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204B1 - 관절 보호대 - Google Patents

관절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204B1
KR102130204B1 KR1020180044436A KR20180044436A KR102130204B1 KR 102130204 B1 KR102130204 B1 KR 102130204B1 KR 1020180044436 A KR1020180044436 A KR 1020180044436A KR 20180044436 A KR20180044436 A KR 20180044436A KR 102130204 B1 KR102130204 B1 KR 102130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knee
joint protector
protruding
reinforc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999A (ko
Inventor
박영규
임석형
김문호
Original Assignee
박영규
임석형
김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규, 임석형, 김문호 filed Critical 박영규
Priority to KR102018004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20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61F5/0109Sleeve-lik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무릎 또는 팔꿈치 관절부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신축성이 좋은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성형되고, 내측면 좌,우측에는 종방향으로 두 줄 이상의 돌출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무릎 또는 팔꿈치 관절부에 착용시 다수의 돌출부로 인해 미세하고 효과적인 피하 근육의 자극을 통해 근력 저하 및 근육의 경련, 긴장을 정상화하고 혈액, 조직액, 림프액의 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리브로 인해 무릎뼈(슬개골)이 비틀리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보정해 줄 수 있어서 관절부위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관절 보호대{Joint protector}
본 발명은 관절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이 좋은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성형되되, 내측면 좌,우측에는 종방향으로 두 줄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무릎 또는 팔꿈치 관절부에 착용시 다수의 돌출부로 인해 미세하고 효과적인 피하 근육의 자극을 통해 근력 저하 및 근육의 경련, 긴장을 정상화하고 혈액, 조직액, 림프액의 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관절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관절 보호대는 신체의 각종 관절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관절을 보호하거나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관절 보호대는, 관절 운동을 많이 하는 운동선수들이나 육체 노동자들이 주로 사용하였으나, 근래 들어 각종 운동이나 등산 등 레저활동 인구가 증가하면서 일반인들에게도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신체의 각종 관절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관절 보호대 중에서, 특히 굽힘량이 많아 충격을 많이 받고 부상의 위험이 높은 무릎이나 팔꿈치를 위한 관절 보호대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관절 보호대는, 무릎 관절의 안쪽을 감싸는 보호대 몸체와 보호대 몸체에서 상하좌우로 연장된 네 개의 밴드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보호대 몸체의 좌측 상하로 구비되는 두 개의 벨크로 밴드부 각각의 일측면에는 벨크로가 구비되고, 보호대 몸체의 우측 상하로 구비되는 두 개의 부직포 밴드부 각각의 타측면에는 벨크로의 부착을 위한 부직포층이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각 부직포 밴드부 내부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무릎 관절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삽입된다.
상기한 완충부재는 탄력성이 있는 연질의 중공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보호대 몸체 및 이에 연장된 밴드부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관절 보호대는 보호대 몸체가 무릎 관절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감싸고 네 개의 밴드부가 무릎 관절의 바깥쪽을 슬개골 상하부분에서 감싸게 된다.
여기에서, 각 부직포 밴드부는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고, 각 벨크로 밴드부는 이에 구비된 벨크로가 각 부직포 밴드부의 부직포층에 부착됨으로써 각 부직포 밴드부를 감싼다. 이때, 각 부직포 밴드부의 완충부재는 무릎 관절의 전방을 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관절 보호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부직포 밴드부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고, 관절 보호대의 압박이 폭이 좁은 완충부재에 집중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전달된다.
따라서, 착용감이 떨어지고 착용자의 피부가 상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05-0112315호에 관절 보호대가 게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관절 보호대는, 착용자의 관절 일부를 감싸는 보호대 몸체와, 상기 관절의 다른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보호대 몸체에서 연장되며 일측면에 메인 벨크로가 부착된 한 쌍의 벨크로 밴드부와, 상기 각 벨크로 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관절 다른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보호대 몸체에서 연장되며 일측면에 상기 메인 벨크로가 부착될 수 있는 부직포층이 구비된 한 쌍의 부직포 밴드부와, 상기 각 부직포 밴드부에 삽입 설치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복수의 통공을 갖고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는 연질의 완충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몸체에는 상기 완충 몸체를 상기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접촉돌기가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관절 보호대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부직포 밴드부에 완충부재가 삽입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피하 근육을 자극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관절 보호대 전체적으로 별도의 보강부분이 없어 무릎뼈(슬개골)이 비틀리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보정해 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관절 보호대는 무릎에 착용하여 이동하거나 움직일 경우, 흘러내릴 수 있어 착용 후 이동하거나 움직이는 것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05-0112315호, 출원일자 2005년11월23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릎 또는 팔꿈치 관절부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신축성이 좋은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성형되고, 내측면 좌,우측에는 종방향으로 두 줄 이상의 돌출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무릎 또는 팔꿈치 관절부에 착용시 다수의 돌출부로 인해 미세하고 효과적인 피하 근육의 자극을 통해 근력 저하 및 근육의 경련, 긴장을 정상화하고 혈액, 조직액, 림프액의 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리브로 인해 무릎뼈(슬개골)이 비틀리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보정해 줄 수 있어서 관절부위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절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관절 보호대는, 무릎 또는 팔꿈치 관절부에 착용가능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성형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 좌,우측에 돌출 형성되어 근육이 움직일 때 함께 움직이므로 인해 혈액, 조직액, 림프액의 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예각과 둔각이 교차로 연속된 돌출부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또한, 상기한 본체의 노출용 홀 주변으로는 관절 보호대 착용시 무릎뼈 또는 팔꿈치 주위를 잡아줌으로 인해 비틀리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보정해줄 수 있도록 보강리브가 더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따르면, 무릎 또는 팔꿈치 관절부에 착용시 다수의 돌출부로 인해 미세하고 효과적인 피하 근육의 자극을 통해 근력 저하 및 근육의 경련, 긴장을 정상화하고 혈액, 조직액, 림프액의 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리브로 인해 무릎뼈(슬개골)이 비틀리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보정해 줄 수 있어서 관절부위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관절 보호대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릎 관절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관절 보호대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릎 관절보호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관절 보호대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릎 관절보호대를 무릎에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관절 보호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꿈치 관절보호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관절 보호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꿈치 관절보호대를 발꿈치에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관절 보호대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릎 관절보호대의 돌출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관절 보호대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릎 관절보호대의 제2 및 제3보강리브만 연결 보강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관절 보호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꿈치 관절보호대 의 제2 및 제3보강리브만 연결 보강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 관절 보호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꿈치 관절보호대의 본체 양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대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대는, 무릎 또는 팔꿈치 관절부에 착용시 다수의 돌출부로 인해 미세하고 효과적인 피하 근육의 자극을 통해 근력 저하 및 근육의 경련, 긴장을 정상화하고 혈액, 조직액, 림프액의 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리브로 인해 무릎뼈(슬개골)가 비틀리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보정해줄 수 있어서 관절부위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대(100)는, 무릎 또는 팔꿈치 관절부에 착용하는 것에 의해 무릎뼈와 팔꿈치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외주면에는 노출용 홀(110a)이 천공되어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성형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측면 좌,우측에 돌출 형성되어 근육이 움직일 때 함께 움직이므로 인해 혈액, 조직액, 림프액의 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예각과 둔각이 교차로 연속된 두 줄 이상의 돌출부(130)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체(110)의 노출용 홀(110a) 주변으로는 관절 보호대(100) 착용시 무릎뼈 또는 팔꿈치 주위를 잡아줌으로 인해 비틀리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보정해줄 수 있도록 보강리브(150)가 더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대(100)의 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 또는 팔꿈치 주변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삽입부(110b)와 인출부(110c)가 형성된 기둥체 형상으로 구비되며, 무릎 또는 팔꿈치 관절부에 착용시 무릎뼈와 팔꿈치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외주면에는 노출용 홀(110a)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돌출부(130)는 상기 본체(110) 내측면 양측에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관절 보호대 착용에 따른 근육이 움직일 때 함께 움직이므로 인해 혈액, 조직액, 림프액의 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돌출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 내측 좌,우측면에 종방향으로 예각과 둔각이 교차로 연속된 2줄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돌출부(130)는 연속되는 물결모양의 "S"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돌출부는 연속되는 물결모양의 "S"자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노치형 또는 도트 형상으로 지그재그되게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보강리브(150)는 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노출용 홀(110a) 주변으로 동심원을 형성되게 돌출 형성하여 관절 보호대 착용시 무릎뼈 주위를 잡아줌으로 인해 비틀리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보정해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보강리브(150)는 본체의 노출용 홀(110a) 주변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1보강리브(151)와, 상기 제1보강리브(151)로부터 이격되어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2보강리브(153)와, 상기 제2보강리브(153)로부터 이격되어 삽입부(110b)와 인출부(110c) 주변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3보강리브(115)로 구성되되, 상기 제1보강리브(151)는 무릎뼈 주위를 가압하면서 잡아 줄 수 있도록 제2보강리브(153) 보다 2배~2.5배 더 넓은 폭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보강리브(150)는 제1 및 제2보강리브 그리고 제2 및 제3보강리브에 대하여 서로 연결시켜 수직방향에 대한 보강을 위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한 쌍의 연결 보강리브(157)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대를 무릎 관정에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체(110)를 양 손으로 잡은 후 삽입부(110b)측으로 발을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체(110)의 삽입부(110b)측으로 발이 삽입되면, 관절 보호대를 무릎 부분까지 끌어 올린다.
상기 관절 보호대(100)를 무릎 부분까지 끌어 올리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노출용 홀(110a)측으로 무릎뼈가 노출된다.
이와 같이 관절 보호대를 무릎 관철부위에 작용하게 되면, 본체(110) 내측면 양측에 연속되는 물결모양의 "S"자 형상으로 4개가 각각 돌출 형성된 돌출부(130)가 무릎뼈 양측 종방향으로 위치되어 근육이 움직일 때 함께 움직이므로 인해 혈액, 조직액, 림프액의 순환을 개선시켜 통증이 완화된다.
또한, 무릎뼈 주변으로는 상기한 본체(110)의 노출용 홀(110a) 주위에 돌출 형성된 제1보강리브(151)와, 상기 제1보강리브(151)로부터 이격되어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2보강리브(153) 그리고 상기 제2보강리브(153)로부터 이격되어 삽입부(110b)와 인출부(110c) 주변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3보강리브(115)로 구성된 보강리브(150)가 무릎뼈 주위를 잡아줌으로 인해 비틀리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보정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대는 무릎 부위에 착용하는 것에 의해 근육이 움직일 때 함께 움직이므로 인해 혈액, 조직액, 림프액의 순환을 개선시켜 통증이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릎뼈 주위를 잡아줌으로 인해 비틀리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보정해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관절 보호대 110 ; 본체
130 ; 돌출부 150 ; 보강리브

Claims (8)

  1. 관절 보호대는,
    무릎 또는 팔꿈치 관절부에 착용가능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성형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측면 좌,우측에 돌출 형성되어 근육이 움직일 때 함께 움직이므로 인해 혈액, 조직액, 림프액의 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예각과 둔각이 교차로 돌출부(130)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노출용 홀(110a) 주변으로는 관절 보호대(100) 착용시 무릎뼈 또는 팔꿈치 주위를 잡아줌으로 인해 비틀리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보정해줄 수 있도록 보강리브(150)가 더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0)는, 2줄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0)는 연속되는 물결모양의 "S"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150)는 본체의 노출용 홀(110a) 주변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1보강리브(151)와, 상기 제1보강리브(151)로부터 이격되어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2보강리브(153)와, 상기 제2보강리브(153)로부터 이격되어 본체(110)의 삽입부(110b)와 인출부(110c) 주변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3보강리브(115)로 구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노치형상으로 지그재그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도트형상으로 지그재그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8.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150)는 제1 및 제2보강리브 그리고 제2 및 제3보강리브에 대하여 서로 연결시켜 수직방향에 대한 보강을 위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한 쌍의 연결 보강리브(157)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KR1020180044436A 2018-04-17 2018-04-17 관절 보호대 KR10213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36A KR102130204B1 (ko) 2018-04-17 2018-04-17 관절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36A KR102130204B1 (ko) 2018-04-17 2018-04-17 관절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99A KR20190120999A (ko) 2019-10-25
KR102130204B1 true KR102130204B1 (ko) 2020-07-03

Family

ID=6842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436A KR102130204B1 (ko) 2018-04-17 2018-04-17 관절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509A (ko) *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6532A1 (de) * 2020-10-09 2022-04-14 MPR GmbH & Co. KG Bandage, insbesondere ausgebildet als Knie- oder Ellbogenschütz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8760A (ja) 2013-05-09 2014-11-20 山屋産業株式会社 サポータ生地及びサポータ
US20150272767A1 (en) 2014-03-31 2015-10-01 Joshua Field Athletic brace with inner gripping lay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674A (ja) * 1996-10-31 1998-05-19 Hayashi Nitto:Kk 膝用サポータ
KR100708645B1 (ko) 2004-05-25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8760A (ja) 2013-05-09 2014-11-20 山屋産業株式会社 サポータ生地及びサポータ
US20150272767A1 (en) 2014-03-31 2015-10-01 Joshua Field Athletic brace with inner gripping lay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509A (ko) *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KR102549957B1 (ko) 2021-04-22 2023-06-30 (주)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99A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2294B2 (ja) 足および足首用保護用具
EP1286731B1 (en) A protective appliance
US7900269B2 (en) No-slip protector
US6158051A (en) Protective sleeve
US6305031B1 (en) Protective appliance
JP3135924B2 (ja) ヒッププロテクタ付きズボン
AU2001256503A1 (en) A protective appliance
EP0502057A1 (en) Body part impact guard
KR102130204B1 (ko) 관절 보호대
EP0600584A1 (en) Body part protector
US6094743A (en) Deflector-arm protector
KR100749958B1 (ko)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US6588019B1 (en) Impact structure for the absorption of impact forces to the body
KR200389554Y1 (ko) 손목보호대
KR20210001718U (ko) 무릎보호대
JP3097985U (ja) 使用時に便利な伸縮性のあるテープサポーター
KR101226495B1 (ko) 에어볼을 이용한 관절 보호대
KR20220064569A (ko) 무릎보호대
KR100660405B1 (ko) 격투기용 몸통보호대
KR102589288B1 (ko) 발목 스트랩
JP4236662B2 (ja) 野球又はソフトボールの捕手又は審判用ロングソックス
EP4342552A1 (en) Limb protection device, in particular shin guard
KR20190057930A (ko) 십자인대 테이핑 무릎보호대
EP3281679B1 (en) Person-protecting device
KR200493975Y1 (ko) 보호대 수용 스포츠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