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097B1 -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097B1
KR102127097B1 KR1020180123475A KR20180123475A KR102127097B1 KR 102127097 B1 KR102127097 B1 KR 102127097B1 KR 1020180123475 A KR1020180123475 A KR 1020180123475A KR 20180123475 A KR20180123475 A KR 20180123475A KR 102127097 B1 KR102127097 B1 KR 102127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over
frame
fixing plate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420A (ko
Inventor
임혜진
Original Assignee
임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혜진 filed Critical 임혜진
Priority to KR102018012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0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4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heeled, hinged, foldable, telescopic, swinging or otherwise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주차장 상부의 커버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110~130)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기본 주차공간의 양측면과 지붕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체(100)와;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양측면의 밑면에 좌우 대칭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쪽면에 사용자의 수조작에 따라 주차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수조작에 따라 지면에서부터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쪽면에 주차공간을 단계적으로 확장되도록 펼치거나 축소되도록 접혀지는 접이식 커버부(400,500,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Foldable Cover Apparatus for Parking Place}
본 발명은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주차장의 커버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에서의 주차는 일정 면적의 주차장을 설치하여 자동차를 주차시키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가정집 밖의 노상에 주차를 하여 왔었다.
이러한 결과 전자의 경우는 주차장 및 주차시설이 차지하는 면적이 많을 뿐만 아니라 해당 면적은 주차장으로만 사용될 수 있어 공간활용에 제한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는 비, 바람, 눈 또는 먼지 등에 의한 차량의 오염이나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간이식 주차장치를 시설하고 있는데, 이러한 간이식 주차장치는 건물에 연이어 부가적으로 시설하거나, 아니면 독립적으로 시설하여 목적하는 주차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0331호(2001년10월18일)에는 천막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차량을 덮거나 벗겨낼 수 있도록 하여 차고로 차량의 입,출고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천막 회전터널형 지상주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0333호 (2001년10월18일)에는 주차공간으로 활용될 지상의 벽체 속에다 천막을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시 간단히 꺼낼 쓸 수 있는 지상에 설치된 터널가변식 주차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4521호 (2000년06월21일)에는 적은 설치비용으로 차량의 입,출고를 가능하게 하고 천막을 간단하게 수직 이동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수직이동식 천막 주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4269호 (2002년01월31일)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자유로이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한 주차장치를 일반주택 등의 별도의 주차시설이 없는 곳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겨울철에 성애 등의 발생을 차단하여 차량을 청결히 유지할 수 있고, 주차장치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출고시에 펼쳐진 주차장치를 절첩한 다음 해체함으로써 도로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그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간이식 주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기술들은 구동장치에 의해 주차장치를 자유로이 가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터널이나 벽체 등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거나, 주차장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 범위를 조절할 수는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0331호(2001년10월1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0333호 (2001년10월18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4521호 (2000년06월21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4269호 (2002년01월31일)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주차장 상부의 커버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또는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접이식 지붕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비전문가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해체 및 이동도 용이한 구조를 갖는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110~130)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기본 주차공간의 양측면과 지붕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체(100)와;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양측면의 밑면에 좌우 대칭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쪽면에 사용자의 수조작에 따라 주차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수조작에 따라 지면에서부터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쪽면에 주차공간을 단계적으로 확장되도록 펼치거나 축소되도록 접혀지는 접이식 커버부(400,500,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이식 커버부(400,500,600)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지면에서부터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단계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기본 주차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및 제2 접이식 커버부(500)와;
상기 제1 접이식 커버부(400)와 상기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외측 끝단부를 길이를 달리하여 서로 연결하는 제3 접이식 커버부(60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접이식 커버부(400)는,
상기 제1 구동력 발생부(200)의 제1 케이스(21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제1 축홀(212)에 관통 설치된 축봉(260)에 차례로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회전기어(250:251~254)의 구동에 따라 지면과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개방된 전면 사이에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회동되는 부채꼴 형상의 복수개의 고정판(410:411~414)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판(41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외부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420:421~428)과;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연결 프레임(421 또는 428)의 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3 접이식 커버부(600)는 상기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복수개의 제4 연결 프레임(420)과 상기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의 외측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커버 프레임(610~6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구동력 발생부(200)는,
상단 밑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 돌출바(211)로 인해 복수개의 설치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의 축홀(212)이 관통 형성되며, 일측면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된 브라켓(214)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곡선 접이조절홈(216)이 일정 길이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제1 케이스(210)와;
하단이 상기 제1 케이스(210)의 하단 내측면 또는 하단 고정블럭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접이식 커버부(400)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각각 조절하는 복수개의 가스 스프링(220:221~224)과;
상기 복수개의 가스 스프링(220:221~224)의 상단에 접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210)의 밑면에 수평하게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평기어(230:231~234)와;
상기 복수개의 평기어(230)의 끝단과 상기 제1 케이스(210)의 상단 내측면 또는 상단 고정블럭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 장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접힘 또는 펼침 세기 및 속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스프링(240:241~244)과;
상기 브라켓(214)에 형성된 상기 축홀(212)을 서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축봉(260)을 통하여 삽입 고정되며, 상기 복수개의 평기어(230)와 기어물림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전기어(250:251~2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주차장 상부의 커버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태양, 해일(hail), 비, 바람, 우박, 동물이나 새들 그리고 먼지로부터 주차장의 내부 공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으로 또는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접이식 지붕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장소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지역이거나 정전시에도 사용자가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전문가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해체 및 이동도 용이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한 번 구매 및 설치 후 필요시 비전문가가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이전하여 재설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를 개괄적으로 각각 도시한 평면도, 단면도,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의 제1 또는 제2 구동력 발생부의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의 접이식 커버부가 접혀지거나 펼쳐질때 구동력 발생부의 동작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의 접이식 커버부가 접혀지거나 펼쳐질때 다수개의 고정판의 이동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는, 일정 거리를 갖고 서로 마주보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 그리고 제1 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 및 고정하는 제3 프레임(130)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기본 주차공간의 양측면과 지붕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체(100)와, 프레임 구조체(100)의 양측면의 밑면에 좌우 대칭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주차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와,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지면에서부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확장된 주차공간을 단계적으로 확장되도록 펼치거나 축소되도록 접는 접이식 커버부(400,500,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접이식 커버부(400,500,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동시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하나만 설치될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구조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대 이상의 차량이 진입하여 주차가 가능한 크기를 갖도록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직사각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프레임의 구조나 형상을 변형하여 차량의 진입이나 출고를 별도로 할 수 있는 Y자나 T자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하단부는 통상의 고정방식을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구조체(100)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1 내지 제3 프레임(110~130)을 구획하는 별도의 지지 프레임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1 프레임(110) 내지 제3 프레임(130)의 내부에는 열가소성, 열경화성, 공업용수지 계열의 합성수지판넬, 렉산판넬, 아크릴판넬, 안티 UV 판넬 중에서 선택된 판넬(150)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고정된다.
한편, 프레임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밑면 및 윗면에 홈이나 레일을 설치하고, 내부에 판넬(150)이 끼워진 한 쌍 이상의 미닫이형, 접이형 또는 슬라이딩 방식의 문틀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주차를 완료하거나 출차를 하기 위한 운전자가 편리하게 주차공간을 출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접이식 커버부(400,500,600)가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체(100)의 양측면의 밑면에 각각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가 설치되며, 접이식 커버부(400,500,600)를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하는 경우에는 프레임 구조체(100)의 양측면의 밑면에 각각 두 쌍의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가 각각 설치되어야 하며, 이때 동일한 측면의 밑면에 설치되는 두 쌍의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는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 방향을 향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를 구비한 접이식 커버장치는 사용자가 수조작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동식 커버장치이며,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구성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1 구동력 발생부(200)의 구성 만을 설명한다.
즉, 제1 구동력 발생부(200)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밑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내지 제3 돌출바(211)로 인해 제1 내지 제4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의 축홀(212)이 관통 형성되며, 일측면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된 브라켓(214)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곡선 접이조절홈(216)이 일정 길이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제1 케이스(210)와, 하단이 제1 케이스(210)의 하단 내측면 또는 하단 고정블럭에 고정되면서 각각의 제1 내지 제4 설치홈을 따라 삽입 고정되는 제1 내지 제4 가스 스프링(220:221~224)과, 각각의 제1 내지 제4 가스 스프링(220,320)의 상단에 접하도록 제1 케이스(210)의 밑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평기어(230:231~234)와, 각각의 제1 내지 제4 평기어(230)의 끝단과 제1 케이스(210)의 상단 내측면 또는 상단 고정블럭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 장력에 의해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접힘 또는 펼침 세기 및 속도를 조절하는 제1 내지 제4 스프링(240:241~244)과, 브라켓(214)에 형성된 축홀(212)을 서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축봉(260)을 통하여 삽입 고정되며, 각각의 제1 내지 제4 평기어(230)와 기어물림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회전기어(250:251~25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가스 스프링(220), 평기어(230), 스프링(240)의 숫자는 제1 및 제2 접이식 커버부(400,500)를 구성하는 고정판의 숫자에 비례하도록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를 구비한 접이식 커버장치를 사용자가 자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자동식 커버장치를 구현할 경우에는, 동력조절장치의 역할을 하는 제1 내지 제4 가스 스프링(220)을 제거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기 모터와, 전기 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평기어를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시키는 레일이 추가로 구성되며, 현재의 제어판에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
한편,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접이식 커버부(400,500,600)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지면에서부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단계적으로 회동되어,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기본 주차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및 제2 접이식 커버부(500)와, 제1 접이식 커버부(400)와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외측 끝단부를 길이를 달리하여 서로 연결하는 제3 접이식 커버부(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및 제2 접이식 커버부(500)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즉, 제1 접이식 커버부(4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력 발생부(200)의 제1 케이스(21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제1 축홀(212)에 관통 설치된 축봉(260)에 차례로 삽입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제1 내지 제4 회전기어(250:251~254)의 구동에 따라 지면과 프레임 구조체(100)의 개방된 전면 사이에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회동되는 부채꼴 형상의 제1 내지 제4 고정판(410:411~414)과, 각각의 제1 내지 제4 고정판(410)의 외측면에서 고정되어 외부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420:421~428)으로 구성되며, 최외측 연결프레임(421 또는 428)의 측면에는 손잡이(450)가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제1 내지 제4 고정판(410:411~414)의 부채꼴 형상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판(410a) 및 하판(410b) 그리고 2개의 측판(410c,410d)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고정판(410)의 내부는 상부가 개방된 일정 두께의 중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판(410)의 하단부는 상판 및 하판에 형성된 한 쌍의 축 삽입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2개의 측판(410c,410d)의 하단은 절개된 개방구조이기 때문에 개방된 각각의 제1 내지 제4 고정판(410:411~414)의 하단 중앙에는 각각의 제1 내지 제4 회전기어(250:251~254)가 배치되도록 축봉(260)에 차례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내지 제4 고정판(410:411~414)의 일측면의 횡중심선 윗부분에는 횡방향으로 곡선 접이조절홈(411a~414a)이 각각 일정 길이 형성되며, 제1 내지 제4 고정판(410:411~414)의 타측면의 횡중심선 윗부분에는 제1 내지 제4 곡선 접이조절홈(411a~414a)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접이조절 돌기(411b~414b)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고정판(410:411~414)이 제1 케이스(21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축홀(212,312)에 관통 설치되는 축봉(260)을 통하여 각각 설치되는 경우, 제1 고정판(411), 제2 고정판(412), 제3 고정판(413), 제4 고정판(414)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판(411)의 제1 접이조절 돌기(411b)는 제2 고정판(412)의 제2 접이조절홈(412a)의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고, 제2 고정판(412)의 제2 접이조절돌기(412b)는 제3 접이조절홈(413a)의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고, 제3 고정판(413)의 제3 접이조절돌기(413b)는 제4 고정판(414)의 제4 접이조절홈(414a)의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접이식 커버부(600)는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420)과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의 외측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10~64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및 제2 접이식 커버부(500)가 제3 접이식 커버부(600)를 통하여 서로 좌우 대칭구조로 연결되는데,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1 커버 프레임(610)은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제1 고정판(410)에 고정된 제1 연결 프레임(421,422)과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고정판에 고정된 제1 연결 프레임(521,522)의 끝단부를 연결하도록 고정되며,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2 커버 프레임(620)은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제2 고정판(420)에 고정된 제2 연결 프레임(423,424)과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2 고정판에 고정된 제2 연결 프레임(523,524)의 끝단부를 연결하도록 고정되며,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3 커버 프레임(630)은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제3 고정판(430)에 고정된 제3 연결 프레임(425,426)과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3 고정판에 고정된 제3 연결 프레임(525,526)의 끝단부를 연결하도록 고정되며,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4 커버 프레임(640)은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제4 고정판(410)에 고정된 제4 연결 프레임(427,428)과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4 고정판에 고정된 제4 연결 프레임(527,528)의 끝단부를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부를 커버하는 제1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10~640)의 길이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프레임(610)>제2 커버 프레임(620)>제3 커버 프레임(630)>제4 커버 프레임(640)의 순서로 길게 형성되고,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제1 내지 제4 고정판(411~414)에 고정된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421~428)과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내지 제4 고정판에 고정된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521~528)의 높이는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프레임(421,422:521,522)>제2 연결 프레임(423,423:523,524)> 제3 연결 프레임(425,426:525,526)> 최내측에 위치하는 제4 연결 프레임(427,428:527,528)의 순서로 높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450)를 이용하여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를 지면에서 프레임 구조체(100)의 개방된 전면으로 확장하는 경우, 제1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10~640)은 횡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겹쳐지도록 단계적으로 펼쳐질 수 있어, 지면과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을 외측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손잡이(450)를 이용하여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를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확장된 상태에서 지면으로 접는 경우, 제1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10~640)은 횡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겹쳐지도록 단계적으로 졉혀질 수 있어,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및 제2 접이식 커버부(500)가 지면에 설치된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1. 차량의 기본 주차공간의 전면에 접이식 커버부의 펼침동작
먼저,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420:421~428, 520:521~528)의 최외측에 설치된 제1 연결 프레임(421 또는 521)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450)를 잡고 프레임 구조체(100)의 개방된 전면방향으로 제1 커버 프레임(610)의 높이만큼 1단계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S110).
즉,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421,422 또는 521,522)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제1 고정판(411)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접이조절 돌기(411b)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판(4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 곡선 접이조절홈(412a)의 상단 제한점(P1)을 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판(411)이 미리 설정된 1단계 상승 이동함에 따라 제1 고정판(411)에 연동되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제1 회전기어(251,351)가 미리 설정된 기어수 만큼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평기어(231,331)도 제1 회전기어(251,351)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때 제1 스프링(241)은 제1 및 제2 접이식 커버부(400,500)의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421,422 또는 521,522)의 펼침동작의 세기 및 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2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20~640)은 지면에 그대로 위치하고, 제1 커버 프레임(610) 만이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제2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20~640)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어 사용자가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420:421~428, 520:521~528)의 최외측에 설치된 제1 연결 프레임(421 또는 521)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450)를 잡고 프레임 구조체(100)의 개방된 전면방향으로 제1 커버 프레임(610) 및 제2 커버 프레임(620)의 높이만큼 2단계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S120).
즉,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3 및 제4 연결 프레임(423,424 또는 523,524)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제2 고정판(412)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 접이조절 돌기(412b)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고정판(413)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3 곡선 접이조절홈(413a)의 상단 제한점(P1)을 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판(412)이 미리 설정된 2단계 상승 이동함에 따라 제2 고정판(412)에 연동되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제2 회전기어(252,352)가 미리 설정된 기어수 만큼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평기어(232,332)도 제2 회전기어(252,352)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때 제2 스프링(242)은 제1 및 제2 접이식 커버부(400,500)의 제3 및 제4 연결 프레임(423,424 또는 523,524)의 펼침동작의 세기 및 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3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30~640)은 지면에 그대로 위치하고, 제1 및 제2 커버 프레임(610,620) 만이 펼쳐진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제3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30~640)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어, 사용자가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420:421~428, 520:521~528)의 최외측에 설치된 제1 연결 프레임(421 또는 521)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450)를 잡고, 프레임 구조체(100)의 개방된 전면방향으로 제1 커버 프레임(610), 제2 커버 프레임(620) 및 제3 커버 프레임(630)의 높이만큼 3단계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S130).
즉,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5 및 제6 연결 프레임(425,426 또는 525,526)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제3 고정판(413)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3 접이조절 돌기(413b)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고정판(413)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4 곡선 접이조절홈(414a)의 상단 제한점(P1)을 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고정판(413)이 미리 설정된 3단계 상승 이동함에 따라 제3 고정판(413)에 연동되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제3 회전기어(253,353)가 미리 설정된 기어수 만큼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3 평기어(233,333)도 제3 회전기어(253,353)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때 제3 스프링(243)은 제1 및 제2 접이식 커버부(400,500)의 제5 및 제6 연결 프레임(425,426 또는 525,526)의 펼침동작의 세기 및 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4 커버 프레임(640)은 지면에 그대로 위치하고, 제1 내지 제3 커버 프레임(610~630) 만이 펼쳐진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제4 커버 프레임(640)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어, 사용자가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420:421~428, 520:521~528)의 최외측에 설치된 제1 연결 프레임(421 또는 521)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450)를 잡고, 프레임 구조체(100)의 개방된 전면방향으로 제1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10~640)의 높이만큼 4단계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S140).
즉,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7 및 제8 연결 프레임(427,428 또는 527,528)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제4 고정판(414)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4 접이조절 돌기(413b)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케이스(210,310)의 상부에 형성된 곡선 접이조절홈(216)의 상단 제한점(P1)을 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고정판(414)이 미리 설정된 4단계 상승 이동함에 따라 제4 고정판(414)에 연동되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제4 회전기어(254,354)가 미리 설정된 기어수 만큼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4 평기어(234,334)도 제4 회전기어(254,354)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때 제4 스프링(244)은 제1 및 제2 접이식 커버부(400,500)의 제7 및 제8 연결 프레임(427,428 또는 527,528)의 접힘 또는 펼침 세기 및 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1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10~64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례로 펼쳐진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확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내지 제8 연결 프레임(421~428, 521~528)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판넬은 10~15%의 면적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2. 차량의 기본 주차공간의 전면에 접이식 커버부의 접음동작
먼저,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420:421~428, 520:521~528)의 최외측에 설치된 제1 연결 프레임(421 또는 521)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450)를 잡고, 프레임 구조체(100)의 지면방향으로 제1 커버 프레임(610)의 높이만큼 1단계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S210).
즉,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7 및 제8 연결 프레임(427,428 또는 527,528)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제4 고정판(414)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4 접이조절 돌기(414b)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고정판(414)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4 곡선 접이조절홈(414a)의 하단 제한점(P2)을 까지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고정판(414)이 미리 설정된 1단계 이동함에 따라 제4 고정판(414)에 연동되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제4 회전기어(254,354)가 미리 설정된 기어수 만큼 역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4 평기어(234,334)도 제4 회전기어(254,354)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역변환하고, 이때 제4 스프링(244)은 제1 및 제2 접이식 커버부(400,500)의 제7 및 제8 연결 프레임(427,428 또는 527,528)의 접힘동작의 세기 및 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1 커버 프레임(610) 만이 지면을 향하여 접혀지고,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2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20~640)은 펼쳐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어,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420:421~428, 520:521~528)의 최외측에 설치된 제1 연결 프레임(421 또는 521)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450)를 잡고, 프레임 구조체(100)의 지면방향으로 제1 및 제2 커버 프레임(610,620)의 높이 만큼 2단계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S220).
즉,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5 및 제6 연결 프레임(425,426 또는 525,526)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제3 고정판(413)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3 접이조절 돌기(413b)는 제3 고정판(413)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3 곡선 접이조절홈(413a)의 하단 제한점(P2)을 까지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고정판(413)이 미리 설정된 2단계 하강 이동함에 따라 제3 고정판(413)에 연동되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제3 회전기어(253,353)가 미리 설정된 기어수 만큼 역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3 평기어(233,333)도 제3 회전기어(253,353)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역변환하고, 이때 제3 스프링(243)은 제1 및 제2 접이식 커버부(400,500)의 제5 및 제6 연결 프레임(425,426 또는 525,526)의 접힘동작의 세기 및 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커버 프레임(610,620) 만이 지면을 향하여 접혀지고,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3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30,640)은 펼쳐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어,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420:421~428, 520:521~528)의 최외측에 설치된 제1 연결 프레임(421 또는 521)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450)를 잡고, 프레임 구조체(100)의 지면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커버 프레임(610~630)의 높이만큼 3단계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S230).
즉,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5 및 제6 연결 프레임(425,426 또는 525,526)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제3 고정판(413)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3 접이조절 돌기(413b)는 제3 고정판(413)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3 곡선 접이조절홈(413a)의 하단 제한점(P2)을 까지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고정판(413)이 미리 설정된 3단계 하강 이동함에 따라 제3 고정판(412)에 연동되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제3 회전기어(253,353)가 미리 설정된 기어수 만큼 역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3 평기어(233,333)도 제3 회전기어(253,353)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역변환하고, 이때 제3 스프링(243)은 제1 및 제2 접이식 커버부(400,500)의 제3 및 제4 연결 프레임(423,424 또는 523,524)의 접힘동작의 세기 및 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커버 프레임(610~630)은 지면을 향하여 접혀지고,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4 커버 프레임(640)은 펼쳐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어,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420:421~428, 520:521~528)의 최외측에 설치된 제1 연결 프레임(421 또는 521)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450)를 잡고, 프레임 구조체(100)의 지면방향으로 제1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10~640)의 높이만큼 4단계 이동시킬 수 있다(S240).
즉,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또는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421,422 또는 521,522)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제1 고정판(411)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접이조절 돌기(411b)는 제1 및 제2 케이스(210,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4 곡선 접이조절홈(216)의 하단 제한점(P2) 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판(411)이 미리 설정된 4단계 이동함에 따라 제1 고정판(411)에 연동되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제1 회전기어(251,351)가 미리 설정된 기어수 만큼 역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평기어(231,331)도 제1 회전기어(251,351)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역변환하고, 이때 제1 스프링(241)은 제1 및 제2 접이식 커버부(400,500)의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421,422 또는 521,522)의 접힘동작의 세기 및 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3 접이식 커버부(600)의 제1 내지 제4 커버 프레임(610~640)은 모두 지면을 향하여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주차장 상부의 커버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태양, 해일(hail), 비, 바람, 우박, 동물이나 새들 그리고 먼지로부터 주차장의 내부 공간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또는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접이식 지붕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장소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지역이거나 정전시에도 사용자가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100 : 프레임 구조체
110, 120, 130 : 프레임
200, 300 : 구동력 발생부
210 : 케이스
212 : 축홀
214 : 브라켓
220:221~224 : 가스 스프링
230:231~234 : 평기어
240:241~244 : 스프링
250:251~254 : 회전기어
260 : 축봉
400, 500, 600 : 접이식 커버부
410:411~414 : 고정판
420:421~428 : 연결 프레임
450 : 손잡이
610~640 : 커버 프레임

Claims (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110~130)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기본 주차공간의 양측면과 지붕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체(100)와;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양측면의 밑면에 좌우 대칭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쪽면에 사용자의 수조작에 따라 주차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수조작에 따라 지면에서부터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쪽면에 주차공간을 단계적으로 확장되도록 펼치거나 축소되도록 접혀지는 접이식 커버부(400,500,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이식 커버부(400,500,600)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력 발생부(200,3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지면에서부터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단계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전면에 기본 주차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제1 접이식 커버부(400) 및 제2 접이식 커버부(500)와;
    상기 제1 접이식 커버부(400)와 상기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외측 끝단부를 길이를 달리하여 서로 연결하는 제3 접이식 커버부(60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접이식 커버부(400)는,
    상기 제1 구동력 발생부(200)의 제1 케이스(21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제1 축홀(212)에 관통 설치된 축봉(260)에 차례로 삽입되어 설치되며, 복수개의 회전기어(250:251~254)의 구동에 따라 지면과 상기 프레임 구조체(100)의 개방된 전면 사이에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회동되는 부채꼴 형상의 복수개의 고정판(410:411~414)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판(41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외부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420:421~428)과;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연결 프레임(421 또는 428)의 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3 접이식 커버부(600)는 상기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복수개의 제4 연결 프레임(420)과 상기 제2 접이식 커버부(500)의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의 외측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커버 프레임(610~6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구동력 발생부(200)는,
    상단 밑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 돌출바(211)로 인해 복수개의 설치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의 축홀(212)이 관통 형성되며, 일측면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된 브라켓(214)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곡선 접이조절홈(216)이 일정 길이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제1 케이스(210)와;
    하단이 상기 제1 케이스(210)의 하단 내측면 또는 하단 고정블럭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접이식 커버부(400)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각각 조절하는 복수개의 가스 스프링(220:221~224)과;
    상기 복수개의 가스 스프링(220:221~224)의 상단에 접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210)의 밑면에 수평하게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평기어(230:231~234)와;
    상기 복수개의 평기어(230)의 끝단과 상기 제1 케이스(210)의 상단 내측면 또는 상단 고정블럭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 장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이식 커버부(400)의 접힘 또는 펼침 세기 및 속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스프링(240:241~244)과;
    상기 브라켓(214)에 형성된 상기 축홀(212)을 서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축봉(260)을 통하여 삽입 고정되며, 상기 복수개의 평기어(230)와 기어물림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전기어(250:251~2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이식 커버부(400)에 구비된 복수개의 고정판(410:411~414)의 일측면의 횡중심선 윗부분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곡선 접이조절홈(411a~414a)이 각각 일정 길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판(410:411~414)의 타측면의 횡중심선 윗부분에는 상기 곡선 접이조절홈(411a~414a)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접이조절 돌기(411b~414b)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판(410:411~414)은 하단 중앙에 상기 복수개의 회전기어(250:251~254)가 배치되도록 상기 축봉(260)에 차례로 삽입되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판(410:411~414)의 상기 곡선 접이조절홈(411a~414a)과 상기 접이조절 돌기(411b~414b)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고정판(410:411~414)이 확장되도록 펼치거나 축소되도록 접혀지며;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4 고정판(410:411~414)의 일측면의 횡중심선 윗부분에는 횡방향으로 상기 곡선 접이조절홈(411a~414a)이 각각 일정 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판(410:411~414)의 타측면의 횡중심선 윗부분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곡선 접이조절홈(411a~414a)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접이조절 돌기(411b~414b)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판(410:411~414)이 상기 제1 케이스(21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축홀(212,312)에 관통 설치되는 상기 축봉(260)을 통하여 각각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판(411), 상기 제2 고정판(412), 상기 제3 고정판(413), 상기 제4 고정판(414)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1 고정판(411)의 상기 제1 접이조절 돌기(411b)는 상기 제2 고정판(412)의 상기 제2 접이조절홈(412a)의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판(412)의 상기 제2 접이조절돌기(412b)는 상기 제3 접이조절홈(413a)의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3 고정판(413)의 상기 제3 접이조절돌기(413b)는 상기 제4 고정판(414)의 상기 제4 접이조절홈(414a)의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
KR1020180123475A 2018-10-16 2018-10-16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 KR102127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475A KR102127097B1 (ko) 2018-10-16 2018-10-16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475A KR102127097B1 (ko) 2018-10-16 2018-10-16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415 Division 2017-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420A KR20190022420A (ko) 2019-03-06
KR102127097B1 true KR102127097B1 (ko) 2020-07-07

Family

ID=6576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475A KR102127097B1 (ko) 2018-10-16 2018-10-16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0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331A (ko) 2000-03-24 2001-10-18 박치권 천막 회전터널형 지상주차장치
KR200194522Y1 (ko) 2000-03-24 2000-09-01 박치권 지상에 설치된 터널가변식 주차설비
KR20010090332A (ko) 2000-03-24 2001-10-18 박치권 수직이동식 천막 주차장치
KR200264269Y1 (ko) 2001-08-25 2002-02-19 박귀영 간이식 주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420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2554B2 (en) Vertical blind assembly
US9322211B2 (en) Vertical blind assembly
CN101668920B (zh) 卷帘组装件
US9260913B2 (en) Vertical blind assembly
US9739087B2 (en) Blind assembly
NL2008069C2 (nl) Zonwering.
WO2017099845A1 (en) Retractable shelter
CN105229247A (zh) 窗户的遮阳装置
KR20090122663A (ko) 확장이 가능한 이동식 경비초소
KR102127097B1 (ko) 주차장용 접이식 커버 장치
JP2010065513A (ja) オーニング装置
DE102013100299A1 (de) Fenster oder Tür
KR20190023868A (ko) 확장 가능한 이동형 캠핑 하우스
US20030029099A1 (en) Telescopic type store
CN104847245B (zh) 一种自动卷帘窗
CN208602412U (zh) 一种行李架结构、行李架装置和汽车
CN103600640A (zh) 设置在公交车上的自动伸缩雨篷
KR101981121B1 (ko) 다기능 전동 셔터시스템
AU2004201914B2 (en) Vertically movable partitions
CN204591076U (zh) 一种自动卷帘窗
JPH0440338Y2 (ko)
CN214330117U (zh) 立体车库的智能折叠防护装置
CN215829850U (zh) 一种旋转楼梯
US20240271410A1 (en) Rollable roof mobile house
KR100577616B1 (ko) 셔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