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425B1 -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425B1
KR102129425B1 KR1020130039501A KR20130039501A KR102129425B1 KR 102129425 B1 KR102129425 B1 KR 102129425B1 KR 1020130039501 A KR1020130039501 A KR 1020130039501A KR 20130039501 A KR20130039501 A KR 20130039501A KR 102129425 B1 KR102129425 B1 KR 10212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unit
sensor
detec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602A (ko
Inventor
최명국
민장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42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커버하며 자석부재가 구비되는 커버부; 상기 단말기의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자석부재의 자속(magnet flux)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며 특정 기능을 입력하는 기능 키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 인지되는 특정 크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기능 키 버튼부의 구동은 온/오프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KEY LOCKING DEVICE OF PORTABLE TERMINAL USING COVER APPARATUS}
본 개시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을 가능하게 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최근에는 휴대 전화기, MP3 플레이어,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전자책 등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무선 송수신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진, 음악 동영상, 멀티미디어,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집약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는 상기와 같은 멀티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제공되며, 최근의 스마트 폰이라 불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의 전면 전체가 터치에 의해 감응하며 대형화된 표시부가 제공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를 휴대하는 과정 등이나 사용 중에 상기 단말기의 외관 케이스나 단말기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표시부에 스크래치나 또는 충격에 따른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단말기에 다양한 케이스, 또는 커버들(이하 '커버장치'로 통칭함)이 제공되는 실정이다. 기존의 단말기를 커버하는 커버장치의 경우, 단말기를 커버하는 형태나 구성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부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표시부 측은 노출되며 단말기의 외관 테두리나 후면 케이스만을 커버하는 형태의 커버장치가 있으며, 플립 형태의 케이스를 통해 단말기를 모두 커버하되 표시부를 사용하기 위해서 표시부를 커버하는 부분은 개폐되는 형태의 커버장치도 있다. 앞서의 표시부가 노출되는 커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표시부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표시장치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거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커버장치의 디자인 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플립 형태의 커버장치('이하 플립커버'라고 통칭함.), 특히 디자인이 고급스러운 플립커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플립커버는 표시부를 커버하는 부분(이하 '덮개부재'라고 통칭함.)과 단말기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이하' 배터리 커버'로 통칭함.)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단말기를 슬림하게 하며,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구현한다. 그러나, 이러한 덮개부재의 경우, 단순히 표시부의 표면에 놓여 표시부의 표면을 보호하거나, 단순히 커버장치의 개폐 여부 만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드한 북 커버('퀵 커버'라고도 함.) 형식의 덮개부재가 단순히 단말기의 표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또는 자석과 홀 센서를 이용하여, 홀 센서가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유무만을 판별하여 북 커버의 온/오프 만을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이다.
또한, 단말기의 측면을 따라 볼륨을 조절하거나 업/다운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버튼(이하 '볼륨 버튼'이라 함.)이나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거나 단말기를 슬립모드나 대기모드로 변환하는 전원버튼 등의 특정 기능을 가지는 기능 키가 적어도 하나 구비된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덮개 부재를 오픈하고,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덮개부재를 덮어 표시부에 접철하게 된다. 즉, 덮개 부재가 표시부를 접철하게 되면, 단말기는 슬립모드인 상태가 된다. 그러나, 기능 키는 단말기의 측면에 제공됨으로써, 단말기의 휴대나 사용환경에 따라 원치 않는 눌림이 발생한다. 이에, 기능 키의 눌림에 따라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치 않는 동작을 구현하게 되어 오 작동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볼륨키가 눌려 단말기에 설정된 볼륨이 변경되거나, 전원 버튼이 눌려 전원이 켜져 단말기가 대기 모드 상태가 되거나, 사용자 경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등의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플립 커버, 구체적으로 덮개부재의 개폐를 인지할 수 있으며, 덮개부재의 개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상태를 실행할 수 있고, 측면에 제공되는 기능 키의 구동 유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커버하며 자석부재가 구비되는 커버부; 상기 단말기의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자석부재의 자속(magnet flux)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며 특정 기능을 입력하는 기능 키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 인지되는 특정 크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기능 키 버튼부의 구동은 온/오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일체형으로 탈부착되며, 상기 단말기의 전면과 마주하는 자석부재를 구비하는 플립 커버부; 상기 단말기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부재의 자속(magnet flux)을 센싱하는 홀 센서;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키 버튼; 및 상기 센서부에 인지되는 검출 값에 따라 상기 기능 키 버튼의 구동 여부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단말기의 전면에 접철되었을 때 감지되는 제1감지 값과, 상기 커버부가 상기 단말기의 전면에서 회전되어 소정간격 이격되었을 때 감지되는 제2감지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 값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의 오픈 또는 접철된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기능 키 버트부의 구동 여부 및 상기 단말기의 구동여부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의 접철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제공되는 버튼부의 잠금을 설정하는 키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는, 커버부 구체적으로 덮개부재의 개폐를 인지할 수 있으며, 덮개부재의 개폐에 따라 단말기의 구동 상태를 실행할 수 있고, 측면에 제공되는 기능 키의 구동 유무를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커버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개시된 단말기에서 커버부가 본체의 전면을 커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개시된 단말기에서 덮개부재가 표시부 상에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개시된 단말기에서 센서부에 감지되는 자속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도 1에 개시된 단말기에서, 홀센서의 감지 값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1에 개시된 단말기에서, 홀 센서의 감지 값에 따른 단말기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길이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1이나, 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본체(20)와, 본체(20)를 커버하는 커버부(10)와, 커버부(10)의 위치를 센싱하는 모듈, 구체적으로 자석부재(15)와, 센서부(25), 제어부(70)를 포함한다(제어부(70)의 구성은 도 7 참조.) 단말기(100)의 본체(20)는 바 형태를 가지며, 본체(20)의 전면으로는 본체와 유사한 크기의 대형화된 표시부(21)가 제공된다. 표시부(21)는 화면을 표시하면서 터치에 따른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 패널을 실장한다. 또한, 본체(20)의 가장자리, 구체적으로 측면 둘레에는 표시부(21)를 통한 입력과는 별도로 특정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 키 버튼부(2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능 키 버튼부(22)는 제1기능키(22a)와 제2기능키(22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기능키(22a)와 제2기능키(22b)는 본체(20)의 일측 및 타측에 제공된다. 제1기능키(22a)는 표시부(21)를 기준으로 본체(20)의 일측, 구체적으로 좌측 측면 둘레에 실장되고, 제1기능키(22a)는 상, 하 눌림을 인식할 수 있게 구비된다. 제1기능키(22a)는 볼륨을 조절하거나 페이지 이동, 폴더의 선택 등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이다. 제2기능키(22b)는 표시부(21)를 기준으로 본체(20)의 타측, 구체적으로 우측 측면 둘레에 실장되고, 제2기능키(22b)는 눌리는 시간이나 눌리는 압력 등의 눌림을 인식할 수 있게 구비된다. 제2기능키(22b)는 짧은 눌림에 따라 본체(21)를 슬립모드와 대기모드로 변환하거나, 긴 눌림, 예를 들어 5초 이상의 눌림이 발생되면 본체(20)의 전원을 오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능 키 버튼부(22)는 상기의 제1, 2기능키(22a, 22b)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그 기능도 볼륨이나 전원 등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기능 키 버튼부(22)의 개수나 기능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능 키 버튼부(22)의 경우, 기능 키 버튼부(22)의 눌림에 따라 본체(20)의 사용자 경험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으로 동영상을 실행할 수 있게 하거나 음악 파일을 바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 수도 있는 등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의 기능 키 버튼부(22)는 후술하는 커버부(10)의 위치에 따라, 구체적으로 커버부(20)가 본체(10)의 표시부(21)에 접철된 상태와, 커버부(10)가 본체(20)의 표시부(21)에서 오픈된 상태에 따라 그 구동 온/오프의 여부가 스위치된다. 좀더 구체적인 구동이나 동작은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커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10)는 본체(2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어 본체(20)의 전면 또는 전면과 후면을 커버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는 본체(20)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플립 형태의 커버장치(이하 '플립커버'라고 통칭함.)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커버부(10)는 후면커버(12)와 전면 커버(11) 및 연결부재(13)를 포함한다. 후면 커버(12)는 전면 커버(1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본체(20)의 후면에 제공되어 본체(20)의 후면을 커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후면 커버(12)는 크게 본체(20)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구성과 별도로 제공되는 구성으로 나눌 수 있다. 본체(20)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후면 커버(12)는, 후면 커버(12)가 본체(20)의 후면에 제공되는 배터리를 커버하도록 배터리 커버(또는 '후면 케이스' 등과 같은 의미임.)로 제공되는 구성이다. 또한, 후면 커버(12)가 본체(20)에 별도로 제공되는 구성은, 구체적으로 본체(20)의 후면으로 배터리 커버가 제공된 상태에서 후면 커버(12)가 본체(20)의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후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본체(20)에 별도로 제공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12)는 본체(20)의 후면으로 본체(2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이하 후면 커버(12)를 배터리 커버(12)로 설명함.)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후면 커버(1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로서 본체(2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구성과, 배터리 커버와는 별도로 본체(20)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 있으므로, 후면 커버(12)는 본체(20)에 제공되는 형태나 구성 또는 커버장치의 형태나 구성, 사용 등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20)에 일체형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후면 커버(12)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어 본체(20)의 후면에 착탈되는 배터리 커버 전체를 커버하거나, 또는 배터리 커버로서 본체(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후면 커버(12)의 일측으로 연결부재(13)에 의해 전면 커버(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후면 커버(12)는 앞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체(20)의 후면에 제공된 배터리 커버 전체를 커버하거나, 또는 배터리 커버로서 본체의 후면 케이스를 형성하며, 이하에서는 후면 커버(12)가 배터리 커버(12)로서 본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면 커버(11, 이하 '덮개부재(11)'라 함.)는 배터리 커버(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본체(20)의 전면, 구체적으로 표시부(21)를 커버한다. 이러한 덮개부재(11)는 표시부(21)의 전면에 접철되고, 표시부(21)를 사용하기 위해 후술하는 연결부재(13)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덮개부재(11)의 경우,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와 접철되는 면은 표시부(21)와 접촉됨으로써 표시부(21)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천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덮개부재(11)는 종이나 천 등을 압축하여 하드하게 형성하며, 재질에 따라 고급스러움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덮개부재(11)는 본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를 소정 각도로 거치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분할면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커버부(10), 구체적으로 덮개부재(11)에는 영구자석과 같은 자석부재(15)가 제공된다. 자석부재(15)는 덮개부재(11)의 가장 자리부분에 실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석부재(15)는, 본체(20)의 좌측 테두리 부분에 위치된 센서부(25, 도 3 및 도 4 참조)와 마주하도록 덮개부재(11)의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된다. 그러나 자석부재(15)의 제공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21)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후술하는 센서부(25)와 반응할 수 있는 위치라면 그 설치 위치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후술할 센서부(25)가 표시부(21)의 우측의 베젤 영역 상에 제공되면, 자석부재(15)도 덮개부재(11)의 우측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센서부(25)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의 경우와 같이 덮개부재(11)의 우측 가장자리에 자석부재(15)가 위치되면, 자석부재(15)의 무게로 인하여 덮개부재(11)가 자연스럽게 표시부(21)와 접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처럼, 자석부재(15) 및 후술하는 센서부(25)가 표시부(21)의 좌측 영역으로 위치되는 경우, 덮개부재(11)의 좌측에는 별도의 자석부재(15) 또는 금속과 같은 소정의 무게를 가진 부재를 더 실장하여,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의 전면에 자연스럽게 접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개시된 단말기에서 커버부가 본체의 전면을 커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5는 도 4에 개시된 단말기에서 덮개부재가 표시부 상에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20)의 내측에는 상기의 커버부(10), 구체적으로 덮개부재(11)에 제공되는 자석부재(15)와 마주하도록 센서부(25)가 구비된다. 센서부(25)는 본체(20)의 내측에 실장되며, 자성체(30)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자화된 자성체(30)의 자속(magnet flux)을 센싱한다. 센서부(25)는 자속을 센싱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 또는 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sm sensor)는 지자기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지자기의 방향을 직접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 주기로부터 크기를 알 수 있는 센서이다. 또한 자기 센서(magnet)는 자기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자침, 코일형 자기 센서, 고체 자기 센서, 공명형 자기센서 등이 있다. 후술하는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25)는 고체 자기 센서에 속하는 홀 센서(25)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센서부(25)는 홀 센서(25)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며, 극성 및 극성의 크기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센서부(40, 이하 '홀 센서(25)'라 함.)는 본체(20)의 내측에 제공되는 내부회로기판(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홀 센서(25)는 내부회로기판(60)에 직접 실장되어 내부회로기판(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진 않았으나 별도의 연성회로기판(50)을 통해 내부회로기판(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홀 센서(25)는 본체(20)에 제공되는 표시부(21)의 위치에 간섭되지 않으며 자석부재(15)와 마주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홀 센서(25)는 표시부(21)에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가장자리 부분 즉, 베젤 영역 상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홀 센서(25)는 표시부(21)의 좌측 베젤 영역 상에 위치되고, 후술하는 자석부재(15)는 덮개부재(11)의 좌측 가장 자리로 홀 센서(25)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그러나, 홀 센서(25)나 후술하는 자석부재(15)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20)가 본체(10)에 접철된 상태에서 홀 센서(25)가 자석부재(15)와 마주하여 홀 센서(25)가 자석부재(15)의 자속의 감지 값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라면, 홀 센서(25)와 자석부재(15)의 실장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3과 같이, 커버부(10), 구체적으로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를 접철한 상태에서 홀 센서(25)는 자석부재(15)와 가장 근접하게 위치되고, 홀 센서(25)에는 가장 큰 자속의 감지 값이 검출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의 접철된 상태에서 회전하면, 자석부재(15)는 홀 센서(25)와 점점 멀어지게 되고, 홀 센서(25)에 검출되는 자속의 감지 값은 점점 작아지게 된다(도 4참조).
구체적으로, 홀 센서(25)에서 검출되는 값은 제1감지 값(V1)과 제2감지 값(V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감지 값(V1)은 덮개부재(14)가 본체의 전면에 접철되었을 때 감지되는 검출되는 값으로, 본 실시에의 홀 센서(14)가 인지할 수 있는 가장 큰 값이다. 제2감지 값(V2)은 덮개부재(14)가 표시부(21)에서 접철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경우,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에서 소정 간격을 가지게 되었을 때 홀 센서(25)가 인지하는 자석부재(15)의 자력에 대한 감지 값이다. 여기서 '소정 간격'은 덮개부재(11)의 개방 여부를 설정하는 위치이다. 구체적으로 '소정 간격'은 도 4에서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와 'θ'의 각도를 형성할 때의 간격을 일컫는 것으로, '소정 간격'을 기준으로 덮개부재(11)의 개/폐의 여부가 설정된다. 즉,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에 완전하게 접철된 상태에서 소정 간격 사이까지 덮개부재(11)는 표시부에 커버되어 닫혀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에서 소정 간격 이상 멀어지게 되면, 덮개부재(11)는 표시부(21)에서 닫혀 있는 상태에서 오픈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덮개부재(11)가 펼쳐진 오픈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표시부(21)와 소정 간격이 되기 전 까지는 오픈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덮개부재(11)가 소정 간격의 범위에 위치되면 덮개부재(11)는 표시부(21)를 커버하여 닫혀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에서 소정 간격이 되었음은 홀 센서(25) 감지되는 자석부재(15)의 자속의 크기와 관련 있다.
도 6은 도 1에 개시된 단말기에서 센서부에 감지되는 자속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도 1에 개시된 단말기에서, 홀센서의 감지 값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와 접철되면, 자석부재(15)는 홀 센서(25)와 가장 근접하게 마주한다(도 4참조). 자석부재(15)와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홀 센서(25)에는 자석부재(15)의 자속에 따른 가장 큰 자력의 제1감지 값(V1)이 검출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자석부재(15)는 홀 센서(25)와 멀어지고, 홀 센서(25)에 감지되는 자석부재(15)의 자속에 따른 자력의 감지 값이 작아지게 된다. 특히,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에서 'θ'의 각도 가져 '소정 간격' 떨어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홀 센서(25)에 검출되는 감지 값은 제2감지 값(V2)이 된다. 이에, 홀 센서(25)로 검출되는 감지 값 중 제2감지 값(V2)을 기준으로 후술하는 제어부(70)는 덮개부재(11)의 개/폐 여부 및 기능 키 버튼부(22)의 구동 여부를 실행한다.
제어부(70)는 자석부재(15)의 자속을 센싱한 홀 센서(25)의 신호 출력에 따라 상술한 기능 키 버튼부(22)의 구동 유무를 실행하고, 사용자 환경이나 설정된 모드, 구체적으로 슬립모드, 대기모드 등으로 실행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홀 센서(25)에 입력된 신호가 제2감지 값(V2) 이상일 때, 제어부(70)는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를 커버하여 닫혀진 상태로 인지하고, 단말기(100)를 슬립모드로 구동되게 실행하며, 기능 키 버튼부(22)의 구동을 오프되게 실행한다. 여기서 '슬립모드'란 단말기(100)의 전원은 오프되지 않으나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바로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게 휴먼 상태로 구동되는 상태를 일컫는다. 또한, 홀 센서(25)로 입력된 신호가 제2감지 값(V2) 이하일 때, 제어부(70)는 덮개부재(11)가 오픈된 상태로 인지하고, 단말기(100)를 대기모드로 구동되게 실행하며, 기능 키 버튼부(22)의 구동을 온 되게 실행한다. 여기서, '대기모드'라 하면, 휴면 상태로 구동되는 단말기(100)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활성화된 상태를 일컫는다.
도 8은 도 1에 개시된 단말기에서, 홀 센서의 감지 값에 따른 단말기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를 커버한 상태에서, 자석부재(15)와 홀 센서(25)는 최 근접하게 마주하게 된다. 홀 센서(25)는 자석부재(15)의 자속을 감지하되, 본 실시예에서 감지할 수 있는 가장 큰 제1감지 값(V1)이 검출된다. 홀 센서(25)에 감지된 제1감지 값(V1)의 신호는 제어부(70)로 전달된다. 제어부(70)는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에 접철되어 있음으로 인지하고, 표시부(21)로 전원은 인가되지 않고, 단말기(100)를 슬립모드로 구동되게 실행하며, 기능 키 버튼부(22)의 구동을 오프되게 제어한다. 이에 덮개부재(11)가 본체(10)를 커버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능 키 버튼부(22)의 눌림은 인식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홀 센서(25)에 감지되는 감지 값, 즉 전계가 제2감지 값(V2)과 비교하여 제2감지 값(V2)보다 큰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에 커버된 상태로 인지하고, 표시부(21)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실행하고, 단말기(100)를 슬립모드로 구동되게 실행하며, 기능 키 버튼부(22)의 구동을 오프되게 제어한다. 이에 덮개부재(11)가 본체(10)를 커버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능 키 버튼부(22)의 눌림은 인식되지 않는 것이다.
홀 센서(25)에 감지되는 감지 값, 즉 전계가 제2감지 값(V2)과 비교하여 제2감지 값(V2)보다 큰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에 커버된 상태로 인지하고, 표시부(21)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실행하고, 단말기(100)를 슬립모드로 구동되게 실행하며, 기능 키 버튼부(22)의 구동을 오프되게 제어한다. 이에 덮개부재(11)가 본체(10)를 커버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능 키 버튼부(22)의 눌림은 인식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홀 센서(25)에 감지되는 감지 값, 즉 전계가 제2감지 값(V2)과 비교하여 제2감지 값(V2)보다 작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덮개부재(11)가 표시부(21)에서 오픈된 상태로 인지하고, 표시부(21)로 전원을 인가하여 표시부(21)를 온되게 실행하고, 단말기(100)를 대기모드로 구동되게 활성화시키며, 기능 키 버튼부(22)의 구동을 온되게 제어한다. 따라서, 덮개부재(11)가 본체(10)를 커버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능 키 버튼부(22)의 눌림은 비로소 인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보면, 커버부(20)가 본체(10)에 접철된 상태에서 단말기(100)는 슬립모드가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말기(1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기능 키 버튼부(22)의 눌림 시에도 아무런 구동이 인가되지 않아 단말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홀 센서(25)에 검출되는 감지 값에 따라 커버부(20)의 오픈을 인지한 후에 기능 키 버튼부(22)는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10: 커버부 11: 전면 커버, 덮개부재
12: 후면 커버, 배터리 커버 13: 연결부재
15: 자석부재 20: 본체
25: 홀 센서 60: 내부회로기판
70: 제어부 100: 단말기

Claims (13)

  1. 커버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커버하며 자석부재가 구비되는 커버부;
    상기 단말기의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자석부재의 자속(magnet flux)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며 특정 기능을 입력하는 기능 키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 인지되는 특정 크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기능 키 버튼부의 구동은 온/오프되며,
    상기 커버부는 플립 커버로 구비되고,
    상기 플립 커버는,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착탈되는 배터리 커버로 구성된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자석부재가 내장된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후면 커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신호 출력에 따라 상기 기능 키 버튼부 구동의 온/오프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단말기의 전면에 접철되었을 때 감지되는 제1감지 값; 및
    상기 커버부가 상기 단말기의 전면에서 회전되어 소정간격 이격되었을 때 감지되는 제2감지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 값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의 오픈 또는 접철된 상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2감지 값 이하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를 오픈된 상태로 인지하고 상기 기능 키 버튼부의 구동을 온되게 실행하며,
    상기 센서부에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2감지 값 이상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를 상기 단말기에 접철된 상태로 인지하고 상기 기능 키 버튼부의 구동을 오프되게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2감지 값 이상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를 슬립모드로 실행하며,
    상기 센서부에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2감지 값 이하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를 대기모드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지자기 센서 또는 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단말기에 일체형으로 착탈되는 플립 커버 또는 상기 단말기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에 착탈되는 플립커버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의 가장자리에 위치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단말기의 내측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상기 자석부재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11.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일체형으로 탈부착되며, 상기 단말기의 전면과 마주하는 자석부재를 구비하는 플립 커버;
    상기 단말기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부재의 자속(magnet flux)을 센싱하는 홀 센서;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키 버튼; 및
    상기 홀 센서에 인지되는 검출 값에 따라 상기 기능 키 버튼의 구동 여부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단말기의 전면에 접철되었을 때 감지되는 제1감지 값과,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단말기의 전면에서 회전되어 소정간격 이격되었을 때 감지되는 제2감지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 값을 기준으로 상기 플립 커버의 오픈 또는 접철된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기능 키 버튼부의 구동 여부 및 상기 단말기의 구동여부를 실행하며,
    상기 플립 커버는,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착탈되는 배터리 커버로 구성된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자석부재가 내장된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후면 커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12.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의 접철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제공되는 버튼부의 잠금을 설정하는 키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플립 커버로 구비되고
    상기 플립 커버는,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착탈되는 배터리 커버로 구성된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자석부재가 내장된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후면 커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잠금 장치는,
    상기 커버부에 제공되는 자석부재;
    상기 단말기에 제공되고, 상기 자석부재의 자속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감지되는 감지 값에 따라 상기 버튼부의 구동을 온/오프되게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30039501A 2013-04-10 2013-04-10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KR10212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501A KR102129425B1 (ko) 2013-04-10 2013-04-10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501A KR102129425B1 (ko) 2013-04-10 2013-04-10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602A KR20140122602A (ko) 2014-10-20
KR102129425B1 true KR102129425B1 (ko) 2020-07-02

Family

ID=5199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501A KR102129425B1 (ko) 2013-04-10 2013-04-10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177B1 (ko) * 2015-04-21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07786724A (zh) * 2016-08-30 2018-03-09 厦门雅迅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锁定/解锁移动终端的方法
KR20220099407A (ko) * 2021-01-06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41A (ko) * 2000-06-16 2001-12-28 박원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74418B1 (ko) * 2007-11-09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602A (ko) 201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449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rotective cas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787411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over
US9801442B2 (en) Pouch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ceived therein
JP545123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202916762U (zh) 一种具有霍尔器件的电子设备
JP4757647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140134020A (ko)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20066037A (ko) 전자기기
KR102129425B1 (ko)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US20090209306A1 (en) Multi-function slide mechanism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2070600A1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キーロック機能解除方法
CN202916763U (zh) 一种具有霍尔器件的电子设备
KR200478697Y1 (ko)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CN109844682A (zh) 终端控制方法、保护壳及终端
EP2816443B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CA2651471A1 (en) Multi-function slide mechanism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9164760A (ja) 電子機器
KR101463806B1 (ko)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JP567672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6180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13269B1 (ko)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N205581723U (zh) 一种终端保护套和终端
JP2013164867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041372B2 (ja) 端末装置、及び外部装置
KR20200056372A (ko)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