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캠은 상기 잠김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중립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열림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 측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잠김 위치에서 상기 홈에 걸리되 상기 캠이 상기 중립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형성되는 돌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과 제습 기능을 갖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일반적으로 의류의 세탁, 탈취, 살균, 다리미질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이는 가령 옷걸이를 흔들어 옷의 먼지를 털어 내거나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스팀을 분사한 후 바람으로 건조하는 방식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특히 후자의 경우, 본체 내부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고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스팀을 분사한 후 의류를 제대로 건조하지 않으면 오히려 냄새와 세균 번식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옷감 손상을 야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스팀을 분사한 후 의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전면이 개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의 어느 한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의 다른 모서리에 이웃한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잠김 위치, 중립 위치 및 열림 위치를 갖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본체를 바라보게 되는 일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캠은 상기 잠김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중립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열림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 측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잠김 위치에서 상기 홈에 걸리되 상기 캠이 상기 중립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형성되는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잠김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캠 중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는 상기 캠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이 일정한 원호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상기 상기 캠 중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 사이는 상기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측면으로 갈수록 상기 캠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이 점차 증가하는 곡선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bias)되고, 상기 캠이 상기 열림 위치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도어는 상기 캠 중 상기 도어에 접하는 지점과 상기 캠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의 회전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의 공간을 가습 및 제습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캠은 가습 시 상기 잠금 위치로 배치되고, 제습 시 상기 열림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은 제습 후 상기 중립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은 제습 후 상기 잠금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와 캠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가습 시 본체와 도어가 서로 긴밀하게 고정됨으로써 본체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본체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거나 도어가 들썩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제습 시 본체가 일부 개방됨으로써 본체 내부의 습기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어 제습 과정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사시도로서, 캠이 잠금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평면도로서, 캠이 잠금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캠과 자기 센서의 개요도로서, 캠이 잠금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사시도로서, 캠이 중립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평면도로서, 캠이 중립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캠과 자기 센서의 개요도로서, 캠이 중립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사시도로서, 캠이 열림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평면도로서, 캠이 열림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캠과 자기 센서의 개요도로서, 캠이 열림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평면도로서, 캠이 잠금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캠과 자기 센서의 개요도로서, 캠이 잠금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사시도로서, 캠이 중립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평면도로서, 캠이 중립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캠과 자기 센서의 개요도로서, 캠이 중립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사시도로서, 캠이 열림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평면도로서, 캠이 열림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캠과 자기 센서의 개요도로서, 캠이 열림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의 캠(130)과 자기 센서(150)의 개요도로서, 도 1 내지 3은 캠(130)이 잠금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의 캠(130)과 자기 센서(150)의 개요도로서, 도 4 내지 6은 캠(130)이 중립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00)의 캠(130)과 자기 센서(150)의 개요도로서, 도 7 내지 9는 캠(130)이 잠금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의류 관리기(100)는 본체(110), 도어(120), 캠(130), 자석(140: 141; 142; 143) 및 자기 센서(150: 151; 152)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전면이 개방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의류의 세탁, 탈취, 살균, 다리미질 등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공지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로부터 쉽게 채용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여기서 "전면"은 의류 관리기(100)에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구분하여 지칭하기 위한 것이지 절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할 "전방", "후방" 등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도어(120)는 본체(110)의 전면의 어느 한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10)를 개폐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어(120)가 본체(110)의 전면의 우측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120)는 예컨대 스프링이나 그밖에 다른 수단에 의해 본체(1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bias)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별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도어(120)가 본체(1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어(120)는 본체(110)를 폐쇄했을 때 본체(110)를 바라보게 되는 일면에 홈(121)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홈(121)이 도어(120)의 일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캠(130)은 본체(110)의 전면의 다른 모서리에 이웃한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캠(130)이 본체(1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캠(130)은 대체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되어, 예컨대 모터에 의해 회전축(X)을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차례로 잠금 위치, 중립 위치 및 열림 위치를 갖는다. 도면에서는 캠(130)이 잠금 위치(도 1 내지 3 참조)에서 시계 방향으로 약 90°씩 회전함에 따라 중립 위치(도 4 내지 6 참조)와 열림 위치(도 7 내지 9 참조)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캠(130)의 측면 중 잠금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는 부분을 제1 측면(131)이라 하고, 중립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는 부분을 제2 측면(132)이라 하며, 열림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는 부분을 제3 측면(133)이라 한다.
제1 측면(131)은 캠(130)이 잠금 위치로 배치되었을 때 본체(110)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본체(110)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본체(110)의 전면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측면(132)은 캠(130)이 중립 위치로 배치되었을 때 본체(110)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본체(110)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본체(110)의 전면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반면 제3 측면(133)은 캠(130)이 열림 위치로 배치되었을 때 본체(110)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제1 측면(131)이 잠금 위치에서 본체(110)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제2 측면(132)이 중립 위치에서 본체(110)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경우, 캠(130)의 측면 중 제1 측면(131)과 제2 측면(132) 사이의 영역은 회전축(X)으로부터 반경이 일정한 원호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나아가 캠(130)의 측면 중 제2 측면(132)과 제3 측면(133) 사이의 영역은 제2 측면(132)으로부터 제3 측면(133)으로 갈수록 회전축(X)으로부터 반경이 점차 증가하는 곡선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후술할 바와 같이 캠(130)이 잠금 위치, 중립 위치 및 열림 위치로 회전할 때, 도어(120)의 일면과 캠(130)의 측면이 지속적으로 접촉되므로, 도어(120)의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충격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캠(130)은 돌기(134)를 더 갖는다. 이러한 돌기(134)는 도어(120)가 본체(110)를 폐쇄했을 때, 그리고 캠(130)이 잠금 위치로 배치되었을 때 도어(120)의 홈(121)에 걸리되(도 2 참조), 캠(130)이 잠금 위치에서 중립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도어(120)의 홈(121)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형성된다(도 5 참조). 도면에서는 돌기(134)가 캠(130)의 측면 중 제1 측면(131)과 제3 측면(133) 사이의 영역(즉 제2 측면(132)의 반대측)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자석(140)은 캠(130)에서 회전축(X)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결합된다. 도면에서는 자석(140)이 세 개로 마련되어, 제1 자석(141)은 제1 측면(131) 측에 배열되고, 제2 자석(142)은 제2 측면(132) 측에 배열되며, 제3 자석(143)은 제3 측면(133) 측에 배열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자기 센서(150)는 자석(14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캠(130)의 회전 위치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는 자기 센서(150)가 두 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자기 센서(151)와 제2 자기 센서(152) 모두 자석(141, 143)을 감지하면(도 3 참조) 캠(130)이 잠금 위치로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자기 센서(151)만 자석(142)을 감지하면(도 6 참조) 캠이 중립 위치로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며, 제2 자기 센서(152)만 자석(143)을 감지하면(도 9 참조) 캠이 열림 위치로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의류 관리기(1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의류 관리기(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체(110)가 의류를 수용하면 도어(120)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의류의 세탁, 탈취, 살균, 다림질 등을 수행할 것이다. 이는 예컨대 가습과 제습을 포함하는 기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가습 시 본체(11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본체(110)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거나 도어(120)가 들썩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때 캠(130)은 잠금 위치로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캠(130)의 돌기(134)가 도어(120)의 홈(121)에 걸려, 본체(110)와 도어(120)가 서로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110)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거나 도어(120)가 들썩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제습 시 캠(130)은 잠금 위치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약 180°로 회전하여 열림 위치로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캠(130)의 돌기(134)가 도어(120)의 홈(121)으로부터 이탈됨과 함께, 캠(130)의 제3 측면(133)이 본체(110)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도어(120)를 밀어 그 돌출된 만큼 본체(110)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0) 내부의 습기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어 제습 과정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캠(130)이 열림 위치로 배치되었을 때, 도어(120)는 캠(130)의 측면 중 도어(120)의 일면에 접하는 지점과 회전축(X)을 연결하는 직선에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도어(120)의 바이어스로 인해 도어(120)가 캠(130)을 압박하게 되더라도 이로써 캠(130)에 대해 회전력을 일으키지 않아 캠(130)이 열림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습 후 캠(130)은 열림 위치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로 회전하여 중립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본체(110)가 도어(120)에 의해 폐쇄되어 있되, 필요시 사용자의 외력 등에 의해 자유롭게 개방될 수 있다.
또는 제습 후 캠(130)이 열림 위치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약 180°로 회전하여 다시 잠금 위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본체(120)가 의류를 보관하거나 추가적으로 관리하는 동안 예컨대 영유아 등이 본체(110) 안에 들어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미도시)을 조작함으로써 캠(130)이 중립 위치로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의류 관리기(1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할 것이다.
Claims (8)
- 전면이 개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의 어느 한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의 다른 모서리에 이웃한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잠금 위치, 중립 위치 및 열림 위치를 갖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본체를 바라보게 되는 일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캠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중립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열림 위치에서 전방으로 배향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 측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홈에 걸리되 상기 캠이 상기 중립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형성되는 돌기를 갖는 의류 관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캠 중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는 상기 캠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이 일정한 원호형으로 이어지는 의류 관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상기 상기 캠 중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 사이는 상기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측면으로 갈수록 상기 캠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이 점차 증가하는 곡선형으로 이어지는 의류 관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본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바이어스(bias)되고,
상기 캠이 상기 열림 위치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도어는 상기 캠 중 상기 도어에 접하는 지점과 상기 캠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직각을 이루는 의류 관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회전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공간을 가습 및 제습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캠은 가습 시 상기 잠금 위치로 배치되고, 제습 시 상기 열림 위치로 배치되는 의류 관리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제습 후 상기 중립 위치로 배치되는 의류 관리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제습 후 상기 잠금 위치로 배치되는 의류 관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6885A KR102132399B1 (ko) | 2019-04-22 | 2019-04-22 | 의류 관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6885A KR102132399B1 (ko) | 2019-04-22 | 2019-04-22 | 의류 관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2399B1 true KR102132399B1 (ko) | 2020-07-09 |
Family
ID=7160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6885A KR102132399B1 (ko) | 2019-04-22 | 2019-04-22 | 의류 관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239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7864A (ja) * | 2000-04-28 | 2001-11-16 | Sanyo Electric Co Ltd | 冷蔵庫の扉開放装置 |
KR101409605B1 (ko) * | 2008-02-25 | 2014-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 |
CN203783267U (zh) * | 2014-02-28 | 2014-08-20 | 青岛澳柯玛自动售货机股份有限公司 | 一种自动开合门结构 |
US8919360B1 (en) * | 2013-05-14 | 2014-12-30 | Gilbert Frank Ransley | Cabinet washer and rack system |
-
2019
- 2019-04-22 KR KR1020190046885A patent/KR1021323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7864A (ja) * | 2000-04-28 | 2001-11-16 | Sanyo Electric Co Ltd | 冷蔵庫の扉開放装置 |
KR101409605B1 (ko) * | 2008-02-25 | 2014-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 |
US8919360B1 (en) * | 2013-05-14 | 2014-12-30 | Gilbert Frank Ransley | Cabinet washer and rack system |
CN203783267U (zh) * | 2014-02-28 | 2014-08-20 | 青岛澳柯玛自动售货机股份有限公司 | 一种自动开合门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06577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 |
RU2598839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 |
RU2603614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 |
EP2402499B1 (en) |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 |
EP2402497B1 (en) |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 |
US9650737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TWI601866B (zh) | Drum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KR101790331B1 (ko) | 변기 커버 | |
US9790633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5881579A (en) | Door boot with varying angle lip seal | |
KR102132399B1 (ko) | 의류 관리기 | |
JP6373569B2 (ja) | 洗濯物処理機器 | |
JP2007117228A (ja) | 二段式衣類乾燥機 | |
JP5963618B2 (ja) | ドアロック機構及び洗濯機 | |
JP2015042216A (ja) | 洗濯乾燥機 | |
US20200080255A1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WO2014191260A1 (en) |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 |
EP2929077B1 (en) |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 |
JP6568814B2 (ja) | 衣類処理装置 | |
PL1548170T3 (pl) | Drzwi obrotowego bębna, zwłaszcza maszyny do prania i/lub suszenia bielizny | |
JP2020039527A (ja) | 衣類乾燥機 | |
KR20220049767A (ko) | 의류처리장치 | |
JP3674103B2 (ja) | 衣類乾燥機 | |
JP6827993B2 (ja) | 除湿機 | |
JP6152832B2 (ja) | 衣類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