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122B1 - 동영상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영상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122B1
KR102131122B1 KR1020190125875A KR20190125875A KR102131122B1 KR 102131122 B1 KR102131122 B1 KR 102131122B1 KR 1020190125875 A KR1020190125875 A KR 1020190125875A KR 20190125875 A KR20190125875 A KR 20190125875A KR 102131122 B1 KR102131122 B1 KR 10213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alue
background
values
value
referen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경
장치영
이태곤
Original Assignee
안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경 filed Critical 안수경
Priority to KR102019012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촬영하는 동영상에 대해서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정보값을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하여 저장 용량을 축소하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경영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제 1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1 정보값과, 제 2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2 정보값과, 제 3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3 정보값과, 제 1, 2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1 프레임들이 제 1 기준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1 배경변화량값들, 및 제 2, 3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2 프레임들이 제 2 기준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2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는 카메라와, 상기 제 1 정보값, 제 2 정보값, 제 3 정보값, 제 1 배경변화량값들, 제 2 배경변화량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정보값을 상대적으로 제 2 정보값보다 용량이 적은 제 1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수신된 제 2 배경변화량값들 각각은 상기 제 1 배경변화량값과 각각 조합하여 제 3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은 저장용량을 크게 축소함에 따라 관제센터에서 저장용량과 관련된 하드웨어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저장 시스템 {Video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동영상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동영상에 대해서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정보값을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하여 저장 용량을 축소하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CCTV와 같은 카메라는 범죄 예방과 각종 사건, 사고를 해결에 큰 도움을 주고 있어서 전국적으로 매우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CCTV를 관리하는 관제센터는 카메라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저장용량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7409호인 데이터 저장용량을 절약할 수 있도록 촬영 영역별 차별적 해상도를 적용한 CCTV 시스템은 관리자로부터 감시대상 영역의 주요 영역과, 상기 주요 영역에 인접한 영역인 제 1 부가적 영역과, 상기 제 1 부가적 영역의 외곽에 위치한 제 2 부가적 영역에 대한 영역정보를 설정받고, 편집 영상파일을 압축할 포맷을 지정받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감시대상 영역을 감시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기준 영상파일과 상기 영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영역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준 영상파일을 주요 영역에 대한 주요 영역 영상파일과 제 1 부가적 영역에 대한 제 1 부가적 영역 영상파일과 제 2 부가적 영역에 대한 제 2 부가적 영역 영상파일로 분할하는 영상분할모듈과, 상기 주요 영역 영상파일을 원형으로 유지하고 상기 제 1 부가적 영역 영상파일의 해상도, 화질, 또는 이들 모두가 주요 영역 영상파일보다 낮춰지도록 제 1 부가적 영역 영상파일을 편집하며 상기 제 2 부가적 영역 영상 파일의 해상도, 화질 또는 이들 모두가 제 1 부가적 영역 영상파일보다 낮춰지도록 제 2 부가적 영역 영상파일을 편집함으로써 제 1, 2 부가적 영역 영상파일의 파일크기를 낮추고 원형의 주요 영역 영상파일과 편집된 제 1, 2 부가적 영역 영상파일을 매칭시켜 기준 영상파일과 동일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 1, 2 부가적 영역 영상파일과 주요 영역 영상파일을 각 프레임별로 결합된 편집 영상파일을 생성하며 편집 영상파일의 파일크기가 설정된 파일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편집 영상파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포멧으로 압축하는 파일크기 변환모듈, 및 상기 편집 영상파일을 저장모듈에 저장하며 상기 편집 영상파일에 연관된 기준 영상파일을 저장모듈에서 삭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저장모듈, 영상분할모듈, 파일크기 변환모듈, 및 제어모듈은 각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관제 서버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감시영상 중 부가적 영상만을 별로로 편집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피사체의 부가적 부분은 저화질로 편집함에 따라 피사체 주변 상황을 분석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7409호 '데이터 저장용량을 절약할 수 있도록 촬영 영역별 차별적 해상도를 적용한 CCTV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동영상에 대해서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정보값을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하여 저장 용량을 축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저장 시스템은 배경영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제 1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1 정보값과, 제 2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2 정보값과, 제 3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3 정보값과, 제 1, 2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1 프레임들이 제 1 기준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1 배경변화량값들, 및 제 2, 3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2 프레임들이 제 2 기준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2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는 카메라와; 상기 제 1 정보값, 제 2 정보값, 제 3 정보값, 제 1 배경변화량값들, 제 2 배경변화량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정보값을 상대적으로 제 2 정보값보다 용량이 적은 제 1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수신된 제 2 배경변화량값들 각각은 상기 제 1 배경변화량값과 각각 조합하여 제 3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저장 시스템은 배경영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제 4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4 정보값과, 제 5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5 정보값과, 제 6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6 정보값과, 제 4, 5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3 프레임들 각각은 앞선 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1-1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 5, 6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4 프레임들 각각은 바로 앞선 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2-1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는 카메라와; 상기 제 4 정보값, 제 5 정보값, 제 6 정보값, 제 1-1 배경변화량값들, 제 2-1 배경변화량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5 정보값을 상대적으로 제 5 정보값보다 용량이 적은 제 2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수신된 제 2-1 배경변화량값들 각각은 바로 앞선 프레임의 배경변화량값과 조합하여 제 3-1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용량을 크게 축소함에 따라 관제센터에서 저장용량과 관련된 하드웨어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저장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생성하는 기준프레임들의 정보값과 기준프레임과 기준프레임 사이의 배경변화량값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의 용량 축소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경영상에 대한 용량 축소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경영상에 객체가 있는 경우의 용량 축소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의 용량 축소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경영상에 대한 용량 축소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경영상에 객체가 있는 경우의 용량 축소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고 아울러, 제 1, 제 2, 제 3과 같이 표현된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동영상의 용량 축소를 위해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저장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동영상 저장 시스템은 카메라(100)와 단말기(20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카메라(100)는 배경영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제 1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1 정보값과, 제 2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2 정보값과, 제 3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3 정보값과, 제 1, 2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1 프레임들이 제 1 기준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1 배경변화량값들, 및 제 2, 3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2 프레임들이 제 2 기준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2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은 제 1 기준프레임, 프레임5는 제 2 기준프레임, 프레임9는 제 3 기준프레임인 경우에 제 1 기준프레임에 대한 제 1 정보값인 I01, 제 2 기준프레임에 대한 제 2 정보값인 I02, 제 3 기준프레임에 대한 제 3 정보값인 I03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1 프레임들 즉, 프레임2, 3, 4에 대해서 프레임2는 제 1 기준프레임인 제 1 프레임과 배경영상을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배경변화값인 P1, 프레임3은 제 1 기준프레임인 제 1 프레임과 배경영상을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배경변화값인 P2, 프레임4는 제 1 기준프레임인 제 1 프레임과 배경영상을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배경변화값인 P3을 생성하고 상기 P1, P2, P3은 제 1 배경변화량값들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3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2 프레임들 즉, 프레임6, 7, 8에 대해서 프레임6은 제 2 기준프레임인 제 5 프레임과 배경영상을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배경변화값인 P5, 프레임7은 제 2 기준프레임인 제 5 프레임과 배경영상을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배경변화값인 P6, 프레임8는 제 2 기준프레임인 제 5 프레임과 배경영상을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배경변화값인 P7을 생성하고 상기 P5, P6, P7은 제 2 배경변화량값들에 해당한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제 1 정보값, 제 2 정보값, 제 3 정보값, 제 1 배경변화량값들, 제 2 배경변화량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정보값을 상대적으로 제 2 정보값보다 용량이 적은 제 1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수신된 제 2 배경변화량값들 각각은 상기 제 1 배경변화량값과 각각 조합하여 제 3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는 에이전트(21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에이전트(210)는 제 1 정보값, 제 2 정보값, 제 3 정보값, 제 1 배경변화량값들, 제 2 배경변화량값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01(제 1 정보값), I02(제 2 정보값), I03(제 3 정보값), P1, P2, P3(제 1 배경변화량값들), P5, P6, P7(제 2 배경변화량값들)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에이전트(210)는 도 3에 도시된 제 1, 2, 3 기준프레임과 같이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정보값은 P1, P2, P3, P5, P6, P7와 같은 프레임들에 비해서 정보값이 매우 크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제 2 기준프레임인 프레임5의 정보값 I02를 제 1 배경변화량값인 P4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에이전트(210)는 도 3에 도시된 제 2 프레임들은 제 2 기준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한 배경변화량값에 해당 하지만 제 2 기준프레임이 제 1 배경변화량값인 P4로 변환됨에 따라 제 2 프레임들 P5, P6, P7은 제 5 프레임이 변화된 제 1 배경변화량값과 조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5-1, P6-1, P7-1(제 3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에이전트(210)는 제 1, 2 프레임들의 배경변화량값에 비하여 제 1, 2, 3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값이 크기 때문에 제 2 기준프레임을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하여 저장 용량을 대폭 축소한다.
한편, 상기 에이전트(210)는 상기 제 1 기준프레임과 제 3 기준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제 2 정보값을 갖는 다수개의 제 2 기준프레임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제 2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각각의 제 2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각각 제 1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상기 제 2 정보값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에이전트(210)는 동영상의 경우에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 1 기준프레임과 제 3 기준프레임 사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제 2 정보값을 갖는 제 2 기준프레임이 다수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 4에서 기준프레임에 해당하는 제 2 기준프레임 3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a, b, c(이때 제 2 기준프레임은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 2 기준프레임으로 한 것에 불과할 뿐 동영상에서 촬영되는 순차적인 기준프레임에 해당함)를 제작하기 위한 각각의 제 2 정보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 즉, 도 4를 참조하면 a, b, c 중 어느 하나 또는 a, b, c 중 어느 두개 또는 a, b, c 모두와 같이 제 2 정보값의 개수를 각각 제 1 배경변화량으로 변환되게 설정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프레임은 상기 제 1, 2 프레임들과 같이 기준프레임 사이의 프레임들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에이전트(210)는 다수의 제 2 기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서 각각 제 1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되면 기준프레임 이전까지의 프레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배경변화량값들과 같은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한다.
즉, 상기 에이전트(210)는 동영상의 특성상 기준프레임과 기준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기준프레임이 있는 경우에 상기 서로 다른 기준프레임의 정보값을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하는 개수를 설정하여 저장 용량을 대폭 축소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배경영상에 객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카메라(100)는 객체를 포함하는 배경영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제 1 기준프레임에서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1 객체정보값, 제 2 기준프레임에서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2 객체정보값, 제 3 기준프레임에서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3 객체정보값, 상기 제 1 프레임들에서 분리된 각 객체에 대하여 제 1 객체정보값과 비교하여 객체 변화에 대한 제 1 객체변화량값들, 및 상기 제 2 프레임들에서 분리된 각 객체에 대하여 제 2 객체정보값과 비교하여 객체 변화에 대한 제 2 객체변화량값들을 더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200)의 에이전트(210)는 제 1 객체정보값, 제 2 객체정보값, 제 3 객체정보값, 제 1 객체변화량값들, 제 2 객체변화량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객체정보값을 상대적으로 제 2 객체정보값보다 용량이 적은 제 1 객체변화량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수신된 제 2 객체변화량값들 각각은 제 1 객체변화량값과 조합하여 제 3 객체변화량값들을 더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100)는 도 5에 도시된 (a)와 같이 A객체가 제 1 기준프레임, 제 2 기준프레임, 제 3 기준프레임에 포함되고 도 5에 도시된 (b)와 같이 I01은 제 1 기준프레임, I02는 제 2 기준프레임, I03은 제 3 기준프레임이라 하고 P1, P2, P3은 제 1 프레임들, P5, P6, P7은 제 2 프레임들이라 할 때 도 5에 도시된 (c)와 같이 I01은 I배경1과 I객체1, P1은 P배경1과 P객체1, P2는 P배경2와 P객체2, P3는 배경3과 객체3, I02는 I배경2 I객체2, P5는 P배경5와 P객체5, P6은 P배경6과 P객체6, P7은 P배경7과 P객체7, I03은 I배경3과 I객체3에 해당되고 제 1 객체정보값(I객체1), 제 2 객체정보값(I객체2), 제 3 객체정보값(I객체3), 제 1 객체변화량값들(P객체1, P객체2, P객체3), 제 2 객체변화량값들(P객체5, P객체6, P객체7)을 더 생성한다.
이후, 상기 단말기(200)의 에이전트(210)는 도 5에 도시된 (c)의 배경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I02는 P배경4로 변환되고 P배경5는 P배경4와 조합되어 P배경5-1, P배경6은 P배경4와 조합되어 P배경6-1, P배경7은 P배경4와 조합되어 P배경7-1들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에이전트(210)는 객체들에 대해서 제 1 객체정보값(I객체1), 제 2 객체정보값(I객체2), 제 3 객체정보값(I객체3), 제 1 객체변화량값들(P객체1, P객체2, P객체3), 제 2 객체변화량값들(P객체5, P객체6, P객체7)를 수신하면 제 2 객체정보값에 해당하는 I객체2를 P객체4로 변환하고 P객체5는 P객체4와 조합되어 P객체5-1, P객체6은 P객체4와 조합되어 P객체6-1, P객체7은 P객체4와 조합되어 P객체7-1을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객체가 있는 동영상이더라도 I객체2를 P객체4로 변환함에 따라 전체 용량을 대폭 축소하게 된다.
상기 에이전트(210)는 상기 제 1 정보값, 제 1 배경변화량값들, 제 1 배경변화량값, 제 3 배경변화량값들, 제 3 정보값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배경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객체정보값, 제 1 객체변화량값들, 제 1 객체변화량값, 제 3 객체변화량값들, 제 3 객체정보값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객체동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배경동영상과 객체동영상을 조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에이전트(210)는 정보값은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값이고 배경변화량값은 기준프레임과 비교시 위치, 색상, 밝기 등 정보의 집합에 대한 변화량값인 바, 제 1 정보값을 기준프레임으로 하여 그 배경변화량값들 모두을 통해서 배경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배경영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사상으로 객체동영상을 생성하여 조합하면 저장 용량은 대폭 축소되면서 사용자가 충분히 인지할 정도의 동영상을 생성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 동영상 저장 시스템의 다른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100)는 배경영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제 4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4 정보값과, 제 5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5 정보값과, 제 6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6 정보값과, 제 4, 5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3 프레임들 각각은 앞선 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1-1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 5, 6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4 프레임들 각각은 바로 앞선 각 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2-1 배경변화량값들을 더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은 제 4 기준프레임, 프레임5는 제 5 기준프레임, 프레임9는 제 6 기준프레임인 경우에 제 4 기준프레임에 대한 제 4 정보값이 I04, 제 5 기준프레임에 대한 제 5 정보값인 I05, 제 6 기준프레임에 대한 제 6 정보값인 I06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5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3 프레임들 즉, 프레임2, 3, 4에 대해서 프레임2는 바로 앞선 제 4 기준프레임인 제 1 프레임과 배경영상을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배경변화량값인 P8, 프레임3은 바로 앞선 프레임2에서 변화된 배경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배경변화량값인 P9, 프레임4는 바로 앞선 프레임3에서 변화된 배경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배경변화량값인 P10을 생성 즉, 제 1-1 배경변화량값들(P8, P9, P10)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6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4 프레임들 즉, 제 2-1 배경변화량값들(P6, P7, P8)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 또는 동일한 형태로 생성되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국, 상기 카메라(100)는 기준프레임 사이의 프레임들에 대해서 바로 앞선 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한 배경변화량값을 생성한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제 4 정보값, 제 5 정보값, 제 6 정보값, 제 1-1 배경변화량값들, 제 2-1 배경변화량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5 정보값을 상대적으로 제 5 정보값보다 용량이 적은 제 2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수신된 제 2-1 배경변화량값들 각각은 바로 앞선 프레임의 배경변화량값과 조합하여 제 3-1 배경변화량값들을 더 생성하는 에이전트(21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에이전트(210)는 제 4 정보값, 제 5 정보값, 제 6 정보값, 제 1-1 배경변화량값들, 제 2-1 배경변화량값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04(제 4 정보값), I05(제 5 정보값), I06(제 3 정보값), P8, P9, P10(제 1-1 배경변화량값들), P12, P13, P14(제 2-1 배경변화량값들)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에이전트(210)는 도 7에 도시된 제 4, 5, 6 기준프레임과 같이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정보값은 P8, P9, P10, P12, P13, P14과 같은 프레임들에 비해서 정보값이 매우 크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제 5 기준프레임인 프레임5의 정보값 I05를 제 2 배경변화량값인 P11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에이전트(210)는 도 7에 도시된 제 4 프레임들 각각이 바로 앞선 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한 배경변화량값 즉, 제 5 기준프레임이 배경변화량값인 P11로 변환됨에 따라 제 4 프레임들 P12, P13, P14에 대해서 살펴보면 P12의 경우 제 5 프레임이 변환된 P11 배경변화량값과 조합하여 P12-1을 생성하고 P13의 경우 P12-1 배경변화량값과 조합하여 P13-1을 생성하며 P14의 경우 P13-1 배경변화량값과 조합하여 P14-1을 생성한다.
결국, 상기 에이전트(210)는 제 3, 4 프레임들의 배경변화량값에 비하여 제 4, 5, 6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값이 크기 때문에 제 5 기준프레임을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하여 저장 용량을 대폭 축소하고 또한 기준프레임과 기준프레임 사이의 프레임들 예를 들어서 도 7에 도시된 프레임2, 3, 4는 프레임3이 프레임2로부터 변화된 배경변화량값을 갖기 때문에 P9 배경변화량값이 축소되고 프레임4 역시 프레임3으로부터 변환된 배경변화량값을 갖기 때문에 P10 배경변화량값이 P9에 비해 더 축소됨에 따라 저장 용량을 더욱 축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이전트(210)는 상기 제 4 기준프레임과 제 6 기준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제 5 정보값을 갖는 다수개의 제 5 기준프레임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제 5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각각의 제 5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각각 제 2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상기 제 5 정보값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에이전트(210)는 동영상의 경우에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 4 기준프레임과 제 6 기준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제 5 정보값을 갖는 제 5 기준프레임이 다수개 구성될 수 있고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 5 정보값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에이전트(210)는 다수의 제 5 기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서 각각 제 2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1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한다.
즉, 상기 에이전트(210)는 동영상의 특성상 기준프레임과 기준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기준프레임이 있는 경우에 상기 서로 다른 기준프레임의 정보값을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하는 개수를 설정하여 저장 용량을 대폭 축소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배경영상에 객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카메라(100)는 객체를 포함하는 배경영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제 4 기준프레임에서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4 객체정보값, 제 5 기준프레임에서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5 객체정보값, 제 6 기준프레임에서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6 객체정보값, 상기 제 4, 5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3 프레임들 각각은 바로 앞선 프레임의 객체와 비교하여 객체 변화에 대한 제 1-1 객체변화량값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 5, 6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4 프레임들 각각은 바로 앞선 프레임의 객체와 비교하여 객체 변화에 대한 제 2-1 객체변화량값들을 더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200)의 에이전트(210)는 제 4 객체정보값, 제 5 객체정보값, 제 6 객체정보값, 제 1-1 객체변화량값들, 제 2-1 객체변화량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5 객체정보값을 상대적으로 제 5 객체정보값보다 용량이 적은 제 2 객체변화량값으로 변환하며 상기 수신된 제 2-1 객체변화량값들 각각은 바로 앞선 프레임의 객체와 비교하여 객체 변화에 대한 제 3-1 객체변화량값들을 더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는 도 8에 도시된 (a)와 같이 A객체가 제 4 기준프레임, 제 5 기준프레임, 제 6 기준프레임에 포함되고 도 8에 도시된 (b)와 같이 I04는 제 4 기준프레임, I05는 제 5 기준프레임, I06은 제 6 기준프레임이라 하고 P8, P9, P10은 제 3 프레임들, P12, P13, P14는 제 4 프레임들이라 할 때, 도 8에 도시된 (c)와 같이 I04는 I배경1과 I객체1, P8은 P배경1과 P객체1, P9는 P배경2와 P객체2, P10은 배경3과 객체3, I05는 I배경2 I객체2, P12는 P배경5와 P객체5, P13은 P배경6과 P객체6, P14은 P배경7과 P객체7, I06은 I배경3과 I객체3에 해당되고 이때, I객체1을 생성하면 객체의 변화를 비교하여 P객체1을 생성하고 다시 P객체1을 기준으로 객체의 변화를 비교하여 P객체2를 생성하며 또 다시 P객체2를 기준으로 객체의 변화를 비교하여 P객체3을 더 생성한다.
상기 I객체2, P객체5, P객체6, P객체7 역시 I객체1, P객체1, P객체2, P객체3과 같은 방법으로 더 생성한다.
결국, 객체 역시 바로 앞선 프레임의 객체 비교를 통해서 변화된 객체값만을 갖게 됨으로 저장 용량은 축소된다.
이후, 상기 단말기(200)의 에이전트(210)는 도 8에 도시된 (c)의 배경은 앞서 설명한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객체들에 대해서 제 4 객체정보값(I객체1), 제 5 객체정보값(I객체2), 제 6 객체정보값(I객체3), 제 1-1 객체변화량값들(P객체1, P객체2, P객체3), 제 2-1 객체변화량값들(P객체5, P객체6, P객체7)를 수신하면 제 5 객체정보값에 해당하는 I객체2를 P객체4로 변환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1 객체변화량값들을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객체가 있는 동영상이더라도 전체 용량을 대폭 축소하게 된다.
상기 에이전트(210)는 상기 제 4 정보값, 제 1-1 배경변화량값들, 제 2 배경변화량값, 제 3-1 배경변화량값들, 제 6 정보값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배경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4 객체정보값, 제 1-1 객체변화량값들, 제 2 객체변화량값, 제 3-1 객체변화량값들, 제 6 객체정보값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객체동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배경동영상과 객체동영상을 조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에이전트(210)는 앞서 실시예에서 배경동영상 생성과 객체동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적 사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서 기준프레임 몇 개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일 뿐이고 동영상 전체에 대해서 이상 설명한 기술적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너무나 자명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상기 단말기(200)는 서버, 클라이언트,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시스템 등 다양한 하드웨어 장비로 구현 가능하고 또한, 몇 개의 기준프레임으로 설명하였지만 동영상 전체에 적용되는 것은 당업자라면 자명한 것이며 본 발명은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카메라 200 : 단말기
210 : 에이전트

Claims (8)

  1. 배경영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제 1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1 정보값과, 제 2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2 정보값과, 제 3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3 정보값과, 제 1, 2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1 프레임들이 제 1 기준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1 배경변화량값들, 및 제 2, 3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2 프레임들이 제 2 기준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2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는 카메라와;
    상기 제 1 정보값, 제 2 정보값, 제 3 정보값, 제 1 배경변화량값들, 제 2 배경변화량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정보값을 상대적으로 제 2 정보값보다 용량이 적은 제 1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수신된 제 2 배경변화량값들 각각은 상기 제 1 배경변화량값과 각각 조합하여 제 3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제 1 기준프레임과 제 3 기준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제 2 정보값을 갖는 다수개의 제 2 기준프레임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제 2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각각의 제 2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각각 제 1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상기 제 2 정보값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배경영상에 객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카메라는 객체를 포함하는 배경영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제 1 기준프레임에서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1 객체정보값, 제 2 기준프레임에서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2 객체정보값, 제 3 기준프레임에서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3 객체정보값, 상기 제 1 프레임들에서 분리된 각 객체에 대하여 제 1 객체정보값과 비교하여 객체 변화에 대한 제 1 객체변화량값들, 및 상기 제 2 프레임들에서 분리된 각 객체에 대하여 제 2 객체정보값과 비교하여 객체 변화에 대한 제 2 객체변화량값들을 더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의 에이전트는 제 1 객체정보값, 제 2 객체정보값, 제 3 객체정보값, 제 1 객체변화량값들, 제 2 객체변화량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객체정보값을 상대적으로 제 2 객체정보값보다 용량이 적은 제 1 객체변화량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수신된 제 2 객체변화량값들 각각은 제 1 객체변화량값과 조합하여 제 3 객체변화량값들을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제 1 정보값, 제 1 배경변화량값들, 제 1 배경변화량값, 제 3 배경변화량값들, 제 3 정보값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배경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객체정보값, 제 1 객체변화량값들, 제 1 객체변화량값, 제 3 객체변화량값들, 제 3 객체정보값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객체동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배경동영상과 객체동영상을 조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
  5. 배경영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제 4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4 정보값과, 제 5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5 정보값과, 제 6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제 6 정보값과, 제 4, 5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3 프레임들 각각은 앞선 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1-1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 5, 6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4 프레임들 각각은 바로 앞선 프레임의 배경영상과 비교하여 배경 변화에 대한 제 2-1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는 카메라와;
    상기 제 4 정보값, 제 5 정보값, 제 6 정보값, 제 1-1 배경변화량값들, 제 2-1 배경변화량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5 정보값을 상대적으로 제 5 정보값보다 용량이 적은 제 2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수신된 제 2-1 배경변화량값들 각각은 바로 앞선 프레임의 배경변화량값과 조합하여 제 3-1 배경변화량값들을 생성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제 4 기준프레임과 제 6 기준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제 5 정보값을 갖는 다수개의 제 5 기준프레임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제 5 기준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각각의 제 5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각각 제 2 배경변화량값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상기 제 5 정보값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배경영상에 객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카메라는 객체를 포함하는 배경영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제 4 기준프레임에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4 객체정보값, 제 5 기준프레임에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5 객체정보값, 제 6 기준프레임에 객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 6 객체정보값, 상기 제 4, 5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3 프레임들 각각은 바로 앞선 프레임의 객체와 비교하여 객체 변화에 대한 제 1-1 객체변화량값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 5, 6 기준프레임 사이의 제 4 프레임들 각각은 바로 앞선 프레임의 객체와 비교하여 객체 변화에 대한 제 2-1 객체변화량값들을 더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의 에이전트는 제 4 객체정보값, 제 5 객체정보값, 제 6 객체정보값, 제 1-1 객체변화량값들, 제 2-1 객체변화량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5 객체정보값을 상대적으로 제 5 객체정보값보다 용량이 적은 제 2 객체변화량값으로 변환하며 상기 수신된 제 2-1 객체변화량값들 각각은 바로 앞선 프레임의 객체와 비교하여 객체 변화에 대한 제 3-1 객체변화량값들을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제 4 정보값, 제 1-1 배경변화량값들, 제 2 배경변화량값, 제 3-1 배경변화량값들, 제 6 정보값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배경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4 객체정보값, 제 1-1 객체변화량값들, 제 2 객체변화량값, 제 3-1 객체변화량값들, 제 6 객체정보값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객체동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배경동영상과 객체동영상을 조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
KR1020190125875A 2019-10-11 2019-10-11 동영상 저장 시스템 KR102131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875A KR102131122B1 (ko) 2019-10-11 2019-10-11 동영상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875A KR102131122B1 (ko) 2019-10-11 2019-10-11 동영상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122B1 true KR102131122B1 (ko) 2020-07-07

Family

ID=7160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875A KR102131122B1 (ko) 2019-10-11 2019-10-11 동영상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454B1 (ko) 2022-09-02 2023-03-16 주식회사 솔디아 전송량을 저감시킨 동영상 전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810A (ko) * 2002-05-02 2003-11-07 주식회사 윈포넷 영상데이터의 변화값 추출을 이용한 영상데이터 저장방법
KR20040106783A (ko) * 2003-06-11 2004-12-18 (주)애니뷰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080034752A (ko) * 2006-10-17 2008-04-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시점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KR101577409B1 (ko) 2014-08-05 2015-12-17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데이터 저장용량을 절약할 수 있도록 촬영 영역별 차별적 해상도를 적용한 cctv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810A (ko) * 2002-05-02 2003-11-07 주식회사 윈포넷 영상데이터의 변화값 추출을 이용한 영상데이터 저장방법
KR20040106783A (ko) * 2003-06-11 2004-12-18 (주)애니뷰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080034752A (ko) * 2006-10-17 2008-04-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시점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KR101577409B1 (ko) 2014-08-05 2015-12-17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데이터 저장용량을 절약할 수 있도록 촬영 영역별 차별적 해상도를 적용한 cctv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454B1 (ko) 2022-09-02 2023-03-16 주식회사 솔디아 전송량을 저감시킨 동영상 전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5448B2 (en) Selective privacy protection for imaged matter
US10728510B2 (en) Dynamic chroma key for video background replacement
Song et al. The SJTU 4K video sequence dataset
US6563513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low resolution, low bit depth images
JP5731672B2 (ja) 暗黙基準フレームを用いる動画像符号化システム
JP2006254486A (ja) 場面転換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CN1251235A (zh) 实时数字修改代表原始图象的视频数据流的方法
TWI620149B (zh) 預處理視訊串流以用於後續移動偵測處理之方法、裝置與系統
EP3959646B1 (en) Content-aware pq range analyzer and tone mapping in live feeds
US200700642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images
KR102131122B1 (ko) 동영상 저장 시스템
EP3371966A1 (en) Depth camera based image stabilization
KR101577409B1 (ko) 데이터 저장용량을 절약할 수 있도록 촬영 영역별 차별적 해상도를 적용한 cctv 시스템
JP2003061038A (ja) 映像コンテンツ編集支援装置および映像コンテンツ編集支援方法
US20100007753A1 (en) Image compression method, device, electronic camera, and program
US64697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transmission in video conferencing system
US202202249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walling images at a network endpoint
CN111932459A (zh) 视频图像的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2002112080A (ja) 差分検出カメラ
JP4013024B2 (ja) 動画処理装置、動画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201800918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processing
JPH06149990A (ja) 画像圧縮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KR20190051924A (ko) 관심객체의 선택에 의한 영상 탐색장치 및 방법
Lee et al. A novel high dynamic range image compression scheme of color filter array data for the digital camera pipeline
JP4110731B2 (ja) 動画処理装置、動画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