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796B1 - 플러그 구조 - Google Patents

플러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796B1
KR102125796B1 KR1020190105354A KR20190105354A KR102125796B1 KR 102125796 B1 KR102125796 B1 KR 102125796B1 KR 1020190105354 A KR1020190105354 A KR 1020190105354A KR 20190105354 A KR20190105354 A KR 20190105354A KR 102125796 B1 KR102125796 B1 KR 10212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ell
latch
plug
si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USB(universal serial bus) 타입 C 플러그를 통해 이어폰 등을 연결할 때 음질을 향상할 수 있는 플러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셉터클에 삽입된 플러그의 삽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절연성 재질의 하우징 내부에 매립되어 리셉터클과 맞물리는 래치를, 하우징의 외면을 둘러싸는 도전성 재질의 쉘과 쇼트시킨 구조를 포함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러그 구조{Plug Structure}
본 발명은 플러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SB(universal serial bus) 타입 C 플러그를 통해 이어폰 등을 연결할 때 음질을 향상할 수 있는 플러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전화 통화 기능을 넘어 각종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더 제공한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편리하게 음향을 듣기 위해 블루투스 등의 무선 송수신 방식으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헤드폰, 이어폰, 스피커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음질과 가격을 감안하여 3.5파이 플러그를 스마트폰에 마련된 소켓에 끼워 사용하는 유선 송수신 방식의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이용하는 사용자도 여전히 많다.
최근 스마트폰의 방수 기능, 외관 디자인 향상을 위해 3.5파이 소켓을 스마트폰에서 생략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의 USB 연결 소켓에 유선으로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USB 연결 단자는, 단순히 음향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구조가 아니라, 다양한 신호를 주고 받으며, 전원의 공급 경로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USB 연결 단자에 이어폰 등을 연결하면, 음향 전용의 3.5파이 소켓에 비해, 이어폰 감도가 떨어지고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의 USB 단자 등을 통해서도 감도가 높고 노이즈가 저감된 음향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플러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셉터클에 삽입된 플러그의 삽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절연성 재질의 하우징 내부에 매립되어 리셉터클과 맞물리는 래치를, 하우징의 외면을 둘러싸는 도전성 재질의 쉘과 쇼트시킨 구조를 포함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상기 플러그는 하우징(10), 쉘(20), 핀(30), 래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전방으로 개방된 중공부를 구비하고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제1부분(11) 및 상기 제1부분(11)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되지 않는 제2부분(16)을 구비하며, 절연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쉘(20)은 전방과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부분(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기 제1부분(1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부분의 외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쉘(20)은 도전성 재질, 가령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핀(30)은 상기 하우징(10)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핀(3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각각 상기 제1부분(11)의 중공부와 상기 제2부분(16)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핀(30)은 상하 8개씩 대칭 배치하여, 총 16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40)는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 매립 설치되고,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제1부분(11)의 중공부와 상기 제2부분(16)의 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리셉터클에 마련된 상대물과 체결되어 임시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래치(4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중공부와 상기 쉘(20)의 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연통된 제1측방개구(112)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40)에는, 상기 제1측방개구(112)를 통해 상기 쉘(20)의 내면과 접하여 상기 래치(40)와 상기 쉘(20) 간의 쇼트를 일으키는 탄성쇼트부(415)가 구비된다.
상기 쉘(20)이 상기 제1부분(11)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쇼트부(415)의 선단부는 상기 제1측방개구(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의 외면보다 더 외향 돌출되고, 상기 쉘(20)이 상기 제1부분(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탄성쇼트부(415)의 선단부는 상기 쉘(20)의 내면에 의해 눌려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쉘(20)과의 접촉을 유지한다.
상기 탄성쇼트부(415)는 상기 래치(40)에 형성된 제1절개부(416)에 의해 규정되는 부위를 측방으로 외향 절곡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부(416)는 "ㄷ"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탄성쇼트부(415)가 상기 래치(40)와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제1절개부(416)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쇼트부(415)는 상기 래치(40)와 연결되는 부위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래치(40)로부터 점점 벌어지는 제1경사부(417)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쉘(20)이 하우징(10)에 삽입될 때 쉘(20)의 삽입력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417)의 선단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래치(40)로부터 점점 벌어지는 경향이 줄어들고 사라지는 형태를 구비하여 상기 쉘(20)의 내면과 면 접촉하는 접촉면부(4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에서 상기 제1측방개구(112)의 전방에는 측방으로 개방된 제2측방개구(113)가 마련되고, 상기 래치(40)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리셉터클의 상대물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어 고정력을 제공하거나 해제하는 리테이너부(43)가 마련되고, 상기 리테이너부(43)는 상기 제2측방개구(113)와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를 쉘과 쇼트시킴으로써, 음향 신호의 감도를 높이고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의 구조만으로도 래치가 리셉터클과의 리테이너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쉘과 쇼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부품의 추가도 없고 별도의 조립 공정이 추가되지 않고서도 래치와 쉘의 쇼트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에 대한 쉘의 삽입력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쉘과 래치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실시예의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플러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플러그에서 쉘만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플러그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플러그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플러그에 적용된 래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이라 함은 리셉터클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라 함은 리셉터클로부터 플러그가 빠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플러그의 삽입 부위는 넓고 납작한 두 면과, 좁고 둥근 두 면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넓고 납작한 두 면에 대한 법선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고, 좁고 둥근 두 면에 대한 법선 방향을 측방향이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USB C-TYPE 플러그(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플러그(1)는 전기절연 재질의 하우징(10), 금속 재질의 쉘(20), 전기전도성 재질의 핀(30), 그리고 금속 재질의 래치(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트랙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부분(11)과, 제1부분(11)의 후방에 연결 형성된 제2부분(16)을 포함한다. 제1부분(11)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제1전방개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제1부분(11) 내부에는 중공부가 구비된다. 중공부는 제1부분(11)에서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전방개구(111)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된다. 제1전방개구(111)와 중공부 역시 트랙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제1부분(11)에서 후방에는 핀(30)이 매립되는 부위가 구비된다. 상기 핀(30)은 상하로 각각 8개씩 상호 대칭되도록 나란히 구비된다. 16개의 상기 핀(30)의 전방은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의 중공부로 노출되고, 상기 핀(30)의 중앙부는 제1부분(11)에서 후방에 매립되며, 상기 핀(30)의 후단부는 하우징(10)의 제2부분(16)을 통해 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핀(30)과 하우징(10)은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넓고 납작한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후크(114)가 외향 돌출된다. 실시예에서는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에 후크(114)가 형성된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후크(114)는 하우징(10)의 제1부분(11)에서 중공부가 없는 후방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후크(114)의 강도를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제1측방개구(112)와 제2측방개구(113)가 한 쌍씩 마련된다. 상기 제1측방개구(112)는 상기 제2측방개구(113)보다 후방에 마련된다. 상기 제1측방개구(112)는, 상기 핀(30)이 매립되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 후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제2측방개구(113)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 전방에 마련된 중공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실시예에서는 제1측방개구(112)보다 제2측방개구(113)가 전후방향으로 더 길게 개방된 형태임이 예시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래치(40)가 각각 매립된다. 상기 래치(40)는 하우징(10)과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거나, 상기 하우징(10)이 성형된 후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40)는 상기 제1부분(11)의 후방부분에 매립되는 매립부(41)와, 상기 매립부(41)보다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부분(11)의 전방부분에 마련된 중공부에 배치되는 리테이너부(43)와, 상기 제2부분(16)을 통해 후방으로 노출되는 후방노출부(44)를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부(43)와 매립부(41) 사이에는 절곡부(42)가 더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부(43)와 매립부(41)는 모두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지만, 상기 절곡부(42)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부(43)는 상기 매립부(41)보다 하우징(10) 내에서 측방으로 더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리테이너부(43)의 전방 단부에는, 측방으로 내향 돌출된 리텐션 돌기(431)가 마련된다. 상기 리텐션 돌기(431)는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40)의 리텐션 돌기(431)는 리셉터클의 미드플레이트(mid-plate; 미도시)에 접촉하여 결합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치(40)는 추가적인 접지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리테이너부(43)는 상기 제2측방개구(113)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플러그(1)를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리셉터클의 미드플레이트와 리텐션 돌기(431)의 간섭에 의해 리테이너부(43)가 측방으로 외향 탄성 변형될 때, 상기 제2측방개구(113)는 상기 리테이너부(43)가 외향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절곡부(42)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부(43)의 외측면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과 접하고, 상기 매립부(41)의 내측면은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의 핀(30)의 매립 부위와 접한다.
상기 매립부(41)에는 란스부(411)가 구비된다. 란스부(411)는 상기 매립부(41)에 마련된 "ㄷ"자 형상의 제2절개부(412)에 의해 규정되는 외향절곡부(413)를 외측방으로 절곡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외향절곡부(413)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면과 접한다. 상기 란스부(411)는 상기 절곡부(42)와 함께,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상기 래치(40)가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정확히 규제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42)와 란스부(411)에 의해, 상기 래치(40)의 전방에서 이루어지는 리테이너부(43)의 변형이 상기 란스부(411)보다 더 후방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상기 매립부(41)에는 탄성쇼트부(415)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탄성쇼트부(415)는 상기 란스부(411)보다 더 후방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쇼트부(415)는 리테이너부(43)의 변형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탄성쇼트부(415)는 상기 매립부(41)에 마련된 "ㄷ"자 형상의 제1절개부(416)에 의해 규정되는 부위를 측방으로 외향 절곡한 형태이다. 상기 탄성쇼트부(415)는 상기 매립부(41)와 연결되는 부위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매립부(41)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형태의 제1경사부(417)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경사부(417)는 상기 매립부(41)와 연결되는 부위를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부(417)의 선단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래치(40)로부터 점점 벌어지는 경향이 줄어들고 사라지는 형태를 구비하여 상기 쉘(20)의 내면과 면 접촉하는 접촉면부(418)가 더 구비된다.
상기 쉘(20)이 상기 제1부분(11)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접촉면부(418)는 상기 제1측방개구(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의 외측면보다 더 외향 돌출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쉘(20)을 상기 제1부분(11)에 끼우면, 상기 접촉면부(418)가 상기 쉘(20)의 내면에 의해 눌려 상기 탄성쇼트부(415)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쉘(20)과의 접촉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제2부분(16)은, 전후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부분(11)보다 넓은 단면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의 외면에는 쉘(20)이 씌워진다. 상기 쉘(20)은 금속 판재를 절곡하고 이음새를 통해 이어 제작하거나, 금속 판재를 드로잉 가공하여 이음새 없이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드로잉 가공을 통해 이음새 없이 제작된 쉘(20)이 예시된다.
상기 쉘(20)은 상기 제1부분(11)보다 큰 트랙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개방된 제2전방개구(21)와 후방개구(26)를 구비한다. 상기 쉘(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후방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후크(114)와 맞물리는 걸림홀(24)이 구비된다. 상기 쉘(20)은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에서 상기 제1부분(11)에 후방으로 외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114)가 상기 걸림홀(24)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쉘(20)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위치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쉘(20)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의 외면과 마주하고, 접할 수 있다. 상기 쉘(20)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탄성쇼트부(415)는 상기 쉘(20)과 접촉하게 된다.
도 1과 같이 조립이 완료된 후, 상기 제2부분(16)으로 노출된 핀(30)과 래치(40)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부분(16) 및 상기 제2부분(16)과 인접하는 제1부분(11)의 일부분은 수지로 패키징된다.
상술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측방개구(112)를 통해 하우징(10) 외측방으로 노출된 탄성쇼트부(415)에 의해 래치(40)와 쉘(20)이 쇼트되므로, 음향 신호의 감도를 높이고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탄성쇼트부(415)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탄성이 부여되므로, 하우징(10)에 쉘(20)을 삽입할 때 필요한 힘을 거의 증가시키지 않고, 탄성력에 의해 쉘(20)의 내면과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쇼트부(415)는 상기 절곡부(42)와 란스부(411)보다 후방에 배치되므로, 래치(40) 전방의 리테이너부(43)의 변형이 탄성쇼트부(415)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여, 탄성쇼트부(415)와 쉘(20)과의 접점을 잘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플러그(USB type C)
10: 하우징
11: 제1부분
111: 제1전방개구
112: 제1측방개구
113: 제2측방개구
114: 후크
16: 제2부분
20: 쉘
21: 제2전방개구
24: 걸림홀
26: 후방개구
30: 핀
40: 래치
41: 매립부
411: 란스부
412: 제2절개부
413: 외향절곡부
415: 탄성쇼트부
416: 제1절개부
417: 제1경사부
418: 접촉면부
42: 절곡부
43: 리테이너부
431: 리텐션돌기
44: 후방노출부

Claims (6)

  1. 전방으로 개방된 중공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전방의 일부가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제1부분(11) 및 상기 제1부분(11)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되지 않는 제2부분(16)을 구비하고, 절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에서 상기 제1부분(11)의 전방에 구비되고, 측방으로 개방된 제2측방개구(113);
    전방과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부분(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기 제1부분(1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부분의 외면을 감싸는 도전성 재질의 쉘(20);
    상기 하우징(10)에 매립 설치되고,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제1부분(11)의 중공부와 상기 제2부분(16)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복수 개의 핀(30); 및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 매립 설치되고, 전방 단부에 마련된 리테이너부(43)가 상기 제2측방개구(113)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의 중공부로 노출되고 후방 단부가 상기 제2부분(16)의 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리셉터클에 마련된 상대물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개방된 중공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리테이너부(43)가 상기 상대물과 체결되어 임시적인 고정력을 제공하는 래치(40);를 포함하는 플러그(1)로서,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에서 상기 제2측방개구(113)보다 후방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중공부와 상기 쉘(20)의 내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연통된 제1측방개구(112)가 구비되고,
    상기 래치(40)는, 상기 리테이너부(43)의 후방에서 상기 제1측방개구(112)를 통해 상기 쉘(20)의 내면과 직접 접하여 상기 래치(40)와 상기 쉘(20) 간의 쇼트를 일으키는 탄성쇼트부(415)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쇼트부(415)는 상기 래치(40)에 형성된 제1절개부(416)에 의해 규정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외향하도록 절곡하여 마련되고,
    상기 쉘(20)이 상기 제1부분(11)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쇼트부(415)가 외향 절곡된 부분은 상기 제1측방개구(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의 외면보다 더 외향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의 외면보다 더 외향 돌출된 부위는 후방으로 갈수록 래치(40)로부터 점점 벌어지는 제1경사부(417)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쉘(20)이 상기 제1부분(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제1부분(11)의 외면보다 더 외향 돌출된 상기 제1경사부(417) 부위가 상기 쉘(20)의 내면에 의해 눌려 상기 탄성쇼트부(415)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쉘(20)과의 접촉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416)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탄성쇼트부(415)가 상기 래치(40)와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제1절개부(416)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플러그.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417)의 선단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래치(40)로부터 점점 벌어지는 경향이 줄어들고 사라지는 형태를 구비하여 상기 쉘(20)의 내면과 면 접촉하는 접촉면부(41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6. 삭제
KR1020190105354A 2019-08-27 2019-08-27 플러그 구조 KR10212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354A KR102125796B1 (ko) 2019-08-27 2019-08-27 플러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354A KR102125796B1 (ko) 2019-08-27 2019-08-27 플러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796B1 true KR102125796B1 (ko) 2020-06-23

Family

ID=7113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354A KR102125796B1 (ko) 2019-08-27 2019-08-27 플러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7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932U (ja) * 2014-05-23 2015-07-30 詮欣股▲分▼有限公司 電気コネクタ
KR20170068226A (ko) * 2015-12-09 2017-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Usb 플러그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932U (ja) * 2014-05-23 2015-07-30 詮欣股▲分▼有限公司 電気コネクタ
KR20170068226A (ko) * 2015-12-09 2017-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Usb 플러그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9243B2 (ja) コネクタ装置
JP4136933B2 (ja)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7128617B2 (en) Electrical socket assembly and plug connector coupled thereto
CN109997373B (zh) 音频组件及移动终端
US7988498B1 (en) Earphone jack
TWI492458B (zh) 電纜總成、連接器及半導體測試器
US9225132B2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device
US9774152B2 (en) Forward and backward compatible 5 pole audio plug and jack system
JP2008311040A (ja) コネクタプラグ
US10340629B2 (en) Waterproof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731179A (zh) 連接器
JP2016018589A (ja) コネクタ
KR101396690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20110300756A1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EP3032658B1 (en) Earphone socket, earphone plug,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KR102125796B1 (ko) 플러그 구조
KR100963886B1 (ko) 멀티형 유에스비 젠더 조립체
US20070287330A1 (en) Audio jack
CN110707471A (zh) 防水usb插座
TWM499667U (zh) 微型插頭電連接器、微型插座電連接器及電連接器組合
JP2015076186A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KR100802617B1 (ko)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733828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necklace cable
KR20130074676A (ko) 이어폰 잭용 커넥터
KR200293414Y1 (ko) 이어폰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