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355B1 - 명함 위조 및 도용 방지를 위한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명함 위조 및 도용 방지를 위한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355B1
KR102125355B1 KR1020190069433A KR20190069433A KR102125355B1 KR 102125355 B1 KR102125355 B1 KR 102125355B1 KR 1020190069433 A KR1020190069433 A KR 1020190069433A KR 20190069433 A KR20190069433 A KR 20190069433A KR 102125355 B1 KR102125355 B1 KR 10212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electronic business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r
persona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훈
Original Assignee
(주)케이씨앤엘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씨앤엘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케이씨앤엘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19006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명함 도용 방지를 위한 그룹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방법을 개시한다. 전자명함 생성 서버는 전자명함 생성 응용프로그램, 그룹, 부서, 직급 별 명함 서식, 인증정보 확인 데이터 및 명함을 생성하려는 사용자의 기본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개인인증 정보를 요청하고 개인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개인인증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인증정보 확인모듈; 인증정보 확인모듈에서 개인인증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소속 그룹, 직급, 부서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서식을 추출하여, 전자명함을 생성하는 전자명함생성모듈; 및 생성된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에 전자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에 따라 전자명함 전송 방식을 선택한 후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전자명함 관리 모듈;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명함 위조 및 도용 방지를 위한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Group Electronic Business Card}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자명함 위조 및 도용 방지를 위한 그룹 전자명함 제작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전자통신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데스크탑 PC 기반의 각종 프로그램 개발을 넘어,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개인의 전자통신기기인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 편의성을 높이고, 보안 및 광고, 스마트 금융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개인 맞춤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기반의 기술 중 하나가 전자명함과 관련된 기술이다.
전자명함은 명함을 디지털 데이터로 제작하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자명함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편리하게 타인에게 명함을 전송할 수 있고, 상대방도 편리하게 명함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세계 표준 파일 형식의 전자명함인 VCard는 주로 이메일에 덧붙여 보내거나, 월드 와이드 웹이나 메시지 형태로 바꿀 수 있다. 일반적으로 VCard에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웹사이트, 로고, 사진, 소리 등 문자, 멀티미디어 자료를 포함시켜 인터넷을 통해 명함을 교환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VCard를 이용한 전자명함은 웹 연결이나 이메일을 통해서만 상대방의 정보를 알 수 있어 명함 수집과 관리에 불편하다.
또한, 종래 전자명함은 명함생성과 발송 시, 신상 검증이나 개인인증 절차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명함의 위조나 도용위험이 크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대방에게도 전자명함이 자동으로 발송 되는 위험도 있다. 이 경우는 보이스피싱 등의 범죄에 사용자의 전자명함이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고 전자명함을 전송한 스마트 기기에 대한 기록을 하지 않아 전자명함이 악용된 경우 이에 대한 대처가 어렵다. 아울러, 전자명함생성시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나 보안 설정이 없기 때문에, 특정 그룹사의 명함 포맷을 위조하여 전자 명함 기술을 악용할 가능성이 있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1472호(2012.05.22.)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1387호(2005.9.15.)
그룹 전자명함 제작 시 명함에 포함되는 기본정보에 대한 개인정보인증을 수행하여 기본정보의 유효성을 판단 결과에 따라 그룹 명함의 포맷을 제공함으로써 전자명함의 위조와 도용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명함 도용 및 위조 방지를 위한 그룹 전자명함 생성 서버는 전자명함 생성 응용프로그램, 그룹, 부서, 직급 별 명함 서식, 인증정보 확인 데이터 및 명함을 생성하려는 사용자의 기본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개인인증 정보를 요청하고 개인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개인인증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인증정보 확인모듈; 인증정보 확인모듈에서 개인인증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소속 그룹, 직급, 부서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서식을 추출하여, 전자명함을 생성하는 전자명함생성모듈; 및 생성된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에 전자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에 따라 전자명함 전송 방식을 선택한 후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전자명함 관리 모듈; 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명함 위조 및 도용 방지를 위한 그룹 전자명함 제작 방법은 (A)전자명함 생성서버에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이름, 소속부서, 직급, 연락처를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인증정보 확인모듈에서 기본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개인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서 그룹 원임을 증명하는 증빙메일, 재직증명서, 전자명함생성 승인코드를 포함하는 개인인증정보를 전자명함 생성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전자명함생성모듈에서 개인인증정보 수신 후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명함 서식을 추출하는 단계; 및 (E)전자명함생성모듈에서 추출된 명함 서식에 기본정보를 부가하여 전자 명함을 생성하는 단계; (F)전자명함관리모듈에서 생성된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에 전자명함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G)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명함전달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H) 선택된 전달방식으로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방법은 명함에 포함되는 기본정보의 유효성 판단을 통해 전자명함의 위조와 도용을 예방하고, 전자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에 관계 없이 스마트 단말을 통해 전자명함을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명함 생성, 업데이트 및 교환 시각을 기록하고 전자명함을 전송한 상대방 단말의 기기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전자명함 사용 시 보안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함 제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함 생성 서버의 대략적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함 생성 서버의 구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a는 전자명함 생성 과정의 디스플레이 실시예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함 전달 디스플레이 실시예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생성 방법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함 제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명함 제작 시스템은 전자명함 생성서버(100)와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인 제 1 스마트 단말(200) 및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인 제 2스마트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자명함 생성 서버(100)는 전자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임의의 스마트 기기로 분산방식으로 배포하고, 사용자의 기본정보와 그룹 별 명함 포맷을 저장한다. 전자명함 생성 서버(100)는 명함을 생성하려는 사용자의 개인인증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따라 전자명함을 생성하고 전자명함생성서버(100)에 등록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200)로 생성된 전자명함을 전송한다.
제 1 스마트 단말(200)은 전자명함 생성서버(100)에 등록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은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스마트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전자명함 생성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스마트 단말(200)은 스마트 폰 또는 개인 PC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전자명함 생성서버(1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 여하한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제 1 스마트 단말(200)은 분산방식으로 전달된 전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사용자로부터 명함생성에 필요한 기본정보와 개인인증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후, 입력된 개인인증정보를 전자명함 생성서버(100)로 전송하고 개인인증정보를 통해 기본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전자명함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사용자의 제 1 스마트 단말(200)은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단말인 제 2 스마트 단말(300)로 전송할 때, 전자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에 따라 전자 명함 전달 포맷을 달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스마트 단말(300)에 전자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 단말을 태깅(tagging)하면 자동으로 전자명함이 전송되도록 하거나, 제 1 스마트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전송버튼을 터치하여 전자명함을 전송 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스마트 단말(300)에 전자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주소록과 함께 전자명함을 내보내거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인스턴트 메시지로 전자명함을 전송하거나 QR 코드 인식 등을 통해 전자명함을 전달 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함 생성 서버의 대략적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명함 생성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 인증정보 확인모듈(130), 전자명함 생성모듈(150) 및 전자명함 관리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전자명함 생성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10)는 전자명함 생성 응용프로그램, 전자 명함 생성에 필요한 부서 및 직급 별 명함 서식 데이터, 인증정보 확인 데이터 및 명함을 생성하려는 사용자 기본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기본정보에는 한글이름, 영문이름, 직급, 연락처 등 전자명함 생성에 필요한 개인정보가 포함된다.
인증정보 확인모듈(130)은 명함을 생성하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200)로 개인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200)로부터 개인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개인인증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인증정보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직급, 부서 정보 등 기본정의 사실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내메일인증, 인증 코드 및 재직증명 자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개인인증 정보의 생성날짜, 증명서의 유효기간 등을 확인함으로써 개인인증정보의 효력 및 신뢰도를 나타내는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명함 생성모듈(150)은 인증정보 확인모듈(130)에서 개인인증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명함을 생성하는 사람의 소속 그룹, 직급, 부서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서식을 추출하여, 전자명함을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전자명함 생성모듈(150)은 번역 서버와 통신하여 명함에 개시된 정보가 외국어로 번역된 외국어 전자 명함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명함 관리 모듈(170)은 생성된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300)로 전송하는 경우, 상대방 스마트 기기(300)의 전자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에 따라 전자명함 전송 방식을 선택한 후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300)로 전달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함 생성 서버의 구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증정보 확인모듈(130)은 인증정보 요청부(131) 및 유효성 판단부(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전자명함 생성모듈(150)은 서식 추출부(151) 및 전자명함 생성부(1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전자명함 관리모듈(170)은 어플리케이션 확인부(171) 및 전송방식 선택부(1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증 정보 확인모듈(130)의 인증정보 요청부(131)는 전자명함을 생성하려는 사용자의 개인인증정보를 요청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인증정보는 사용자의 기본정보 사실여부 확인을 위한 데이터로서 사용자의 소속회사, 부서, 직급 등의 개인정보를 증빙할 수 있는 사내메일증명, 재직증명서, 명함생성승인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133)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개인인증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유효성 판단부(133)는 기 저장된 회사별 재직증명서 표본과 사용자가 전송한 재직증명서를 비교하여 재직증명서의 진위여부를 판단 하거나, 명함생성승인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신원증빙에 대해 1차로 판단한다.
전자명함 생성모듈(150)의 서식추출부(151)는 개인인증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유효한 개인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정보의 사실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개인인증 정보인 사내메일에 기재된 기본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정보의 사실여부를 확인한다. 기본정보가 사실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전자명함을 생성하는 사람의 소속, 부서, 직급에 대응하는 명함서식을 추출한다.
이후, 전자명함 생성부(153)는 추출된 명함서식을 사용자의 기본정보에 부가하여 전자명함을 생성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명함 생성부(153)는 전자명함 생성시각을 기록하고, 명함서식 또는 사용자의 기본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전자명함 관리모듈(170)의 어플리케이션 확인부(171)는 전자명함을 전달하려는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300)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파악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확인부(171)는 사용자 스마트 기기(200) 근방에 존재하는 스마트 기기(300)의 정보 인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송방식 선택부(173)는 상대방의 스마트 단말(300)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대방의 스마트 단말로 전자명함을 전달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명함 전달 방식은 명함을 전달하는 사람의 연락처 파일과 전자명함을 결합하여 내보내는 방식, QR 코드 인식을 통해 전자명함을 전달하는 방식 및 전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URL 과 전자 명함을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형식으로 전달하는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대방의 스마트 단말로 전자명함이 전송되면, 전자명함 관리모듈(170)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전자명함이 전송된 시각과 상대방 스마트 기기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전자명함을 전송할 때 회사 소개 파일 등 업무에 필요한 첨부 자료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상대방의 전자명함 수신 시, 이름, 회사명 순서, 명함 교환 날짜, 장소 등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으로 전자명함을 정렬하거나 분류 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의 전자명함 수신 시 일정 데이터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메모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전자명함 생성 과정의 디스플레이 실시예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200)에 전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이후 이름, 소속, 부서, 이메일 등 자신의 기본정보를 입력한다. 이후 메일인증방식, 명함생성 코드 인증 방식 및 재직증명서 인증 방식 등 신원 증빙과 기본정보 사실확인을 위한 인증 방법을 선택한다. 인증 방법이 선택되면, 명함생성 인증코드 비교, 재직증명서 비교 등을 통해 개인인증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인증정보의 유효성 확인이 개인인증정보를 이용해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정보가 사실인지 확인하고, 기본정보의 사실 확인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소속된 회사와 부서의 명함 서식정보를 추출하여 전자 명함을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전자명함은 영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로도 생성 가능하고, 색 변경 등 그룹 지침에 따라 선택 가능한 범위 내의 다른 서식으로도 개인의 전자명함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함 전달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의 스마트 단말(300)으로 전자명함을 전송할 때 상대방의 스마트 단말(300)에 전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 명함 전송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명함과 함께 주소록 연락처를 함께 내보내거나 인스턴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전자명함을 전달하거나, 전자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URL을 전자명함과 함께 상대방에게 전송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함 제작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전자명함 제작 방법의 작용(기능)은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시스템상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4b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생성 방법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S510 단계에서는 전자명함 생성 서버에서 명함을 생성하려는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이름, 소속부서, 직급, 연락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수신한다.
S520 단계에서는 기본정보 수신 이후 인증정보확인모듈에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기본정보 확인을 위한 개인인증정보를 요청한다.
S530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그룹 원임을 증명하는 메일, 재직증명서, 명함 생성 승인 코드를 포함하는 개인인증정보를 전자명함 생성서버에서 수신한다.
S540 단계에서는 인증 정보 확인 모듈에서 수신한 개인인증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성은 기본정보의 사실 확인 및 사용자의 신원 증빙을 위해 확인하는 정보의 신뢰도 개념으로서, 실시예에서는 개인인증 정보의 유효성 확인을 통해 전자명함 위조를 방지하고 전자명함에 기재된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개인인증 정보 중 하나인 재직증명서의 날짜, 위조여부, 명함생성 코드의 일치 여부, 명함생성을 인증하는 사내메일의 날짜 등을 확인하여 개인인증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는 개인인증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개인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정보의 사실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소속, 직급 등의 기본정보와 개인인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기본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기본정보가 사실인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정보가 사실로 판단되는 경우, S560 단계에서는 전자명함생성모듈에서 사용자의 소속과 직급에 대응하는 명함서식을 추출한다. 실시예에서 명함서식에는 명함 디자인을 구성하는 배경이미지, 글씨체, 글씨크기, 배경색, 글씨 색, 명함 구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570 단계에서는 전자명함생성모듈에서 추출된 명함 서식에 기본정보를 부가하여 전자 명함을 생성한다.
만일, 개인인증 정보가 유효하지 않거나, 기본정보가 사실이 아닌 경우에는 S520 단계로 진입하여 개인인증 정보를 다시 요청한다.
실시예에서는 전자명함 생성 이후 이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 전자명함 관리 모듈에서 다른 스마트 기기의 전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스마트 단말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명함 전달 방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전달방식으로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명함을 전달하는 사람의 연락처 파일과 전자명함을 결합하여 내보내는 방식,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기 전자명함을 전달하는 방식 및 상기 전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URL과 상기 전자명함을 전달하는 방식 등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스마트 단말로도 편리하게 전자명함을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면, 전자명함이 전송된 시각 및 전자명함을 수신한 다른 스마트 기기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전자명함 제작 방법은 개인인증정보 유효성 판단과 사용자의 소속, 직급, 연락처 등 기본정보의 사실확인 과정을 통해 전자명함의 위조와 도용을 예방하고, 전자명함에 기재된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아울러, 스마트 단말을 통해 전자명함을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기본정보나 명함 서식 등이 변경된 경우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명함을 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전자명함 생성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130: 인증정보 확인모듈
150: 전자명함 생성모듈
170: 전자명함 관리모듈

Claims (14)

  1. 명함 도용 및 위조 방지를 위한 그룹 전자명함 생성 서버에 있어서,
    전자명함 생성 응용프로그램, 그룹, 부서, 직급 별 명함 서식, 인증정보 확인 데이터 및 명함을 생성하려는 사용자의 기본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개인인증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개인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개인인증 정보의 생성날짜 및 유효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개인인증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인증정보 확인모듈;
    상기 인증정보 확인모듈에서 상기 개인인증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소속 그룹, 직급, 부서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서식을 추출하여, 전자명함을 생성하는 전자명함생성모듈;
    사용자 스마트 기기 근방에 존재하는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 인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에 전자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에 따라 전자명함 전송 방식을 선택한 후 상기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전자명함 관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정보 확인모듈은
    상기 기본정보의 증빙을 위한 사내메일증명, 재직증명서 및 명함생성승인코드를 포함하는 개인인증정보를 요청하는 인증정보 요청부; 및
    수신한 사내메일증명과 재직증명서의 진위여부, 명함생성승인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개인인증정보 유효성을 결정하고 개인인증 정보의 생성날짜, 증명서의 유효기간 및 개인인증 정보 중 하나인 재직증명서의 날짜, 위조여부, 명함생성 코드의 일치 여부, 명함생성을 인증하는 사내메일의 날짜를 확인하여 개인인증정보의 효력 및 신뢰도를 나타내는 유효성을 판단하는 인증정보 유효성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부;는
    기 저장된 회사별 재직증명서 표본과 사용자가 전송한 재직증명서를 비교하여 재직증명서의 진위여부를 판단 하고, 명함생성승인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신원증빙에 대해 1차로 판단하고,
    상기 전자명함 생성모듈은
    상기 개인인증 정보인 사내메일에 기재된 기본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정보의 사실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개인인증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기본정보가 사실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소속, 부서, 직급에 대응하는 명함서식을 추출하는 서식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명함서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본정보가 포함된 전자명함을 생성하고, 전자명함 생성시각을 기록하는 전자명함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명함 관리모듈; 은
    상대방의 스마트 단말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전자 명함 전달 방식은 명함을 전달하는 사람의 연락처 파일과 전자명함을 결합하여 내보내는 방식, QR 코드 인식을 통해 전자명함을 전달하는 방식 및 전자 명함 생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URL 과 전자 명함을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형식으로 전달하는 방식 중 하나로 상대방의 스마트 단말로 전자명함을 전달하고
    상기 전자명함 생성모듈은
    상기 명함서식 또는 기본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전자명함을 변경된 명함서식 또는 기본정보로 업데이트 하고, 업데이트 시각을 기록하고 상기 전자명함의 전송 이후, 전송된 시각 및 상기 전자명함을 수신한 상대방의 스마트 기기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명함 생성 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69433A 2019-06-12 2019-06-12 명함 위조 및 도용 방지를 위한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방법 KR10212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433A KR102125355B1 (ko) 2019-06-12 2019-06-12 명함 위조 및 도용 방지를 위한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433A KR102125355B1 (ko) 2019-06-12 2019-06-12 명함 위조 및 도용 방지를 위한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355B1 true KR102125355B1 (ko) 2020-06-22

Family

ID=7114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433A KR102125355B1 (ko) 2019-06-12 2019-06-12 명함 위조 및 도용 방지를 위한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3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387A (ko) 2004-03-12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자 명함 편집 방법
KR100648986B1 (ko) * 2005-08-05 2006-11-27 주식회사 비티웍스 전자명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전자명함 인증 장치 및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20051472A (ko) 2010-11-12 2012-05-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자명함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20170080275A (ko) * 2015-12-31 2017-07-10 김경철 전자 명함 교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387A (ko) 2004-03-12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자 명함 편집 방법
KR100648986B1 (ko) * 2005-08-05 2006-11-27 주식회사 비티웍스 전자명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전자명함 인증 장치 및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20051472A (ko) 2010-11-12 2012-05-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자명함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20170080275A (ko) * 2015-12-31 2017-07-10 김경철 전자 명함 교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8315A (ko) 서명된 콜백 유알엘 메시지를 이용한 개인정보 공유 서비스제공 장치 및 방법
US10580000B2 (en) Obtaining user input from a remote user to authorize a transaction
KR20170022263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계약 체결시스템
KR20000049674A (ko)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전자서명 제공 및 인증 방법
US89053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ertified or registered mail
US201101732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hibiting phishing
AU2018274867B2 (en) Method for storage of electronically signed documents
KR102125355B1 (ko) 명함 위조 및 도용 방지를 위한 전자명함 생성 서버 및 방법
KR100517441B1 (ko) 화상 이미지를 통한 상호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914660B1 (ko) 메신저 이용자 간 계좌이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JP2010066917A (ja) 個人認証システムおよび個人認証方法
KR100875919B1 (ko) 서명된 콜백 유알엘 메시지를 이용한 개인정보 공유 서비스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80300B1 (ko) 금융 정보 제공 방법
JP6784448B2 (ja) フィッシング詐欺防止のための検証装置、検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62628B2 (ja) フィッシング詐欺防止のための検証装置、検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90004B1 (ko) 안심메시지를 표시하는 단말장치, 안심메시지 표시방법, 안심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서버 및 안심메시지 전송방법
KR100610264B1 (ko) 전자메일에 대한 증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40313B1 (ko) 메시지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JP6478252B1 (ja) メール送信装置、検証システム、メール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01892B2 (ja) メッセージ配送システム、メッセージ配送方法およびメッセージ配送プログラム
KR20070076575A (ko) 고객 인증처리 방법
KR20230088178A (ko) 안전거래를 위한 수취인 인증 기반 전자 자금 이체 방법
US201400962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return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00028817A1 (en) Method, Apparatus and Product for Delivery of Electronic Messages to Electronically Un-Addressable Entities
KR20240026478A (ko)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