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738B1 -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738B1
KR102127738B1 KR1020190168514A KR20190168514A KR102127738B1 KR 102127738 B1 KR102127738 B1 KR 102127738B1 KR 1020190168514 A KR1020190168514 A KR 1020190168514A KR 20190168514 A KR20190168514 A KR 20190168514A KR 102127738 B1 KR102127738 B1 KR 10212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topper
vehicle
integrated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범수
박기범
Original Assignee
여범수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범수, 박기범 filed Critical 여범수
Priority to KR102019016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이용하여 주차 정보를 생성한 후 저장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이용하여 출차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주차 정보 및 상기 출차 정보가 대응되면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요금을 산출한 후 이동형 주차 스토퍼에 주차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미리 등록된 통합 주차권의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주차 요금을 정산하는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 주차 공간의 바닥 후방에 설치되며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면 주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된 후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면 출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 및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관리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경우,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통해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에 주차를 하는 차량의 사용자가 보유하는 경우, 주차권 구매 절차를 통해 통합 주차권을 발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METHOD OF MANAGING PARKING CHARGE USING PARKING STOPPER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공간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설치하여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빌딩 및 대형건물의 주차장에는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구획선을 설정하여 주차구획선 후미에는 자동차가 주차구획선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시설보완책으로 주차장 바닥에 주차블록을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차량 주차 시 단위구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차구역 끝단에 설치되는 주차 스토퍼는 차량이 구획된 주차장에 전 후진 시 정확한 거리 측정 없이도 서서히 진행하다 보면 주차 스토퍼에 부딪히는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제공되어 주차에 편리함을 주고자 하는 기능을 갖는다.
종래의 주차용 주차블록의 재질은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로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차 주차용 주차블록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앙카볼트를 바닥면에 고정시키고 주차블록 본체를 앵커볼트에 체결너트로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주차블록이 사다리꼴의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1~2대의 차량이 주차 가능한 공터를 주차장으로 사용하여 수입을 창출하려고 하는 경우, 공터에 주차용 주차블록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 비용이 발생하며, 1~2대의 차량의 주차 관제를 위해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주차 관리자를 별도로 영입해야 하기 때문에 투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30130호는 주차장 교환이용 방법, 이를 이용한 주차관제장치 및 주차장 교환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둘 이상의 주차장을 서로 교환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공간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설치하여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하는 차량의 주차 요금을 통합 주차권을 이용하여 정산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소유자는 별도의 주차 요금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고 차량의 소유자는 자동으로 주차 요금을 정산할 수 있어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이용하여 주차 정보를 생성한 후 저장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이용하여 출차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주차 정보 및 상기 출차 정보가 대응되면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요금을 산출한 후 이동형 주차 스토퍼에 주차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미리 등록된 통합 주차권의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주차 요금을 정산하는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 주차 공간의 바닥 후방에 설치되며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면 주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된 후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면 출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 및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관리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경우,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통해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에 주차를 하는 차량의 사용자가 보유하는 경우, 주차권 구매 절차를 통해 통합 주차권을 발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방법은 이동형 주차 스토퍼가 주차 공간의 바닥 후방에 설치되며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면 주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이용하여 주차 정보를 생성한 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가 상기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된 후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면 출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이용하여 출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 정보 및 상기 출차 정보가 대응되면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요금을 산출한 후 이동형 주차 스토퍼에 주차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미리 등록된 통합 주차권의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주차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관리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경우,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통해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에 주차를 하는 차량의 사용자가 보유하는 경우, 주차권 구매 절차를 통해 통합 주차권을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공간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설치하여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 스토퍼를 이용하는 차량의 주차 요금을 통합 주차권을 이용하여 정산할 수 있도록 하여 주차 스토퍼의 소유자는 별도의 주차 요금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고 차량의 소유자는 자동으로 주차 요금을 정산할 수 있어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요금 통합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기반의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에 주차하는 차량의 주차 요금을 통합 관리하는 서버이다.
이를 위해,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300)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제공한 후,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통해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별로 저장한다.
따라서,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에 등록한 후 특정 공간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를 형성함으로써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를 형성하여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를 사용하는 차량을 인식하여 주차 요금을 징수한다.
이를 위해,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300)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 별 주차 금액 산출 기준을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주차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특정 공간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에 위치하는 다른 유료 주차장의 주차 금액 산출 기준을 추천한다.
먼저,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로부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의 주차 완료 메시지의 수신 시간은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에 주차한 차량의 주차 시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으로부터 수신된 주차 완료 메시지에서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때,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가 사용되는 위치 정보가 수신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미리 저장된 이동형 주차 스토퍼 별 위치 정보 및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로부터 수신된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한 후,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위치 정보,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주차 시간을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로부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의 출차 완료 메시지의 수신 시간은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에 주차한 차량의 주차 시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출차 완료 메시지에서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위치 정보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때,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 각각의 위치 정보가 미리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미리 저장된 이동형 주차 스토퍼 별 위치 정보 및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이 출차된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로부터 수신된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한 후,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차량의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주차 시간을 추출한 후, 주차 시간 및 출차 시간을 이용하여 주차 시간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 별 주차 금액 산출 기준 및 주차 시간을 이용하여 주차 금액을 산출한다.
상기와 같이,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주차 금액을 산출한 후,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주차 금액에 대한 결제를 진행한 후 주차 금액에 따라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갱신한다.
이를 위해,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500)에 통합 주차권 구매 절차를 전송한 후 상기 통합 주차권 구매 절차를 통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이 선택되면 결제를 실행한 후 통합 주차권을 발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한다.
그 후,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통합 주차권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대응시켜 저장한다. 따라서,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통합 주차권 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추출한 후,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주차 금액의 결제를 처리한 후,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갱신한다.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특정 공간에 위치하여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는 시중에 나와있는 규격화된 스토퍼일 수 있으며, 그 재질 및 형상 등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특정 공간의 내측 후방 지면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는 주차 공간의 바닥 후방에 설치되고 차량이 감지되면, 주차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한 후,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포함하는 주차 완료 메시지를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이때,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는 감지 센서를 통해 차량이 주차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차량이 주차가 완료되기 이전에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는 감지 센서를 통해 차량이 출차되는 것으로 감지되면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한 후,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포함하는 출차 완료 메시지를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이러한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는 이하의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를 관리하는 사용자 또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에 주차를 하는 차량의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테블릿 PC, 스마트 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이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에 주차를 하는 차량의 사용자가 보유하는 경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통합 주차권 구매 절차를 수신하고, 통합 주차권 구매 절차를 통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이 선택되면 결제를 실행한 후 통합 주차권을 발행받는다. 이때, 통합 주차권은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에 등록된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에 주차 시 주차 요금을 통합하여 결제할 수 있는 주차권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300)이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를 관리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경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수신하고,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통해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제공하여 주차 스포터(200)를 등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는 본체(210), 감지 센서(220), 태양광 전지판(230), 통신부(240), 전원부(250),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260_1, 260_2) 및 제어기(270)를 포함한다.
상기의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특정 공간에 위치하여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는 시중에 나와있는 규격화된 스토퍼일 수 있으며, 그 재질 및 형상 등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특정 공간의 내측 후방 지면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210)는 주차 공간의 바닥 후방에 설치되고 차량의 바퀴 진행을 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블록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210)의 저부에는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 일부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제어기(270)와 전원부(250) 및 기타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태양광 전지판(230)은 본체(210)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한 후, 에너지를 전원부(250)에 공급하여 전원부(250)를 충전한다.
감지 센서(220)는 본체(21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접근과 접근거리(접근정도) 및 주차 유무를 감지하여 공간부(240)의 제어기(270)로 감지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 센서(220)는 움직이는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면 차량이 주차중이라고 판단하여 차량 주차 감지 정보를 제어기(27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감지 센서(220)는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된 후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면 차량이 출차중이라고 판단하여 차량 출차 감지 정보를 제어기(27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감지 센서(220)는 차량의 접근과 접근거리 및 주차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Ir), 투/수광 방식의 근접센서(또는 근접스위치), 또는 초음파 송/수신 방식의 근접센서(또는 근접스위치), 정전용량 방식의 근접센서(또는 근접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250)는 외부 전원 공급없이 독자적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함으로써, 외부 전원선이 불필요하여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다.
상기의 전원부(25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주차 감지 기능 및 통신 기능이 수 개월 ~ 수십 개월까지 충분히 동작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예컨대, 수십 A ~ 백 수십 A의 용량)의 배터리가 바람직하다.
전원부(250)는 태양광 전지판(230)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원을 충전한다.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260_1, 260_2)는 제어기(27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한 후 번호판 이미지를 통신부(270)를 통해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제어기(270)는 감지 센서(220)로부터 차량 주차 감지 정보 또는 차량 출차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260_1, 260_2)에 번호판 이미지 생성 요청 신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70)는 감지 센서(220)로부터 차량 주차 감지 정보를 수신한 후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260_1, 260_2)에 번호판 이미지 생성 요청 신호를 제공하고,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260_1, 260_2) 각각으로부터 번호판 이미지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제어기(27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번호판 이미지를 포함하는 주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240)를 통해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70)는 감지 센서(220)로부터 차량 출차 감지 정보를 수신한 후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260_1, 260_2)에 번호판 이미지 생성 요청 신호를 제공하고,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260_1, 260_2) 각각으로부터 번호판 이미지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제어기(27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번호판 이미지를 포함하는 출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240)를 통해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메시지 분석부(110), 주차장 통합 요금 관리부(120),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130), 통합 주차권 관리 데이터베이스(140), 통합 주차권 사용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50) 및 수익 분배부(160)를 포함한다.
메시지 분석부(11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로부터 주차 완료 메시지 또는 출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차 완료 메시지 또는 출차 완료 메시지를 분석한다. 상기의 주차 완료 메시지의 수신 시간은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에 주차한 차량의 주차 시간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의 출차 완료 메시지의 수신 시간은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에 주차한 차량의 주차 시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분석부(11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로부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차 완료 메시지에서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고 주차 완료 메시지의 수신 시간을 주차 시간으로 결정한다. 그 후, 메시지 분석부(110)는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추출한 후,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차량 번호 및 주차 시간을 주차장 통합 요금 관리부(120)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에에서, 메시지 분석부(110)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로부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차 완료 메시지에서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고 출차 완료 메시지의 수신 시간을 출차 시간으로 결정한다. 그 후, 메시지 분석부(110)는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추출한 후,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차량 번호 및 출차 시간을 주차장 통합 요금 관리부(120)에 제공한다.
주차장 통합 요금 관리부(120)는 메시지 분석부(1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장 통합 요금을 관리한다.
먼저, 주차장 통합 요금 관리부(120)는 메시지 분석부(110)로부터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차량 번호 및 주차 시간을 수신하면,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 차량 번호 및 주차 시간을 저장한다.
그 후, 주차장 통합 요금 관리부(120)는 메시지 분석부(110)로부터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차량 번호 및 출차 시간을 수신하면,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주차 정보가 존재하면 차량의 주차 시간 및 출차 시간을 이용하여 주차 금액을 산출한다.
상기와 같이, 주차장 통합 요금 관리부(120)는 주차 금액을 산출한 후, 통합 주차권 관리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추출하고,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주차 시간에 해당하는 주차 금액에 대한 결제를 진행한 후 주차 금액에 따라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갱신한다.
또한, 주차장 통합 요금 관리부(120)는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주차 시간에 해당하는 주차 금액에 대한 결제를 진행한 후 통합 주차권 사용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50)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사용 금액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통합 주차권 사용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통합 주차권을 이용하여 주차 금액을 정산한 후 특정 기간 간격으로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소유주에게 수익을 배분하기 위해서이다.
수익 분배부(160)는 통합 주차권 사용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50)를 이용하여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의 소유주에게 수익을 배분한다.
수익 분배부(160)는 통합 주차권 사용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50)에서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사용 금액을 추출한 후, 통합 주차권 사용 금액 중 특정 금액을 수수료로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주차 스포터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에 입금처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요금 통합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는 주차 공간의 바닥 후방에 설치되며 차량까지의 거리를 산출한 후(단계 S505),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면(단계 S510) 주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단계 S515).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이용하여 주차 정보를 생성한 후 저장한다(단계 S520).
이동형 주차 스토퍼(200)는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되면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 후(단계 S523), 차이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면(단계 S525), 출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단계 S530).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이용하여 출차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535).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주차 정보 및 상기 출차 정보가 대응되면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요금을 산출한 후(단계 S540), 이동형 주차 스토퍼에 주차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미리 등록된 통합 주차권의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주차 요금을 정산한다(단계 S54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
110: 메시지 분석부
120: 주차장 통합 요금 관리부
130: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
140: 통합 주차권 관리 데이터베이스
150: 통합 주차권 사용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
160: 수익 분배부
200: 이동형 주차 스토퍼
210: 본체
220: 감지 센서
230: 태양광 전지판
240: 통신부
250: 전원부
260_1, 260_2: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
270: 제어기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제공한 후,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통해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별로 저장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 별 주차 금액 산출 기준을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주차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특정 공간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에 위치하는 다른 유료 주차장의 주차 금액 산출 기준을 추천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차 완료 메시지에서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차량 번호판 이미지에서 추출한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주차 완료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따라 결정된 주차 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출차 완료 메시지에서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차량 번호판 이미지에서 추출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주차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차량의 주차 시간, 상기 출차 완료 메시지의 수신 시간 및 주차 금액 산출 기준에 따라 결정된 출차 시간을 이용하여 주차 금액을 산출하고, 통합 주차권 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추출한 후,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주차 금액의 결제를 처리하고, 주차 금액에 대한 결제를 진행한 후 통합 주차권 사용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사용 금액을 저장하고, 상기 통합 주차권 사용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사용 금액을 추출한 후, 통합 주차권 사용 금액 중 특정 금액을 수수료로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에 입금처리하는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
    주차 공간의 바닥 후방에 설치되며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면 주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된 후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면 출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 및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관리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경우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형성하여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통해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에 주차를 하는 차량의 사용자가 보유하는 경우,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합 주차권 구매 절차를 통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입력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는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공간의 바닥 후방에 설치되고 차량의 바퀴 진행을 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블록형으로 구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 전지판, 상기 본체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 움직이는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면 차량이 주차중이라고 판단하여 차량 주차 감지 정보를 제공하거나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된 후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면 차량이 출차중이라고 판단하여 차량 출차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감지 센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한 후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하는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차량 주차 감지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에 번호판 이미지 생성 요청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 각각으로부터 번호판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번호판 이미지를 포함하는 주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차량 출차 감지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에 번호판 이미지 생성 요청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 각각으로부터 번호판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번호판 이미지를 포함하는 출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형성하여 특정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동형 주차 스토퍼 등록 요청 절차를 통해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에 이동형 주차 스토퍼 별 주차 금액 산출 기준을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주차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특정 공간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에 위치하는 다른 유료 주차장의 주차 금액 산출 기준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가 주차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특정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가 등록된 후, 상기 주차 공간의 바닥 후방에 설치되며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면 주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주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차 완료 메시지에서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차량 번호판 이미지에서 추출한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주차 완료 메시지의 수신 시간에 따라 결정된 주차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가 상기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된 후 차량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면 출차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로부터 출차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출차 완료 메시지에서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및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차량 번호판 이미지에서 추출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주차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차량의 주차 시간, 상기 출차 완료 메시지의 수신 시간 및 주차 금액 산출 기준에 따라 결정된 출차 시간을 이용하여 주차 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가 통합 주차권 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추출한 후,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주차 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주차 요금 통합 관리 서버가 주차 금액에 대한 결제를 진행한 후 통합 주차권 사용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사용 금액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주차권 사용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동형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사용 금액을 추출한 후, 통합 주차권 사용 금액 중 특정 금액을 수수료로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주차 스토퍼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에 입금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68514A 2019-12-17 2019-12-17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12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514A KR102127738B1 (ko) 2019-12-17 2019-12-17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514A KR102127738B1 (ko) 2019-12-17 2019-12-17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738B1 true KR102127738B1 (ko) 2020-06-29

Family

ID=7140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514A KR102127738B1 (ko) 2019-12-17 2019-12-17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567B1 (ko) * 2022-09-08 2023-12-08 주식회사 글로벌이엔씨 예약 주차 가이드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카스토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927B1 (ko) * 2014-07-30 2015-04-23 김경숙 차량 번호 인식이 가능한 주차 블록을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KR20160150280A (ko) * 2016-11-21 2016-12-29 (주) 하나텍시스템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KR101766858B1 (ko) * 2016-06-20 2017-08-09 신덕유 가상화폐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927B1 (ko) * 2014-07-30 2015-04-23 김경숙 차량 번호 인식이 가능한 주차 블록을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KR101766858B1 (ko) * 2016-06-20 2017-08-09 신덕유 가상화폐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50280A (ko) * 2016-11-21 2016-12-29 (주) 하나텍시스템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567B1 (ko) * 2022-09-08 2023-12-08 주식회사 글로벌이엔씨 예약 주차 가이드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카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6723B2 (en) Parking fee char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5788777U (zh) 一种用于路边停车的欠费车辆限制系统
US7667619B2 (en) Parking violation surveillance system
US7104447B1 (en) Parking meters, systems and methods of parking enforcement
KR101407152B1 (ko) 유료 주차 시스템 및 방법
CN109949605B (zh) 一种共享车位控制系统及其工作方法
US76795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traffic ticket printing parking meters
CN108460472B (zh) 一种汽车在互联网中智能应用管理系统
CN107967817A (zh) 基于多路摄像头深度学习的停车场智能管理系统及方法
WO2018014731A1 (zh) 路边停车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09191598B (zh) 车位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CN110619751A (zh) 一种基于云服务器的智能停车管理系统
US20060250277A1 (en) Public service system
CN106097762A (zh) 一种车辆信息采集系统和管理系统
US7002487B1 (en) Parking violation surveillance system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CN111540072B (zh) 一种车位管理服务方法、设备及系统
KR20130090207A (ko)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예약 방법 및 그 예약 시스템
CN106846510A (zh) 一种基于重量压力感应的智慧驻车管理方法及系统
KR101268904B1 (ko) 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US20150142534A1 (en) Vehicle parking
KR102119716B1 (ko) 블록 체인 기반의 전자 쿠폰 사용 수익 분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127738B1 (ko) 이동형 주차 스토퍼를 이용한 통합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N105427389A (zh) 一种道路快速停车方法以及城市道路停车管理方法
CN206773768U (zh) 一种基于无人的停车场收费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