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308B1 -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308B1
KR102130308B1 KR1020140139347A KR20140139347A KR102130308B1 KR 102130308 B1 KR102130308 B1 KR 102130308B1 KR 1020140139347 A KR1020140139347 A KR 1020140139347A KR 20140139347 A KR20140139347 A KR 20140139347A KR 102130308 B1 KR102130308 B1 KR 10213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peed
speed command
motor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706A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3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6Self-contained devices, i.e. including own driv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9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over-voltage; against reduction of voltage; against phase interrup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6Arrangements for speed regulation of a single motor wherein the motor speed is measured and compared with a given physical value so as to adjust the motor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버스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용 비엘디씨(BLDC) 모터의 구동을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인버터부에 공급되는 디씨링크(DC-link)전압을 디씨링크전압검출부에 의해서 측정하는 단계, 상기 디씨링크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디씨링크전압검출부에 의해서 측정된 디씨링크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전압보상부에 의해 전압을 보상하는 전압보상단계, 상기 전압보상단계 후, 피더블유엠(PWM)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피더블유엠 듀티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상기 구간별로 피더블유엠 듀티비에 따른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속도지령에 따른 지령속도와 상기 모터의 실제 속도를 측정한 센싱속도를 비교하여 양자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더블유엠(PWM)제어부의 속도지령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CONDENSER MOTOR INSTALLED IN A BUS CONDITIONER}
본 발명은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가 버스 배터리의 전압변동에 의해서도 콘덴서 모터의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동시키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에게 쾌적한 운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대부분의 버스에는 공조기가 설치되며, 공조기의 블로워를 가동시키기 위해 콘덴서 모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공조기가 에어컨인 경우, 모터의 작동으로 블로워가 공기를 흡입하여 압송하면 압송된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설정된 송풍량으로 조절된 온도의 공기가 버스의 실내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콘덴서 모터는 비엘디씨(BLDC) 모터로서 브러쉬와 정류자 대신 트랜지스터나 MOSET을 이용한 전자회로에 의해 스위칭하여 구동되고 있다.
상기 외부의 공기를 버스 내부로 압송하도록 상기와 같은 비엘디씨 모터의 사용 시 버스의 배터리 전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 모터에 입력되는 전압의 변동이 발생하고, 입력전압의 변동은 회전속도(rpm)의 변동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버스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콘덴서 모터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1은 그와 같은 콘덴서 모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피더블유엠 듀티비(PWM duty ratio)에 따른 회전수(rpm)의 측정결과를 콘덴서 모터에 입력되는 각 전압크기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그래프를 살펴보면 입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을 경우에는 모터출력(RPM)이 높고, 반대로 입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을 경우에는 출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한 결과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듀티비에 대하여 입력전압의 크기가 달라지면 회전수(rpm)에도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버스의 콘덴서 모터에 입력되는 전압의 변동이 공조기의 성능변화를 초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08215호(2006.07.26.등록,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 블로워모터 구동 제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전압의 변동이 있더라도 버스 공조기의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 공조기의 성능 변화의 폭을 줄임과 아울러 모터 제어 시 속도 제어 입력에 따라 전류의 제한 범위를 차동으로 제어함으로써 과전압 및 과전류에 의한 모터 제어기와 모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은, 버스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용 비엘디씨(BLDC) 모터의 구동을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인버터부에 공급되는 디씨링크(DC-link)전압을 디씨링크전압검출부에 의해서 측정하는 단계; 상기 디씨링크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디씨링크전압검출부에 의해서 측정된 디씨링크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전압보상부에 의해 전압을 보상하는 전압보상단계; 상기 전압보상단계 후, 피더블유엠(PWM)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피더블유엠 듀티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상기 구간별로 피더블유엠 듀티비에 따른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속도지령에 따른 지령속도와 상기 모터의 실제 속도를 측정한 센싱속도를 비교하여 양자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더블유엠(PWM)제어부의 속도지령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더블유엠 듀티비가 15% 이상의 구간인 경우에 상기 공조기에 설정된 최대속도의 속도값을 갖도록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더블유엠 듀티비가 0에서 5% 미만의 구간인 경우에 속도지령은 영(0)이고, 상기 피더블유엠 듀티비가 5% 이상에서 10% 미만의 구간인 경우에 속도지령은 상기 공조기의 설정된 최소속도의 속도값을 갖도록 하는 속도지령이며, 상기 피더블유엠 듀티비가 10% 이상에서 95% 이하의 구간인 경우에는 직선보간법을 이용하여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은 버스 배터리의 출력전압에 변동이 있더라도 블로워용 모터의 회전수에는 큰 차이가 없도록 제어함으로써, 버스 공조기의 출력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덴서 모터에 입력되는 전압의 변동에 따른 출력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용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용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용 모터의 제어방법에서 피더블유엠(PWM) 듀티의 각 구간별로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에 의해 콘덴서 모터에 전압의 크기별로 입력되는 전압을 달리하여 측정한 결과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은 배터리가 장착된 버스의 공조기에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콘덴서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성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입력전압의 변동이 발생하는 버스 공조기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용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용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버스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용 비엘디씨(BLDC)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즉, 구동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모터(140)의 인버터부(130)에 공급되는 디씨링크(DC-link)전압을 디씨링크전압검출부(150)에 의해서 측정하는 디씨링크전압측정단계(S101), 측정된 상기 디씨링크전압을 제어부(170)에 의해서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전압비교단계(S102), 상기 전압비교단계에서 상기 디씨링크전압검출부(150)에 의해서 측정된 디씨링크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전압보상부(120)에 의해서 전압을 보상하는 전압보상단계(S103, S104), 상기 전압보상단계 후, 피더블유엠(PWM)제어부(160)에 의해서 상기 피더블유엠 듀티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상기 구간별로 피더블유엠 듀티비에 따른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속도지령생성단계(S107), 및, 생성된 속도지령에 따른 지령속도와 상기 모터(140)의 실제 속도를 측정한 센싱속도를 비교하여 양자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70)가 PWM제어부(160)의 속도지령을 보상하도록 하는 속도지령보상단계(S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씨링크전압측정단계(S101)에서 측정되는 디씨링크(DC-link)전압은 버스 배터리의 출력전압에 따라 변동된다.
상기 측정된 디씨링크전압은 기준전압과 비교함으로써 기준전압과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압의 보상이 이루어진다(S101).
상기 기준전압은 미리 설정된 범위의 전압으로서, 설계사양에 따라 설치되는 배터리의 기준전압으로 설정되며, 제어부(17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기준전압과 디씨링크전압이 일치하는 경우(전압차가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별도의 보상없이 다음 단계로 진행이 이루어지나(S107),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양자의 차가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전압보상부(120)에서 디씨링크전압과 기준전압을 일치시키도록 (+) 또는 (-)보상값에 의한 보상이 이루어진다(S103,S104).
상기 보상값은 디씨링크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음(-)의 보상이 이루어지고, 디씨링크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양(+)의 보상이 이루어지되 보상단위값을 예컨대 0.2V로 하여 디씨링크전압이 기준전압의 범위에 진입하도록 한다(S105).
상기와 같이 보상을 통해 기준치(기준전압)가 생성되면, 즉 기준전압의 범위에 진입하면 그 보상된 기준치를 속도제어루프에 전달한다(S106).
이에 따라 상기 디씨링크전압이 보상되어 상기 인버터부(130)로 입력됨으로써 보상된 전압에 따라 콘덴서 모터(140)의 속도지령이 생성된다(S107).
상기 보상된 전압에 따라 콘덴서 모터(140)가 구동을 시작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피더블유엠(PWM)제어부(160)에 피더블유엠 듀티비(PWM duty ratio)를 확인하여 속도지령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피더블유엠제어부(160)는 피더블유엠 듀티비를 각 구간별로 구별하여 각 구간에 따른 속도지령을 생성한다(S107).
이후 상기 제어부(170)는 센서값을 확인하여(S108) 상기 속도지령 값과 상시 센서값을 비교한다(S109). 즉, 상기 속도 지령값에 대응하는 속도로 모터가 회전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비교결과, 속도지령 값(즉, 원하는 목표값)과 실제 모터의 회전속도(즉, 센서값)가 다른 경우에는 속도지령을 보상한다(S110).
그러나 상기 비교결과, 속도지령 값(즉, 원하는 목표값)과 실제 모터의 회전속도(즉, 센서값)가 같은 경우에는 현재의 속도지령을 유지한다(S111).
도 4를 참조하면, 피더블유엠제어부(160)는 피더블유엠 듀티비를 확인하여 0에서 5%미만인 구간, 5이상에서 10% 미만인 구간, 15%이상인 구간, 10이상에서 95% 미만인 구간으로 구간을 나누고, 각 구간별로 별도의 속도지령을 생성한다.
즉, 0에서 5%미만인 구간에서는 속도가 영(0)이 되도록 속도지령을 생성하고, 5이상에서 10%미만인 구간에서는 공조기의 설계사양 중 최소속도가 되도록 속도지령을 생성한다. 또한, 15% 이상구간에서는 공조기의 설계사양 중 최대속도가 되도록 속도지령을 생성하고, 10이상에서 95%이하인 구간에서는 최저-최대속도간을 직선보간하여 속도지령을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간별로 구분된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이유는, 모터 및 내부회로의 보호를 위한 것으로서, 콘덴서 모터(140)가 저단에서부터 이상작동으로 전류가 상승할 때 드라이브 내부 부품 파손을 일으키게 되므로 모터의 속도지령인 전류제한 범위를 차등하게 둔 것이다.
이후, 생성된 속도지령에 따라 콘덴서 모터(140)를 구동시키고 속도지령에 따른 지령속도와 상기 모터의 실제 속도를 측정한 센싱속도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한다(S109).
일치하는 경우에는 속도지령을 계속 유지하고(S111),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속도지령을 보상하는 속도지령보상단계를 실시한다(S110).
상기 속도지령보상단계(S110)에서는 콘덴서 모터(140)의 회전속도를 측정한 후(S108), 속도지령에 따른 속도가 센싱속도에 비해 큰 경우에는 설정단위의 (-)보상값을 주어 센싱속도와 계속 비교(S109)하고, 속도지령에 따른 속도가 센싱속도에 비해 작은 경우에는 설정단위의 (+)보상값을 주어 센싱속도와 계속 비교하여 속도지령과 센싱속도의 차가 허용범위 내가 되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될 때까지 속도지령의 보상이 이루어진다(S110).
위와 같이 추가적으로 속도지령보상단계(S110)를 두고 있는 것은, 1차적으로 인버터(130)의 입력전압을 보상하고, 종국적으로 블로워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모터 속도 제어의 정밀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상술한 제어방법에 의해 콘덴서 모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별로 입력되는 전압을 달리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무부하인 경우와, 팬부하가 작용하는 경우를 나누어서 실시한 것으로서, 시험은 콘덴서 모터의 단품상태인 무부하 즉 팬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DC 정류기로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버스의 배터리 전압과 유사하게 10~14V로 가변하고, 모터 속도제어용 PWM DUTY비를 주파수 발생기인 펑션제너레이터를 사용하여 입력 조건을 10%부터 시작 5% 단위로 시험을 진행하여 모터의 회전수(RPM)를 측정하였다. 또한 팬부하는 실 부하조건인 모듈 상태에서 무부하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에서는 무부하상태나 팬부하상태의 어느 경우라도 전압의 크기차가 회전속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동일한 듀티비에 대하여는 회전속도가 전압을 달리하여 측정되더라도 차이가 거의 없는 회전속도(rpm)를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전원공급부 120; 전압보상부
130; 인버터부 140; 콘덴서 모터
150; 디씨링크전압검출부 160; PWM제어부
170; 제어부 180; 전류검출부

Claims (3)

  1. 버스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용 비엘디씨(BLDC) 모터의 구동을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인버터부에 공급되는 디씨링크(DC-link)전압을 디씨링크전압검출부에 의해서 측정하는 단계;
    상기 디씨링크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디씨링크전압검출부에 의해서 측정된 디씨링크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전압보상부에 의해 전압을 보상하는 전압보상단계;
    상기 전압보상단계 후, 피더블유엠(PWM)제어부에 의해서 피더블유엠 듀티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상기 구간별로 피더블유엠 듀티비에 따른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속도지령에 따른 지령속도와 상기 모터의 실제 속도를 측정한 센싱속도를 비교하여 양자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더블유엠(PWM)제어부의 속도지령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더블유엠 듀티비가 15% 이상의 구간인 경우에 상기 공조기에 설정된 최대속도의 속도값을 갖도록 속도지령을 생성하고,
    상기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더블유엠 듀티비가 0에서 5% 미만의 구간인 경우에 속도지령은 영(0)이고, 상기 피더블유엠 듀티비가 5% 이상에서 10% 미만의 구간인 경우에 속도지령은 상기 공조기의 설정된 최소속도의 속도값을 갖도록 하는 속도지령이며,
    상기 피더블유엠 듀티비가 10% 이상에서 95% 이하의 구간인 경우에는 직선보간법을 이용하여 속도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40139347A 2014-10-15 2014-10-15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 KR102130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347A KR102130308B1 (ko) 2014-10-15 2014-10-15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347A KR102130308B1 (ko) 2014-10-15 2014-10-15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706A KR20160044706A (ko) 2016-04-26
KR102130308B1 true KR102130308B1 (ko) 2020-07-09

Family

ID=5591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347A KR102130308B1 (ko) 2014-10-15 2014-10-15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3654B (zh) * 2021-11-11 2022-10-2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控制方法、空调、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686B1 (ko) * 2012-06-29 2013-10-16 동아전장주식회사 차량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 모터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318B1 (ko) * 2005-04-26 200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압 제한치 변경기능을 구비한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70073684A (ko) * 2007-06-12 2007-07-1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Ipmsm 최대토크 제어시스템
KR101176010B1 (ko) * 2010-10-06 2012-08-21 동아전장주식회사 냉각팬 모터의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686B1 (ko) * 2012-06-29 2013-10-16 동아전장주식회사 차량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 모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706A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5118867B4 (de) 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eigenen elektrischen Verdichter
US78592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motor
US9553529B2 (en) Motor controller
US9729094B2 (en) Automatic suppression device for cyclic disturbance
US201501804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velope and efficiency control in an electric motor
JP2009060776A (ja) 電動機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6757138B2 (ja) 冷却ファンモジュール
KR101318686B1 (ko) 차량 공조기에 설치되는 블로워 모터의 제어방법
US7091685B2 (en) Overload protection for DC motors
US10574169B2 (en) Motor driving device
CN111532097B (zh) 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和存储介质
KR102130308B1 (ko) 버스 공조기용 콘덴서 모터의 제어방법
US9484848B2 (en) Motor controller
CN108377665B (zh) 逆变器一体式电动压缩机、电路基板以及电路基板的制造方法
JP2008136327A (ja) 電動機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2531230B1 (ko) 모터의 회전 속도 또는 토크를 제어하는 방법, 회전 속도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디바이스
US10868487B2 (en) Motor drive device configured to detect capacitor deterioration and to restrict a motor based upon the detected deterioration
US20230251142A1 (en)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WO2019098004A1 (ja) 電力変換装置
KR20120035780A (ko) 냉각팬 모터의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1053981A (ja) 電源装置および車載用電子機器
KR102056740B1 (ko) 기어 액추에이터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111509961B (zh) 过温保护装置、变频驱动器、电器、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877970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polyphase machine having a pulse-width-modulated inverter
KR101760256B1 (ko) 이중전력 리니어 파워 모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