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202B1 - 섬유 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형 도로 포장 공법 - Google Patents

섬유 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형 도로 포장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202B1
KR102131202B1 KR1020180017139A KR20180017139A KR102131202B1 KR 102131202 B1 KR102131202 B1 KR 102131202B1 KR 1020180017139 A KR1020180017139 A KR 1020180017139A KR 20180017139 A KR20180017139 A KR 20180017139A KR 102131202 B1 KR102131202 B1 KR 102131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tructure
liquid
fiber
layer
fib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566A (ko
Inventor
신재철
이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기술
Priority to KR102018001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2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65Reinforcements particularly for bituminous or rubber- or plastic-bound pav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섬유 망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섬유 망 구조체는, 망 형태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인장 저항 섬유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인장 저항 섬유 부재 적어도 하나와 교차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 조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상기 도로 포장층의 팽창이 억제되도록 그에 전달되는 열 중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흡열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섬유 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형 도로 포장 공법{STRUCTURE OF FIBER NE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AVEMENT USING THE SAME}
본원은 섬유 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형 도로 포장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층의 경우, 교통하중, 지반 거동뿐만 아니라, 결빙, 해빙 및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염화물의 침입이 포장면에 수직 또는 수평변형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아스팔트층의 균열 및 파손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근래 들어 도로 포장층에 대하여 싱크홀이 자주 발생되면서 싱크홀 발생 방지 대책 및 싱크홀 발생시 대응 방안이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스팔트층과 같은 도로 포장층의 균열 및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싱크홀 발생을 지연시킬 수 있는 도로포장층 보강 방안에 대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제가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10-177494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아스팔트층과 같은 도로포장층의 균열 및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싱크홀 발생을 지연시킬 수 있는 섬유 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형 도로 포장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는, 망 형태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인장 저항 섬유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인장 저항 섬유 부재 적어도 하나와 교차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 조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상기 도로 포장층의 팽창이 억제되도록 그에 전달되는 열 중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흡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포장 공법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를 도로 포장층 사이에 개재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인장 저항 섬유 부재가 인장 작용을 하며 그 상측의 포장층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도로 상으로 주행하는 차량 등에 의해 도로 포장층에 충격, 하중 등이 작용될 때,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며 포장층이 지지될 수 있어 포장층(예를 들면, 아스팔트층)의 손상(균열)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인장 저항 섬유 부재가 인장 작용을 하며 그 상측의 포장층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하측의 포장층에 홀(싱크홀)이 발생되었을 때, 인장 저항 섬유 부재가 상측의 포장층(이를 테면, 아스팔트층)을 그의 소성 변형이 발생될 때까지 소정 시간 지지할 수 있어, 최상층 포장층에 홀이 발생되는 것이 지연될 수 있고, 이 같이 지연되는 과정에서 해당 영역에서 홀 발생 진행 중임이 해당 영역의 점진적인 변형을 통해 시각적으로 미리 파악될 수 있어, 긴급 대피 조치나 접근 금지 조치와 같은 사전 조치(안전 조처)를 취할 시간이 소정 이상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온도 조절 부재가 흡열 부재를 포함하므로, 낮, 여름 등에 도로 포장층의 온도가 올라가더라도, 흡열 부재에 의해 도로 포장층의 열 중 적어도 일부가 흡수되어 도로 포장층의 온도 상승 및 팽창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인장 저항 섬유 부재 및 온도 조절 부재가 서로 교차하며 배치되어 복수개의 홀을 갖는 망 형상을 형성하므로, 도로 포장층의 일부 골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홀을 통과할 수 있어, 도로 포장층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 골재의 도로의 횡방향 또는 도로의 종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가 개재된 도로 포장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의 흡열 부재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의 다공성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섬유 망 구조체 및 도로 포장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이하 '본 섬유 망 구조체'라 함)(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가 개재된 도로 포장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의 흡열 부재의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의 다공성 부재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도로 포장층 사이에 개재되는 섬유 망 구조체이다. 예를 들어, 아스팔트 포장된 도로의 포장층은 아스팔트층(9), 기층(8), 상층 노반, 하층 노반, 노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1을 참조하면,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아스팔트층(9)와 기층(8)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포장된 도로의 포장층은 콘크리트층, 중간 기층, 보조 기층, 상층 노반, 하층 노반, 노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콘크리트층과 중간 기층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섬유 망 구조체(1)의 개재(구비) 위치는 본원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다양한 위치로 도로의 포장층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망 형태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를 포함한다.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는 인장 작용(예를 들어, 인장 변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상으로 주행하는 차량 등에 의해 도로 포장층에 충격, 하중 등이 작용할 때,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완충 역할을 하며 그 상측에 위치하는 포장층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 포장층(이를 테면, 아스팔트층(9))의 손상(균열(크랙))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에 의해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그 상측에 형성되는 포장층의 홀 발생을 지연시키며 홀 발생을 예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섬유 망 구조체(1)가 아스팔트층(9)과 기층(8) 사이에 개재된 도로의 기층(8)에 홀이 발생되었을 때,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아스팔트층(9)을 소정 시간 지지(지탱)하며 인장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상층 포장층에 홀이 발생되는 것이 지연될 수 있고, 이 같이 지연되는 과정에서 해당 영역에서 홀 발생 진행 중임이 해당 영역의 점진적인 변형을 통해 시각적으로 미리 파악될 수 있어, 긴급 대피 조치나 접근 금지 조치와 같은 사전 조치(안전 조처)를 취할 시간이 소정 이상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망 형태, 다시 말해 격자 형상일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섬유 망 구조체(1)와 접촉되는 포장층의 일부 골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본 섬유 망 구조체(1)의 홀(중공부)에 관통할 수 있어, 본 섬유 망 구조체(1)의 도로 포장층에 대한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르면, 골재(이를 테면, 기층(8)의 골재)의 적어도 일부의 도로의 종방향 또는 도로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본 섬유 망 구조체(1)의 상측에 위치하는 포장층(이를 테면, 아스팔트층(9))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는 장섬유(filament) 부재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는 길게 연속된 긴 섬유일 수 있다. 이러한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를 포함하는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long fiber net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인장 저항 섬유 부재는 강섬유,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는 보호막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포장층 사이에 개재되므로 골재 등에 노출될 수 있는데, 보호막층은 골재 등으로부터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를 보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호막층은 우레탄 계열보다 높은 인성을 갖는 에폭시 계열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는 인장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에 코팅되는 보호막층은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의 인장 작용에 대응하여 인장 작용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우레탄 계열은 인성이 약하므로, 만약 보호막층이 우레탄 계열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보호막층이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의 인장 작용에 대응하지 못하고 손상(깨짐)될 수 있다. 반면에, 보호막층이 높은 인성을 갖는 에폭시 계열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보호막층이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의 인장 작용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보호막층은 인성이 높은 에폭시 계열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복수의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 적어도 하나와 교차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 조절 부재(12)를 포함한다. 온도 조절 부재(12)는 도로 포장층의 팽창이 억제되도록 그에 전달되는 열 중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흡열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낮, 여름 등에 도로 포장층의 온도가 올라가면 도로 포장층(특히 아스팔트층(9))에 팽창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되어 도로 포장층(특히 아스팔트층(9))이 손상되거나 도로 포장층(특히 아스팔트층(9))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본 섬유 망 구조체(1)에 의하면 흡열 부재(121)에 의해 도로 포장층의 열 중 적어도 일부가 흡수되므로, 도로 포장층의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섬유 망 구조체(1)와 근접한 위치의 포장층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섬유 망 구조체(1)가 도로 포장층 중 아스팔트층(9)의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 아스팔트층(9)의 온도 상승 및 팽창이 억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흡열 부재(121)는 공급되는 액체를 흡수 가능한 액체 흡수 직물(12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흡수 직물(1211)에 흡수된 액체 중 적어도 일부가 승온되거나 기화됨에 따라 흡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의 승온 및 기화시에 흡열 반응이 이루어지는데, 액체 흡수 직물(1211)은 액체를 흡수할 수 있고, 도로 포장층의 온도가 높거나 상승하려고 할 때 액체 흡수 직물(1211)에 흡수된 액체 중 적어도 일부가 승온 또는 기화됨으로써, 흡열 반응이 구현될 수 있다. 즉, 흡열 부재(121)는 그에 공급되는 액체를 상변화물질로 이용하여 흡열 반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흡열 부재(121)의 흡열 반응에 의해 아스팔트층(9)과 같은 도로 포장층의 온도는 감소될 수 있고, 도로 포장층의 팽창을 비롯한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참고로, 액체 흡수 직물(1211)은 레이온과 같이 흡수성이 뛰어난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도로 포장층 상측으로부터 흡열 부재(121)에 액체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로 포장층 중 아스팔트층(9)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흡열 부재(121)에 공급되는 액체는 빗물, 도로 청소를 위해 도로에 분무되는 물 등과 같은 액체일 수 있다. 또한, 우중에 도로로 낙하하는 비, 도로 청소를 위해 도로에 분무되는 물 등과 같은 액체가 도로 포장층 내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액체가 흡열 부재(121)에 공급되도록, 흡열 부재(121)는 아스팔트층(9)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열 부재(121)는 별도의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필연적으로 그에 공급될 수 있는 빗물 등을 상변화물질로 이용하여 흡열 반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흡열 부재(121)의 액체 흡수 직물(1211)은 나선 중심을 따라 공급되는 액체를 흡수하는 모세관 현상이 유도되도록 액체 흡수 직물(1211) 복수개를 나선형으로 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액체 흡수 직물(1211)이 나선형으로 꼬아짐에 따라, 흡열 부재(121)에는 액체 흡수 직물(1211)에 의해 나선 중심을 따라 모세관 현상이 유도되는 공간(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액체가 액체 흡수 직물(1211) 및 복수개의 액체 흡수 직물(1211)이 형성하는 나선 중심 공간으로 유입 및 저장될 수 있으므로, 단순히 꼬이지 않게 단순 배치되는 액체 흡수 직물(1211)이 액체를 흡수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많은 양의 액체가 흡수 및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는 3 개의 약체 흡수 직물(1211)이 꼰 형태로 구비된 것이 도시되었다.
또한, 흡열 부재(121)의 모세관 현상이 보다 향상되도록, 액체 흡수 직물(1211)은 이형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형단면에 의해 복수개의 액체 흡수 직물(1211) 사이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는데, 공극을 중심으로 모세관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를 흡수하는 속도 및 액체 저장 가능량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흡열 부재(121)는 나선 중심을 따라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12121)이며 둘레에 복수의 홀(12122)이 형성되는 다공성 부재(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열 부재(121)로 흡수된 물은 복수의 홀(12122)을 통해 다공성 부재(1212)의 내부 중공(121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내부 중공(12121)은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소정의 환경이 형성되면 내부 중공(12121) 내의 물은 액체 흡수 직물(1211)로 흡수되어 흡열 반응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우중에 도로 포장층 내로 유입된 빗물은 액체 흡수 직물(1211)에 흡수되며 복수의 홀(12122)을 통해 내부 중공(12121)으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로 포장층의 온도가 향상되며 액체 흡수 직물(1211)로부터 액체의 승온 또는 기화가 일어나면 흡열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액체 흡수 직물(1211)이 액체의 승온 또는 기화에 의해 드라이(dry)되어 감에 따라 내부 중공(12121) 내의 액체 중 적어도 일부는 액체 흡수 직물(1211)로 이동되며 액체 흡수 직물(1211)에 의한 흡열 반응이 지속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중공(12121) 내의 액체 중 적어도 일부는 직접적으로 승온 또는 기화됨으로써 흡열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다공성 부재(1212)의 내부 중공(12121) 및 복수의 홀(12122) 중 적어도 하나는,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는 모세관 현상이 유도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공성 부재(1212) 내로의 액체의 흡수량이 커질 수 있다. 참고로, 내부 중공(12121) 및 복수의 홀(12122) 중 적어도 하나가 모세관 현상이 유도되는 크기로 형성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직경이 작을수록 모세관 현상이 잘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하여, 내부 중공(12121) 및 복수의 홀(12122)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가 모세관 현상이 나타나는 직경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다공성 부재(1212)는 인장 작용에 의해 둘레에 복수의 홀(1222)에 대응하는 크랙이 형성된 광 섬유일 수 있다. 즉,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의 인장 거동에 따라 본 섬유 망 구조체(1)의 다공성 부재(1212)는 대응되게 거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다공성 부재(1212)에는 크랙이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되는 크랙이 홀(12122)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섬유 망 구조체(1)에 의하면, 다공성 부재(1212)가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의 인장 작용과 대응되게 거동하여 다공성 부재(1212)에 크랙이 발생하면, 이 같은 크랙이 액체가 유입되는 홀(12122)로 이용될 수 있고, 홀(12122)을 통해 내부 중공(12121) 및 액체 흡수 직물(1211)의 꼬임 형상에 의해 나선 중심을 따라 형성되는 공극으로 액체가 유입되고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액체 흡수 직물(1211)은 상기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다공성 부재(1212)의 형태 또는 액체 흡수 직물(1211)의 꼬임 형상에 의해 나선 중심을 따라 형성되는 공극이 유지될 수 있도록 다공성 부재(1212)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부재(12)는 도로 포장층의 수축이 억제되도록 그에 포함된 열 중 적어도 일부를 발산하는 열 발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겨울과 같은 때에는 도로 포장층의 온도가 저하되어 도로 포장층은 저온이 될 수 있는데, 이 때 도로 포장층(특히 아스팔트층(9))의 수축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열 발산 부재의 열 발산에 의해 도로 포장층의 온도 저하가 억제되며 도로 포장층의 수축이 억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열 발산 부재는 액체의 흡수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온과 같이 흡수성이 높은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로 포장층의 온도가 낮아지면, 도로 포장층 내의 기체 상태의 수분(수증기)이 열 발산 부재의 흡수성 때문에 액화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응축열이 발생할 수 있고, 발열 반응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액체 흡열 직물(1211)이 레이온과 같은 흡수성이 높은 직물을 포함할 수 있고, 흡열 부재(121)가 액체를 흡수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흡열 부재(121)가 열 발산 부재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복수의 발광 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의 발광 부재(13)는 복수의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 적어도 하나와 교차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발광 부재(13)는 온도 조절 부재(12)와 유사하게 망 형상으로 복수의 인장 저항 섬유 부재(11) 적어도 하나와 교차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섬유 망 구조체(1)는 발광 부재(13)가 도로 포장층 상측으로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도로 포장층 중 아스팔트층(9)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아스팔트층(9)에 크랙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될 경우, 발광 부재(13)의 빛이 크랙 등과 같은 손상 부위를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스팔트층(9)에 손상이 발생했음이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부재(13)는 야광 섬유 등과 같은 자체 발광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아스팔트층(9)의 크랙을 통해 발광 부재(13)가 도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발광 부재(13)는 본 섬유 광 구조체(1)에서 적정하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포장 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포장 공법은 상술한 본 섬유 망 구조체(1)를 도로 포장층 사이에 개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포장 공법이 아스팔트 포장 도로의 포장 공법으로 적용되는 경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포장 공법은 아스팔트층(9)와 기층(8) 사이에 본 섬유 망 구조체(1)를 개재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포장 공법이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포장 공법으로 적용되는 경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포장 공법은 콘크리트층과 중간 기층 사이에 본 섬유 망 구조체(1)를 개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섬유 망 구조체
11: 인장 저항 섬유 부재
12: 온도 조절 부재
121: 흡열 부재
1211: 액체 흡수 직물
1212: 다공성 부재
12121: 중공
12122: 홀
13: 발광 부재

Claims (10)

  1. 도로 포장층 사이에 개재되는 섬유 망 구조체로서,
    망 형태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인장 저항 섬유 부재; 및
    망 형태로 상기 복수의 인장 저항 섬유 부재 적어도 하나와 교차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 조절 부재; 및
    망 형태로 상기 복수의 인장 저항 섬유 부재 적어도 하나와 교차 배치되는 발광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상기 도로 포장층의 팽창이 억제되도록 그에 전달되는 열 중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흡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 망 구조체는, 상기 발광 부재가 상기 도로 포장층 상측으로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도로 포장층 중 아스팔트층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열 부재는 공급되는 액체를 흡수 가능하고, 나선 중심을 따라 공급되는 액체를 흡수하는 모세관 현상이 유도되도록 복수개를 나선형으로 꼰 형태로 구비되는 액체 흡수 직물 및 상기 나선 중심을 따라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둘레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흡수 직물에 흡수된 액체 중 적어도 일부가 승온되거나 기화됨에 따라 상기 흡열 부재의 흡열이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액체 흡수 직물에 흡수된 액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공성 부재의 내부 중공에 유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부재의 내부 중공은 그에 유입된 액체에 대하여 모세관 현상이 유도되어 유입된 액체를 저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중공에 저장된 액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액체 흡수 직물로 이동되어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것인, 섬유 망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저항 섬유 부재는 우레탄 계열보다 높은 인성을 갖는 에폭시 계열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보호막층으로 코팅되는 것인, 섬유 망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저항 섬유 부재는 장섬유 부재인 것인, 섬유 망 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재의 내부 중공 및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는,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는 모세관 현상이 유도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인, 섬유 망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재는 인장 작용에 의해 둘레에 상기 복수의 홀에 대응하는 크랙이 형성된 광 섬유인 것인, 섬유 망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부재는 상기 도로 포장층의 수축이 억제되도록 그에 포함된 열 중 적어도 일부를 발산하는 열 발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섬유 망 구조체.
  10. 제1항에 따른 섬유 망 구조체를 도로 포장층 중 아스팔트층과 기층 사이에 개재하는 도로 포장 공법.
KR1020180017139A 2018-02-12 2018-02-12 섬유 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형 도로 포장 공법 KR10213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39A KR102131202B1 (ko) 2018-02-12 2018-02-12 섬유 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형 도로 포장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39A KR102131202B1 (ko) 2018-02-12 2018-02-12 섬유 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형 도로 포장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566A KR20190097566A (ko) 2019-08-21
KR102131202B1 true KR102131202B1 (ko) 2020-07-07

Family

ID=6780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139A KR102131202B1 (ko) 2018-02-12 2018-02-12 섬유 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형 도로 포장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696B1 (ko) * 2021-03-19 2021-12-29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천장 방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252A (ja) * 1998-08-26 2000-03-07 Hotta Carpet Kk 内装布帛
JP2001073256A (ja) * 1999-08-31 2001-03-21 Fujikura Rubber Ltd 放熱シート
JP2002038655A (ja) * 2000-07-31 2002-02-06 Nippon Steel Composite Co Ltd 帯板複合frp格子材及び帯板複合frp格子材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補強方法
KR100896452B1 (ko) * 2008-11-12 2009-05-14 신화지티아이 주식회사 아스팔트 포장 도로를 집열판으로 이용한 태양열 재생에너지 냉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252A (ja) * 1998-08-26 2000-03-07 Hotta Carpet Kk 内装布帛
JP2001073256A (ja) * 1999-08-31 2001-03-21 Fujikura Rubber Ltd 放熱シート
JP2002038655A (ja) * 2000-07-31 2002-02-06 Nippon Steel Composite Co Ltd 帯板複合frp格子材及び帯板複合frp格子材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補強方法
KR100896452B1 (ko) * 2008-11-12 2009-05-14 신화지티아이 주식회사 아스팔트 포장 도로를 집열판으로 이용한 태양열 재생에너지 냉난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566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202B1 (ko) 섬유 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형 도로 포장 공법
ES2319205T3 (es) Elemento de drenaje con zonas de dilatacion.
ES2202562T3 (es) Nueva estructura de calzada, realizada a partir de materiales rigidos.
ES2464122T3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material compuesto con fibras
CN102084064B (zh) 一种冻土区公路路基保护方法及路面结构
ES2911610T3 (es) Panel de suelo radiante con capa de impacto
US20100316822A1 (en) Textile sleeve with high temperature abrasion resistant coating and methods of assembly, construction and curing thereof
ES2400242T3 (es) Producto geotextil o de armadura compuesta y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K3153625T3 (en) CONCRETE paving
ES2236276T3 (es) Neumatico, para vehiculo de dos ruedas, que comprende un medio antivibracion.
KR20120053722A (ko) 복합 장갑
KR20150046153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발광 장치
JP5238330B2 (ja) 人工芝生
ES2728956T3 (es) Instalación de mallas de refuerzo en una construcción de pavimento de capas de asfalto
KR101636831B1 (ko) 내충격 및 방폭 성능이 강화된 직조 섬유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복합 구조체
CN106639477B (zh) 一种具有抗震和自愈合性能的内置阻尼梁构件
JP6411273B2 (ja) 敷設用ユニットおよび踏面構造体
CN101225634B (zh) 一种轻质高强路面器材
KR100970469B1 (ko) 단열층 및 반사층을 구비한 방수시트
ES2331947T3 (es) Articulo impermeable y respirable compuesto por capas con una resistencia mecanica elevada.
KR102355040B1 (ko) 미끄럼 방지용 보행매트
BR112020007896A2 (pt) roda do veículo
US20120085337A1 (en) Solar power ground engagement device with an ecological environmental protection function
KR102170960B1 (ko) 발열기능이 구비된 탄성포장재
CN106759393A (zh) 一种被动柔性防护立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