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419B1 -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419B1
KR102127419B1 KR1020190105566A KR20190105566A KR102127419B1 KR 102127419 B1 KR102127419 B1 KR 102127419B1 KR 1020190105566 A KR1020190105566 A KR 1020190105566A KR 20190105566 A KR20190105566 A KR 20190105566A KR 102127419 B1 KR102127419 B1 KR 102127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alinity
urine
health condition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0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419B1/ko
Priority to PCT/KR2019/015243 priority patent/WO20210401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5Strip shaped analyte sensors for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145 or A61B5/15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mat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소변을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좌변기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를 측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 각각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측정 장치,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LTH CONDITION}
본 발명은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변을 이용한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균 수명 100세 시대가 도래하면서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 질환 예방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은 정기적으로 병원에 방문하여 혈액 등의 검사를 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검사 결과에 따른 생활습관 개선 등의 사후 조치를 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사용자의 소변을 통해 수시로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가족별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국내 공개 특허 제10-2018-0121174호 (2018.11.07.) (소변기용 건강상태 측정장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정에서 사용자의 소변을 통해 수시로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가족별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전달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을 이용한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좌변기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를 측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 각각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측정 장치,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건강 상태 측정 장치는, 상기 좌변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PH를 측정하는 PH 센서, 상기 좌변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센서,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PH가 제1 기준값 보다 낮거나 제2 기준값 보다 높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염도가 제3 기준값 보다 낮으면,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상태 측정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상태 측정 장치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IoT 통신부, 상기 PH 센서, 염도 센서, 판단부, 및 알람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그리고 상기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포함하는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상태 측정 장치는, 좌변기 시트의 일측에 부착된 누름부에 의해 압력이 입력되는 압력 센서,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에 압력이 입력되면, 상기 PH 센서, 염도 센서, 판단부에게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을 이용한 건강 상태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건강 상태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 각각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변을 통해 건강 상태를 상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족별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건강 상태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병원 방문 또는 생활 습관 개선 등의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의 건강 관리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의 건강 관리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의 건강 관리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의 건강 관리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은 건강 상태 측정 장치(100),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건강 상태 측정 장치(100)는 좌변기(10)의 본체(11)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를 측정하며,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 각각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좌변기 시트(14)에 착석하여 배뇨할 때, 건강 상태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PH 및 염도와 건강 상태 이상 여부를 서버(200)에게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건강 상태 측정 장치(100)는 한 실시예로서, PH 센서(110), 염도 센서(120), 판단부(130), 알람부(140), IoT 통신부(150), 배터리부(160), 저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PH 센서(110)는 좌변기(10)의 본체(11)의 내측(12)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소변 내 PH를 측정한다.
염도 센서(120)는 좌변기(10)의 본체(11)의 내측(12)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소변 내 염도를 측정한다.
판단부(130)는 사용자의 소변 내 PH가 제1 기준값 보다 낮거나 제2 기준값 보다 높고, 사용자의 소변 내 염도가 제3 기준값 보다 낮으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제1 기준값은 4.6이고, 제2 기준값은 8이며, 제3 기준값은 0.9%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30)는 사용자의 소변 내 PH가 4.6보다 낮거나 8보다 높고, 사용자의 소변 내 염도가 0.9% 보다 낮으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상인의 소변 내 PH는 4.6에서 8 사이를 나타내고, 정상인의 소변 내 염도는 0.9%이상을 나타낸다. 환자의 소변 내 염도는 0.4에서 0.8% 사이를 나타내고, 특히, 암환자의 소변 내 염도는 0.2%를 나타낸다.
알람부(14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알람부(140)는 한 실시예로서 스피커 및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스피커를 통해 미리 저장된 음성 메시지(예,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되므로, 빠른 시일 내에 검진 받으시길 바랍니다")를 출력하고, LED를 통해 켜짐 꺼짐을 수 회 반복할 수 있다.
IoT 통신부(150)는 인터넷을 통해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를 서버(200)에게 전송한다. IoT 통신부(150)는 한 실시예로서, IoT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NFC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160)는 PH 센서(110), 염도 센서(120), 판단부(130), 및 알람부(140)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3V 리튬 1차전지일 수 있다. 배터리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충전기를 통해 완충될 수 있다. 배터리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의 접촉 및 무선 전력 전송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포함하는 맵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전자태그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한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착석으로 좌변기 시트(14)의 일측에 부착된 누름부(15)에 의해 압력 센서(190)에 압력이 입력되면, PH 센서(110), 염도 센서(120), 판단부(130), 및 알람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부(1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한 실시예로서, 저장부(170)에 저장된 전자태그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IoT 통신부(150)를 통해 서버(200)에게 해당 사용자의 소변 내 PH, 염도, 건강 상태 이상 여부 판단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한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내 조작(예, 연결버튼 클릭)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로 연결되면, IoT 통신부(150)를 통해 서버(200)에게 해당 사용자의 소변 내 PH, 염도, 및 건강 상태 이상 여부 판단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건강 상태 측정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소변 내 PH, 염도, 건강 상태 이상 여부 판단 결과를 수신한다.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수신된 사용자의 소변 내 PH, 염도, 및 건강 상태 이상 여부 판단 결과를 복수의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가족별 소변 내 PH, 염도, 건강 상태 이상 여부 판단 결과를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전달한다. 한 실시예로서, 알림 메시지는 PH 및 염도에 따른 건강 상태 및 PH 및 염도에 따른 건강 상태에 대응되는 개선 방안을 포함할 수 있다. 개선 방안은 한 실시예로서, PH가 4.6 보다 낮거나 8보다 높으며, 염도가 0.4에서 0.8% 사이의 값일 때, 비정상에 해당하므로 병원 검진 및 식습관 개선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선 방안은 한 실시예로서, PH가 4.6 보다 낮거나 8보다 높으며, 염도가 0.8% 보다 낮은 값일 때, 암환자로 의심되므로 병원 검진 및 암검진 전문 병원 목록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한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에는 서버(200)에 접속하여 소변 내 PH, 염도, 건강 상태 이상 여부, 및 알림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를 측정하는 단계(S100),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 각각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 그리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를 측정하는 단계(S100),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 및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S300)는 위에서 설명한 건강 상태 측정 장치(100) 및 서버(200)의 동작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소변을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좌변기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를 측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PH 및 염도 각각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측정 장치,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는 PH 및 염도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PH 및 염도에 따른 병원 검진 및 식습관 개선 방안을 안내하는 정보, 및 암검진 전문 병원 목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 측정 장치는,
    상기 좌변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PH를 측정하는 PH 센서,
    상기 좌변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센서,
    좌변기 시트의 일측에 부착된 누름부에 의해 압력이 입력되는 압력 센서,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PH가 4.6 보다 낮거나 8 보다 높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염도가 0.9 퍼센트 보다 낮으면,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전자태그를 저장하는 저장부,
    미리 저장된 전자태그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PH, 염도, 및 건강 상태 이상 여부 판단 결과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LED를 통해 켜짐 꺼짐을 수 회 반복하는 알람부, 및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의 무선 전력 전송을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PH, 염도, 및 건강 상태 이상 여부 판단 결과를 복수의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관리 및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PH가 4.6 보다 낮거나 8 보다 높고, 상기 사용자의 소변 내 염도가 0.4에서 0.8 퍼센트 사이의 값일 때, 병원 검진 및 식습관 개선 방안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의 PH가 4.6 보다 낮거나 8보다 높고, 염도가 0.8 퍼센트 보다 낮은 값일 때, 병원 검진 및 암검진 전문 병원 목록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압력이 입력되면, 상기 PH 센서, 염도 센서, 판단부에게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부를 동작시키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건강 상태 측정 장치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IoT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05566A 2019-08-28 2019-08-28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7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566A KR102127419B1 (ko) 2019-08-28 2019-08-28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9/015243 WO2021040135A1 (ko) 2019-08-28 2019-11-11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566A KR102127419B1 (ko) 2019-08-28 2019-08-28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419B1 true KR102127419B1 (ko) 2020-06-26

Family

ID=7113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566A KR102127419B1 (ko) 2019-08-28 2019-08-28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7419B1 (ko)
WO (1) WO202104013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9980A (ja) * 2002-10-15 2004-04-30 Fujitsu Ltd 健康管理システムおよ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WO2018073877A1 (ja) * 2016-10-17 2018-04-26 サイマックス株式会社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KR20180121174A (ko) 2017-04-28 2018-11-07 심재훈 소변기용 건강상태 측정장치
KR20190012392A (ko) * 2017-07-27 2019-02-11 심재훈 휴대형 소변 측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923A (ko) * 2005-08-31 2007-03-08 신승중 건강상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3074A (ko) * 2016-07-28 2018-02-0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측정 센서를 이용한 모바일 연동 건강 확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9980A (ja) * 2002-10-15 2004-04-30 Fujitsu Ltd 健康管理システムおよ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WO2018073877A1 (ja) * 2016-10-17 2018-04-26 サイマックス株式会社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KR20180121174A (ko) 2017-04-28 2018-11-07 심재훈 소변기용 건강상태 측정장치
KR20190012392A (ko) * 2017-07-27 2019-02-11 심재훈 휴대형 소변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135A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86166A1 (en) Medical software download to mobile phone
DK2235906T3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medical devices
RU2667614C2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для современных устройств жизнеобеспечения
Tabaei et al.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equation to screen for diabet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US8775127B2 (en) Trustworthiness assessment of sensor data processing
US20160213291A1 (en) Handheld Diabetes Manager With A Flight Mode
US20120323603A1 (en) Remote health care diagnostic tool
JP2017538351A (ja) 電子デバイス起動の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および方法
WO2008020325A2 (en) Home based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Girgis et al. Interpreting and acting on the PRO scores from the patient-reported outcomes for personalized treatment and care (PROMPT-Care) eHealth system
US8850234B2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200251198A1 (en) Method, system, and platform for delivery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pelvic health management
Banerjee et al. Mobile health monitoring: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pp in a diabetes and hypertension clinic
KR102127419B1 (ko)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15120B1 (ko) U-헬스 케어 기술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당뇨관리 및 치료 시스템
US20080249387A1 (en) Enhanced monitor compliance
KR20210135403A (ko) 인터넷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WO2020005016A1 (ko) 배뇨에 관한 설문을 수행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H11306468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US202302558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stomy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KR20060037123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781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activ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based upon area occupancy
KR100707098B1 (ko) 다기능 변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707315A (zh) 一种面向社区的健康监测管理的方法和系统
KR20010035476A (ko) 바이오센서 내장형 웹패드를 이용한 원격 건강진단 시스템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