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903B1 - 현장 설치 최적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 - Google Patents

현장 설치 최적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903B1
KR102128903B1 KR1020180038981A KR20180038981A KR102128903B1 KR 102128903 B1 KR102128903 B1 KR 102128903B1 KR 1020180038981 A KR1020180038981 A KR 1020180038981A KR 20180038981 A KR20180038981 A KR 20180038981A KR 102128903 B1 KR102128903 B1 KR 102128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late
plate
flange
composite beam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814A (ko
Inventor
김형섭
강병구
Original Assignee
(주)씨지스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지스플랜 filed Critical (주)씨지스플랜
Priority to KR102018003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90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가 미리 설치된 보조 플랜지를 합성보에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 및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합성보의 어느 한 측판을 이루는 제1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합성보의 다른 쪽 측판을 이루는 제2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와 결합하여 합성보의 바닥을 이루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내측에 결합하는 제1 보조 플랜지; 및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내측에 결합하는 제2 보조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합성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장 설치 최적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composite beam assembly for field installation}
본 발명은 조립식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가 미리 설치된 보조 플랜지를 합성보에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합성보 생산은 거의 냉간 성형에 의존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주사용 자재인 철판을 감은 코일을 성형기에 넣어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며 이는 자재의 손실(loss)을 최소화하고 빠른 생산을 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제품을 규격화한 사이즈의 제품이 아닌 비규격 사이즈 자재를 사용하게 되고 그로 인한 재고 확보로 인해 원가 상승, 기계의 과도한 투자로 인한 생산비 및 금융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제품이 위와 같은 이유로 대형업체가 독점 생산권을 가지고 있는 형태가 대부분이어서, 경쟁이 없는 상태에서의 이윤적용으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종래의 단일 성형기에서 나오는 제품은 그 생산의 한계가 있기에 여러 현장이 동시에 발주가 들어가는 경우, 사실상 납기준수가 매우 곤란한 것이 현실이며 발주자가 생산자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종래의 합성보는 냉간 성형 제품을 용접에 의해 사용하고 있으나, 냉간 성형시 판재의 뒤틀림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용접을 사용할 경우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용접 합성보는 대형보에 사용할 경우, 휨을 받는 압축강재 요소의 판폭 두께비의 제한 규정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4515호 공고일자 2014년06월27일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267호 공고일자 2012년09월27일
본 발명은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가 미리 설치된 보조 플랜지를 합성보에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합성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장 설치 최적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는, 상단에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 및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합성보의 어느 한 측판을 이루는 제1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합성보의 다른 쪽 측판을 이루는 제2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와 결합하여 합성보의 바닥을 이루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내측에 결합하는 제1 보조 플랜지; 및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내측에 결합하는 제2 보조 플랜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보조 플랜지 및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는 각각, ㄱ형 강재로서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보조 플랜지 및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는 각각,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웨브와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보조 플랜지 및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는 각각,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에 대응되는 수평부에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1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는 각각, 내측면에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고정을 위한 브라켓을 구비하고, 볼트/너트 체결에 의해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 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제1 고정 걸이;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제2 고정걸이; 및 상기 제1 고정걸이와 상기 제2 고정걸이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걸이 및 상기 제2 고정걸이는, 결합하는 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U자형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1 고정걸이 및 상기 제2 고정걸이는, 결합하는 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고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장 설치 최적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에 의하면,
첫째, 제1 보조 플랜지의 수평부가 상부 플랜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결합되므로, 상부 플랜지의 돌출 길이를 확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제1 보조 플랜지 결합에 의해 수평부가 상부 플랜지의 돌출 길이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수평부에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를 설치할 수 있다.
셋째, 공장에서 제1 보조 플랜지의 수평부에 다수의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를 고정시키고, 현장으로 이송하여 제1 보조 플랜지를 제1 웨브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현장 설치 최적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고정 플레이트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고정 플레이트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10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 제2 웨브 플레이트(200), 하부 플레이트(300), 제1 보조 플랜지(500) 및 제2 보조 플랜지(400)를 포함한다.
제1 웨브 플레이트(100)는 상단에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130) 및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120)를 구비하고, 상부 플랜지(130)와 하부 플랜지(120)를 잇는 웨브(110)를 포함한다.
상부 플랜지(130), 웨브(110) 및 하부 플랜지(120)는 일체형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웨브 플레이트(100)는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웨브 플레이트(2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합성보의 다른 쪽 측판을 이룬다.
제2 웨브 플레이트(200)는 상단에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230) 및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220)를 구비하고, 상부 플랜지(230)와 하부 플랜지(220)를 잇는 웨브(210)를 포함한다. 제2 웨브 플레이트(200) 또한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3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하부 플랜지(120) 및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하부 플랜지(220)와 결합하여 합성보(1000)의 바닥을 이룬다.
이때,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하부 플랜지(120) 및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하부 플랜지(220)와 볼트(B)/너트(N)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와셔는 간결한 도시를 위해 생략되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볼트(B)가 합성보(10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너트(N)와 결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 형태 가운데 하나일 뿐으로서, 볼트(B)의 삽입 방향은 실시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실시자에 따라 하부 플레이트(300)를 보강하기 위해 하부 플레이트(300)와 하부 플랜지(120, 220)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300)에 하나 또는 다수의 보강 철근(미도시)이 하부 플레이트(300) 길이 방향으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보조 플랜지(5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상단 내측에 결합하는 ㄱ형 강재로서, 상부 플랜지(130)의 돌출 길이를 보조하는 목적으로 구비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보조 플랜지(500)는 수평부(510) 및 수직부(510)이 직각으로 결합하는 형태로서,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ㄱ 형태로 생산된 형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제2 보조 플랜지(400)는 제1 보조 플랜지(500)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상단 내측에 결합한다.
제1 보조 플랜지(500) 및 제2 보조 플랜지(400)는 각각 제1 웨브 플레이트(100) 및 제2 웨브 플레이(200)트의 웨브(110, 210)와 볼트(B)/너트(N)에 의한 체결 결합한다. 이때, 실시자에 따라 결합 부분에 용접(W) 보강이 더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c 및 도 2d의 예와 같이 실시자에 따라 볼트(B)/너트(N)에 의한 체결 결합 없이 용접(W)만으로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보조 플랜지(400)는 제1 보조 플랜지(500)와 동일한 목적을 가지며, 형태 또한 대칭되는 것이므로,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제1 보조 플랜지(500)와 제1 웨브 플레이트(1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볼트(B)가 합성보(10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너트(N)와 결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 형태 가운데 하나일 뿐으로서, 볼트(B)의 삽입 방향은 실시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 보조 플랜지(500)는 ㄱ형 강재로서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상부 플랜지(13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결합된다.
즉, 제1 보조 플랜지(500)의 수평부(510)가 상부 플랜지(13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결합되어, 상부 플랜지(130)의 돌출 길이를 확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웨브 플레이트(100)를 강재를 절곡하여 형성할 때 판폭 두께 비(L/T)에 의해 상부 플랜지(130)의 돌출 길이(L)을 일정 길이 이상 길게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일 예로, 4.5T 강재의 경우 L은 60mm 이하로 형성하고, 6T 강재의 경우 L은 80mm 이하로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상부 플랜지(130)는 데크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L이 60mm 또는 80mm 이하인 경우 데크는 지지 가능하나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S)를 설치할 길이는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제1 보조 플랜지(500) 결합에 의해 수평부(510)가 상부 플랜지(130)의 돌출 길이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수평부(510)에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S)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보조 플랜지(500) 및 제2 보조 플랜지(400)는 각각,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상부 플랜지(130) 및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상부 플랜지(230)에 대응되는 수평부(510, 410)에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S)를 복수개 구비한다.
즉, 공장에서 제1 보조 플랜지(500)의 수평부(510)에 다수의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S)를 고정시키고, 이송 후 현장에서 제1 보조 플랜지(500)를 제1 웨브 플레이트(100)를 결합하여 현장 설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조 플랜지(500) 및 제2 보조 플랜지(400)는 각각, ㄱ형 강재로서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상부 플랜지(130) 및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상부 플랜지(23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결합되되, 각각의 수직부(420, 520) 끝 부분이 상부 플랜지(130, 23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결합한다.
제1 보조 플랜지(500) 및 제2 보조 플랜지(400)는 각각 제1 웨브 플레이트(100) 및 제2 웨브 플레이(200)트의 웨브(110, 210)와 볼트(B)/너트(N)에 의한 체결 결합한다. 이때, 실시자에 따라 결합 부분에 용접(W) 보강이 더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자에 따라 볼트(B)/너트(N)에 의한 체결 결합없이 용접(W)만으로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웨브 플레이트(200)를 예를 들면 웨브(210) 내측면에 제2 보조 플랜지(400)의 수직부(420)가 접하는 형태로 결합하여 ㄱ 형태에 ㄴ형태가 접하는 모습으로 결합한다.
제1 보조 플랜지(500) 및 제2 보조 플랜지(400)는 각각, 수평부(510, 410)에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S)를 복수개 구비한다.
이때 스터드 볼트(S')는 합성보(1000)의 상면으로 올라오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직부(420)의 길이보다 긴 스터드 볼트(S')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식 합성보(10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1 고정 플레이트(600)을 더 포함한다.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제2 웨브 플레이트(200)는 조립식 합성보에서 상부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인력 또는 장력을 지지하는 역할 보다는 거푸집에 가까운 역할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보의 하측에 인가되는 장력은 하부 플레이트(300)에 의해 지지되며, 인력은 합성보 내부에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에 의해 지지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강재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제2 웨브 플레이트(200)는 4.5T 내지 6T의 강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데, 합성보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타설된 콘트리트의 자중에 의해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제2 웨브 플레이트(200)가 벌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플레이트(600)의 고정을 위해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제2 웨브 플레이트(200)는 각각, 내측면에 제1 고정 플레이(600)트 고정을 위한 브라켓(140, 240)을 구비하고, 브라켓(140, 240)과 볼트/너트 체결에 의해 제1 고정 플레이트(600)를 고정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300)와 제1 웨브 플레이트(100) 또는, 하부 플레이트(300)와 제2 웨브 플레이트(20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 플레이트(700, 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플레이트(700)는 하부 플레이트(300)에 결합하는 제1 고정 걸이(730), 제1 웨브 플레이트(100) 또는 제2 웨브 플레이트(200)에 결합하는 제2 고정걸이(710) 및 제1 고정걸이(710)와 제2 고정걸이(730)를 연결하는 연결바(720)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고정 플레이트(700)는 도 5의 (a)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1 고정걸이(710) 및 제2 고정걸이(730)에 결합하는 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U자형 홈(H')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2 고정 플레이트(700')는 제1 고정걸이(710') 및 제2 고정걸이(730')에 결합하는 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고정홀(H)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고정걸이(710)에는 U자형 홈(H')이 구비되고, 제2 고정걸이(730)에는 고정홀(H)이 구비되는 형태 또는 제1 고정걸이(710)에는 고정홀(H)이 구비되고, 제2 고정걸이(730)에는 U자형 홈(H')이 구비되는 형태로 제2 고정 플레이트가 실시될 수있다.
제1 고정걸이(710, 710')은 제1 보조플랜지(500)가 웨브(100)와 결합하기 위해 구비되는 볼트/너트에 함깨 체결되는 형식으로 고정되며,
제2 고정걸이(730, 730')은 하부 플레이트(300)과 하부 플랜지(120, 130)과 결합하기 위해 구비되는 볼트/너트에 함깨 체결되는 형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 플레이트(700)는 도 5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엇갈 형태로 구비되어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제2 웨브 플레이트(20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2 고정 플레이트(700)는 제1 고정 플레이트(600)와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 생략하였으나 제2 고정 플레이트(700) 및 제1 고정 플레이트(600)는 각각 또는 함께 사용되는 형태로 도 2b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조립식 합성보
100 : 제1 웨브 플레이트 200 : 제2 웨브 플레이트
300 : 하부 플레이트 400 : 제1 보조 플랜지
500 : 제2 보조 플랜지 600 : 제1 고정 플레이트
700 : 제2 고정 플레이트

Claims (5)

  1. 상단에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 및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합성보의 어느 한 측판을 이루는 제1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합성보의 다른 쪽 측판을 이루는 제2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와 결합하여 합성보의 바닥을 이루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내측에 결합하는 제1 보조 플랜지; 및
    상기 제1 보조 플랜지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내측에 결합하는 제2 보조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플랜지 및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는 각각,
    ㄱ형 강재로서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보조 플랜지 및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는 각각,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웨브와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 결합하고,
    상기 제1 보조 플랜지 및 상기 제2 보조 플랜지는 각각,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에 대응되는 수평부에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제1 고정 걸이;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제2 고정걸이 및 제1 고정걸이; 및
    상기 제2 고정걸이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걸이는,
    상기 제1 보조플랜지가 상기 웨브와 결합하기 위해 구비되는 볼트/너트에 함깨 체결되는 형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걸이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랜지와 결합하기 위해 구비되는 볼트/너트에 함깨 체결되는 형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는 엇갈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제2 웨브 플레이트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합성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38981A 2018-04-04 2018-04-04 현장 설치 최적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 KR102128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981A KR102128903B1 (ko) 2018-04-04 2018-04-04 현장 설치 최적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981A KR102128903B1 (ko) 2018-04-04 2018-04-04 현장 설치 최적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814A KR20190115814A (ko) 2019-10-14
KR102128903B1 true KR102128903B1 (ko) 2020-07-01

Family

ID=6817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981A KR102128903B1 (ko) 2018-04-04 2018-04-04 현장 설치 최적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264B1 (ko) * 2020-01-08 2021-10-07 (주)센벡스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판 조립보
KR102314861B1 (ko) 2020-05-08 2021-10-18 염경수 무바닥판 커플채널 합성거더
KR102395079B1 (ko) 2020-06-01 2022-05-04 염경수 무바닥판 커플채널 합성거더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450003B1 (ko) 2020-11-19 2022-10-04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합성거더 조립체
WO2024138227A1 (en) * 2022-12-23 2024-06-27 Chada Venugopal Framing member, construction pane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3950A (ja) * 2008-04-24 2009-11-12 Hitachi Metals Techno Ltd サイドプレートおよび柱と梁との接合構造
KR101492377B1 (ko) * 2014-07-29 2015-02-12 강병구 조립식 합성보
KR101512944B1 (ko) * 2014-08-27 2015-04-16 강병구 조립식 대형 합성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324A (ko) * 2011-10-20 2013-04-30 채일수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101186267B1 (ko) 2012-02-06 2012-09-27 김재학 하이브리드 합성보
KR20130100665A (ko) 2012-03-02 2013-09-11 이창남 3조각 하이브리드 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3950A (ja) * 2008-04-24 2009-11-12 Hitachi Metals Techno Ltd サイドプレートおよび柱と梁との接合構造
KR101492377B1 (ko) * 2014-07-29 2015-02-12 강병구 조립식 합성보
KR101512944B1 (ko) * 2014-08-27 2015-04-16 강병구 조립식 대형 합성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814A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903B1 (ko) 현장 설치 최적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
KR102054255B1 (ko) 용접 최소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
KR101492377B1 (ko) 조립식 합성보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449387B1 (ko) 조립식 다단 합성보
WO2009011516A2 (en) Form with reinforcing bars, non-support form system and non-suppor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713862B1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2144476B1 (ko) 모듈형 강판 거푸집
KR20150078249A (ko)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62853B1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KR101636246B1 (ko) 강판-pc 복합보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460363B1 (ko) 거푸집 고정용 십자조인트
KR101766810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0814379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0203016B1 (ko) 일체식 보거푸집
KR100906156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766809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1766808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2065623B1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KR101375382B1 (ko) 프리캐스트 무거푸집 합성보 및 이의 제조공법
KR101717624B1 (ko) 하부플랜지가 배제된 강합성빔과 그 시공방법
KR102465099B1 (ko) 트러스거더가 합성된 보 거푸집 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766811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1834423B1 (ko) 변단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보
KR101347556B1 (ko) 복부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제작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