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767B1 - 리필형 필기구 - Google Patents

리필형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767B1
KR102129767B1 KR1020180150570A KR20180150570A KR102129767B1 KR 102129767 B1 KR102129767 B1 KR 102129767B1 KR 1020180150570 A KR1020180150570 A KR 1020180150570A KR 20180150570 A KR20180150570 A KR 20180150570A KR 102129767 B1 KR102129767 B1 KR 102129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ink
fitted
hook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436A (ko
Inventor
감두엽
이영준
Original Assignee
감두엽
이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두엽, 이영준 filed Critical 감두엽
Priority to KR102018015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7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43K5/14Exchangeable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2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with a sleeve sliding on the forward end of the l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의 튜브에 잉크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리필형 필기구에 관한 기술로서, 필기구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잉크 충전이 간편하고,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후크를 통해 슬리브에서 심체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함에 따라 잉크가 말라서 볼에 달라붙거나 볼의 손상을 방지하는 리필형 필기구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내측면 둘레에 홀더가 형성되고, 하부가 원추 형태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상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중간 슬리브; 상기 중간 슬리브의 상부에 끼워져 설치되며, 걸이대와 뚜껑이 구비된 상부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하부 내측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부에 잉크튜브가 형성된 한편 하단부에 볼이 내장된 심체; 및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끼워져 설치되며, 심체를 슬리브의 안쪽으로 인입 또는 외부로 돌출시키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리필형 필기구 {Refillable writing instruments}
본 발명은 필기구의 튜브에 잉크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리필형 필기구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필기구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잉크 충전이 간편하고,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후크를 통해 슬리브에서 심체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함에 따라 잉크가 말라서 볼에 달라붙거나 볼의 손상을 방지하는 리필형 필기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에는 샤프 등을 포함하는 연필류와 볼펜류 또는 잉크를 내장시켜 사용하는 사인펜류 및 칠판 등에 사용되는 보드마크 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 바, 이와 같은 필기구 등은 각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 용도에 맞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기구는 대부분 외통 내부에 담겨진 필터의 잉크가 모두 소모되거나 또는 외통 내부에 수용된 잉크가 모두 소모될 경우, 필기구를 그냥 버리기 때문에 필기구의 사용 시간이 적어 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로 잉크가 내장되어 사용하는 사인펜이나 형광펜 및 보드마크 펜과 같은 경우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필기구의 뚜껑을 제대로 닫지 않아 잉크가 증발됨으로써, 그 사용 기간이 더욱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잉크를 충전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리필용 필기구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9249호(잉크 주입식 리필용 필기구)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뚜껑과 잉크필터가 내장되는 외통으로 이루어진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후방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에 캡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입구 내측에 고무패킹이 잉크필터와 일정거리를 두고 압착 설치되고, 상기 고무패킹의 전면에 십자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무패킹의 후방에 고정돌기가 주입구에 압착된 상태로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고무패킹을 관통하여 주입구로 잉크 투입용 주사기의 바늘을 삽입하여 잉크필터의 후방에서 잉크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종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리필용 필기구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5426호(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필기구)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펜촉이 구비된 케이스 단부에 분리가능한 캡을 구비하여 잉크의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잉크필터와 잉크를 내장하되 케이스와 잉크필터 사이에는 잉크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유지편을 부착하고, 상기 잉크가 펜촉에 스며들기 용이하게 잉크필터에 통기홀을 형성하며, 상기 캡 중앙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 하단에는 내부가 중공된 신축돌기를 부착한 구성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보드마커와 같이 그 사용 특성상 펜촉의 위치를 상부로 들어 필기하는 경우에도 잉크는 캡방향에 위치한 잉크필터의 단부를 통하여 펜촉에 계속하여 공급됨으로써, 보다 깨끗하고 선명하게 장시간 필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은 필기구의 튜브에 잉크를 충전할 경우, 필기구를 모두 분해하여 충전함에 따라 그 사용이 불편하고, 필기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잉크가 말라서 볼에 달라붙거나 볼이 손상됨으로써, 선명하게 필기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92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542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781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179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6619호.
본 발명은 종래 리필용 필기구의 선행기술에서 잉크를 충전할 경우, 필기구를 모두 분해함에 따라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잉크가 말라서 볼에 달라붙거나 볼이 손상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필기구의 전체 길이가 작게 조절되며, 뚜껑을 열고 잉크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후크를 누르거나 당겨서 심체를 인입 또는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는 리필형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측면 둘레에 홀더가 형성되고, 하부가 원추 형태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상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중간 슬리브; 상기 중간 슬리브의 상부에 끼워져 설치되며, 걸이대와 뚜껑이 구비된 상부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하부 내측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부에 잉크튜브가 형성된 한편 하단부에 볼이 내장된 심체; 및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끼워져 설치되며, 심체를 슬리브의 안쪽으로 인입 또는 외부로 돌출시키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심체는 하부 외측에 스프링이 끼워져 설치되고, 그 상부 외측면 둘레에 스프링을 가로막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잉크튜브는 슬리브의 상단부 보다 낮은 높이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후크는 심체의 스토퍼 상부에 복수개의 지지편이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에 놓여 위치하며, 외측 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기구의 전체 길이가 짧게 조절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하고, 또한 뚜껑을 열고서 잉크 충전이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후크를 누르거나 당겨서 심체를 인입 또는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함으로써, 잉크가 말라서 볼에 달라붙거나 볼의 손상을 방지하므로, 필기를 장기간 선명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잉크 충전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내측면 둘레에 홀더(11)가 형성되고, 하부가 원추 형태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슬리브(10); 상기 슬리브(10)의 상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중간 슬리브(20); 상기 중간 슬리브(20)의 상부에 끼워져 설치되며, 걸이대(31)와 뚜껑(32)이 구비된 상부 슬리브(30); 상기 슬리브(10)의 하부 내측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부에 잉크튜브(43)가 형성된 한편 하단부에 볼이 내장된 심체(40); 및 상기 슬리브(10)의 내측에 끼워져 설치되며, 심체(40)를 슬리브(10)의 안쪽으로 인입 또는 외부로 돌출시키는 후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슬리브(10)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필기를 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슬리브(1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하부가 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 길쭉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측면 둘레에 홀더(11)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슬리브(1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가 용이한 직경(8~12mm)으로 구성되며, 가볍고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리브(10)는 도면에서 도 2와 같이, 상단부 외측면 둘레에 작은 돌기(10a)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0a)는 중간 슬리브(20)가 빠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슬리브(10)의 내측면 둘레에 형성된 홀더(11)는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일측부에 후크(50)가 상하 이동가능케 끼워져 설치되며, 후크(5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편 후크(50)의 상하 이동시 좌우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삭제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중간 슬리브(20)는 슬리브(10)의 상부에 끼워져 필기구를 구성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중간 슬리브(20)는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슬리브(10)의 상부에 끼워져 조립 설치된다.
상기에서 중간 슬리브(20)는 슬리브(10)의 길이보다 작게 구성되고, 하단부 내측면 둘레에 작은 단턱(20a)이 형성되는 한편 슬리브(10)와 동일하게 상단부 외측면 둘레에 작은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상부 슬리브(30)는 중간 슬리브(20)의 상부에 끼워져 필기구를 구성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상부 슬리브(30)는 도면에서 도 1과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중간 슬리브(20)의 상부에 끼워져 조립 설치된다.
상기에서 상부 슬리브(30)는 중간 슬리브(2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고, 중간 슬리브(20)와 동일하게 하단부 내측면 둘레에 작은 단턱이 형성되며, 상부 외측면에 걸이대(31)가 설치되는 한편 개방된 상부에 뚜껑(32)이 끼워져 설치된다.
따라서, 슬리브(10)의 상부에 중간 슬리브(20)와 상부 슬리브(30)가 차례로 끼워져 조립 설치됨으로써,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상부 슬리브(30)에 중간 슬리브(20) 및 슬리브(10)가 차례로 끼워져 필기구의 전체 길이가 짧게 조절되고, 또한 슬리브(10)와 중간 슬리브(20) 및 상부 슬리브(30)에 각각 돌기(10a)와 단턱(20a)이 형성됨에 따라 중간 슬리브(20)와 상부 슬리브(3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심체(40)는 잉크와 볼이 내장되어 사용자가 필기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심체(40)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하단부에 볼이 내장되고, 그 상부에 잉크가 주입되는 잉크튜브(43)가 길쭉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심체(40)는 하부 외측에 스프링(42)이 끼워져 설치되고, 그 상부 외측면 둘레에 스프링(42)을 가로막는 스토퍼(41)가 형성되며, 상기 잉크튜브(43)는 슬리브(10)의 상단부 보다 낮은 높이로 위치한다.
상기에서 스프링(42)은 심체(40)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리브(10)의 하부 내측에 놓여 안착되며, 상부가 스토퍼(41)에 가로막혀서 탄성력을 스토퍼(41)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후크(50)는 사용자가 심체(40)를 인입 또는 외부로 돌출시켜 필기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후크(5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슬리브(10)의 홀더(11) 내측에 끼워져 상하 이동가능케 설치되며, 심체(40)의 스토퍼(41) 상부에 복수개의 지지편(51)(52)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에서 복수개의 지지편(51)(52)은 상하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사이에 후크(50)가 놓여 위치하며, 상기 후크(50)는 외측 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기가 형성되고, 여기서 하부에 위치한 돌기가 상부에 위치한 돌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후크(50)는 슬리브(10)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53)에 끼워져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홀(53)의 상부에 이격되어 장공(54)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후크(5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도면에서 도 2는 사용자가 후크(50)의 하부 돌기를 아래로 당겨 심체(40)가 슬리브(10)의 하부로 돌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필기를 할 수 있는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필기를 마친 다음, 도면에서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후크(50)의 하부 돌기를 누르면, 스프링(42)의 탄성력으로 후크(50)가 가이드홀(5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심체(40)가 슬리브(10)의 안쪽으로 인입하여 배치된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후크(50)의 하부 돌기를 누르면, 상부 돌기가 가이드홀(53)을 벗어나면서 스프링(42)의 탄성력이 스토퍼(41)와 하부 지지편(51)을 통해 후크(50)에 전달됨에 따라 후크(50)의 하부 돌기가 가이드홀(5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한편 상부 돌기가 장공(54)에 인입되면서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심체(40)가 슬리브(10)의 안쪽으로 인입된다.
또한 사용자가 필기를 할 경우, 손가락으로 후크(50)의 하부 돌기를 아래로 당기면, 후크(50)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지지편(51)과 스토퍼(41)를 통해 심체(40)를 하강시키고, 이때 후크(50)의 상부 돌기가 가이드홀(53)의 상부에 걸리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심체(40)가 슬리브(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필기를 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 도 7은 잉크튜브(43)에 잉크를 주입해 충전하는 상태로서, 필기구에서 슬리브(10)를 따로 분리한 다음, 리필통(60)의 주입구(61)를 잉크튜브(43)의 상부에 끼워서 잉크를 주입해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필기구에서 슬리브(10)를 분리하지 않고, 상부 슬리브(30)에 중간 슬리브(20)와 슬리브(10)를 차례로 끼워 필기구의 길이를 짧게 조절한 다음, 상부 슬리브(30)의 뚜껑(32)을 분리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 리필통(60)의 주입구(61)를 잉크튜브(43)의 상부에 끼워서 잉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기구의 전체 길이가 짧게 조절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하고, 또한 뚜껑을 열고 잉크 충전이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후크를 누르거나 당겨서 심체를 인입 또는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함으로써, 잉크가 말라서 볼에 달라붙거나 볼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슬리브 10a: 돌기
11: 홀더 20: 중간 슬리브
20a: 단턱 30: 상부 슬리브
31: 걸이대 32: 뚜껑
40: 심체 41: 스토퍼
42: 스프링 43: 잉크튜브
50: 후크 51(52): 지지편
53: 가이드홀 54: 장공
60: 리필통 61: 주입구

Claims (3)

  1. 내측면 둘레에 홀더(11)가 형성되고, 하부가 원추 형태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슬리브(10); 상기 슬리브(10)의 상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중간 슬리브(20); 상기 중간 슬리브(20)의 상부에 끼워져 설치되며, 걸이대(31)와 뚜껑(32)이 구비된 상부 슬리브(30); 상기 슬리브(10)의 하부 내측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부에 잉크튜브(43)가 형성된 한편 하단부에 볼이 내장된 심체(40); 및 상기 슬리브(10)의 홀더(11) 내측에 끼워져 설치되며, 심체(40)를 슬리브(10)의 안쪽으로 인입 또는 외부로 돌출시키는 후크(50);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10)는 상단부 외측면 둘레에 돌기(10a)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0a)는 중간 슬리브(20)가 빠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중간 슬리브(2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단부 내측면 둘레에 단턱(20a)이 형성되는 한편 슬리브(10)와 동일하게 상단부 외측면 둘레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슬리브(30)는 중간 슬리브(2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며, 중간 슬리브(20)와 동일하게 하단부 내측면 둘레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심체(40)는 하부 외측에 스프링(42)이 끼워져 설치되며, 그 상부 외측면 둘레에 스프링(42)을 가로막는 스토퍼(41)가 형성되고, 상기 잉크튜브(43)는 슬리브(10)의 상단부 보다 낮은 높이로 위치하며,
    상기 후크(50)는 슬리브(10)의 홀더(11) 내측에 끼워져 상하 이동가능케 설치되고, 심체(40)의 스토퍼(41) 상부에 복수개의 지지편(51)(52)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편(51)(52)은 상하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사이에 후크(50)가 놓여 위치하며,
    상기 후크(50)는 외측 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에 위치한 돌기가 상부에 위치한 돌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후크(50)는 슬리브(10)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53)에 끼워져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홀(53)의 상부에 이격되어 장공(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필기구.
  2. 삭제
  3. 삭제
KR1020180150570A 2018-11-29 2018-11-29 리필형 필기구 KR102129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570A KR102129767B1 (ko) 2018-11-29 2018-11-29 리필형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570A KR102129767B1 (ko) 2018-11-29 2018-11-29 리필형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436A KR20200064436A (ko) 2020-06-08
KR102129767B1 true KR102129767B1 (ko) 2020-07-03

Family

ID=7109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570A KR102129767B1 (ko) 2018-11-29 2018-11-29 리필형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7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6581A (ja) * 2014-07-08 2016-02-01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出没式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666U (ko) * 1993-11-23 1995-06-15 박성만 볼펜
KR100489249B1 (ko) 2002-12-13 2005-05-17 오경희 잉크 주입식 리필용 필기구
KR100655426B1 (ko) 2004-09-06 2006-12-11 오경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필기구
KR200387812Y1 (ko) 2005-03-22 2005-06-22 최규진 리필이 용이한 필기구
KR200391798Y1 (ko) 2005-04-02 2005-08-09 이재현 리필이 가능한 필기구
KR200466619Y1 (ko) 2012-10-09 2013-04-26 이수일 리필 가능한 다용도 필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6581A (ja) * 2014-07-08 2016-02-01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出没式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436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85290A (ja) 筆記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16381B1 (ko) 마커펜
KR102129767B1 (ko) 리필형 필기구
CN201376408Y (zh) 使用安全的圆珠笔
KR101587997B1 (ko) 연속필기 가능한 마커펜
KR200460052Y1 (ko) 다양한 종류의 밑줄을 편리하게 그을 수 있게 하는 밑줄긋기 학습도구
US3195169A (en) Marking implement and holder therefor
CN204249614U (zh) 一种笔
KR200495421Y1 (ko) 노크식 펜
CN109677163B (zh) 一种直液式纤维头笔
KR101351433B1 (ko) 다색 보드마커
US2842894A (en) Bubble-blowing toys
US20120093562A1 (en) Combination pen with correction marker
KR200495581Y1 (ko) 노크식 펜
CN202293815U (zh) 一种储墨毛笔
US2472343A (en) Fountain pen
CN217532349U (zh) 一种马克笔
CN209971968U (zh) 一种可循环注水的无芯笔及注水装置
CN204136619U (zh) 直液式教学书写笔
CN203902028U (zh) 快速换芯卡扣结构的异轴笔
CN211684319U (zh) 一种带有笔尖密封结构的马克笔
TWM562838U (zh) 墨水瓶
CN202847197U (zh) 笔杆长度可调的笔
CN211298670U (zh) 一种智能地书笔拐杖
CN203198470U (zh) 吸注两用笔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