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882B1 -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882B1
KR102124882B1 KR1020190121382A KR20190121382A KR102124882B1 KR 102124882 B1 KR102124882 B1 KR 102124882B1 KR 1020190121382 A KR1020190121382 A KR 1020190121382A KR 20190121382 A KR20190121382 A KR 20190121382A KR 102124882 B1 KR102124882 B1 KR 10212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rchant
affiliate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동관
Original Assignee
공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동관 filed Critical 공동관
Priority to KR102019012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관리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맹점정보를 가맹점 별로 관리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설치 시에도 따른 메뉴정보 및 환경설정정보가 유지되며, 가맹점의 매출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각 가맹점에 구비되어 해당 가맹점의 매출내역을 포함하는 가맹점정보를 처리하는 가맹점 단말기, 그리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맹점정보를 수신하고 각 가맹점 단말기를 관리하는 본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본사 서버가, 상기 가맹점정보를 각 가맹점 별로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각 데이터베이스마다 신규 개설 시 생성되어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는 변경되지 않는 마스터코드를 부여하고, 해당 마스터코드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franchise store}
본 발명은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관리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맹점정보를 가맹점 별로 관리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설치 시에도 따른 메뉴정보 및 환경설정정보가 유지되며, 가맹점의 매출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프랜차이즈 산업은 유통 산업의 일부분으로 인식하였으나, 유통 산업뿐 아니라 외식업과 서비스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가맹점(franchising) 계약이란 가맹점 사업자가 본사의 마케팅 목표의 일환으로 일정한 품질 기준에 따른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도록 약정하고 이에 따른 대가로 가맹비(franchise fee)를 지급하기로 하는 독립된 사업자간의 계약이다.
이러한 가맹점 계약을 기반으로 하는 가맹점 사업은 프랜차이즈 본사와 많은 가맹점 사업자들에게 특정 제품과 서비스의 소규모 경제적 효과가 창출되도록 가맹점 사업자에 의해 판매되는 동일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며 고객과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최근, 프랜차이즈 기업은 가맹점에 대하여 프랜차이즈 본사의 직원으로부터 전략적으로 마케팅과 서비스 교육을 받은 후에 가맹점에서 고객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가맹점주는 매일 발생되는 매출과 비용을 기장하여 매월 단위 결산을 통해 손익 평가 및 판매 계획에 대비하여 프랜차이즈 본사로 상품의 구매 또는 서비스 요청이 이루어지고, 프랜차이즈 본사는 많은 가맹점의 매입/매출을 관리해야 한다.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632341호(2016년06월15일)(이하 종래기술) 등이 있는데, 프랜차이즈 본사는 많은 지역에 분산된 가맹점들과 오프라인 상에서 상거래가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으로 가맹점별로 일별/월별/분기별 판매 매출/매입 현황 관리, 결제 대금 관리, 직원 관리, 가맹점 시설 관리 등의 가맹점 관리가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맹점주는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정보를 실수로 삭제하거나, 의도치 않은 요인에 의해 삭제되거나 또는 악의적인 조작에 의해 변경되는 등의 상황에서 해당 가맹점정보를 잃어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맹점정보를 가맹점 별로 관리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설치 시에도 따른 메뉴정보 및 환경설정정보가 유지되며, 가맹점의 매출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맹점의 영업 개시 시에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이 확인되지 않으면 본사 서버가 가맹점 단말기에 마감내역을 요청하여 마감 근무자의 실수, 악의적 누락 등과 같은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의 마감내역 누락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각 가맹점에 구비되어 해당 가맹점의 매출내역을 포함하는 가맹점정보를 처리하는 가맹점 단말기, 그리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맹점정보를 수신하고 각 가맹점 단말기를 관리하는 본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본사 서버가, 상기 가맹점정보를 각 가맹점 별로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각 데이터베이스마다 신규 개설 시 생성되어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는 변경되지 않는 마스터코드를 부여하고, 해당 마스터코드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코드에는 프랜차이즈 메뉴에 관한 정보인 메뉴정보 및 클라이언트 환경 설정에 관한 정보인 환경설정정보를 더 포함하는 가맹점정보가 할당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마스터코드로부터 상기 메뉴정보 및 상기 환경설정정보를 불러오고, 상기 본사 서버는 상기 마스터코드로부터 상기 가맹점정보를 불러오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맹점정보는 해당 가맹점의 마감내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본사 서버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을 요청하고, 상기 본사 서버에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이 미확인되면, 상기 본사 서버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 및 매출내역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본사 서버에서 각 가맹점마다 구분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또한 구분된 데이터베이스마다 부여되는 마스터코드를 통해, 가맹점정보를 가맹점 별로 관리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설치 시에도 따른 메뉴정보 및 환경설정정보가 유지되며, 가맹점의 매출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영업 개시 시에 가맹점 단말기가 본사 서버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을 요청하고 본사 서버에서 미확인되면 가맹점 단말기가 본사 서버로 마감내역 및 매출내역을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마감 근무자의 실수, 악의적 누락 등과 같은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의 마감내역 누락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터코드에 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의 전송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가맹점 단말기와 본사 서버 간의 시점 별 정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외부인터페이스와의 연동을 위한 중계서버에 관한 실시예.
도 5는 공지사항 수신에 관한 일 실시예.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관한 추가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크게 가맹점 단말기(1) 및 본사 서버(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시스템은 가맹점정보를 가맹점 별로 관리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설치 시에도 따른 메뉴정보 및 환경설정정보가 유지되며, 가맹점의 매출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핵심 특징으로 한다.
각 구성 별로, 가맹점 단말기(1)는 각 가맹점에 구비되어 해당 가맹점의 매출내역을 포함하는 가맹점정보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가맹점 운영에 따르는 매출, 관리, 계산 등과 같은 제반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기이며, 대표적으로 포스기(POS, Point of sales)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가맹점 단말기(1)는 자명하게도 각 가맹점마다 구비되기 때문에 각 가맹점마다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그리고 본사 서버(2)는 가맹점 단말기(1)로부터 가맹점정보를 수신하고 각 가맹점 단말기(1)를 관리하는 구성으로, 각 가맹점 단말기(1)에 설치된 클라이언트와 연동된 서버를 말한다. 상기한 가맹점 단말기(1)와 본사 서버(2)의 기계적, 장치적 구성은 통상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시스템은 본사 서버(2)가 가맹점정보를 각 가맹점 별로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21)를 포함하고, 각 데이터베이스(21)마다 신규 개설 시 생성되어 가맹점 단말기(1)에서는 변경되지 않는 마스터코드를 부여하고, 해당 마스터코드를 가맹점 단말기(1)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가맹점정보는 해당 가맹점의 매출내역을 포함하여 가맹점 운영에 관한 제반의 정보들을 모두 포함하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사 서버(2)는 가맹점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 전송을 담당하는 전송서버(22) 및 분석을 담당하는 분석서버(2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21)는 각 가맹점 별로 해당 가맹점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데, 이는 재설치 시 기존 가맹점정보를 분리하여 관리함으로써 관리의 편의성은 물론 점주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서버(22)는 각 가맹점 단말기(1)로부터 가맹점정보를 전송받거나 또는 본사 서버(2)의 전송 내역을 각 가맹점 단말기(1)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특히 각 가맹점 단말기(1)의 매출 내역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이러한 전송서버(22)는 실시간으로 전송받은 매출 내역에 따른 결산을 가맹점 단말기(1)로부터 수신한 마감내역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이를 분석서버(23)로 전송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서버(23)는 전송받은 가맹점정보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특히 전송서버(22)로부터 가맹점정보를 전송받기도 하지만, 가맹점 단말기(1)에서 마감이 완료되면 가맹점 단말기(1)의 로컬 DB에서 압축된 파일의 형태로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병행한다.
이러한 분석서버(23)는 각 가맹점의 매출 내역을 집계하며, 상기한 전송서버(22)와 분석서버(23)는 소정 기간 간격으로 해당 가맹점정보를 백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맹점 단말기(1)는 미전송 또는 전송 에러 내역을 관리하여 재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축된 마감내역 파일은 FTP 파일로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분석서버(23)에서 집계된 가맹점정보들은 점주 단말기(3) 및 관리자 단말기(4)에서 수신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점주 및 본사 담당자는 매출내역을 조회할 수 있고, 유형별, 결제수단별, 메뉴별 등 매출조회보고서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본사 서버(2)는 각 데이터베이스(21)마다 신규 개설 시 생성되어 가맹점 단말기(1)에서는 변경되지 않는 마스터코드를 부여하여 해당 마스터코드를 가맹점 단말기(1)로 전송하는데, 여기에서 마스터코드는 본사 서버(2)에서 신규 가맹점 개설 시에 생성되는 것이며, 본사는 각 가맹점의 가맹점정보를 쉽게 구분(자연인의 식별이 아닌 프로그램 상에서의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가맹점정보에 마스터코드를 할당하여 마스터코드만 있으면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정보, 특히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매출내역을 즉시 조회, 취득 및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스터코드는 가맹점 측에도 운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가맹점 단말기(1)는 마스터코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마스터코드를 통해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정보를 간편하게 취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어떠한 이유로 인해 가맹점 단말기(1)의 로컬 DB가 삭제되거나, 악의적인 조작에 의해 변경되거나 또는 추가 출점 시에 기존 가맹점 단말기(1) 세팅을 그대로 가져오고자 할 때 등과 같은 상황에서 간편하게 본사 서버(2)에 저장된 가맹점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스터코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 마스터코드에는 프랜차이즈 메뉴에 관한 정보인 메뉴정보, 클라이언트 환경 설정에 관한 정보인 환경설정정보 및 상기한 매출내역을 포함하는 가맹점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가맹점 단말기(1)는 마스터코드로부터 메뉴정보 및 환경설정정보를 불러올 수 있는데, 메뉴정보에는 프랜차이즈 본사의 기본 메뉴 및 그에 따른 가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해당 가맹점에 특별 메뉴나 할인이 부여되는 경우, 해당 가맹점만의 마스터 메뉴 및 그에 따른 가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뉴정보에는 각 가맹점에서 별도로 수정할 수 있는 사용 메뉴 및 그에 따른 가격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가맹점은 자율성을 충분히 보장받으면서도 본사의 기본 지침에서 벗어나지 않아, 본사 및 가맹점 양측 모두의 운영에 있어서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본사 서버(2)는 마스터코드로부터 가맹점정보를 불러오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본사는 각 가맹점의 매출 실태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고, 마스터코드를 통해 각 가맹점의 매출내역, 나아가 요청사항, 발주 등과 같은 추가적인 운영 요소 역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시스템은 가맹점 정보, 특히 그 중에서도 매출 자료의 전송에서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가맹점정보는 해당 가맹점의 마감내역을 더 포함하고, 가맹점 단말기(1)는 본사 서버(2)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을 요청하고, 본사 서버(2)에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이 미확인되면, 본사 서버(2)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 및 매출내역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맹점 단말기(1)의 가맹점정보 전송은 크게 영업 개시, 영업 중, 마감 시, 총 3개의 시점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영업 개시 때는 가맹점 단말기(1)가 본사 서버(2)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을 요청하고, 본사 서버(2)에서 이 요청에 따라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을 체크하며, 미확인 시 가맹점 단말기(1)는 본사 서버(2)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 및 매출내역을 전송한다. 이는 이전 영업일의 매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마감 근무자의 실수, 악의적 누락 등의 경우, 본사에서 자동으로 매출내역과 마감내역을 전송받도록 하여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영업 개시 때, 가맹점 단말기(1)와 본사 서버(2)는 개점 정보에 대한 연동을 알림으로서 제공한다.
다음, 영업 중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맹점 단말기(1)는 실시간으로 매출내역을 본사 서버(2)로 전송하며, 미전송 및 에러 내역은 재전송을 수행한다. 또한 영업 중에, 가맹점 단말기(1)와 본사 서버(2)는 외부 연동에 대한 알림, 홈서비스, 배달대행접수, 기타 외부 결제 등에 대한 알림을 제공한다.
다음, 마감 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맹점 단말기(1)는 마감내역을 본사 서버(2)로 전송하고, 본사 서버(2)는 이를 기 수신된 매출내역의 결산과 비교하며, 미전송 및 에러가 확인되면 가맹점 단말기(1)로 재송신을 요청한다. 또한 마감 시에, 가맹점 단말기(1)와 본사 서버(2)는 외부 연동 알림, 기타 연동 서비스에 마감 정보 전송 등의 알림을 제공한다.
추가로, 도 4에서는 외부인터페이스와의 연동을 제공하는 중계서버(5)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본사 서버(2), 특히 전송서버(22)는 상기한 마스터코드를 중계서버(5)로 전송하여 중계서버(5) 역시 별도의 입력 작업 없이 해당 가맹점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여기에서 활용되는 가맹점정보는 본사 서버(2)에서 활용되는 가맹점정보와는 다를 수 있고, 예를 들면 가맹점위치, 전화번호, 메뉴정보 등이 활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코드에는 해당 영업일의 공지사항이 포함되고, 가맹점 단말기(1)는 마스터코드로부터 상기 공지사항을 불러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지는 해당 영업일의 공지 및 수시로 전송될 수 있는 긴급공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지사항은 팝업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맹점 단말기(1)의 실행 시 초기 제공되는 메인페이지(P2)와 별도로 공지사항은 공지페이지(P1)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 공지페이지(P1)에서 공지사항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메인페이지(P2)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메인페이지(P2)를 통한 정보 입력, 정보 확인, 기타 기능 수행하고자 할 때, 공지페이지(P1)를 닫지 않고 메인페이지(P2)로 빠르게 전환하는 등의 요구가 충족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공지페이지(P1)의 이용 과정에서 메인페이지(P2)로 전환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위해 간편하고도 신뢰성 있는 페이지 전환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가 단말기 화면을 일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태스킹 바(T1)를 생성하고, 분할된 화면 중 일 측에 활성화된 포그라운드(Foreground)(T2)에 공지페이지(P1)를 배정하고, 분할된 화면 중 타 측에 비활성화된 백그라운드(Background)(T3)에 메인페이지(P2)를 배정하는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태스킹 바(T1)는 공지페이지(P1)에 관한 아이콘들(T11) 및, 클릭 및 드래그 동작을 통해 상기 백그라운드의 메인페이지(P2)를 활성화시키고 포그라운드의 공지페이지(P1)를 비활성화시키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 클릭 시, 포그라운드 측에 원형 화살표 형상의 인증아이콘(T14)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인증아이콘(T14)의 내부가 시점에서부터 종점까지 채워지면 백그라운드 측에 인증아이콘(T14)과 동일 형상을 가지며 더 크게 형성된 검증아이콘(T15)을 출력함과 동시에 인증아이콘(T14)에 대한 채움 동작을 해제하고,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인증아이콘(T14)이 검증아이콘(T15) 내부에 안착되면 페이지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단말기 화면을 일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태스킹 바(T1)를 생성하고, 분할 태스킹 바(T1)로 인해 분할된 화면 중 일 측은 포그라운드(T2)로 배정하여 활성화시키며, 분할 태스킹 바(T1)로 인해 분할된 화면 중 타 측은 백그라운드(T3)로 배정하여 비활성화시킨다.
그리고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태스킹 바(T1)는 활성화된 포그라운드(T2)에 배정된 페이지에 관한 아이콘들(T11)을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포그라운드(T2)와 백그라운드(T3)에 배정된 페이지의 활성화를 전환하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포그라운드(T2)와 백그라운드(T3)의 의미는 최초 상태의 활성화 여부에 따른 것으로 활성화 전환 후에는 백그라운드(T3)에 배정된 페이지가 '마치 포그라운드처럼'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 클릭 시, 포그라운드 측에 원형 화살표 형상의 인증아이콘(T14)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인증아이콘(T14)은 내부가 빈 원형 화살표 형상으로, 꼬리가 시점이 되고 머리가 종점이 된다. 이러한 인증아이콘(T14)은 시점을 클릭한 상태에서 종점까지 드래그하게 되면 드래그 경로에 따라 내부가 채워지게 구성된다.
또한 도 6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인증아이콘(T14)의 내부가 시점에서부터 종점까지 채워지면 백그라운드 측에 인증아이콘(T14)과 동일 형상을 가지며 더 크게 형성된 검증아이콘(T15)을 출력함과 동시에 인증아이콘(T14)에 대한 채움 동작을 해제한다. 상기에서, 채움 동작이 해제된 인증아이콘(T14)은 드래그 동작이 지속해서 입력되어도 더 이상 내부가 채워지지 않고, 드래그 동작에 의해 화면상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도 6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인증아이콘(T14)이 검증아이콘(T15) 내부에 안착되면 페이지를 전환시킨다.
이러한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1)의 구성은 1차로 페이지 전환 버튼(T12)의 클릭, 2차로 인증아이콘(T14)의 채움, 3차로 인증아이콘(T14)의 안착 과정을 거쳐 페이지를 전환시키는데, 이를 통해 의도치 않은 동작에 의하여 페이지가 전환되는 상황(예를 들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오조작에 따른 페이지 전환)에 의하여 페이지가 의도치 않게 전환되어 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3 단계의 인증 과정이 '클릭-드래그-드래그'로 구성되기 때문에 복잡한 인증 단계에 비해 그 조작은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이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훼손하지 않고 오히려 증진시킨다.
즉, 상기 실시예에 따른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동시에 두 페이지를 출력함으로써 처리 속도 향상을 제공하고, 페이지 활성화 전환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제공하며, 나아가 실수 또는 의도치 않은 동작 등에 의한 페이지 활성화 전환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첨부된 도면은 포스기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클릭 및 드래그하는 실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인터페이스는 PC, 태블릿 등과 같은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바, 마우스, 터치펜 등을 통해 클릭 및 드래그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가맹점 단말기
2: 본사 서버 21: 데이터베이스
22: 전송서버 23: 분석서버
3: 점주 단말기
4: 관리자 단말기
5: 중계서버

Claims (4)

  1. 각 가맹점에 구비되어 해당 가맹점의 매출내역을 포함하는 가맹점정보를 처리하는 가맹점 단말기; 및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맹점정보를 수신하고 각 가맹점 단말기를 관리하는 본사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본사 서버가, 상기 가맹점정보를 각 가맹점 별로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각 데이터베이스마다 신규 개설 시 생성되어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는 변경되지 않는 마스터코드를 부여하고, 해당 마스터코드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코드에는 프랜차이즈 메뉴에 관한 정보인 메뉴정보 및 클라이언트 환경 설정에 관한 정보인 환경설정정보를 더 포함하는 가맹점정보가 할당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마스터코드로부터 상기 메뉴정보 및 상기 환경설정정보를 불러오고,
    상기 본사 서버는 상기 마스터코드로부터 상기 가맹점정보를 불러오고,
    상기 가맹점정보는 해당 가맹점의 마감내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본사 서버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을 요청하고,
    상기 본사 서버에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이 미확인되면, 상기 본사 서버로 이전 영업일의 마감내역 및 매출내역을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코드에는 해당 영업일의 공지사항이 포함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마스터코드로부터 상기 공지사항을 불러오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는 단말기 화면을 일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태스킹 바를 생성하고, 분할된 화면 중 일 측에 활성화된 포그라운드(Foreground)에 상기 공지사항이 표시되는 공지페이지를 배정하고, 분할된 화면 중 타 측에 비활성화된 백그라운드(Background)에 메인페이지를 배정하는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 태스킹 바는 상기 공지페이지에 관한 아이콘들 및, 클릭 및 드래그 동작을 통해 상기 백그라운드의 상기 메인페이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포그라운드의 상기 공지페이지를 비활성화시키는 페이지 전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는, 상기 페이지 전환 버튼 클릭 시, 상기 포그라운드 측에 원형 화살표 형상의 인증아이콘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인증아이콘의 내부가 시점에서부터 종점까지 채워지면 상기 백그라운드 측에 상기 인증아이콘과 동일 형상을 가지며 더 크게 형성된 검증아이콘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인증아이콘에 대한 채움 동작을 해제하고,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인증아이콘이 상기 검증아이콘 내부에 안착되면 페이지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21382A 2019-10-01 2019-10-01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 KR10212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382A KR102124882B1 (ko) 2019-10-01 2019-10-01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382A KR102124882B1 (ko) 2019-10-01 2019-10-01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882B1 true KR102124882B1 (ko) 2020-06-19

Family

ID=7113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382A KR102124882B1 (ko) 2019-10-01 2019-10-01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739A (ko) 2020-11-19 2022-05-26 박지혜 가맹점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478A (ja) * 2002-10-21 2004-05-13 Hitachi Ibaraki Net Sourcing Co Ltd ランチ受注処理装置および受注処理方法
KR20140023679A (ko) * 2012-08-17 2014-02-27 주식회사 팬택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20150074246A (ko) * 2013-12-23 2015-07-02 배성우 이동 단말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478A (ja) * 2002-10-21 2004-05-13 Hitachi Ibaraki Net Sourcing Co Ltd ランチ受注処理装置および受注処理方法
KR20140023679A (ko) * 2012-08-17 2014-02-27 주식회사 팬택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20150074246A (ko) * 2013-12-23 2015-07-02 배성우 이동 단말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739A (ko) 2020-11-19 2022-05-26 박지혜 가맹점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8714B1 (en) Computer-implemented task management system
US20050022198A1 (en) Computer-implemented process management system
JP2007287151A (ja) ソフトウェアモデルのビジネスプロセス変形型
US20130159063A1 (en) Process-based user authorization management
US20130159060A1 (en) Monitoring and control of business processes and scenarios
US20130159898A1 (en) Launch of target user interface features based on specific business process instances
US95525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oss-selling
KR101997202B1 (ko) 클라우드 기반 택배 배송 순위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택배시스템
US20130332210A1 (en) Content matching using a rules evaluator
Ruecker Practical Process Automation
KR100859945B1 (ko) Pos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관의 대출 시스템
KR102124882B1 (ko)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
US10680983B2 (en) Message payload editor
US9734486B2 (en) Integrated temporary labor provisioning and monitoring
WO20120918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olidating account data
US20220351237A1 (en) A computer implemented platform for advertisement campaigns and method thereof
US20170098206A1 (en) Transactional user interface
US9721306B2 (en) Data linkage support system and data linkage support method
JP2019057142A (ja) 営業支援システム
KR102257343B1 (ko) 시설 관리 통합 운용 서비스 방법 및 시설 관리 통합 운용 서비스 시스템
JP2018169794A (ja) 取引情報照合システム
KR101659977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90313057A1 (en) Self-service user device manager
KR101607397B1 (ko) 소셜 플랫폼을 통한 주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arma et al. The integrated reservation information systems of travel agency compa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