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616B1 -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 - Google Patents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616B1
KR102129616B1 KR1020180150109A KR20180150109A KR102129616B1 KR 102129616 B1 KR102129616 B1 KR 102129616B1 KR 1020180150109 A KR1020180150109 A KR 1020180150109A KR 20180150109 A KR20180150109 A KR 20180150109A KR 102129616 B1 KR102129616 B1 KR 10212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eyedropper
oral
oral cavity
press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277A (ko
Inventor
강경희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6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움직임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의 구강케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로 형성된 관통공(111)에 스포이드관(130)이 장착되어 일단으로 일부 노출되고, 타단에는 상기 스포이드관(130)으로의 세정액의 유입 및 유출을 조절하는 푸쉬 튜브(140)와, 특정 방향에서의 상기 푸쉬 튜브(140)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상기 스포이드관(130)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하게 작동하는 회전구동부(150)를 포함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의 움직임에 따라 구강 내부를 세척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일단으로 노출된 스포이드관(130)에 장착되고, 상기 푸쉬 튜브(140)의 조절에 따라 스포이드관(13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이 구강 내부로 배출되게 하는 유출공(211)을 구비하는 구강부(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DEVICE FOR CLEANING AND MASSAGING ORAL CAVITY}
본 발명은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움직임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의 구강케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노년기의 질병은 노화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만성 질환이 대부분이며 특히 중년기에 발생하는 성인병에 노화에 의한 장기적인 불가역적 퇴행성 질환이 복합되어 발생하며 연령과 더불어 점차 악화되어 가는 특징이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적극적인 재활운동이나 활동을 하기 보다는 누워서 지내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오랜 기간 동안 누워서 병을 치료하는 환자를 와상환자라고 한다.
또한 신체의 장애로 인하여 누운 상태로 생활하는 장애인과 사고 등으로 신체의 움직임이 불편한 중환자도 있다.
이러한 와상환자나 장애인은 신체의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신체 활동을 타인에게 의존하게 되는데, 이중 구강 내부는 외관상으로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척 또는 마사지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자칫 소홀해지기 쉽다. 이런 경우 구강에서의 냄새뿐만 아니라, 이와 잇몸의 손상이 발생하여 환자(장애인)와 보호자의 고통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와상환자나 중환자 및 장애인이나, 또는 바쁜 외부 활동시에도 구강 내부를 청결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제품으로 적용할 수 있는 종래기술로 '휴대용 구강 클리너(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58421호)'라는 선행특허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특허에서는 치아와 잇몸 사이에 증식하는 세균을 제거함과 동시에 치아를 부드럽게 마사지하면서 닦아낼 수 있도록 세정액이 충진된 스포이드부에 솜이 체결된 클린부를 결합하여 스포이드부에서 분사된 세정액에 의해 젖은 솜으로 구강 내부를 닦아 살균 및 구취제거를 위생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특허에서는, 치아나 잇몸을 상하방향으로 닦거나 마사지하기 위해서는 클린관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목을 사용하여 회전시키거나 상하방향으로의 반복이동을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동작이 불편하고 피로를 느끼게 하기 때문에 전후진 동작만으로 닦거나 마사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후진의 동작만으로는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청결하게 닦아 내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치아나 잇몸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칫솔질에 익숙한 사용자가 본인의 치아나 잇몸을 닦거나 마사지할 때 상기 선행특허에 따른 구강 클리너를 이용할 때에는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신체의 움직임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의 구강케어를 위하여 보호자나 간병인이 사용하기에는 많은 불편이 수반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었다.
KR 10-1358421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움직임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의 구강케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 내부로 형성된 관통공에 스포이드관이 장착되어 일단으로 일부 노출되고, 타단에는 상기 스포이드관으로의 세정액의 유입 및 유출을 조절하는 푸쉬 튜브와, 특정 방향에서의 상기 푸쉬 튜브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상기 스포이드관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하게 작동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구강 내부를 세척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 노출된 스포이드관에 장착되고, 상기 푸쉬 튜브의 조절에 따라 스포이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이 구강 내부로 배출되게 하는 유출공을 구비하는 구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스포이드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푸쉬 튜브를 향해 연장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피니언이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푸쉬 튜브의 측부에서 상기 회전축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암수 형태의 연결축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가압판과,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통해 상기 스포이드관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가압판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는 래크와, 내부로 연결축이 삽입되어 관통하고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에 가해진 가압력이 해소되면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구강부는, 상기 스포이드관에 억지 끼움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강 접촉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공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구강 접촉기구를 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강 접촉기구는, 세척모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에 의하면, 신체의 움직임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의 구강케어를 환자나 장애인을 간호하는 보호자나 간병인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환자나 장애인의 구취 해소 및 치아와 잇몸의 손상 방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는 크게 본체(100)와 구강부(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파지부(110), 미끄럼방지부(120), 스포이드관(130), 푸쉬 튜브(140) 및 회전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110)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로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120)는 구강의 세척 또는 마시지 시에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지부(110) 상에 설치되고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포이드관(130)은 상기 파지부(110)의 관통공(1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일단이 상기 파지부(110)의 일단에서 일부 노출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스포이드관(13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면서 상기 스포이드관(130)과 관통공(111) 사이로 세정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131)이 장착된다.
상기 푸쉬 튜브(140)는 상기 스포이드관(130)으로의 세정액의 유입 및 유출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스포이드에 구비된 푸쉬 튜브(140)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수행하고, 스포이드의 구성 및 작용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푸쉬 튜브(14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푸쉬 튜브(140)의 입구가 스포이드관(130)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파지부(110)의 외주연에서 미끄럼방지부(120)와의 사이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회전구동부(150)는 특정 방향에서의 상기 푸쉬 튜브(140)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상기 스포이드관(130)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하게 작동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전구동부(150)는, 상기 스포이드관(13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푸쉬 튜브(140)를 향해 연장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피니언(151a)이 장착되는 회전축(151)과, 상기 푸쉬 튜브(140)의 측부에서 상기 회전축(151)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암수 형태의 연결축(152a, 153a)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과,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통해 상기 스포이드관(13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가압판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151a)에 치합되는 래크(154)와, 내부로 연결축(152a, 153a)이 삽입되어 관통하고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에 가해진 가압력이 해소되면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코일스프링(155)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스프링(155)은 세정액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강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움직임에 따라 구강 내부를 세척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일단으로 노출된 스포이드관(130)에 장착되고, 상기 푸쉬 튜브(140)의 조절에 따라 스포이드관(13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이 구강 내부로 배출되게 하는 유출공(211)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강부(200)는, 상기 스포이드관(130)에 억지 끼움결합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강 접촉기구(220)를 포함하고, 스포이드관(130)으로부터 배출된 세정액이 구강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출공(211)은 상기 몸체부(210)로부터 구강 접촉기구(220)를 향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강 접촉기구(220)는, 치아나 잇몸을 세척하거나 마시지하기에 용이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세척모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100)의 푸쉬 튜브(140)를 가압한 상태에서 스포이드관(130) 일단을 세정액에 침지하고 푸쉬 튜브(14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스포이드관(130) 내부로 세정액이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구강부(200)를 스포이드관(130)의 일단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스포이드관(130)의 일단에 구강부(200)가 장착된 상태로 스포이드관(130) 내부로 세정액을 유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스포이드관(130)에 장착된 구강부(200)에는 유출공(211)이 형성되어 있어 그 유출공(211)으로 세정액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구강부(200)는 상기 스포이드관(13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구강부(200)의 구강 접촉기구(220)는 구강 내에 삽입되어 이빨을 세척하거나 잇몸을 마시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빨의 세척을 위해서는 칫솔모가 사용되고 잇몸의 마사지를 위해서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구동부(150)의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을 덮고 있는 푸쉬 튜브(140)를 가압하면 푸쉬 튜브(140)가 수축하면서 스포이드관(130)을 통해 세정액이 유출관으로 유출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51)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쉬 튜브(140) 내부에 유입되어 있던 세정액은 회전축(151)에 의해 방해받지 않은 상태로 그 통공을 통해 스포이드관(130)으로 유출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이 서로를 향해 접근하면서 래크(154)가 이동되고, 상기 래크(154)에는 회전축(151)의 피니언(151a)이 치합되어 있으므로 피니언(151a)이 회전하면서 회전축(151)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축(151)은 스포이드관(130)에 연결되고 스포이드관(130)의 일단에는 구강부(20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51)의 회전에 의해 구강부(2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런데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은 암수 형태의 연결축(152a, 153a)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축(152a, 153a)의 외주연에는 코일스프링(155)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이 서로에 대해 접근할 때 상기 코일스프링(155)은 수축하면서 탄성복원력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코일스프링(15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면서 래크(154)가 피니언(151a)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축(151)이 회전하고 결국 구강부(20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구강부(200)의 회전은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의 접근 및 이격에 따른 래크(154)와 피니언(151a)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래크(154)의 이동거리가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의 접근과 이격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기 구강부(200)의 회전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을 가압하고 코일스프링(155)에 의해 복원시키는 동작만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구강부(200)의 구강 접촉기구(220)를 회전시킴으로서 이빨의 세척 또는 잇몸의 마사지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구동부(150)에 의한 구강부(200)의 회전 없이 세정액을 구강 내에 유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구동부(150)의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을 덮고 있는 푸쉬 튜브(140)를 가압하지 않고 그 측부를 가압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좌우방향으로 푸쉬 튜브(140)를 가압하면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세정액을 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세정액의 유입 및 배출, 그리고 구강부(200)의 구강 접촉기구(220)를 회전시키면, 몸이 불편한 와상 환자의 구강을 손쉽게 세척하거나 마사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본체
110 : 파지부 111 : 관통공
120 : 미끄럼방지부
130 : 스포이드관 131 : 패킹
140 : 푸쉬 튜브
150 : 회전구동부 151 : 회전축 151a : 피니언
152, 153 : 제1 및 제2가압판
152a, 153a : 연결축
154 : 래크 155 : 코일스프링
200 : 구강부
210 : 몸체부 211 : 유출공
220 : 구강 접촉기구

Claims (4)

  1. 내부에 관통공(111)이 형성된 파지부(110)와, 상기 관통공(111)에 장착되어 일단이 상기 파지부(110)의 일단에서 일부 노출되는 스포이드관(130)과, 상기 파지부(1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세정액을 수용하고 상기 스포이드관(130)으로의 세정액의 유입 및 유출을 조절하는 푸쉬 튜브(140)와, 특정 방향에서의 상기 푸쉬 튜브(140)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상기 스포이드관(130)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하게 작동하는 회전구동부(150)를 포함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의 움직임에 따라 구강 내부를 세척하도록 상기 파지부(110)의 일단으로 노출된 스포이드관(130)에 장착되고, 상기 푸쉬 튜브(140)의 조절에 따라 스포이드관(13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이 구강 내부로 배출되게 하는 유출공(211)을 구비하는 구강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150)는,
    상기 스포이드관(13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푸쉬 튜브(140)를 향해 연장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피니언(151a)이 장착되는 회전축(151)과, 상기 푸쉬 튜브(140)의 측부에서 상기 회전축(151)을 기준으로 상하대칭되게 배치되고, 서로를 향해 연장된 암수 형태의 연결축(152a, 153a)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과,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통해 상기 스포이드관(13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가압판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151a)에 치합되는 래크(154)와, 내부로 연결축(152a, 153a)이 삽입되어 관통하고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에 가해진 가압력이 해소되면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코일스프링(155)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이 연결축(152a,153a)의 길이방향으로 가압되면 세정액의 공급과 동시에 상기 본체(100)가 회전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의 가압없이 스포이드관(130)의 측부가 가압되면 본체(100)의 회전없이 세정액만 공급되며,
    상기 본체(100)는, 제1 및 제2가압판(152, 153) 또는 스포이드관(130) 측부의 가압없이 일반 칫솔로 사용시 파지가 가능한 미끄럼방지부(120)를 상기 파지부(110)의 외주연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부(200)는,
    상기 스포이드관(130)에 억지 끼움결합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강 접촉기구(220)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공(211)은 상기 몸체부(210)로부터 구강 접촉기구(220)를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접촉기구(220)는, 세척모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
KR1020180150109A 2018-11-28 2018-11-28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 KR102129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109A KR102129616B1 (ko) 2018-11-28 2018-11-28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109A KR102129616B1 (ko) 2018-11-28 2018-11-28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277A KR20200064277A (ko) 2020-06-08
KR102129616B1 true KR102129616B1 (ko) 2020-07-03

Family

ID=7108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109A KR102129616B1 (ko) 2018-11-28 2018-11-28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6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230Y1 (ko) * 2002-08-05 2002-11-18 이제완 치약 공급구조를 갖는 칫솔
KR100999698B1 (ko) * 2010-01-22 2010-12-08 김정표 기계식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421B1 (ko) 2011-12-22 2014-02-03 서정옥 휴대용 구강 클리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230Y1 (ko) * 2002-08-05 2002-11-18 이제완 치약 공급구조를 갖는 칫솔
KR100999698B1 (ko) * 2010-01-22 2010-12-08 김정표 기계식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277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3018B1 (en) Oral care implement
US5044040A (en) Toiletting assist device
US10905292B2 (en) Portable hygiene device
US20190104893A1 (en) Portable hygiene device
US10264875B2 (en) Dental finger gloves
KR101858615B1 (ko) 구강 세정기에 부착되는 세정 브러쉬
JP4171809B2 (ja) 外用剤塗布器具
KR102129616B1 (ko) 구강 세척 및 마사지 기구
JP3133404U (ja) 手袋式衛生歯ブラシ
JP4949574B2 (ja) 清浄器具
JP3224581U (ja) 既成医療用具ストマー内部洗浄用具兼排便浣腸代用具
US6058524A (en) Antiseptic brush used in combination, after use of a bidet, with an anti-septic skin cleanser
CN220988634U (zh) 一种老年人瘫痪护理用身体擦拭器
CN219629835U (zh) 医用牙刷
JP2005160979A (ja) 口内用クリーナー
CN210992579U (zh) 一种妇产科用消毒刷
FR3055207A3 (fr) Organe pour l'hygiene dentaire
CN210611984U (zh) 一种皮肤科用皮肤清洁装置
US20030037389A1 (en) Handle-free disposable toothbrush
KR20070018664A (ko) 치아와 잇몸을 닦을 수 있는 칫망
KR20230142219A (ko) 위생장갑
US20120045739A1 (en) Oral hygiene tool
CN200994754Y (zh) 清洗器
BR202017007579Y1 (pt) Escova de dentes com sistema de articulação da cabeça
CN201879591U (zh) 洗澡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