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493B1 -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 제작 - Google Patents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 제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493B1
KR102127493B1 KR1020190043837A KR20190043837A KR102127493B1 KR 102127493 B1 KR102127493 B1 KR 102127493B1 KR 1020190043837 A KR1020190043837 A KR 1020190043837A KR 20190043837 A KR20190043837 A KR 20190043837A KR 102127493 B1 KR102127493 B1 KR 10212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iving groove
electrode
voic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0012A (ko
Inventor
김경순
Original Assignee
대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10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플러그 내장형 음성유도기는 음성유도 기능을 위한 여러 전자부품들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수용되며, 콘센트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플러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 제작{A voice induction system with power plug}
본 발명은 교통약자편의시설의 하나인 음성유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센트종류(매입형, 노출형)에 대응 가능한 플러그를 음성유도기 본체 후면커버에 내장시키는 음성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음성유도기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과 교통약자의이동편의증진법 및 시행령에 근거하여 설치되는 음성유도기는 리모콘으로 동작하는 시설로, 시각장애인이 이동할 때 철도역사 및 지하철 , 버스 및 택시 정류장 등의 대중여객시설과 건물의 입구나 현관 및 각종 목표지점 등의 특정지점이나 시설에 설치하여 음성 출력을 통해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목적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 안내 장치이다.
현재 철도역사나 지하철역사, 경전철역사에 적게는 10여대 많게는 60여대의 음성유도기가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다.
음성유도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코드와 플러그가 필요하며, 이는 전기 분야에서 설치한 콘센트에 연결하여야 음성유도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콘센트(Concentric plug)는 전기 배선에 설치하는 일종의 접속 기구로 전기 ·전자 기기의 사용을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plug)를 삽입하는 기구이다.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무용기기, 컴퓨터, 네트워크스위치, 오디오, 비디오, 음성유도기 등 각종 전자정보통신기기의 제품은 전원콘센트에 플러그를 연결하면서 1차적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있다. 콘센트의 구조는 브라켓, 몸체,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지 단자 유무에 따라 접지형콘센트, 무접지형콘센트로 구분되며, 벽체나 기둥에 노출 유무에 따라 노출형콘센트와 매입형콘센트로 구분된다. 국가별 콘센트 규격은 A형에서부터 M형까지 다양한 종류가 국가기준에 따라 사용된다. 우리나라는 C 또는 F형 플러그 규격(KSC 8305)을 이용한다. KS규격은 코드 비교환형 플러그 전용의 2핀 콘센트의 경우 정격전압은 130V 또는 250V, 정격전류는 2.5A, 플러그 전용의 2핀 콘센트의 경우 정격전압은 130V 또는 250V, 정격전류는 6A이다.
우리나라의 플러그는 표준 IEC/EN 60884, KSC 830을 위한 250V 3A에 정격을 사용한다. 색은 흰색 또는 검정 또는 다른 사용자 정의 색상을 사용한다. 따라서 음성유도기 본체에 내장시켜 제작할 플러그는 전술한 KSC 8305 규격에 따라 제작한다.
음성유도기 본체를 벽체나 기둥에 설치하고, 전원코드가 노출 설치되는데에 따른 미관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 제작하는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기존에 상용화 되어 설치 운영되고 있는 음성유도기는 벽체나 기둥에 고정하기 위하여 칼블럭이나 직결피스를 사용하여 설치하여 왔으나, 석재나 대리석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설치를 위하여 타공시 벽체의 파손우려가 크며, 벽체의 시공주체인 건축분야와 파손에 따른 자재추가 구매 및 배상과 관련하여 현장민원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철도 지상 승강장 기둥은 열차풍압과 강풍이나 폭설에 대비하여 두꺼운 강관주를 사용하기 때문에 음성유도기 본체를 고정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에 있었다. 또한 음성유도기 본체의 전원코드가 노출되어 콘센트에 연결되기 때문에 잘 디자인된 인테리어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Figure 112019038511811-pat00001
(그림1.플러그의 형상KSC 8305 발췌)
Figure 112019038511811-pat00002
(그림2.플러그 및 콘센트 종류, 극수, 극배치 및 정격 KSC 8305 발췌)
(특허문헌 1) KR10-2018-0036357
(비특허문헌 1)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on-line)법률 제15312호, 2017.12.26., 일부개정, 시행 2018.6.27.(검색일 : 2018.7.7.)
(비특허문헌 2)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on-line)시행령 대통령령 제28946호, 2018.6.5., 타법개정, 시행 2018.6.5. 별표/서식1,2(검색일 : 2018.7.7.)
(비특허문헌 3)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공공건물·공원·공공주택-부록 5. 음성유도기 p.163~164.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2017.12(검색일 : 2018.7.7.)
(비특허문헌 4)KS 플러그 및 콘센트(KS C 8305)〔on-line〕2008년 8월개정,http:www.kats.go.kr(검색일 : 2018.7.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치장소인 건물 벽이나 기둥을 훼손하는 일 없이 매우 편리하고 손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플러그 내장형 음성유도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는, 음성유도 기능을 위한 여러 전자부품들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수용되며, 콘센트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플러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는 원형의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는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전면쪽으로 전진 이동하고,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수용홈의 나사에 대응하는 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로 연결되기 위한 플러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홈의 개구에 마련되는 확장부; 및 상기 수용홈의 개구 반대편에 마련되는 내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는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확장부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상기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 가능하고,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측벽부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상기 본체부의 전면쪽으로 전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확장부에 대응하여 테이퍼부가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부는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확장부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상기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확장부에서 상기 수용홈 내부로 노출 형성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내측벽부에서 상기 수용홈 내부로 노출 형성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테이퍼부에서 외부로 노출 형성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일단부에 반대되는 타단부에서 외부로 노출 형성되는 제4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확장부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상기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한 제1 상태에서 제1 전극과 제3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내측벽부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상기 본체부의 전면쪽으로 전진 이동한 제2 상태에서 상기 전기적 접촉은 해제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제4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설치장소인 건물 벽이나 기둥을 훼손하는 일 없이 매우 편리하고 손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음성유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설치장소인 건물 벽이나 기둥의 재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일관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설치장소의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어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음성유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음성유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의 제1 상태에 관한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a가 정면도를, 도 3b가 후면도를, 도 3c가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의 제2 상태에 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를 매립형 콘센트에 연결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5a가 연결하기 전의 사시도를, 도 5b가 연결한 후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를 노출형 콘센트에 연결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6a가 연결하기 전의 사시도를, 도 6b가 연결한 후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100)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10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단히 '음성유도기' 또는 '플러그 내장형 음성유도기'라 함)는 설치가 음성 유도가 필요한 장소의 벽면(w)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음성유도기(1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리모콘(10)을 휴대하고, 필요할 때 작동시켜 음성유도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출력을 통해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음성유도기는 벽면에 고정설치되어야 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유도기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별도의 전원코드선이 존재하지 않고, 벽면에 마련되는 전원콘센트도 눈에 띄지 않도록 음성유도기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벽면(w)에는 음성유도기로의 전원공급을 위한 콘센트(미도시)가 마련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유도기(100)는 내장된 플러그를 통해 이 콘센트로 직접 연결되는 방식으로 고정 및 설치된다. 즉, 내장된 플러그를 간단히 콘센트에 꽂아줌으로써 손쉬운 설치가 가능한 방식이다.
기존에는 음성유도기를 철도역사 대합실 및 승강장이나 공공건물의 벽체나 기둥에 설치하기 위하여 음성유도기 본체 외부로 별도의 전원선코드에 플러그를 연결하여 벽체나 기둥에 설치된 콘센트(매입형, 노출형)에 접속하여 작동시켜 왔고, 음성유도기 본체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칼블럭이나 직결피스를 사용하여 설치하여 왔으나, 설치가 용이한 패널 등 벽체마감재료 외에도 경관을 개선코자 석재나 대리석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로 설치를 위하여 타공시 벽체의 파손 우려가 컸다. 또한 철도 지상 승강장 기둥은 열차풍압과 강풍이나 폭설에 대비하여 두꺼운 강관주를 사용하기 때문에 음성유도기 본체를 고정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에 있었다. 또한 음성유도기 본체의 전원코드가 노출됨에 따른 잘 디자인된 인테리어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유도기를 제작할 때 음성유도기 전원부에서 노출된 플러그와 전원코드선을 제거하고 음성유도기 본체 후면커버에 플러그를 장착하되, 콘센트 종류(매입형, 노출형)에 적합하게 플러그가 후면커버로부터 장착 깊이가 가변형으로 조절됨으로써 음성유도기 본체를 콘센트에 꽂는 것만으로(별도로 칼블럭이나 직결피스를 사용하여 벽면에 고정해야 하는 일 없이) 설치가 완료되는 바 벽체나 기둥에 음성유도기 본체 모습만 보이게 된다.
따라서, 벽체나 기둥에 설치된 콘센트 형태에 맞도록 음성유도기 본체 후면커버에 플러그를 제작하여, 음성유도기 회로를 변경하거나 외부디자인을 변경하지 않고 기존 음성유도기 형태를 유지하면서 잘 디자인된 벽체 인테리어나 승강장 기둥과 조화를 이루어 미관을 개선하고, 벽체나 기둥의 재료와 관계없이 음성유도기를 설치된 콘센트에 꽂음으로써,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여 석재나 대리석의 파손을 예방하고, 음성유도기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유도기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의 제1 상태에 관한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가 정면도를, 도 3b가 후면도를, 도 3c가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의 제2 상태에 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음성유도기(100)는 본체부(110) 및 플러그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케이스(102)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체부의 케이스 내부에는 음성 유도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전자부품들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들은 RF안테나와 결합된 수신부, 제어부, 음성증폭부를 포함한 PCB기판, 전원부 및 스피커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성유도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알려진 다른 여러 전자부품들이 더욱 적용될 수 있다.
RF안테나와 결합된 수신부는 리모콘에서 12.5KHz의 대역폭으로 주파수편이변조방식(FSK)으로 전송된 358.500MHz ±500Hz 주파수를 이용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CPU와 메모리칩이 결합되어 음성유도기의 순차제어기능, 음원저장 및 송출 등의 부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증폭부는 저장된 음원의 음성을 일정크기로 증폭하여 스피커로 송출할 수 있다. 전원부는 전원콘센트로부터 공급된 AC 110V/220V 전원을 PCB기판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는 음성유도기의 전면에 노출 설치되는 것으로 RF통신용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수용홈(112)을 포함한다.
수용홈은 대략적으로 본체부의 후면 가운데에 마련될 수 있다. 수용홈은 원형일 수 있다.
플러그부(120)는 본체부(110)에 내장된다. 본체부에 마련된 수용홈에 수용되어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원형의 수용홈 내에서 상호보완적인 나사 구조를 통해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플러그부가 도면에 도시된 R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하고, R방향에 반대되는 F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본체부의 전면쪽으로 전진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이 완료된 시점을 제1 상태로 참조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의 전면쪽으로 전진 이동이 완료된 시점을 제2 상태로 참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체부(110)의 수용홈(112)에는 나사(t)이 형성된다.
플러그부(120)는 나사(t)에 대응하는 나사(T)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베이스부(122)를 포함한다. 또한 플러그부(120)는 베이스부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콘센트(미도시)로 연결되기 위한 플러그부재(124)를 포함한다.
본체부의 수용홈(112)의 나사(t)와 플러그부의 베이스부(122)의 나사(T)가 서로 나사 결합한다.
수용홈의 나사(t)와 베이스부의 나사(T)는 상호보완적인 나사 결합 구조를 통해 플러그부가 수용홈 내에 수용된 상태로 전진 및 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들은 상호보완적인 나사 결합 구조를 통해 서로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한다. 즉, 수용홈의 나사(t)와 베이스부의 나사(T)가 각각 전극 역할을 한다. 플러그부재를 통해 인입되는 전력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베이스부의 나사 및 수용홈의 나사를 순차로 지나 본체부 내의 전원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즉, 베이스부의 나사가 형성되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수용홈의 적어도 일부(즉, 수용홈의 나사가 형성되는 본체부의 수용홈 내면의 적어도 일부)는 전기가 통하는 재질인 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계속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확장부(114) 및 내측벽부(116)를 포함한다.
확장부(114)는 수용홈의 개구(O)에 마련된다. 확장부는 수용홈의 개구(O)를 좁히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확장부는 본체부 내부에 수용된 플러그부를 스토핑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120)는 R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확장부(114)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 가능하다.
내측벽부(116)는 수용홈의 개구 반대편에 마련된다. 수용홈의 관점에서 보면 맨 밑 바닥부에 해당한다. 이러한 내측벽부 또한 본체부 내부에 수용된 플러그부를 스토핑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120)는 F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내측벽부(116)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본체부의 전면쪽으로 전진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본체부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22)는 그 일단부(1222)에 상기 확장부에 대응하는 테이퍼부(TP)를 포함한다.
따라서, 플러그부(120)는 R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테이터부(TP)가 확장부(114)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 가능하다(도 2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부(114) 및 내측벽부(116)는 플러그부(120)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즉, 확장부에 전극이 마련되어 플러그부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역할을 하고, 내측벽부에도 전극이 마련되어 플러그부와의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체부의 확장부(114)에는 수용홈(112) 내부로 노출 형성되는 전극(e1)이 마련된다. 내측벽부(116)에도 수용홈(112) 내부로 노출 형성되는 전극(e2)이 마련된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극(e1)과 전극(e2)은 선택적으로서 동시에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지 않고 제1 상태나 제2 상태에 따라 어느 하나만이 카운터파트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한다.
이러한 본체부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22)는 테이퍼부(TP)에서 외부로 노출 형성되는 전극(E1)을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부의 타단부(1224)에서 외부로 노출 형성되는 전극(E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전극(E1)과 전극(E2)은 선택적으로서 동시에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상태나 제2 상태에 따라 어느 하나만이 카운터파트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120)가 R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확장부에 의해 스토핑된 제1 상태에서 전극(e1)과 전극(E1)이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즉, 플러그부재를 통해 인입되는 전력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테이퍼부의 전극 및 확장부의 전극을 순차로 지나 본체부 내의 전원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홈과 베이스부의 상호보완적인 나사 결합 구조 또한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고 있으며, 만약 테이퍼부의 전극과 확장부의 전극이 제1 전극이라 한다면, 상술한 수용홈의 나사와 베이스부의 나사는 제1 전극에 반대되는 극성인 제2 전극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극(e2)과 전극(E2)은 접촉되지 않아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어 있음을 주목한다.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120)가 F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내측벽부에 의해 스토핑된 제2 상태에서 전극(e2)과 전극(E2)이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즉, 플러그부재를 통해 인입되는 전력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베이스부의 타단부의 전극 및 내측벽부의 전극을 순차로 지나 본체부 내의 전원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상술한 수용홈과 베이스부의 상호보완적인 나사 결합 구조 또한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고 있으며, 만약 베이스부의 타단부의 전극과 내측벽부의 전극이 제1 전극이라 한다면, 상술한 수용홈의 나사와 베이스부의 나사는 제1 전극에 반대되는 극성인 제2 전극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극(e1)과 전극(E1)은 접촉되지 않아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어 있음을 주목한다.
상술한 도면에서는 각각에 마련되는 전극들을 하나의 점 또는 원형의 띠 형태(테이퍼부에 마련되는 전극과 같이)로 표시하였지만 전극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는 플러그부재로부터 각 전극(E1과 E2)으로 이어지는 내부 도선의 배치, 또는 각 전극(e1과 e2)으로부터 전원부로 이어지는 내부 도선의 배치에 대해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들간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다양한 도선 배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22)는 일단부(1222), 타단부(1224) 및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단부(1226)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부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제1 상태에서 카운터파트(즉, 확장부의 전극)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전극이 마련된다. 타단부에는 제2 상태에서 카운터파트(즉, 내측벽부의 전극)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전극이 마련된다. 중단부에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 모두에서 카운터파트(즉, 수용홈의 나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전극(즉, 베이스부의 나사)이 마련된다.
따라서, 전극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부에 해당하는 구간(S1)은 도전체로 형성되되, 중단부의 양쪽에 해당하는 구간(S2)은 부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를 도전체로 형성하고, 구간(S1)을 제외한 구간(S2)이 절연물질로 표면처리되며, 다시 전극들(E1, E2)만 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사 결합 이동간에 쇼트되지 않도록 전극(E1)은 도면에서 m으로 표시된 구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간은 베이스부의 나사골에서 테이퍼부의 경사가 종료되는 지점에 이르는 구간일 수 있다.
본체부의 수용홈 내면에 대해서도 이와 유사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확장부에는 제1 상태에서 카운터파트(즉, 테이퍼부의 전극)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전극이 마련된다. 내측벽부에는 제2 상태에서 카운터파트(즉, 베이스부의 타단부의 전극)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전극이 마련된다. 확장부와 내측벽부 사이에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 모두에서 카운터파트(즉, 베이스부의 나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전극(즉, 수용홈의 나사)이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전극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와 내측벽부 사이에 해당하는 구간(s1)은 도전체로 형성되되, 그 양쪽에 해당하는 구간(s2)은 부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체부의 수용홈 내면을 도전체로 형성하고, 구간(s1)을 제외한 구간(s2)이 절연물질로 표면처리되며, 다시 전극들(e1, e2)만 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사 결합 이동간에 쇼트되지 않도록 전극(e1)은 도면에서 n1으로 표시된 구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간은 수용홈의 나사산에서 수용홈의 개구에 이르는 구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를 매립형 콘센트에 연결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가 연결하기 전의 사시도를, 도 5b가 연결한 후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유도기(100)를 매립형 콘센트(Cm)에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부를 회전 및 후진시켜 제1 상태에 위치시킨다. 전극들(e1 및 E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들(t 및 T)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매립형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부재, 베이스부, 본체부로 이어지는 전기적 흐름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나사 결합 구조에 의해 플러그부는 수용홈 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를 노출형 콘센트에 연결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가 연결하기 전의 사시도를, 도 6b가 연결한 후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유도기를 노출형 콘센트(Cn)에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부를 회전 및 전진시켜 제2 상태에 위치시킨다. 노출형 콘센트를 본체부 내에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전극들(e2 및 E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들(t 및 T)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노출형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부재, 베이스부, 본체부로 이어지는 전기적 흐름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나사 결합 구조에 의해 플러그부는 수용홈 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장소인 건물 벽이나 기둥을 훼손하는 일 없이 매우 편리하고 손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음성유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설치장소인 건물 벽이나 기둥의 재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일관된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장소의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어 미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리모콘
100 : 플러그 내장형 음성유도기
102 : 케이스
110 : 본체부
112 : 수용홈
114 : 확장부
116 : 내측벽부
120 : 플러그부
122 : 베이스부
1222 : 베이스부의 일단부
1224 : 베이스부의 타단부
1226 : 베이스부의 중단부
124 : 플러그부재
TP : 테이퍼부

Claims (2)

  1. 음성유도 기능을 위한 여러 전자부품들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수용되며, 콘센트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플러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에는 원형의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하며,
    상기 플러그부는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전면쪽으로 전진 이동하고,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하며,
    상기 수용홈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수용홈의 나사에 대응하는 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로 연결되기 위한 플러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홈의 개구에 마련되는 확장부; 및
    상기 수용홈의 개구 반대편에 마련되는 내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는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확장부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상기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 가능하고,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측벽부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상기 본체부의 전면쪽으로 전진 이동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확장부에 대응하여 테이퍼부가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부는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확장부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상기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확장부에서 상기 수용홈 내부로 노출 형성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내측벽부에서 상기 수용홈 내부로 노출 형성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테이퍼부에서 외부로 노출 형성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일단부에 반대되는 타단부에서 외부로 노출 형성되는 제4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확장부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상기 본체부의 후면쪽으로 후진 이동한 제1 상태에서 제1 전극과 제3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내측벽부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상기 본체부의 전면쪽으로 전진 이동한 제2 상태에서 상기 전기적 접촉은 해제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제4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
  2. 삭제
KR1020190043837A 2018-07-20 2019-04-15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 제작 KR102127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84589 2018-07-20
KR1020180084589 2018-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012A KR20200010012A (ko) 2020-01-30
KR102127493B1 true KR102127493B1 (ko) 2020-06-26

Family

ID=6932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837A KR102127493B1 (ko) 2018-07-20 2019-04-15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 제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4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166Y1 (ko) * 2000-05-12 2000-11-15 최성준 충전기능이 내장된 휴대폰
US20050195089A1 (en) * 2004-03-08 2005-09-08 Hamid Shomali Combination power failure light and FM/AM radio with a clock and alarm function
KR100702139B1 (ko) 2005-10-04 2007-03-30 (주)휴먼케어 음성 유도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898Y2 (ja) * 1989-06-06 1995-05-01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
JPH0748165Y2 (ja) * 1991-04-25 1995-11-0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ヘアーカーラ
KR19990008666U (ko) * 1997-08-04 1999-03-05 전영하 무선전화기의 송수신유니트
KR101890114B1 (ko) 2016-09-30 2018-08-21 부산교통공사 매립형 시각장애인용 음성유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166Y1 (ko) * 2000-05-12 2000-11-15 최성준 충전기능이 내장된 휴대폰
US20050195089A1 (en) * 2004-03-08 2005-09-08 Hamid Shomali Combination power failure light and FM/AM radio with a clock and alarm function
KR100702139B1 (ko) 2005-10-04 2007-03-30 (주)휴먼케어 음성 유도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012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9205A (en) Wireless multiple position switching system
CA2843857C (en) Active cover plates
TW200605454A (en) Patch panel system
CN105896736B (zh) 一种家用智能远程电力控制系统配电箱
CN202509747U (zh) 一种新型踢脚线
KR102127493B1 (ko) 플러그를 내장시킨 음성유도기 제작
CN105006715A (zh) 一种配备有电源的电力通信轨道
CN2894016Y (zh) 室内暗装开启式综合线槽
CN1893212A (zh) 室内暗装开启式综合线槽
CN103458227B (zh) 一种两线制传输楼宇可视对讲系统
CN205178237U (zh) 一种连接设备、灯座和灯泡
CN205429354U (zh) 集成插座
US5214568A (en) Transmission system
CN204204677U (zh) 便于安装的墙面开关
CN204809577U (zh) 一种配备有电源的电力通信轨道
CN110519732B (zh) 一种蓝牙网关及其使用方法
CN209447702U (zh) 一种智能开关面板
CN207966129U (zh) 家用火灾报警控制器
CN202551261U (zh) 一种嵌入墙体的墙面路由器
CN205014140U (zh) 台灯
JPH04137413U (ja) 住宅用配電盤
KR200312266Y1 (ko) 멀티조인트박스
CN209229459U (zh) 一种镜灯
CN201331813Y (zh) 嵌入式电子门铃
CN114156800A (zh) 一种线槽扶手及其布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